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특수교육대학원 심리치료 관련 전공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 조사

        안가은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학원 심리치료 관련 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를 조사함으로써 특수교육대학원의 발전과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향과 개선점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수교육대학원이 설립된 대학원 중 심리치료 전공이 개설된 대학원을 조사하여 경기도 소재 D대학원과 충청남도 소재 G대학원의 재학생 95명을 대상으로 2014년 9월 27일부터 10월 6일까지 총 10일에 거쳐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총 95부(100%)를 회수하였고, SPSS 18.0을 이용하여 자료를 기술통계로 처리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특수교육대학원 심리치료전공에 진학한 동기는 심리치료사가 되기 위함이 가장 높았으며, 학교의 이미지와 명성으로 대학원을 선택하게 된 요인이 많았다. 심리치료 관련 전공인식은 대체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에 대한 조사와 관련하여 첫째, 교육과정 영역에서는 교과목 이수와 자격증의 연계성과 교과목의 다양성에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수업운영 영역에서는 강의계획서에 따른 수업진행, 수업시간의 적절성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육여건 영역에서는 행정서비스의 친절도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등록금 제도, 장학금의 적절성, 학사일정 안내에 대한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넷째, 졸업 및 진로 영역에서는 진로의 영향력, 경쟁력 향상, 취업 전망의 긍정성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요구에 대한 조사로 첫째, 교육과정 영역에서는 치료영역별 자격 취득을 위한 다양한 입문 과정의 개설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둘째, 수업운영 영역에서는 수업내용의 질 향상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셋째, 교육여건 영역에서는 전공자의 전공운영 전담의 요구가 높았다. 넷째, 졸업 및 진로 영역에서는 심리치료사 관련 자격증 안내 등 졸업생을 위한 적극적인 진로안내를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 특수교육대학원의 발전과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재학생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계속적인 관리와 평가를 위한 체계가 시급히 구축되어야 하며, 수요자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재구성되어야 한다.

      • 敎育大學院의 運營體制 硏究

        문종수 檀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2 국내석사

        RANK : 249695

        현대사회는 과학기술혁명과 고도산업사회의 출현을 특징으로 한다. 그에 隋伴하는 사회의 질적 변화는 각 측면에서 고급인력의 수요에 부응코자 고학력사회의 출현으로 치닫고 있다. 교육대학원의 학생이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도 이들 시대적 특수성의 필연적인 발로의 하나라 하겠다. 특수대학원으로서의 교육대학원이 우리나라 대학원 교육의 일익을 담당해온지도 어언 30여년이 됐으며 전국 48교개에 이르러 양적으로 큰 성장을 가져왔다. 원생의 법정 정원수도 이미 14,000여명을 넘었다. 이 시점에 이르러서는 양적인 발전보다는 교육의 질적인 발전에 촛점을 두고 그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육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육자의 질, 학생의 선발, 시설과 교육투자, 교육내용과 교수방법 등 많은 요인들이 검토되고 연구되어야 하겠으나 소고에서는 교육대학원의 교육이념, 특징, 조직과 편제, 교육과정운영, 학위논문 및 운영성과 등을 논의함으로서 교육대학원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교육목적은 모든 학사운영의 근거가 되기 때문에 교육대학원 특유의 목적 즉, 그 정체성을 밝혀보려고 하였으며, 대학원 설치기준령을 제정함으로서 대학원 교육의 내실화에 필요한 교수 및 시설 등 필요한 교육여건의 법적근거를 마련하여 교육의 질적 수월성을 추구해야 한다. 교육대학원의 운영 현황을 분석 한 결과 교원들의 재교육기관이며 교직의 전문성을 높이고 교사의 질적 향상을 기하기 위한 교육기관으로서의 특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교원수와 학생정원과의 비율에서 나타난 교원수의 4%인 14,002명은 재교육 기회를 제한하는 것으로 전임교수 확보 등을 감안하여 증원할 필요성이 있다. 교육과정은 교육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만든 교육내용이기 때문에 교육목적과 교육과정은 일치해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교육과정이 교육목적과 꼭 일치되지 않는 점이 있음을 발견하고 이의 개선을 위해서는 교직 과정과 전공과정이 통합을 이룰 수 있도록 재조정 되어야 한다. 교과교육은 교과지도에 필요한 교수이론과 기법을 고수하는 것이며 따라서 교사의 교육활동 중심은 교과지도에 있으므로 교과교육에 대한 교육학적인 연구는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토대가 되는 것이다. 교육여건 즉, 교수, 시설, 재정의 확보상황은 교육의 질적 충실화를 기하는데 중요하다. 특히 교수는 대학원 소속 전임교수를 꼭 두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이론이 있을 수 있지만 대학 전체로 볼 때 대학원 교육에 필요한 교수 정원확보는 교육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독립된 교육기관을 구성하는데 필수적인 요건이 된다. 교육의 성과는 일차적으로 학위논문의 질로 반영된다. 학위논문은 그간의 교수, 연구의 결과이기 때문에 교육대학원 교육의 질을 평가하는 준거가 되며 그것은 교육과정운영, 교육방법, 유인체제와 관련이 있다. 교육대학원의 내실화와 일정수준이상의 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선진국에서 운영하는 평가 인정체계를 채택하여 학위의 공신력을 높이고 각 대학원의 필수적인 교육여건을 확보할 수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

