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점토 활용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김수연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연구는 점토 활용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B시 A초등학교 4~6학년 중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여 부모동의서를 제출한 아동 20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10명씩 배치하였다. 프로그램은 2018년 7월 26일부터 2018년 8월 31일까지 주 2회, 회기 당 70분씩, 총 12회기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은 3단계로 구성하여 초기에는 친밀감 형성 및 흥미유발, 중기에는 감정해소와 정서안정 및 성공경험, 후기에는 성취감 형성을 목표로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김아영, 차정은(1996)이 개발한 개인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을 김아영(1997)이 수정한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김수진(2003)이 초등학생에게 적합하게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먼저 SPSS 20.0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확인하기 위해 자기효능감 사전점수로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t-test)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보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점토 활용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전체 자기효능감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점토 활용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기효능감 하위영역별 중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점토 활용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기효능감 증진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about the effect of clay group art therapy on children`s self-efficac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and submitted parental consent form among the 4th~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B city. 10 students were assigned to eac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program is conducted from July 26, 2018 to August 31, 2018, twice a week and 70 minutes per session, for a total of 12 sessions. The program is consisted of three steps aiming at forming intimacy and accusing interest in the beginning, relieving emotions, emotional stability and success experience in the middle term and accomplishment of achievement in the latter term. We used the general self-efficacy of individuals developed by Kim A-young and Cha Jeong Eun (1996) as a research tool and 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 modified by Kim A-Young (1997) which is suitable for an elementary student Kim Su Jin(2003). We first confirmed the homogeneity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rough SPSS 20.0 for data processing and conducted independent t-test in order to examine about a pre-score of self-efficacy and conducted repeated measures analysi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lay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hildren's overall self-efficacy. Second, clay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in improving confidence, self-regulation efficacy and preference for task difficulty among sub-sectors of the children's self-efficacy. The results showed that clay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in enhancing the children's self-efficacy.

      • J.S Bach, C. Reinecke, F. Poulenc의 작품연구 : 졸업연주곡을 중심으로

        김수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J.Sebastian Bach, C.Reinecke, F.Poulenc의 작품연구 -졸업연주곡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음악학과 김수연 음악을 전공하는 학생들은 좋은 연주자가 되기 위해서 노력한다. 사전적 의미로 연주자란 악곡을 다루어 곡을 표현하는 사람을 뜻한다. 악곡을 다루어 곡을 표현하는데 있어서는 작곡가가 의도한 작품의 올바른 해석이 필요하다. 과거의 음악을 재현하는데 있어서 정확한 해석을 먼저 해야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낭만시대의 작곡가 칼 라이네케<Carl Reinecke 1824~1910>의 Flute 소나타 “Undine"의 경우에는 푸케<Fridrich de la Motte Fouque 1777~1843>의 소설 “Undine" 를 바탕으로 작곡하였다.단면적인 음악이 아니라 깊이 있는 음악을 연주하기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라고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필자의 졸업연주 프로그램인 요한 세바스찬 바흐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의 <Sonata fur flute und piano E Dur-BWV 1035>, 칼 라이네케 <Carl Reinecke 1824~1910>의 <Sonata for flute and piano "Undine" Op.167>, 프란시스 쁠랑 <Francis Poulenc 1899~1963>의 <Sonata pour flute et piano>을 중심으로 각 작품의 작곡가와 곡의 전반적인 형식에 대해서 살펴 볼 것이다.

      • 유아의 창의성과 어머니의 양육관련 변인간의 구조 분석

        김수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4-5세 유아의 발달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지지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행동특성을 설명하는 직·간접적 관계 경로에 관한 가설적 모형을 구조방정식모델을 사용하여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신도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4-5세 유아 125명(남아 53명, 여아 72명)과 그들의 어머니 125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Van Hook와 Tegano(2002)의 다차원 자극 유창성 검사(Multidimensional Stimulus Fluency Measure)를 번안, 수정하여 창의적 사고 검사로 사용하였다. 이영·김수연·신혜원(2002)의 유아용 창의적 행동특성 검사(The Rating Scale for Creative Characteristics of Preschoolers)로 유아의 창의적 행동특성을 측정하였다. 