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지혜의 『喜怒哀樂』 for flute and piano 분석연구

        김지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711

        본 논문은 김지혜의 『희노애락』 for Flute and Piano에 관한 분석연구이다. 이 곡은 『희노애락』이라는 제목과 같이 4개의 주요한 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2개의 주제를 한 부분으로 엮어 A-B의 큰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이 곡은 2개의 주요한 음, G와 C#이 중심이 되고 있는데 이는 무조음악이지만 으뜸음과 딸림음같은 큰 축이 되어 곡의 기둥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고 이 곡의 4부분들은 각자의 경계가 뚜렷하지만 이 중심음들을 통해 통일성을 도모하였다. 또한 반음관계의 음들의 옥타브 배치를 통하여 스케일느낌을 지우고자 하였고, 클러스터의 음형을 악기간, 혹은 성부간을 나누어 익숙하지 않은 울림을 찾고자 하였다. 느슨한 플룻의 선율로 시작하지만 갈수록 좁아지고 빨라지는 음형으로 클라이막스를 이루고 후반부엔 다시 길고 긴음가로 돌아가 마무리되는 A-B-A’의 형식을 따랐다.

      • 한국인 학습자 코퍼스와 원어민 코퍼스에 나타나는 if-조건문의 사용양상 비교

        김지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학습자 코퍼스와 원어민 코퍼스에 나타난 if-조건문의 사용양상을 비교하여 if-조건문의 사용에 있어 원어민들과 대조가 되는 한국인 학습자의 특징을 밝히는 것이다. If-조건문의 사용양상 중에서도 특히 조건절과 결과절의 동사구 형태면에서 한국인의 if-조건문과 원어민의 if-조건문이 어떻게 다른지에 초점을 두고 조사하였다. 아울러 한국인 학습자의 if-조건문 오류를 분석하여 빈출하는 오류 유형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요약하자면, 본 연구는 다음의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여 코퍼스 기반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한국인 학습자의 if-조건문 사용양상은 원어민 화자의 if-조건문 사용양상과 비교하였을 때 조건절과 결과절에 쓰인 동사구 형태면에서 어떠한 분포상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한국인의 if-조건문과 원어민의 if-조건문에 나타난 (준)법조동사의 쓰임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셋째, 한국인의 if-조건문 오류 중 어떤 유형의 오류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가?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수행되었다. 연구 자료로서 원어민 코퍼스는 International Corpus of English(ICE)-USA를, 한국인 학습자 코퍼스는 TOEFL11-Korean을 선정하였다. 두 개의 코퍼스에서 if가 포함된 문장을 추출한 후 if가 조건의 종속접속사로 쓰인 문장만을 추렸다. 한 코퍼스 당 500개의 if-조건문을 확보한 뒤 문장별로 조건절·결과절 동사구의 자질-시제, 상, 태, 극성 및 (준)법조동사 사용 여부와 형태, 서법성-을 코딩하였으며 한국인 학습자의 if-조건문의 경우 오류 분석을 병행하였다. 모든 문장의 코딩을 완료한 후 두 집단의 if-조건문을 동사구 형태에 따라 분류하고 유형별 빈도 및 분포를 조사하였다. 이후 두 집단의 if-조건문 분포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른지를 확인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인 학습자의 if-조건문 사용양상과 원어민 화자의 if-조건문 사용양상 사이에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1) 원어민들이 결과절이 아닌 조건절에 (준)법조동사를 사용한 조건문이나 결과절이 명령문 형태인 조건문 등 다양한 구조의 조건문을 고르게 사용한 것과 달리 한국인 학습자들은 전통적인 조건문 분류인 영조건문, 제1조건문, 제2조건문, 제3조건문의 정형화된 구조들을 주로 사용하고 여타 구조들은 적게 사용하는 양상을 보여 한국인 학습자의 if-조건문은 구조적 다양성 면에서 다소 제한적임을 발견하였다. 2) 조건문 내 (준)법조동사의 사용에 있어서 한국인 학습자들은 특정 서법조동사에 대한 편중이 더욱 강하였으며 원어민들과 동일한 서법조동사를 사용한 때에도 하나의 서법성에 치우친 양상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한국인 학습자의 if-조건문에서는 can과 will에 대한 편중이 나타났으며 can은 역동적 서법성의 의미로, will은 인식적 서법성의 의미로 사용하는 경향이 강하였던 반면, 원어민 집단은 would와 will에의 편중이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더욱 고른 분포를 보였으며 하나의 서법조동사를 다양한 서법성의 의미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한국인 학습자의 if-조건문 오류 중 가장 빈출한 오류는 시제 관련 오류였으며 그중에서도 비현실적 조건문의 시제 역전환(back-shift) 관련 오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밝혀져 한국인 학습자들이 if-조건문을 습득할 때 가장 어려운 부분이 역전환된 시제가 가상성(hypotheticality)을 표현하는 언어적 장치임을 이해하는 것임을 재확인하였다.