      • 대학 과학교양교육과정 운영 현황 및 대학 구성원 인식 탐색 - 단국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임민경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와 대학의 위기가 언급되는 시점에서 대학 수준에서 변화되는 교육 환경에 대한 과학 교양교육에 대한 방향성 탐색을 위해 현재 운영되는 교육과정 운영 현황 파악 내용을 바탕으로 대학 구성원의 인식을 분석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에 있어 연구대상 대학으로서 수도권 소재의 종합대학으로 과학과 관련 여러 특성화 사업을 진행중인 D대학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고, 현재 시점에서 관련 연구가 부족한 실태를 지적하고 추후 과학 교양교육과정의 대학 구성원 인식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경기도 용인시 소재 D 대학교의 교육목표, 교육인재상, 과학교양교육의 운영 현황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D 대학교의 재학생과 교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폼을 활용하여 설문을 진행하였고 전체 참여자수는 재학생 30명, 교원 21명이 응답하였다. 같은 시기 자유교양대학의 BSM센터 주관으로 교양교육 전반에 대한 설문이 진행되어 응답 내용의 한계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설문 조사를 기반으로 현재 D 대학 과학교양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현황 파악, 과학교양교육 개편을 위한 요구도 조사, 구성원 의견 수렴에 대한 구성원의 과학교양교육과정에 대한 의견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D 대학의 과학교양교육과정은 교양의 영역별로 세분화 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각 교양 영역에 대한 이수기준 및 강좌의 개설 유형이 다양하였으나 명확하게 과학교양교육의 목적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았다. 둘째, 과학교양교육과정에 대한 대학 구성원의 인식 현황을 분석해보았을 때 구성원들이 현재 시대적 분위기에 부합하는 과학교양교육과정의 목적성과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본 결과는 과학과 핵심역량 및 강조내용에 대한 응답내용 등을 분석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학 구성원들은 융복합교육의 중요성, AI 및 SW 교육의 필요성을 가장 중점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학교양교육과정에 대한 구성원의 요구 조사를 분석해보았을 때 –특히, 재학생 응답자 다수 인원이 인문사회계열이라는 점을 고려해보았을 때- 과학교양에 대한 관심 및 강좌의 개설을 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이수 기준에 대한 응답 내용과 관련하여 필수이수로 해야함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 외에도 구성원들은 강좌의 개설에 있어 과학과 타학문의 연계를 기반으로 한 융복합적 성격을 갖는 강좌의 개설을 원하고 있다고 답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성원들의 제안 및 자유의견 기술을 통해, 구성원들이 공통적으로 현재의 과학교양교육과정에 있어 체제적 지원과 더불어 시대적 분위기와 구성원 의견을 적극 반영한 교육과정 개편에 대한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D대학의 과학교양교육과정 개편 방향성 탐색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제언한다.

      • 단국대학교 영어몰입교육 사례 연구 : 학습자 요구분석을 통한 목표의 재설정

        김지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79

        단국영어몰입학습 프로그램(Dankook English Immersion Program: DEIP)은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가 영어성적이 일정 수준을 넘겨야 졸업이 가능한 졸업인증제도와 개방화 정책에 알맞은 인재를 양성하고 영어로 의사소통 할 수 있는 언어수행이 강조되어 가는 사회적인 분위기를 고려하여 기획한 프로그램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그 실시취지, 교육과정, 교육방법 등을 상세히 소개하고 프로그램 참여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중심의 다면적 평가, 학습자 심층면접과 교실관찰 등을 통한 프로그램 평가결과를 통해 그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프로그램 평가과정을 통해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더 나은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기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학생들의 높은 만족도와 참가자중의 77%의 졸업인증 획득, 저실력군의 TOEIC 점수 향상 등 큰 성과를 거두었으나 동시에 부적합한 목표설정은 교육과정과 평가방법의 괴리를 가져와 집중영어교육을 희망하였던 학습자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따라서 3번에 걸쳐 실시된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중심의 다면적 설문조사와 학습자 심층면접과 교실관찰을 통해 도출한 학습자 요구를 토대로 프로그램 목표를 재설정 하여 교육목표와 교과과정을 이원화할 것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n English immersion program at Dankook University. The study described the educational principles and curriculum in detail and provided an overall evaluation of the program. This paper also makes some suggestions to improved this program. This three-week Dankook English immersion program in winter 2008 was designed to help students to satisfy graduation requirement and improve general English proficiency such as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by providing them with the setting and environment of and immersion English program. Students' achievement was measured by TOEIC both before and after the Dankook English immersion program. The students' responses from the questionnaire were used to identify their satisfaction toward the program.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the students' needs, re-setting of the goal of the program was suggested.