유아의 발달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신념은 Martin과 Johnson(1992)의 발달에 대한 신념 척도(Beliefs about Development Scale)와 Okagaki와 Sternberg(1993)의 자녀 양육 신념 척도(Child-Rearing Beliefs Scales) 중 자율성 하위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어머니의 지지적 양육행동은 가정에서 유아-어머니간 창의적 문제해결 과제의 수행을 녹화한 후, 선행연구(Renshaw & Gardner, 1990)를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제작한 어머니의 지지적 양육행동 관찰척도로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각 측정변인들에 대해 기술적 통계치와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각 변인들간의 관계구조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검증하고자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가 유아의 발달에 대해 인지발달론적 관점의 신념과 유아의 자율성 발달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우, 어머니는 유아와의 창의적 문제해결 과제 수행에서 유아에게 지지적 양육행동을 보이는 경향이 높았으며, 이들의 유아는 창의적 사고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가 인지발달론적 관점의 신념을 중시하고 유아의 자율성 발달을 중시할수록, 유아와의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과제 수행에서 자녀에게 지지적 양육행동을 보이는 경향이 높았으며, 그들의 유아는 창의적 행동특성을 많이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유아의 창의성과 어머니의 양육관련 변인간의 관계에 대한 관계 구조 모형을 검증한 결과, 유아의 발달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신념은 유아의 창의적 행동특성의 발달을 직접적으로 설명해주는 동시에, 어머니의 지지적 양육행동을 통해 유아의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행동특성을 간접적으로 설명해주었다. 또한 유아의 발달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지지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행동특성을 설명해주는 직·간접적인 관계 경로는 유아의 창의적 사고보다 유아의 창의적 행동특성을 더 많이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ternal beliefs about child-development and mother's supportive child-rearing behaviors on children's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characteristics by the SEM model. The subjects were 125 pairs of 4-5 year 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and 23 preschool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Korea. Multidimensional Stimulus Fluency Measure(Van Hook & Tegano, 2002) was revised and used to measure children's creative thinking. For children's creative characteristics, The Rating Scale for Creative Characteristics of Preschoolers(Lee, Kim, & Shin, 2002) was used. For maternal beliefs about child-development, Beliefs about Development Scale(Martin & Johnson, 1992) and Child-Rearing Beliefs Scales(Okagaki & Sternberg, 1993) were used. For mother's supportive child-rearing behaviors, Child Rearing Behavior Observation Scale(Renshaw & Gardner, 1990) was revised and us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by using SPSS 10.0 and AMOS 4.0.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ternal beliefs about child-development didn't directly affect children's creative thinking but indirectly affected through mother's supportive child-rearing behaviors. The more mothers believed in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ist perspectives about development and children's autonomous development, the more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s during child-mother task solving situations were supportive and the higher children's creative thinking score were. Second, the maternal beliefs about child-development directly affected the children's creative characteristics and indirectly affected through maternal supportive behaviors. The more mothers believed in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ist perspectives about development and children's autonomous development, the more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s during child-mother task solving situations were supportive and the higher children's characteristics score were. In path model, mother's supportive child-rearing behaviors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beliefs about child-development and children's creative thinking or creativ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maternal beliefs about child-development and mother's supportive child-rearing behaviors explained 6% of children's creative thinking and 56% of children's creative characteristics.

      • 지적측량성과물 서비스 품질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수연 청주대학교 사회복지·공공정책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측량 기술의 발달, 서비스 패러다임의 변화와 함께 아직 지적측량 서비스 품질의 발달은 그에 비해 뒤쳐지고 있다. 또한 코로나 팬데믹을 겪으면서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기 때문에 지적측량서비스 또한 이에 발맞춰 수요에 대한 공급이 더욱더 필요하게 된 상황이다. 또한, 복합적으로 형성되는 고객인지의 변화에 따른 고객만족도는 지적측량성과물의 품질이 상대적으로 저하됨에 따라 국민들에게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에 따른 품질을 관리하는 업무 체계의 확립이 상대적으로 낮아 보완 및 개선의 필요성이 크게 요구되고 있다. 그렇다면 지적측량성과물이란 무엇이며, 그 구성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지금까지의 지적측량성과 서비스의 변화는 어떻게 되며, 그 한계는 무엇인지, 앞으로의 지적측량성과 서비스 품질의 개선 방향은 무엇이 있는지 등의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측량성과 서비스 품질의 검토를 통한 한계점을 도출하고, 지적측량성과 서비스 품질의 개선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내용적 범위는 일반 민원인들이 가장 많이 접하는 경계복원측량, 지적현황측량, 분할측량, 등록전환측량에 관한 지적측량성과 서비스로 한정한다. 또한, 지적측량 서비스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일반측량과 검토하고자 한다. 시간적 범위는 1995년부터 현시점까지로 한정하고자 한다. 즉 지적측량 성과도를 제공했던 시점부터 검토하고자 함이다. 그리고 공간적 범위는 충청북도 청주시의 4개 구 중에 저자가 현재 근무하여 담당하고 있는 상당구와 청원구로 한정하고자 한다. 지적측량성과물의 품질의 현황과 한계는 지적측량과 일반측량의 성과물의 형식적 서비스, 내용적 서비스, 교부 서비스로 구분하여 현 상황 및 한계를 검토하였고 그에 대한 해결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형식적 서비스 품질의 개선은 ① 지적측량성과물 서식의 재설계 ② 지적측량 성과의 디지털화 ③ 정보의 확대 등록을 위한 형식의 공란 확보 등을 제시하였다. 둘째, 지적측량성과물의 내용적 서비스 품질의 개선은 ① 측량 대상 필지의 특이사항 작성 ② 지적측량의 절차 및 처리 과정에 관한 내용 추가 ③ 3D 360도 동영상 첨부 등을 제시하였다. 