      • 기억의 잔상에 대한 회화표현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김지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잔상이란 외부의 자극이 사라진 뒤에도 감각 경험이 지속되어 나타나는 상, 지워지지 아니하는 지난날의 모습, 잔인하게 상처를 입히는 일, 또는 그 상처들을 아울러 말한다. 본인은 본인이 과거부터 현재까지 겪은 기억을 바탕으로 느낀 감정들의 잔상에 대해 작업을 하고 있다. 감정이란 천변만화(千變萬化)하는 상태로 스스로 지우거나 새로 다시 시작할 수 없으며 그러는 동안에 본인의 기억 속에서 감정들이 쌓이고 엉켜 잔상의 형태로 남아 응어리져 있는 상태이다. 본인은 본인의 기억이나 감정들을 묻거나 스며든 자국이나 얼룩으로 표현하여 작업을 통해 본인의 감정을 터트리고 해소하고자 한다. 본인은 작업의 이미지를 주변 사람들의 피부에서 모티브를 가지고 왔으며 피부 그 자체로의 대상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피부의 색이나 느낌만을 참고하여 자의적으로 구상하였다. 피부를 모티브로 가져온 이유는 살이라는 물성의 느낌 때문이다. 본인의 기억 속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것이 외로움이라는 감정이라고 생각했다. 살이 가지는 느낌 중에는 사람과 사람이 접촉을 함으로써 애정을 드러내는 느낌이 있는데 연인의 키스가 아니더라도 가족의 포옹, 친구와 악수하는 행위들을 보면 살과 살이 맞닿으면 외로움이라는 감정을 중화시켜 심리적으로 친밀성을 갖게 만든다. 본인은 피부의 이미지를 통해 과거의 기억이나 감정을 투영하여 과거의 감정을 중화시키고 현재 본인의 감정을 보여주고자 한다. 감정들은 내면에 잠재되어 실제 우리의 눈에 보이는 것이 아니므로 피부라는 매체를 통해 시각화하여 외부세계에 지각되도록 재구성하였다. 기억이나 감정은 시각적인 물성을 지니고 있지 않고 그 순간이 지나면 그때 느꼈던 감정들이 무뎌지고 옅어지므로 피부의 사실적이고 직접적인 이미지를 차용하기보다 모호하고 간접적인 방법을 채택하여 작업하였다. 누구나 현재를 살아가며 외부의 자극을 받고 그러한 여러 경험을 통해 감정이 쌓여간다. 그러나 그 감정들을 해소하지 못한 채 지나쳐 버리는 경우가 많다. 사회는 빠르게 흘러가고 거기에 맞추기 위해 사람들은 고군분투하지만 따라가지 못할 때나 멈출 때 상실감을 메워줄 장치가 잘 이뤄져 있지 않다. 개개인이 자신의 감정에 대해 솔직히 마주 볼수록 강해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마주 봐야만 서로 존재 이유와 의미를 알고 받아들일 수 있다. 인간의 감정이란 무엇으로 결론지을 수 없는 영역이고 본인의 기억과 감정을 그대로 공유할 수는 없지만, 이 논문을 통해 본인이 작업하는 과정에서 얻고자 했던 답을 찾고 해석해나가는 방향에 관해 논하고자 한다. An afterimage indicates an image remained even after external stimulation disappeared, unerasing past image, cruelly damaged scar or such cruelty in the past. I am working on such afterimages based on memories that I experienced from past until now. Emotion can't be erased by itself as it varies thousands times and more, nor restarted newly and during such time, it is remained as an afterimage in myself being accumulated and tangled together in my memories. I intend to break down my emotions and release them through an work that expresses my memories or emotions as scar or stain coated or penetrated. Images in my art works are motivated by skins of surrounding people and I configured such images only referring to tone and feels of skin not limiting them on skin itself at my discretion as a target. Why I brought person’s skin as a motivation is because of its physical properties as a flesh. I thought that the most critical thing in my memories is an emotion of loneliness. Among feels in flesh that we feel, there is a feel that exposes a love by contacting a person-to-person and when we see family hug each other although it’s not a kiss between lovers and see friends shake hands being contracted with each’s skin, this neutralizes an emotion of loneliness and makes us have intimacy psychologically. I intended to neutralize emotions in the past and show current my emotions by projecting memories or emotions in the past through skin images. Because emotions lurk in internal side and are not actually shown via our eyes, I visualized them via a medium of skin and reconfigured them to be shown for external world. As there are not visual and physical properties in memories or emotions and such memories and emotions become dull and fade, I did my art work by adopting vague and indirect method rather than adopting skin’s realistic or direct image. Everyone is stimulated by external side in each’s daily routine and emotions are accumulated by such several experiences. However, there are many cases that we pass such emotions being unable to resolve them. Although societies flow away rapidly and people struggle to meet such flow, an device to fill sense of loss when they failed to follow it or paused is not well equipped. I think every individual could be stronger when they face their emotions frankly. Only facing them, we can realize and accept reason and meaning of each’s existence. Although human’s emotions can’t be an area that could be concluded and my memories and emotions can’t be shared as they are, I intended to discuss a direction to find some solutions during working on it and interpret them.