      • 지역학교와 연계한 랜드마크(Landmark) 벽화 제작 기획 및 방안연구 : 헌산중학교를 중심으로

        이민지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79

        현대사회는 모든 분야에서 빠른 변화 양상을 보이는데 특히 우리가 통과하고 있는 코로나19 팬데믹은 세계를 혼란에 빠뜨림과 동시에 학교 교육 환경을 단시간에 변화시켰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친구와 만나 교제 및 소통하지 못하는 학생들 은 공동체를 경험하지 못하고 학교가 점점 두렵고 피하고 싶은 공간이 되어버렸다. 오랜 기간 지속된 비대면 온라인 교육으로 인해 학생들은 스스로 학습할 능력과 소통의 기회를 잃어버렸다. 따라서 코로나19 시대적 상황을 극복하고 미래인재로 성장하기 위해 학생들에게 공동체 의식 함양과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의 증진이 절실히 요구된다. 벽화는 미술수업에서 학생들이 협동을 통해 제작 활동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학생들이 공적인 공간에서 공동체 속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공동의 문제에 대해 함께 해결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공동체의 발전에 기여함으로서 공동체의 가치를 배울 수 있는 교육적 가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업 시수, 예산, 전문성의 부족 등으로 인해 실제 학교 현장에서 적용되어 실행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지역 내의 학교와 연계한 랜드마크 벽화 제작 기획으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랜드마크를 활용하여 공동체 역량을 함양하고 자기 주도적 미술학습 능력을 증진하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용인지역에 있는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과 헌산중학교를 대상으 로 기획하였으며 벽화 제작에 앞서 랜드마크와 벽화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및 관련 교과를 분석하였다. 이후 벽화 제작 사전 준비를 위해 헌산중학교를 방문하여 교사들과 함께 논의한 내용과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를 토대로 총 6단계의 벽화 제작 단계로 설계하였으며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생과 교수진, 헌산중학교 학생들이 함께하는 팀티칭 학습을 기반으로 진행하기로 하였다. 하지만 실제 벽화 제작을 앞두고 코로나19 거리두기 정책으로 인해 1~3단계까지 실행하였고 4~6단계는 적용하지 못했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끝까지 적용하지 못한 것이 아쉽지만 랜드마크 벽화 제작 기획 및 방안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교육적 기대 효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랜 드마크의 이해를 통해 자신과 세계와의 관계를 이해하고 미술 문화를 향유 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된다. 둘째, 자기 주도적 미술학습 능력을 향상시킨다. 셋째, 벽화 제작 활동을 통해 사회적 소통 능력 증진 및 사회성 발달이 가능하다. 넷째, 지역 사회와 학교에 대한 공동체 의식을 함양할 수 있다. 미술교육은 다양한 방법과 매체를 통하여 사회공동체 구성원들과 함께 공동체의 가치를 인식하고, 동료와 협력하고 소통하면서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한다. 학생들은 랜드마크를 활용 한 벽화를 통해 자신과 세계의 관계를 탐색하고, 자신이 속해있는 공동체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공동체의 발전을 위해 이바지할 수 있으며 창의적 문재해결 능력과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본 연구로 인해 시대에 필요한 공동체 역량교육과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개발에 긍정적인 영향과 발전을 가져올 것을 기대한다.

      • 初等敎育의 質的 向上을 위한 方案 模索

        임상균 檀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1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course of study of the college for the train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s been extended, from two years to four. However, rather than just lengthening the period of training, it seems necessary to raise the level of the training one step higher by nurturing the functions of research and scholarship in teaching. Accordingly, the entire education curriculum at the college level of study must undergo a systematic change. In other words, while presenting a vision of a graduate course in the field of Elementary Education which can lead to a Master's, or Doctorate degree, we must also change internal attitudes regard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training so that anyone, whoever he may be, can recognize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theory and research in the field of Elementary Education. Professors of Teaching Methodology in the field of Elementary Education must raise themselves up to the point where they can raise up others; a point which high-lights the need for scholarly research in the field of Elementary Education. Seen from this standpoint, development at the graduate level will have an immediate and positive impact on the undergraduate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um as well. The existing graduate school curriculum must throw off its current emphasis on mere guantity in order to attain genuine scholarship in the field of Elementary Education, offering specializations in Elementary Level Education and Elementary Level Curriculum Education. In order to actualize such a prospective policy, concrete research must be carried through with concentration and continued effort. Too after, it is taken as a given that the transfer to a guality-based system in graduate elementary Education, from the existing system of management based on a guantitative standard, (as mentioned above), will not turn out well. In such an atmosphere of pragmatism, the establishment of a (quality-based) graduate school in the field of Elementary Education will never be easy. Accordingly, the research and analysis into the many facets of teaching quality, teaching method, educational programs and character that make up a graduate school in Elementary Education, must be carried out most precisely. Still, if a properly substantiable plan for the introducation and management of an evaluative certification system for teachers' education is not deeply and critically researched, in this pragmatic atmosphere of ours it will be difficult to properly demonstrate the value of it with only the power of persuasion. Understanding and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our most realistic task is a reorganization of the postulates of the educational system. It calls us urgently. If it is not done, the irrational state of affairs in the current educational system can lead to no good. And so, in order that all capable and excellent educators with an interest in the field of Elementary Education Cheerfully join together with pride and self-respect, bringing about real development in educational activity, a societal, systematic reform in the very postulates of education is most essentially needed.