셋째, 지적측량성과물의 교부 서비스 품질의 개선 방안은 ① 통합위임장의 도입 및 법제화 ② QR 코드를 활용한 성과물 교부 ③ 한국국토정보공사-소관청 성과처리 연계 시스템 개발 등을 개선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주제어 : 지적측량성과물, 서비스 품질, 고객만족, 형식적 서비스, 내용적 서비스, 교부 서비스 The rapid advancement of surveying technology in recent times, coupled with the evolving complexity of customer cognition, has seen a decline in the quality of cadastral surveying results. Therefore, there is a significant demand for providing high-quality services to citizens while establishing a relatively lower operational framework for quality management. Thus, this study aims to propose methods for improving the service quality of cadastral surveying results. The summarized proces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ly, the theoretical framework and approach encompassed the examination of the concept of cadastral surveying results, the composition and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as well as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the design of an approach strategy. Cadastral surveying results were defined as “the final result issued to applicants through the cadastral surveying system after a series of location surveying by cadastral surveyors” and reviewed based on the purpose of cadastral surveying. Additionally, service quality was defined as "customer satisfaction with specific service attributes," summarized into five dimensions: tangibles, reliability, responsiveness, assurance, and empathy. The evolution in perceiving service quality changed from customer satisfaction to delight to loyalty. The framework for improving the service quality of cadastral surveying results was classified into formal services, substantive services, and delivery methods and the components were set up as accuracy, promptness, formality, conveyance, and empathy. Secondly, the actual conditions and limitations of the quality of cadastral surveying results were examined by distinguishing between formal services, substantive services, and delivery services in cadastral and general surveying. Specifically, as for the formal services, problems such as ① the somewhat inadequate formal appearance of cadastral surveying results, ② potential loss or damage and ③ limitations in providing diverse information were identified. and as for the substantive services, problems such as ① limitations included the absence of details on peculiar matters in measurements, ② lack of information on subsequent procedures and processing of cadastral surveys and ③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status of photographs of measured point locations. and as for the delivery services, problems such as ① the necessity for innovative changes in the delivery service of cadastral surveying results, ② the integration of delegation until the reception of cadastral surveying results and ③ inevitable visits to reception counters due to applications for land movement. Thirdly, effective quality management directions for cadastral surveying services were proposed: improvement in formal service quality, improvement in substantive service quality, and enhancement in delivery service quality. Improvements in formal service quality included suggestions such as ① redesigning the format of cadastral surveying results, ② digitizing cadastral surveying results and ③expanding information fields for registration. and improvements in substantive service quality included suggestions such as ① detailing peculiarities of surveyed plots, ② adding content about cadastral surveying procedures and processing and ③ adding 3D 360-degree videos. and Improvements in delivery service quality included suggestions such as ① the introduction and legislation of comprehensive delegation documents, ② utilization of QR codes for providing surveying results and ③ the development of a system for coordinating between the Korea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x Corporation and relevant agencies.

      • 배드뱅크를 통한 금융기관의 부실채권 유동화와 관련한 과세문제 연구

        김수연 서울시립대학교 세무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1998년 「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률」제정 이후, 국내 금융기관들은 부실채권을 장부에서 정리(Book-off)할 수 있고 당해 부실채권에서 발생하는 초과수익도 확보할 수 있는 유동화전문회사를 통한 부실채권 정리 방법을 널리 이용하여 왔다. 이는 금융기관이 부실채권 정리시 「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률」에 따른 완전 매각(True Sale) 요건을 만족할 경우, 국내 기업회계기준에서도 자산의 제거(Book-off) 요건을 갖춘 것으로 인정해주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그러나 2011년부터 은행 등 국내 금융기관에 K-IFRS가 전면 도입됨에 따라 기존의 부실채권 유동화 방식은 이러한 장점을 더 이상 유지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따라 금융기관들은 기존 유동화방식의 장점을 최대한으로 유지하면서 K-IFRS 상 자산 제거 요건을 만족하는 자산유동화기구를 만들었는데, 2009년 10월 1일 국내 6개 은행 공동 출자로 설립된 연합자산관리 주식회사(이하 “배드뱅크”)가 바로 그것이다. 이전 부실채권 유동화 방식과 배드뱅크를 통한 부실채권 유동화 방식의 가장 큰 차이점은 기존 유동화 방식에서는 부실채권을 보유한 금융기관이 직접 SPC의 후순위채권을 인수하는 반면, 배드뱅크를 통한 유동화 방식에서는 금융기관이 아닌 배드뱅크가 SPC의 후순위채권을 인수한다는 점이다. 이 경우 금융기관은 단지 배드뱅크에 부실채권 매입자금을 출자 또는 대출해주는 역할만을 수행하면 되는 것이다. 