      • 리처드 로저스(Richard Rodgers) 작품에 대한 프레드 허쉬(Fred Hersch)의 재해석 고찰 : 《Plays Rodgers & Hammerstein》앨범을 중심으로

        김지혜 경희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Reinvestigation of the music of Fred Hersch by Richard Rodgers -Centralized on the album of <Plays Rodgers & Hammerstein> Academic Advisor : SungKyoo Hong Kyunghee University Graduate School Postmodern Music Thesis Adviser : Kim, Ji-Hye Music is the temporal art of human thoughts and emotions made up of musical notes. Music may have been a part of humankind long before the start of the humanity. Through the growth of the population, the insufficiency of demands emerged. This insufficiency made up countries and each different kinds of music exist in each country having very own distinct. The following study will discuss focusing on the distinctiveness of the very first musical and jazz music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first musical begins to be known during the British colony in 1751. ‘The Beggar’s opera’, known as the British ballad opera, was known to be the first opera in Britain. However, in the state of Carolina, the record shows that the ballad opera ’Flora’ was performed. As the opera developed, the official term has changed into the ‘musical comedy’. Nowadays, the word ‘comedy’ has been omitted and it became to be known as the term ‘musical’, which what we are familiar of. The history of musical cannot be deliberated without the name ‘Richard Rodgers’. Richard Rodgers can be found in many musical researches and studies. He has marked a new era in the musical since 1920s. Compared to the long history of musical, jazz has only about a century old history. However, jazz is consistently developing and studied by many musicians and researchers that can be foundation of many genres. The city of New Orleans located in the southern state of The United States is the harbor city. Due to this reason, the interchange trade was very brisk and needed a lot of black slaves. African – American slaves has their own custom of singing during their labor, which is called ‘The Blacks Work Songs’. The form of The Blacks Work Songs starts off by the leader and the laborers answer to the leader. This custom of orally handed down and developed as the Black Blues and became one of the components in the jazz genre. The start of all the musical notes and the blue notes of the jazz made up by the slaves are now developed as the free jazz or atonality music. The time can be divided up to three quarters when Richard Rodgers was the musical composer. First, the activity period working with Lorenz Hart, second, the activity period working with Oscar Hammerstein II and last, after the death of Oscar Hammerstein II when Rodgers, himself, wrote the lyrics and scripts or hired the composer. The following study conducts profound researches on the analysis of which method did jazz pianist Fred Hersch reinterpreted Richard Rodger’s music with the album of 《Plays Rodgers and