      • 재외동포 초급 한국어 교육에서의 높임법 교수·학습의 내용과 지도 방안 연구

        김수연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높임법 교육은 의사소통 능력의 차원에서 반드시 가르쳐야할 항목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한국어 높임법은 종결어미나 어휘라는 문법 범주와 더불어, 반드시 화자와 청자, 말하고자 하는 대상의 관계에 대한 고려를 통해 실현되기 때문이다. 이 같은 특성 때문에 한국어 학습자들은 한국어 높임법을 어려워하며, 자주 오류를 범하기도 한다. 이는 재외동포 학습자들에게도 마찬가지인데, 그들은 주로 아동이라는 점에서 성인 외국인 학습자들과는 다른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재외동포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에서 높임법 지도 방안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본고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2장에서는 재외동포 대상 한국어 높임법 체계를 기존 한국어 높임법 체계를 중심으로 그들의 발화상황을 고려하여 정리하고, 높임법 교육에 있어서 등급별로 가르쳐야 할 높임법 내용들을 선정하였다. 이때, 󰡔재외 한글학교용 표준 교육과정(총론 및 각론) 연구 개발󰡕(2009)의 시간기준 및 등급을 기준으로 하고, 󰡔재외 한글학교용 표준 교육과정(총론 및 각론) 연구 개발󰡕(2009) 한국어 교육과정 시안에서 나타난 급별 학습내용, 한국어 능력시험(TOPIK)의 등급별 어휘 및 문법 내용, 기존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높임법 등급별 교육 내용에 관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하여 재외동포 한국어 초급, 중급, 고급에 해당하는 높임법 학습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후 3장에서는 이러한 등급별 내용 선정을 바탕으로, 재외동포 대상 초급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높임법 교수 항목 및 교수․학습방법을 살펴보았다. 선택한 교재는 재외동포교육진흥재단과 교육과학기술부에서 편찬한 󰡔한글학교 한국어󰡕1~6권으로, 올해부터 전 세계 재외동포 한글학교에서 한국어교육 초급 교재로 사용된다. 교수․학습방법은 높임법 단원에 제시된 학습활동을 살펴봄으로써 학습활동들이 재외동포 대상 높임법 지도에 있어서 효과적인지 고찰하였다. 그 결과, 󰡔한글학교 한국어󰡕1~6권에는 초급교재임에도 불구하고 높임법의 내용이 과다하게 들어가 있으며, 한국 문화 이해를 기반으로 한 높임법 이해를 돕는 내용도 미흡하였고,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활동은 낮은 비율에 불과하여 높임법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4장에서는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재외동포 대상 초급 한국어 높임법 교육에 있어서 협동학습을 통한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협동학습은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극대화 하면서도 인지적, 정의적인 측면에서 학습에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높임법 지도 방안으로 케이건의 구조주의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학습활동의 예를 제시하고, 재외동포 대상 높임법 지도 시 유의사항을 제시하였다.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honorific education is one of the necessities covered for effective communication. It is because honorific expression in Korean language is realized based on the speaker and lister,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object they are discussing, along with the grammatical elements like final endings and/or vocabularies. For such characteristics, Korean language learners feel difficult about Korean honorifics, in which they frequently make mistakes. Such phenomena are often occurred for Koreans living abroad. Furthermore, the fact that many of them are children characterizes them different from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are foreign adults, which makes the development of the pedagogy of Korean directed toward those population necessary. adult foreign Korean learners. Focusing on such characteristics, in chapter 2, we summarized the honorifics for overseas Koreans, considering their conversation situation and selected the contents taught by each level. In doing this, we based our classification of the levels on "Standard Overseas Korean Language School Curriculum Research and Development (Introduction and Itemized Discussion)(2009)" and utilized the studies regarding the level-focused educational contents in the curriculum, language and grammatical elements appeared for each level of Standard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and existing level-wise honorific education developed for foreigners to suggest honorific educations for the overseas Korean in each level (beginners, intermediate and advanced) of Korean proficiency. In chapter 3, the way of honorific education and pedagogy appeared in the text used for overseas Koreans' Korean education are explored. The text discussed is the "Korean for Korean Language School Abroad (volume 1-6)", published by the Educational Foundations for Koreans Abroad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planned to be used in the beginners course in the Korean language school for overseas Korean worldwide from this year. By analyzing the honorifics chapter's learning activity, we explored if they are effective for the honorific eduction for Korean living abroad. As a result, we found although the text is for beginners, there are too much honorifics, without appropriate coverage of the Korean culture that boosts understanding of honorifics used in Korean. Also, there is lack of the interactive excercise among the learners, which all suggest possibility of ineffective education. Based on such analysis, in chapter 4, we suggest interactive activity among the learners as the effective pedagogical methodology and curriculum of honorifics for the overseas Korean who are the beginners of Korean language. Doing this, we suggest activity applying Kagan's Structural Cooperative Learning model(1994), and discuss the points to be considered in the education of honorifics in overseas Korean.