배드뱅크를 통한 유동화 방식은 기존 부실채권 유동화 방식의 장점을 대부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서, 향후 국내 금융기관의 주된 부실채권 정리 수단으로 급속히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세무적으로는 상법상 주식회사의 형태를 갖는 배드뱅크가 거래 구조상에 새롭게 추가됨에 따라 배당수입의 이중과세 문제가 초래되며, 이로 인한 세부담 증가는 배드뱅크를 통한 부실채권 정리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례 분석을 통해 부실채권 정리에 배드뱅크를 통한 유동화 방식을 활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조세부담 증가액을 산출해 보았다. 그 결과 배드뱅크 자체로는 매년 276억원, 부실채권시장 전체로는 매년 362억원의 높은 세부담 증가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이 자산유동화구조 재설계 방안과 입법적 지원을 통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번째, 자산유동화구조 재설계를 통한 해결책은 출자은행이 배드뱅크에 대한 투자시 대출금 비중과 대출금리를 높여 이중과세 문제가 발생하는 배당수입의 비중을 줄이고 반대로 이중과세가 발생하지 않는 이자수입의 비중을 높이는 것이다. 이 방법의 경우 세부담 증가액을 일정 부분 감소시킬 수는 있지만, 여전히 청산 시 발생하는 배당수입으로 인해 이중과세 문제를 완전히 해소하지는 못한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두번째, 입법적 지원을 통한 해결책은 법인세법 또는 조세특례제한법의 개정을 통해 배드뱅크로부터의 수입배당금을 출자은행이 전액 익금불산입하도록 규정하는 방안이다. 효과성 측면에서 이러한 방식이 자산유동화구조를 재설계하는 것보다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뿐만 아니라, 이론적으로도 동일소득에 대한 1회 과세원칙이 합당하며, 선진국의 기업과세에서도 법인간 배당소득에 대한 이중과세 방지는 이미 확고히 정립된 원칙임을 감안할 때 입법적 지원을 통한 해소의 필요성이 높다고 본다. 다만, 법인세법 개정 처리는 세입 여건 등 다양한 정책 변수들로 인해 오랜 시간이 소요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장기적 과제로 추진하고, 단기적으로는 조특법 개정을 통한 배드뱅크의 이중과세 해소가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The securitization of Non-Performing Loans(NPLs) through Special Purpose Company(SPC) has been widely used to dispose financial institutions’ NPLs after the establishment of “Asset-backed Securitization Act” in 1998. If financial institutions meet the requirement of “true sale” under “Asset-backed Securitization Act”, the Korean 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K-GAAP) allows that they also meet the requirement of getting the NPLs off their books. Therefore, financial institutions have actively used securitization as the means for the disposal of NPLs, for they could not only get the loans off their books, but also secure the residential profit of NPLs. However, this kind of securitization is no longer possible since the adoption of the Korean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K-IFRS) became mandatory for local financial institutions like banks starting from 2011. To deal with this radical change, six local banks established the Bad bank intentionally as an alternative on October 1, 2009. They tried to meet the K-IFRS requirement for derecognition of NPLs and also maintain the advantages of the previous securitization means as much as possible. The main difference between the previous and new securitization means is the underwriter of the subordinated bond of SPCs. Before the adoption of K-IFRS, it was the financial institution that underwrote the subordinated bonds of SPCs. However, Bad bank is now the one that underwrites the subordinated bonds, and the financial institutions selling the NPLs just play the role of providing the fund for Bad bank to acquire the NPLs. The securitization using Bad bank would be mainly used for the disposal of financial institutions’ NPLs in the near future to keep the advantages of the previous securitization means. In terms of taxation, however, the matter of double taxation on the dividend income of the corporate shareholder has newly occurred, which is likely to make Band bank less effective for disposing of NPLs. This paper figures out the additional tax burden caused by disposal of NPLs through Bad bank. It is expected that annual additional tax burden for Bad bank and total NPL market is 27.6 billion won and 36.2 billion won respectively. This paper also provides two solutions to solve the problems of tax increases; redesigning liquidation structure and legislative support. First, the redesigning of liquidation structure is that Bad bank increases the portion of loan compared to capital investment when it raises fund to acquire NPLs and hikes the interest rate of the loans from share-holding banks because interest income does not generate the matter of double taxation unlike dividend income. Although the additional tax burden is lessened to some extent with this solution, there is still the limitation to resolve the problem of double taxation completely due to the large amounts of liquidating dividend. Second, double taxation issue also can be solved by the legislative support which excludes the dividend incomes of the share-holding banks from taxable revenue through the amendment of “Corporate Tax Act” or “Restriction of Special Taxation Act”. From the viewpoint of effectiveness, this solution is more desirable than the previous one. Moreover, this legislative support is highly needed in that the prevention of the double taxation on the dividend income of the corporate shareholder among most of developed countries is already the firmly established principle. In addition, one-time taxation is theoretically better than the double taxation on the same income. The amendment process of “Corporate Tax Act”, however, will probably take long time considering government’s policy variables such as the yield of tax. Therefore, in the short run, the amendment of “Restriction of Special Taxation Act” is desirable while working on the amendment of “Corporate Tax Act” in the long term.