Hammerstein》, the collaboration of the song with Richard Rodgers and Oscar Hammerstein II. Jazz pianist Fred Hersch’s arrangement, as known as the ‘next’ Bill Evans, analyzes the details of the re-harmonization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riginal song can be found. The analysis of the harmony is different from person to person and songs to songs. Each very distinctive methods of the harmony analysis cannot be defined which is right and wrong.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has intensively performed seven different kinds of code analysis rules. Therefore, the researcher was able to found out the details of the Fred Hersch’s distinct rhythmic style that has never been found out in any other researches. 리처드 로저스(Richard Rodgers) 작품에 대한 프레드 허쉬(Fred Hersch)의 재해석 고찰 - 《Plays Rodgers & Hammerstein》 앨범을 중심으로 -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포스트모던음악학과 김지혜 지도교수 홍성규 음악이란 음을 재료로 하여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는 시간적 예술이다. 인류가 처음 만들어지면서부터 아마도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더 그 이전부터 음악은 인류와 함께 했을지도 모른다. 인류가 불어나므로 부족이 생기고 그것이 나라가 되면서 각 나라에서는 그들만의 음악들이 각각 존재하고 있었던 것이다. 본 논문의 주제가 되는 음악의 국가는 바로 미국이다. 본 논문은 미국에서 처음 생겨난 뮤지컬 음악과 재즈 음악을 다룬다. 미국에 뮤지컬의 씨가 최초로 뿌려진 것은 영국의 식민지 시대인 1751년으로 알려진다. 이때 영국의 발라드 오페라인 '거지 오페라'가 있었는데 이보다 훨씬 앞선 1730년대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에서 '플로라, Flora'라는 발라드 오페라가 공연되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고 한다. 오페라가 발전되어 뮤지컬 코메디로 불리우게 되었고 현재에는 코메디라는 단어를 생략한 뮤지컬이라고 불리운다. 이처럼 지금으로부터 몇백년전부터 존재했었던 뮤지컬의 역사에 대해 이야기 할때 꼭 등장하는 인물이 있다. 그는 바로 리처드 로저스(Richard Rodgers)이다. 리처드 로저스는 뮤지컬 역사에 대해 이야기 하자면 많은 문헌이나 논문에서도 어김없이 등장하는 인물이다. 그는 1920년대에서부터 뮤지컬의 한 획을 그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렇게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는 뮤지컬보다 재즈는 지금으로부터 약 100년이 조금 넘는 역사를 가지고 있는 장르이다. 하지만 재즈는 현재에도 끊임없이 발전되고 연구되어지고 다양한 장르의 기초가 되기도 한다. 미국 남부 루이지애나 주의 뉴올리언스는 항구도시라는 이유로 세계 각국의 무역교류가 활발하였기에 많은 흑인 노예들이 필요하였다. 아프리카계 미국 흑인들은 일을 하면서 노래를 부르는 그들만의 관습이 있었다. 노동요는 선창자가 노래하면 합창으로 대답하는 형식이다. 이렇게 구전으로 이어지던 노래들이 흑인 블루스로 발전하게 되었고 재즈의 구성요소 중 하나가 되었다. 이렇의 흑인 노예들이 처음 만들어낸 재즈의 블루노트 음계들과 음악들이 오늘날에는 프리재즈나 조성이 없는 무조성 음악으로까지 발전하게 되었다. 리처드 로저스가 뮤지컬 작곡가로 활동했을 당시를 3분기로 나눈다면 로렌즈 하트(Lorenz Hart)와의 활동 시기, 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Oscar Hammerstein II) 와의 활동 시기, 그리고 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의 사후 로저스 혼자 가사와 대본을 쓰거나 작사가를 고용하여 작곡 활동을 했던 시기로 나눌 수 있다. 본 논문은 리처드 로저스와 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와의 협업 시기의 곡을 재즈 피아니스트 프레드 허쉬가 재해석한 앨범 《Plays Rodgers and Hammerstein》을 가지고 현대의 재즈 피아니스트 프레드 허쉬가 어떠한 방법으로 리처드 로저스의 음악을 재해석 하였는지를 분석하는 논문이다. 제 2의 빌 에반스(Bill Evans)라는 별명으로도 불리우는 프레드 허쉬의 편곡 방법, 리하모니제이션의 방법 등을 자세하게 분석하고 원곡과의 차이점을 알아낸다. 화성 분석은 저마다 방식이 다르다. 어떠한 방식이 맞고 틀렸다고 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저자는 여태껏 연구해왔던 여러가지 화성 분석 방법 중에서 7가지의 분석 규칙을 가지고 일관되고 심도있는 분석을 해보았다. 그리하여 프레드 허쉬에 관련된 분석 논문에서 아직 소개되지 않았던 점들도 발견할 수 있었고 그만의 연주 방식과 특징을 세세하게 알 수 있었다.