      • 문학교육 텍스트로서의 이상(李箱) 문학 연구 : 고등학교 문학교과서를 중심으로

        이보라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research aims to review the values of Yi Sang’s literature as texts for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on the basis of goals of today’s curriculum. People have exerted every effort to find a proper literary work for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which coincides with the trend and each curriculum. Some literary works, previously included in the textbooks were excluded during the coordination and selection process for a variety of literary works. Yi’s works fall into this case. Up until now, high school textbooks have contained the following 8 literary works of Yi since the 4th national curriculum that made his literary works as an intensive elective course; there are 4 poems “Ogamdo-No.1,” “Geowool,” “Gajeong,” "Woondong", 1 novel Nalgae, 3 essays “Sanchon Yeojeong,” “Gwontae,” “Jochunjeommyo-Gongjieseo.” However, after a series of curriculum revisions, 5 literary works including his poems were excluded from the textbooks. Currently, only 3 works of Yi, “Nalgae,” “Sanchon Yeojeong,” and “Gwontae” remain in the textbooks. This means that many educationally-verified literary works of Yi were excluded from the textbooks. “Nurturing creative and convergent human resources with an upright character” is the goal of the curriculum revision of 2015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science and technology age. While the previous curriculum emphasized the “creative acceptance and production” of literature,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has deepened its development into building “humanistic imagination and scientific creativity.” In addition, the new curriculum newly underscores the “building character that understands and communicates with other people and societies,” by fostering a mature self. By transitioning his life through unfamiliar experimental methods, Yi’s literary works give a new sense to reality. His literary works reflect his destructive writing style, view point on life and insights coming from divided consciousness, all of which arouse the interest of the learners, enables creative thinking, creates a momentum for building mature self-consciousness. Such educational usefulness coincides with a direction of the literature education, which in that aspect provides a foundation to understand the literary values of Yi’s work. This research discussed how 6 literary works of Yi Sang from the previous textbooks can be used in the new textbooks in accordance with new curriculum revision. First of all, this research reviewed how the textbooks dealt with Yi’s works on the basis of the chapters, goals, and activities. Then, this paper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f his work based on the 3 goals of literature education: fostering active studying attitude, creative convergent thinking and mature self-consciousness. Lastly, this paper provided teaching methods of how each literary work of Yi can be applied to actual learning and also suggested the expected effects of such methods. Hopefully, this research clarifies the educational usefulness and status of Yi’s literary works. Furthermore, tenuous thought it may be, I expect this research paper presents direction on how to write a textbook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오늘날 교육과정의 목표를 토대로 고등학교 문학교과서 텍스트로서 이상(李箱)의 문학이 지닌 가치를 검토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고등학교 문학교과서는 시대의 흐름과 각 교육과정에 적합한 작품들을 발굴하기 위해 때마다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왔다. 다양한 작품들을 조율하고 선정하는 과정에서 역으로 그동안 교과서에 수록되었던 작품들이 배제되는 경우가 생겨났는데, 이상의 작품이 이에 해당한다. 이상 문학은 문학이 심화 선택과목으로 분리되기 시작한 4차 교육과정부터 현재까지 시 「오감도-시 제1호」, 「거울」, 「가정」, 「운동」, 소설 「날개」와 수필 「산촌 여정」, 「권태」, 「조춘점묘-공지에서」 총 8편이 교과서에 수록되었다. 그러나 여러 차례 개정을 거치면서 시들을 포함한 5편이 제외되고 현재는 「날개」, 「산촌 여정」, 「권태」 3편만 수록되어 있다. 이미 교육적으로 검증이 완료된 작품들이 교과서에 상당 배제된 것이다. 과학기술시대의 요구에 부응하여 개정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은‘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이다. 이전 교육과정에서 강조되었던 문학의‘창의적 수용과 생산’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와서‘인문학적 상상력과 과학기술 창조력의 함양’으로 심화 발전하였다. 여기에 성숙한 자아를 길러 궁극적으로‘타인과 사회에 대한 이해와 소통이 가능한 인성’을 갖출 것을 새롭게 강조하였다. 이상의 문학은 그가 직면했던 삶을 낯설고 실험적인 기법으로 전환하여 현실에 새로운 감각을 부여하였다. 글에 나타나는 파괴적인 형식과 분열된 의식으로부터 온 정서의 혼재, 삶에 대한 진솔한 관점과 통찰 등 그가 구현해낸 문학 세계는 오늘날 학습자에게 흥미를 유발시키고, 창의적으로 사고할 수 있게 하며, 성숙한 자아의식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적 효용성은 문학교육이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과 맞닿아 있다는 점에서 이상 문학의 가치를 확인하는 밑거름이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학교과서에 수록되었던 이상의 작품 6편을 대상으로, 새 교육과정에 맞추어 교과서에 새로이 수용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먼저 이상의 작품들이 그동안 교과서에서 어떻게 다루어졌는지 단원 및 학습 목표와 학습 활동을 토대로 검토하였다. 그리고‘능동적 학습 태도 함양’,‘창의 융합적 사고 함양’,‘성숙한 자아의식 함양’이라는 문학교육의 세 가지 목표를 준거로 각 작품에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작품마다 실제 학습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을 마련하고 기대 효과를 제언하였다. 본 연구가 이상 문학의 교육적 효용과 위상을 규명하는 것에서 나아가 미약하나마 교과서 편찬의 방향에 대한 관견을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화법교육의 정체성과 방향 : 고등학교 <화법> 교과서를 중심으로