      • 영어 동화 제시 방법에 따른 유아 영어 학습자의 어휘·이해·회상 능력의 차이

        김수연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Seeing is believing” is an idiom derived from ancient times. According to this idiom, we can realize that visual sense has been a significantly important sense for human since these times. This is the reason why people have used visuals to help readers or listeners understand or use them as an aid to explain something to others. In particular, visuals are frequently used for young learners' first language acquisition or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n young and adult learners because visuals are salient features that stimulate visual senses in people and enable the learners to grasp written language much more easily and more accurately. Nowadays, English education field in Korea shows high interest in English education for young learners due to the Critical Period Hypothesis, which is a theory tha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tarting English education at a younger age for successful English learning. For this reason, various visual materials tends to adopt for stimulating young learners' visual senses and their interests. Among the various visual materials used in the English education field, one of the most typical visual materials used in English classes is English storybooks. Because the use of English storybooks engages young learners of English in a natural way and evokes their curiosity by introducing English as a natural part of their play rather than as an academic subject for studying. Furthermore, introducing the young learners of English to English storybooks which are suitable for their developmental standards, is one of the most natural ways to expose them to English. English storybooks can become a useful visual tool for improving their vocabulary, comprehension and recall ability. However, depending on teaching methods of English storybooks(presentation methods of English storybooks), young English learners' English learning can be unpredictable. Hence in this thesis, three popular presentation methods of English storybooks are explored which are frequently used with young learners of English. These presentation methods include picture, flannel board, and role plays. Thus, this research aims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ree different presentation methods of English storybooks on young English learners' vocabulary, comprehension, and recall performance, and how they are influenced by their age. Twenty-four, 4-year-old English learners and twenty-one, 5-year-old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groups according to the different presentation methods of English storybooks. Prior to conducting the experiment, general English proficiency and pre vocabulary tests were administered to control for the group differences. Four experimental classes were held for two weeks using each of the presentation methods of English storybooks. The English storybook used in these experimental classes were identical for all three different group conditions. After the completion of these experimental classes, young English learners were given a post test to examine their vocabulary and a comprehension test to evaluate their understanding of the English storybook. Young English learners were tested for their comprehension of the storybook two days after the experimental classes in order to evaluate their recall ability. Results showed that all three presentation methods of English storybooks were helpful in improving young English learners' vocabulary. However, when comparing the results according to age groups (4-year-old group versus 5-year-old group), the vocabulary scores for 5-year-old learners who were introduced to picture or flannel board method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compared to those of 4-year-old learners. The results of young English learners' comprehension and recall tests have also showed that flannel board method was an effective tool for enhancing the learners' comprehension and recall ability compared to two other methods. However, unlike the results obtained from English storybook vocabulary test, no age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for comprehension and recall tests. Therefore, this research revealed that for enhancing the young English learners' vocabulary, comprehension, and recall ability, flannel board method is a useful tool that needs to be applied in English education classes for effective English learning. In conclusion, flannel board method is much more recommended for young learners' English education.