      • 발도르프유아교육과 생태유아교육의 유아기 경험에 대한 교육적 접근방법 비교

        김지혜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발도르프유아교육과 생태유아교육의 유아기 경험에 대한 교육적 접근방법 비교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김지혜 지도교수 김기현 본 연구는 유아교육의 새로운 교육적 접근에 대한 패러다임을 모색할 필요를 갖고, 자연을 통해 유아 스스로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능동적인 동기부여가 될 수 있는 발도르프유아교육과 생태유아교육의 교육적 철학과 교육적 접근방법에 대해 비교해 봄으로써 유아교육현장의 유아기 우리 아이들의 전인적 인간형성과 인격형성의 실현이 이루어지기 위한 목적을 갖고 선행연구를 토대로 한 문헌연구이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내용을 갖는다. 첫째, 경험의 정의를 알고 유아기 경험의 중요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발도르프유아교육과 생태유아교육의 교육원리를 비교해 봄으로써 교육목적, 교육내용, 교육원리, 교사역할을 알아보고 비교하고자 한다. 셋째, 발도르프유아교육과 생태유아교육의 유아교육 프로그램 접근방법을 알아보고 비교해 보고자 한다. 넷째, 발도르프유아교육과 생태유아교육의 유아기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위의 연구내용에 의거하여 본 연구의 발도르프유아교육과 생태유아교육의 유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도르프유아교육과 생태유아교육은 유아기의 발달특성상 유아기의 경험을 강조하는 유사점을 갖고 있다. 둘째, 발도르프유아교육과 생태유아교육은 유아의 몸과 마음과 영혼의 조화를 이룬 통합적인 인간형성을 갖는다는 유사한 목적을 갖고 있다. 셋째, 발도르프유아교육과 생태유아교육은 자연이라는 대상 속에서 교육의 내용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발도르프유아교육과 생태유아교육은 유아기 발달단계의 개인차를 고려한다는 유사한 교육원리를 갖는다. 다섯째, 발도르프유아교육과 생태유아교육은 유아와 함께 성장·발달해 가는 교사상을 갖는다는 유사점이 있다. 여섯째, 발도르프유아교육과 생태유아교육은 유아의 일상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교육이 이루어지며, 예술교육이라는 소재로 유아의 오감각의 발달을 자극시켜준다는 유사점이 있다. 일곱째, 발도르프유아교육과 생태유아교육은 자연에서 활동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유아가 자연을 알아가고, 생명에 대한 종중감과 신비감을 알아가며, 세상을 살아가는 방법을 유아 스스로 터득하게 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여덟째, 발도르프유아교육과 생태유아교육은 자연을 통해 나뿐만 아니라 타인과 사물과 세상을 알아가고 유아 스스로 터득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유사점을 발견 하였다. 아홉째, 발도르프유아교육과 생태유아교육은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자기정서조절능력, 타인의 정서인식, 자기정서이용·인식, 또래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 대인관계기술능력의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유사함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발도르프유아교육과 생태유아교육의 위와 같은 유사점이 있었으나,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지니고 있다. 먼저, 발도르프유아교육현장에서는 슈타이너의 교육적 철학인 예술을 통한 교육이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생태유아교육현장에서는 동양사상이 담긴 프로그램이 행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두 교육이 예술적으로 접근하는 방법 면에서는 같으나, 예술적 교육에 담겨있는 교육내용이 다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발도르프유아교육현장에서는 습식수채화 활동을 통해서 유아들이 직접 관찰을 통한 경험교육이 행해지고 있지만 생태유아교육현장에서는 생태미술 프로그램을 통해 유아들이 예술적 감각을 키우고 자신의 내면속 영혼의 모습을 표현하게 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발도르프유아교육현장에서는 유아의 일상생활에 교사와 유아간의 모범적인 모방교육이 행해지고 있는 반면 생태유아교육현장에서는 ‘지금 여기’에서의 아이들의 행복한 삶을 지향하는 교육이 이루어진다는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발도르프유아교육현장에서는 이야기식 동화를 들려줌으로써 보통 영유아보육시설과 유치원과는 다른 경험을 유아들에게 제공 하여 경험적 교육의 방법에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발도르프유아교육의 예술교육은 유아의 감성지능, 감성능력, 창의성발달에 상승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성취감의 증가와 소근육 발달에 도움이 되었지만 반면, 생태유아교육은 자연에서의 체험활동을 통해 환경 친화적인 태도의 습득과 자발적인 관찰력의 증가, 표현의 자유로움이 증가한다는 점에서 유아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Comparison of Educational Approaches to Experiences in Early Childhood between Waldorf'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Kim, Ji Hye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Advised by Kim, Ki Hyun This study is a literature review based on preceding research, aiming to realize the formation of whole persons and characters in Korean childre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 a necessity of seeking a paradigm for a new educational approach to Childhood Education, by comparing the educational philosophies and educational approaches of Waldorf'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which allow children to participate themselves spontaneously and get motivated actively through natur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sisted of the following contents of research. First,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definition of experiences and look into the importance of experiences in early childhood. Second, it attempts to compare the educational principles of Waldorf'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looks into their educational purposes, educational contents, educational principles and roles of teachers. Third, it attempts to look into and compare the approaches of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of Waldorf'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Fourth, it attempts to look into the impacts of Waldorf'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on experiences in early childhood. Based on the above contents of research, there were