        김서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시간이 갈수록 화법 역량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확대되고 있다. 화법 역량 자체는 물론이고, 개인의 잠재력을 증명할 수 있는 것이 화법이다. 이처럼 사회에서 필히 요구되는 반면, 학교 교육에서 타 교과에 비해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는 과목 역시 화법이다. 국어과 교육 내 중요도에서 화법 교육의 낮은 위치는 화법 교과의 정체성이 확립되지 못했다는 것과 타 교과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내용 및 목표의 일관성과 체계성이 낮다는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국어과 화법 교육의 역사를 통해 화법 교육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바람직한 화법 교육의 방향을 찾는 데 목표를 두었으며,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목표와 내용 체계를 기준으로 각 교육과정기의 교과서의 내용 선정 및 조직 원리를 비교·분석하여 각 교과서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화법 교육이 어떻게 교과에 구현되어 어떤 목적과 목표를 두고 있는지, 그에 따른 내용은 무엇인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화법 교육에 요구되는 요소들을 고찰해본 후, 화법 교육이 확립해야 할 정체성을 제시하고, 그에 따라 화법 교과가 중심적으로 다루어야 할 교육 목표와 내용을 탐구하였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과 연구 방법 및 대상, 그리고 선행 연구를 다루었다. 화법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확대됨에 따라 학교 교육은 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으며, 보다 체계적인 화법 교육과정과 그에 따른 교과서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화법 교육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화법 교육의 교육과정의 변화와 그에 따른 교육 목표 및 내용을 각 차시별 교육 과정과 교과서를 통하여 비교·분석하여 화법 교육의 정체성과 방향을 논의하였으며, 그와 관련하여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교육과정의 변화와 그에 따른 교육 목표 및 내용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앞으로 화법 교육이 추구해야 할 방향을 모색해보았다. 제2장에서는 화법 교육 과정의 변천 과정을 살폈다. 제1차 교육과정부터 제5차 교육과정까지의 교육과정 변화를 통하여, 제6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 변화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제1차 교육과정 시기에는 국어 공통 과정 내에서 말하기, 듣기 교육의 기능적이고 기술적인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으며, 학문 중심 교육 과정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5차 교육과정까지 이어진다. 제6차 교육과정도 국어과의 도구 교과적 성격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같으나, 교육에 있어서 다양성을 고려하고자 공통 과목으로 국어를, 선택 과목으로 독서, 작문, 문법, 문학과 함께 화법을 구성한다. 이처럼 5차 교육과정에서 6차 교육과정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가장 큰 특징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은 바로 독립된 교과를 편찬하였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또한 화법 교과 자체적인 내용으로 구체성을 띠기 시작했다. 2015 교육과정은 현재 구체적으로 실행되지 않았으나, 가장 최근 교육과정의 목표 및 내용과 중요시되는 요소의 최근 경향을 알 수 있다. 2015 교육과정은 인성 요소를 중요시하고 있으며, 내용 체계에 있어서는 새로운 시도로서의 정리가 엿보이는데, 이 또한 인성과 관련하여 사회·문화적 요소와 연관 지을 수 있다. 제3장에서는 제6차 교육과정 이후의 교과서를 살펴보았다. 제6차 교육과정기의 교과서는 기능적·도구적 역할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특징이 있으며, 무엇보다도 ‘화법’의 교과 필요성을 깨달아 펼쳐 낸 교과서라는 데 큰 의미가 있다. 제7차 교육과정기의 교과서는 ‘본질’, ‘원리’, ‘태도’, ‘실제’를 바탕으로 한 7차 교육과정의 틀을 바탕으로 구성하고 있는데, ‘실제’가 나머지 요소들을 아우르는 입체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6차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에서 ‘태도’가 추가된 형태인데, 이러한 형태와 같이 교과서 역시 태도와 관련하여 미미하나 의사소통 과정에서 중요한 말하는 이, 듣는 이의 태도의 중요성에 강조점을 두기 시작했음을 알 수 있다. 부록의 구성에 있어서도 6차 교육과정보다 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 사회·문화적 요소를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2007 교육과정기의 교과서는 화법과 작문Ⅰ, Ⅱ’이라는 통합된 교과서가 두 권으로 나누어져 있다는 것이 특징인데, Ⅰ에서는 ‘지식’과 ‘기능’, Ⅱ에서는 ‘실제’를 다루고 있다. 2007 교육과정기의 교과서는 7차 교육과정에서 재구성된 수준의 교육과정이나 보다 사회·문화적인 요소를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2009 교육과정기의 교과서는 이전 교육과정의 틀에서 벗어난 내용 체계를 교과서에 구현하였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전 교육과정과는 다른 자체적인 영역을 설정하였으며, 이 가운데 사회·문화적 요소 및 인성의 함양을 위한 내용을 하나의 영역으로서 동등하게 배치하였다는 것이 큰 특징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기존의 교육과정에서 화법 교육은 제6차 교육과정 이후 선택 교과로 <화법>을 둔 이래, 기능적인 차원에서 목표와 내용이 설정된 경향이 강하다. 이를 고려할 때 2015 교육과정의 화법 목표 및 내용에서는 선행 교육과정에 비해 ‘의사소통성’과 ‘관계성’을 강조한 면이 있을지라도, 내용 면에서 기능적 차원을 중심으로 다룰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특징들을 통하여 살펴 본 6차 이후 교과서 분석을 통하여, 화법 교육과정의 방향성을 살펴보았고, ‘화법’이라는 단독 교과서를 편찬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화법교과만의 특성을 살린 목표와 내용을 구성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성교육을 반영하기에 적합한 화법교육의 특징과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짚어봄으로써 화법교육의 정체성과 방향을 살펴보았다. 현재 <화법과 작문>으로 화법, 작문교과가 통합되어 편찬되어 있는데, 이를 분리시키고, 화법교과만의 목표와 내용을 구성하며, 화법교육에 반영할 인성 함양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의 연구가 필요하다. There is an increasing social demand for speaking and listening competence today. Speaking and listening can also demonstrate potential for individual ability. Despite such high demand, speaking and listening is not treated as important in school curriculum. The fact that speaking and listening is being underestimated in Korean class is confirmed by the fact that clearly defined curriculum for speaking and listening is absent and, compared to other subjects,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lacks consistent goal and systematic plan. This research aims to define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by surveying the history of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in Korean class and find the goal of and direction for future of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The research will focus on how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is being implemented in curriculum, what their educational goals and objectives are, and what the contents of such curriculum is like by analyzing the current Korean textbooks and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ir contents and organizing principles for each curriculum period based on the goals and contents proposed by current curriculum system. The research will examine various aspects of the current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Then, it will propose the definition of the ideal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and explore what its main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s should be. Chapter 1 describe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research method and subjects used, and previous researches done on the subject. With increase demand for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education must reflect such demand by creating more systematic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and the textbooks needed for such education. Accordingly, this research tries to provide the definition of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and explore its future direction. This research discussed the definition and the direction of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changes in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corresponding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s against each level of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textbooks used for the curriculum. The research also examined previous researches done on the related subject.