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shown in this research, providing flannel board materials as supplements to English storybooks by publishers or R&D companies could be an effective English learning facilitation for young learners of English. “백문불여일견”이라는 고사성어가 있듯이 시각은 예부터 사람에게 중요한 감각이기 때문에 사람들은 무언가를 설명할 때 독자나 청자의 이해를 돕고자 다양한 시각 자료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시각 자료는 시각을 자극해 쉽고 정확히 문자 언어를 파악하게 하는 힘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유아의 모국어 교육이나 유아 및 성인의 외국어 교육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유아 영어 교육 현장에서도 성공적인 영어 학습을 위해서는 이른 시기에 시작해야 좋다는 결정적 시기 가설 때문에 조기 영어 교육의 관심이 높은 편이다. 그리하여 어릴 때부터 영어를 학습이 아닌 놀이로 인식시키면서 유아의 시각과 호기심을 자극하여 흥미를 끌기 위하여 다양한 시각 자료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유아 영어 학습자의 눈높이에 맞는 영어 동화책은 자연스럽게 유아를 영어에 노출시키는 지름길이며 이를 통해 영어 어휘, 이해, 회상 능력을 고루 향상시킬 수 있는 일석삼조의 시각 자료라는 이유로 영어 동화책이 가장 대표적인 시각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영어 동화책의 교수 방법(영어 동화 제시 방법)에 따라 유아의 영어 학습의 효과는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유아 영어 교육 현장에서 성공적인 수업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세 가지 동화 제시 방법(그림 동화, 융판 동화, 역할극 동화 방법)이 유아 영어 학습자(4세 유아 24명, 5세 유아 21명)의 영어 학습(영어 어휘, 이해, 회상 능력)에 미치는 효과와 연령별로 미치는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실험에 앞서 유아 영어 학습자의 전반적인 영어 능력 검사와 사전 영어 어휘력 검사를 실시하여 각 집단 간의 동질성을 확보하였다. 동일한 영어 동화책을 각 동화 제시 방법에 따라 2주 동안 4번의 실험 수업을 한 후 유아 영어 학습자들의 사후 영어 어휘력 검사와 영어 동화 이해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틀 후 유아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동화에 대한 기억의 정도를 검사하기 위하여 동일한 영어 동화 이해력 검사를 영어 동화 회상력 검사로 다시 한 번 더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세 가지 동화 제시 방법 모두 유아 영어 학습자의 영어 어휘력 점수 향상에 도움이 되었지만 연령별로 살펴보면 그림 동화와 융판 동화 방법으로 학습한 5세 유아의 영어 어휘력 점수가 4세 유아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유아 영어 학습자의 영어 동화 이해력 및 회상력 검사 결과는 융판 동화 방법을 사용한 유아 영어 학습자가 영어 동화책의 내용에 대하여 가장 높은 이해력과 회상력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연령별 차이를 보이던 영어 어휘력 검사와 달리 4세와 5세 유아 간의 영어 동화 이해력 및 회상력의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토대로 유아 영어 학습자의 영어 어휘, 이해, 회상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융판 동화 방법을 수업에 적용해야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유아 교육 현장에는 융판 동화 방법을 더욱 권장하고, 출판사나 교재의 연구 개발(research and development; R&D) 회사에서는 교사들을 위해 융판 동화 교구를 부록처럼 삽입하여 책과 함께 제공한다면 유아 영어 학습자에게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 初等教育における成績評価制度の日韓比較硏究 : Comparative Research on Grading System in Elementary Education in Japan and Korea : 김수연

        김수연 法政大学 大学院 2010 해외석사

        RANK : 247647

        Facing the 21st century’s informational society era, when economic, political and social structures are undergoing major changes, there can be observed various strategies to reform education, as every country tries to review its educational system from the point of view of becoming more successful in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and to flexibly respond to the changes of our age. Especially the theory of equality and competition has become an important task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many countries and has been attracting a lot of attention. The problems of “equality” and “competition” have primarily been important social issues brought about by the penetration of the ability theory based on the market theory into economy and society. The modern society on one hand based on the principles of equality, experiences on the other hand competition in numerous areas, such as economy and life, as well as gradually increasing social and economic differences.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concept of equality is after all the concept of equal opportunities, not the concept of equal outcomes. The education is not an exception either. In recent years more emphasis is placed on an equal approach in the field of school education which doesn’t create differences and criteria of good or bad according to the pupils’ individual abilities and grades. Furthermore, the educational concept claiming that “learning is win or loss” is pointed out as out-of-date and a preferable approach is to not allow competition to become a normal occurrence. However, even if pupils, while being treated equally within their schools, can spend a peaceful time, as soon as they get out into the world outside the school, they will most likely be confronted with competition and differences in their everyday life. How do Japan and Korea, whose educational system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are said to be similar, respond to the reality of social competition and differences? Furthermore, what role does school education play in the societies of both countries and how does it shape pupils’ set of values? Aren’t the differences in the set of values and national character between Japan and Korea caused by the different educational patterns in both countries exercised from an early age? Based on the above, I chose “Equality and Competition in the School Education” as a topic for my thesis in a broad sense, in which I focus on the grading system, analyze it from the point of view of comparing differences and specific characteristics of grading styles and evaluation approaches in the school education of both countries, and examine how the grading methods change together with social changes and in the flow of time. Also, I explain the social influence it has in both countries, especially on the formation of children’s set of values. For more objective examination of how the grading system of both countries is actually implemented, I decided to use official and legal documents related to the grading systems established nationwide in both countries. In case of Japan, I take a close look at the record of the overall evaluation of each student called the “Cumulative guidance record” (Shidoyoroku) and at the basic rules for grading and evaluation which can be found in the “Course of Study” (Gakushu shido yoryo) – a document that sets standards for creating the above record. Regarding Korea, I take the “Document of school life records” (which corresponds to the Japanese “Cumulative guidance record”) and the “Procedures for usage of the Document of school life records” as objects of comparative research and analyze them. I set out the following four research problems and clarify them. Firstly, by studying the specific ranking and legal system of the Japanese “Cumulative guidance record” and the Korean “Document of school life records” I examine what kind of forms and mechanisms determine the grading systems in both countries. Secondly, I examine the principles of grading and evaluation in the present Japanese “Course of Study” and “Cumulative guidance record” and the Korean “Document of school life records,” take up several items and make a comparative study through which I clarify specific features of each. Thirdly, I take a look at how the grading system in school education of both countries has changed in the flow of historical and social transformations after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and by pursuing this restoration I reflect on the specific features and background that can be seen emerging from thi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 consider hints given in the process of comparing the Japanese “Cumulative guidance record” and the Korean “Document of school life records”. This time I focus on elementary education which is the most important period throughout the universal education system in regard to the formation of children’s set of values. Until now most of the research in the field of grading and evaluation in education has been written from a somehow limited point of view regarding educational ideas or policy, but the literature is still deficient in analyzing the theory of competition in education and grading system from the point of view of international comparison, and in further relating the grading styles with the structure of the society. Therefore, we might say that this comparative research of the grading systems of Japan and Korea has a significant importance in leading to new possibilities of understanding different societies. 21世紀の知識基盤社会を迎え、政治•経済•社会構造が大きく変化するなか、各国ごとに国際競争力向上という新たな視点から教育を見直し、また時代の変化に弾力的に対応するために、教育改革に向けた多様な取り組みが見られる。とりわけ、教育における平等と競争原理は多くの国において教育問題の重要な課題として位置付けられており、強い関心が向けられている。そもそも、「平等」と「競争」という問題は、市場原理に基づく能力主義が経済や社会に普遍化する中で、それに伴って生じた社会的問題である。現代社会は、平等原理を踏まえてはいるが、経済や生活など、さまざまな所で競争が生じており、経済∙社会における格差は一層拡大する一方である。それは、平等という概念があくまでも機会の平等であって、結果の平等ではないからである。 教育もその例外ではない。近年の学校教育においては、生徒個人の能力や成績に応じて優劣∙差異を置かず、平等に扱うことが強調されている。また、「勉強は勝ち負け」という教育観は時代遅れの取り組みであると指摘され、競争を常態化させないことが望ましいとされている。 だが、学校の内部では生徒たちは平等な取り扱いのなかで、穏やかに過せるとしても、学校外の世界に出るや否や、人生を通じて競争と格差が待ち受けているかもしれない。 社会における競争と格差という現実に対して、教育制度•教育的風土ともに近いと言われている日本と韓国は、どのように対応しているのだろうか。また、日韓両国の社会において、学校教育はどのような役割を果たし、子供にどのような価値観を与えているのだろうか。日本と韓国の国民性や価値観の差異は、幼少の頃からの教育によるものではないだろうか。 このようなことを踏まえて大枠として「学校教育における平等と競争」をテーマとし、本論では成績評価制度に焦点を合わせて、日韓両国の学校教育における成績の付け方および評価観の相違や特徴を比較の観点から分析し、成績評価の方法が社会的∙時代的流れとともにどのように移り変わったのかを考察する。またそれらが両国の社会、とりわけ、子供の価値観形成に与えた影響を明らかにする。 なお、両国の成績評価制度が実際にどのように実施されているのかをより客観的に考察するために、各国家レベルで定めた成績評価制度に関する公的∙法的文書を用いることにする。日本の場合は、生徒個々人に対する総合的な評価の記録である「指導要録」およびその作成規準を指示する『学習指導要領』における成績評価の基本原則を考察する。一方韓国においては、「学校生活記録簿」(日本の「指導要録」に該当する)および「学校生活記録簿の取り扱い要領」を比較の対象とし、分析を行なう。また研究課題として次の四つを設定し、明らかにする。 第一は、日本の「指導要録」と韓国の「学校生活記録簿」の法制上における位置付けを検討した上で、日本の「指導要録」と韓国の「学校生活記録簿」がいかなる形式や仕組みを通して成績評価が行なわれるかを考察する。 第二は、現在の日本の『学習指導要録』および「指導要録」、そして韓国の「学校生活記録簿」における成績評価の原則を考察し、いくつの項目を取り上げて比較考察を行ない、それぞれの特徴を明確にする。 第三は、第二次世界大戦終了後、両国の学校教育における成績評価制度が、歴史的∙社会的な流れとともにどのように移り変わってきたのか、その変遷を追いながらそこから読み取ることができる特徴および背景について考えていくことにする。 最後に分析の結果に基づき、日本の「指導要録」と韓国の「学校生活記録簿」の比較の例が示唆するものを考察する。その際、公教育の仕組みのなかで、子供の価値観形成に最も重要な時期である初等教育を考察の対象とする。 これまで教育評価および成績評価に関わる研究のほとんどは、教育思想あるいは教育政策という限られた観点から論じられたものが多く、教育における競争原理と成績評価制度を国際比較の視点から分析し、さらに成績の付け方を社会の在り方と関連させて論じたものは、まだ見当たらない。 したがって、本研究における日韓両国の成績評価制度の比較は、異なる社会を理解する新たな可能性につながる大きな意味を持っていると言える。