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 investigated how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corresponding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s have changed and explored the future direction of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The chapter 2 surveyed the history of changes in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By surveying the changes in educational curriculum from the 1st Curriculum to the 5th Curriculum, the research tri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curriculum from the 6th Curriculum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e 1st Curriculum made possible the awareness of functional and technical necessity for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across Korean education. The curriculum tends to place heavy emphasis on academics, and such characteristics continued until the 5th Curriculum. Although the 6th Curriculum is similar to the previous programs, it also took into consideration diversity and introduced speaking and listening as well as reading, writing, grammar and literature for optional class in addition to required Korean class. The most prominent characteristic of the transition from the 5th Curriculum to the 6th Curriculum was the introduction of speaking and listening as independent curriculum. The creation of independent curriculum was then specifically implemented in terms of creating the contents of educ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speaking and listen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as not been put into implementation. However, it is possible to infer from it the goal of the most recent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issues that are considered most crucial.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tresses the importance of character. It also contains a new experimental element in terms of contents. This could be related to socio-cultural elements pertaining to character education. The chapter 3 surveyed the textbooks introduced after the 6th Curriculum. The prominent characteristics of the 6th Curriculum is that it focused on functional/pedagogical aspect role of textbook. Most of all, the textbooks was created with the need for “speaking and listening skill” in mind. Textbooks in the 7th Curriculum are composed based on the framework of the 7th Curriculum, which is based on ‘essence’, ‘principal’, ‘attitude’ and ‘actuality’, in which the ‘actuality’ has a dimensional form that embraces the remaining elements. Also, ‘attitude’ is added to the content structure of the 6th Curriculum, which implies that textbooks also started to put emphasis, although insignificant, on the importance of the attitude of speaker and listener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In terms of the composition of supplements, textbooks in the 7th Curriculum started to emphasize the social and cultural elements more than the 6th Curriculum. The textbooks for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re divided into Speaking and listening and Writing I and Ⅱ. The I pertains to “knowledge” and “function” and the Ⅱ pertains to “practice”. The 2007 Revised Curriculum is a revision of the 7th Curriculum. However, it places more emphasis on social and cultural elements. On the other hand, the textbooks for the 2009 Revised Curriculum include the contents that are outside that of the previous curriculum programs. It contains its own independent realm that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curriculum programs, the most prominent characteristic of which is the introduction of the contents designed to incorporate socio-cultural elements as well as character education with equal weight. Under the circumstance, since the “speaking and listening” was selected as curriculum in the 6th Curriculum, the goal and the contents of the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in the existing educational curriculum focused on practical aspects. Considering this, although the goal and the contents of the speaking and listening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ended to place more emphasis on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compared to the prior curriculum program, the contents are likely to focus on practical aspects. The research examined the direction of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6th Curriculum. It also created an independent textbook called “Speaking and listening,” suggesting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cluding goals and contents that are uniq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peaking and listening skills. Also, by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to reflect character education and the need for character development-oriented education, the research studied the definition of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and its future direction. Today, “Speaking and listening and Writing” is a textbook that incorporates both speaking and listening skills and writing. The future researches must separate them and create a textbook that specializes in speaking and listening only, thus making it easier for speaking and listening to contribute to enhancement of character education.