      • 홍조류 모로우붉은실로부터 주요 어류 병원성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물질의 도출 및 in vivo 활성연구

        김수연 全南大學校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현재 우리나라 양식 산업은 연안의 오염과 집약적 양식기술의 발달로 인한 고밀도 사육으로 질병 발생에 의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질병의 증가는 양식어가에 직접적인 경제적 피해와 수산용 약제의 사용증가에 따른 수산물의 식품으로서의 안전성에도 위협이 되고 있다. 양식생물의 질병을 유발하는 원인은 어류병원성 세균, 기생충, 바이러스, 진균 및 환경적, 영양적 요인을 들 수 있으며, 그 중 바이러스성 질병은 발생시 폐사율이 높고 뚜렷한 치료대책이 없어 그 피해가 심각한 상황이다. 이러한 바이러스성 질병의 예방목적으로 수종의 백신이 개발되었으나 경제적인 측면에서 일반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로부터 어류 병원성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찾고자하였으며 본 연구실의 선행연구에서 약 20여종의 해조류에 대해 항바이러스활성을 검색한 결과 홍조류의 모로우붉은실의 80% MeOH 추출물이 IHNV와 IPNV에 대해서 높은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모로우붉은실의 80% MeOH 추출물로부터 얻은 Total extract, H2O, n-Hexane, 90% MeOH 분획물 중 비교적 높은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낸 분획물은 90% MeOH 와 n-Hexane 분획물 이였다. 두 분획물은 Total extract보다 2배 이상 낮은 EC50값을 나타냈으며, 특히 n-Hexane 분획물보다 CC50가 높은 90% MeOH 분획물이 IHNV, IPNV와 VHSV에 대해 각각 253.4, 211.2, 313.8의 높은 SI값을 나타내어 이 90% MeOH 분획물로부터 여러 분리기법을 이용하여 2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화합물은 각각 화합물 (1)3-bromo-4,5-dihydroxybenzylmethylether, 화합물 (2) 3-bromo-4,5-dihydroxybenzaldehyde으로 동정되었다. 화합물 1의 IHNV에 대한 화합물 2보다 2배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direct virucidal assay에서 보다 높은 SI값(48.7)을 나타내었다. IPNV에 대해서는 화합물 1이 화합물 2보다 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어 IHNV와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pre-treatment assay에서는 가장 높은 48.7의 SI값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VHSV에 대해서는 화합물 2가 direct virucidal assay에서 63.5의 SI값을 나타내 전체에서 가장 높은 항-VHSV 활성을 나타내었다. In vitro상에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낸 90% MeOH 분획물의 넙치의 VHSV 감염에 대한 예방 및 치료효과를 알아보고자 한 실험에서는 3, 10, 30, 100 ㎎/kg/day 로 3주 및 5주간 경구투여 후 공격감염을 실시하여 누적폐사율을 구하였다. 3주간 경구투여 후 VHSV를 감염시킨 농도구 중 30 ㎎/kg/day에서 50%의 누적폐사율을 보이며 유의성 있는 항바이러스활성을 보여주었다. 5주간 경구투여 후 VHSV를 감염시킨 농도구 중 30 ㎎/kg/day에서 20%의 누적폐사율을 보였다 . 이상의 결과에서, 모로우붉은실의 90% MeOH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들은 수산양식생물에 바이러스성 질병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의 원인 바이러스인 VHSV에 대하여 높은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모로우붉은실의 90% MeOH 분획물이 VHSV의 예방 및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Diseases of aquatic animals are increasing to coastal pollution and high density culture. The factors causing diseases of aquatic animals there are fish pathogenic bacteria, parasite, virus, fungus. The viral diseases of aquatic animals cause the high death and there are not medicines treatment . Therefore, damage of the viral diseases are serious. Our previous investigation revealed that 80% MeOH extract of P.morrowii has significant antiviral activity against fish pathogenic viruses, IHNV and IPNV(Kang et al.,2008).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compounds attributed for its antiviral activities and investigate their antiviral characteristics. Fractionation for 80% MeOH extract of P.morrowii yielded an active 90% MeOH fraction using a CPE reduction assay and from the fraction, two bromophenols were isolated(Guo et al.,2006).They were identified as 3-bromo-4,5-dihydroxybenzyl -methylether (1) and 3-bromo-4,5-dihydroxybenzaldehyde (2) based on spectroscopic analyses. 90% MeOH fraction showed strong direct virucidal activity of SI value each 253.4, 211.2, 313.8 against IHNV, IPNV and VHSV. Compound 1 showed both signification pre-treatment, direct virucidal activities against IHNV(SI value each 34.3, 48.7) and IPNV(SI value each 42.1, 35.6) in plaque reduction assay(Kamei et al., 2007). And compound 2 showed both most signification pre-treatment, direct virucidal activities of SI value more than each 46.6, 63.5 against VHSV. The in vivo antiviral activity of 90% MeOH fraction was evaluated after orally treatment to 90% MeOH fraction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experimentally infected with VHSV. The result showed that survival of olive flounder in the 30 ㎎/kg/day treated group was each 50% and 20% for 3 weeks and 5 weeks. Consequen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90% MeOH fraction can be proposed to protect against VHSV.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