      • 한글 맞춤법 사용 실태에 따른 지도 방안 연구 : 초등학교 5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석미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is to suggest a teaching method that will lead to an improvement in Korean spell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improving instruction activities of the tutors. The ultimate purpose of Korean Language Class is to extend the ability of using right Korean language. And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to bring up the ability and attitude of using Korean correctly and effectively. Therefore, I’d like to seek for some teaching methods in which students will have moral recognition and attitude in using right and proper Korean language, and extend their Korean abilities. The study focuses on the average Grammar usage of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specially on Korean Spelling Rules.The 5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is where the students have certain degree of knowledge in fundamental Korean letters from former grades but their abilities are not as competent yet. They are at the first stage in learning Korean grammar, and using proper written Korean Language and it is also the time that they are in the middle of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Those are why, it is the best time to teach the Korean Spelling Rules in 5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Thus, I’d like to propose some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the analysis and research on the 5th grade student’s understanding, and their using conditions of Korean Spelling Rules. The current 5th grade students are under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hich has strengthened emphasis on the Korean Spelling Rules compared to the previous curriculums. Under the curriculum, the Korean Spelling Rules is studied as a part of grammar sections in 5th and 6th grade classes. It provides with various activities such as pronouncing(or writing) commonly confused words that Korean speakers often make mistakes in their daily lives. This shows that the curriculum has its emphasis on teaching the principles of Korean Spelling Rules to pronounce and write properly. This study extends further, to find more effective teaching methods, as the basis of this study. For starters, in Chapter 1, the general idea and the principle of Korean grammar and Korean Spelling Rules are summarized. The study will look into the current education conditions of Korean Spelling Rules in elementary schools in chapter 2. Then it describes results of the research on understanding, using conditions of Korean Spelling Rules in chapter 3. In chapter 4, it suggests several methods in teaching Korean Spelling Rules efficiently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ies on teaching methods of Korean Spelling Rules have been simply suggesting some programs or basic methods based on theoretical frameworks in the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so far. However this study is to suggest several practical teaching methods with brief activities which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n easily participate. Tutors must keep this on account that elementary school is the stage where the children are experiencing a highly sentimental(emotional) periods, and the tutoring must be designed with consideration in physical, losical, psychological, linguistic and emotional attributes. Learning can be the most efficient when the learners are interested in their activities. This phenomenon turns out more strongly from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in their early stages of learning. So we should approach them with not only explaining Korean Spelling Rules but also teaching them with various interesting methods. It is inevitable to give expository instructions in teaching Korean grammar but this study puts its priority on activity centered classes due to their attributes so they can apply and master Korean Spelling Rules by themselves. It suggests methods such as teaching with idioms, songs, children's books, dictionaries and commercials. In addition, it also proposed teaching methods of teaching the necessity of following Korean Spelling Rules to make students can keep and apply the rules naturally. The fundamental goal of this study is to help them link up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to higher learning desire. It is also a meaningful work in terms of suggesting activity-centered classes which will attract ac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But it has a weakness on not being verified in actual education sites. I hope that this study could be used in actual education and connected to similar methods one after others by those who have the same point of view with me. 본 연구는 초등학교 문법 영역 수업시간의 교수활동을 개선하여 초등학생들의 한글 맞춤법 사용 능력을 향상시키는 지도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국어과의 궁극적인 목표는 국어사용 능력의 신장이며, 초등학교 국어교육의 목표는 국어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는 것이다. 따라서 학생들이 국어사용에 대한 규범의식을 인지하고 스스로 한글을 바르게 사용하려는 태도를 가지며, 국어사용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국어 어문 규범 중 한글 맞춤법에 초점을 둔 논의를 진행한다. 초등학교 5학년은 저학년 시기에 초기 문자 학습을 하였으나 규정에 맞는 문자사용이 완전하지 못한 상태이다. 이제 비로소 규정을 학습하고 규정에 맞는 문자 생활을 시작하는 시기이며, 또한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의 중심부에 있는 시기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올바른 맞춤법 지도의 적기라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자는 현재 5학년 학생들의 한글 맞춤법에 대한 인식 및 사용 실태를 조사하여 분석하고 그에 따른 지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5학년은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따르고 있는데 2009 개정 교육과정은 이전 교육과정에 비하여 맞춤법 교육이 강화되었다. 5~6학년군에서는 문법 영역에서 맞춤법을 다루고 있다. 혼동되는 낱말을 중심으로 일상생활 속에서 자주 틀리는 낱말을 바르게 발음하고 쓰는 활동을 제시하고 있다. 이것은 맞춤법의 원칙을 알고, 일상생활에서 낱말을 바르게 발음하고 표기하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1장에서는 국어 어문 규범과 한글 맞춤법에 대한 개념 및 원리를 간단히 정리하였고, 2장에서는 초등학교에서 현재 한글 맞춤법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으며, 3장에서는 한글 맞춤법에 대한 인식과 사용 실태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기술하였다. 이를 토대로, 4장에서는 한글 맞춤법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맞춤법 지도 방안의 기존 연구는 국어지식 영역에 이론적인 학습 모형을 적용한 원론적인 교수․학습 방법이나, 프로그램 제시로만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초등학생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어렵지 않은 활동 위주의 현실적인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초등학교 시기는 다른 학령기에 비해 발달단계가 매우 민감한 시기이므로 이러한 민감성에 따른 신체, 사고, 심리, 언어, 정서 등의 특성을 고려한 수업 방안이 필요하다. 학습은 학습자가 주어진 활동에 흥미를 느낄 때 가장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성향은 학습의 초기 단계에 있는 초등학생들에게서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글 맞춤법 교육도 단순히 원리를 설명하는데 그치지 않고, 다양한 교수법을 통해서 흥미 있게 접근해야 한다. 국어 어문 규범을 지도함에 있어 설명식 수업은 불가피하나 학습자가 초등학생임을 고려하여 본 연구자는 설명은 최소로 하고 학생들이 활동 위주의 수업을 하면서 스스로 적용하고 익혀나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 방안으로 속담을 통한 맞춤법 지도, 노래를 통한 맞춤법 지도, 동화를 통한 맞춤법 지도, 사전을 활용한 맞춤법 지도, 광고를 통한 맞춤법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국어 생활을 함에 있어 학생들이 스스로 맞춤법을 바르게 지키고 사용할 수 있도록 맞춤법 준수의 필요성에 대한 지도 방안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교수‧학습 활동의 중심인 학생들이 흥미로 인해 생긴 학습 동기가 더 높은 학습 욕구로 이어지도록 촉구하는 데 1차적 의미가 있다. 다음은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활동 위주의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확인되지 못한 한계를 갖는다. 앞으로 이와 뜻을 같이하는 교육 방안들이 속속 나타나고 이어지길 바라며, 실제 교육 현장에서 이용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