similar results from Waldorf'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s follows: First, Waldorf'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have a similarity of emphasizing experiences in early childhood by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Second, Waldorf'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have a common purpose to make children develop into integrated persons achieving a harmony of body, mind and soul. Third, Waldorf'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have a similarity in that both have contents of education in the object of nature. Fourth, Waldorf'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have a similar educational principle of conside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al stage of early childhood. Fifth, Waldorf'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have a similarity of having an image of the teacher who grows and develops with children. Sixth, Waldorf'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have a similarity of natural education in children's daily lives and the stimulation of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five senses with a subject matter of art education. Seventh, Waldorf'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re similar in ways which children get to know nature through a program of activities in nature, get to know the sense of respect and mystery of life and figure out how to live in this world themselves. Eighth, Waldorf'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have a similarity of allowing children to get to know other people, things and the world as well as themselves through nature and learn them themselves. Ninth, Waldorf'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have a similarity in that they have positive influences on children's eco-friendly attitude, ability to control their emotions themselves, recognition of others' emotions, use and recognition of their own emotions, positive interaction with peers and the improvement of the ability of interpersonal skills. This study has found the above similarities between Waldorf'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yet, there are differences as follows. First, in Waldorf's Early Childhood Education, education through art, Steiner's educational philosophy is conducted in various ways, while in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 program containing Eastern philosophy is carried out. Through this, it is found that two educations have an artistic approach in common, but have different educational contents in art education. Also, in Waldorf's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iential education is conducted through children's direct observations using water color painting activities, while in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an ecological art program, children develop artistic sense and express the appearance of their souls in their inside. In addition, in Waldorf'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 education through exemplary imita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is conducted in children's daily lives, while in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n education aiming at their happy lives ‘now here’ is conducted. Also, in Waldorf's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telling them fairy tales, experiences are provided for children, which are different from those of normal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 so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method of experiential education. Lastly, art education in Waldorf's Early Childhood Education had a synergistic effect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skills and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helped them increase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fine motor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llowed them to learn eco-friendly attitude, increase learning and voluntary observation and freedom of expressions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in nature, so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fluences on children's development.

      • 탄산수소나트륨 및 트리클로산을 함유한 치약의 구취억제효과

        김지혜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국민들이 선호하는 음식인 마늘, 김치섭취에 기인된 구취의 제거효과, 구취유발균주에 대한 항균력 및 구취형성억제 지속효과 등 탄산수소나트륨과 트리클로산 성분을 함유한 실험치약의 구취억제 효능에 대해 실험실적 연구 및 임상적 연구를 통하여 다각도로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실험실적 연구에서 구취유발균주에 대한 항균력, 마늘에 기인된 VSC 생성억제효과, 김치냄새에서 휘발성유기산 제거효과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고 임상적 연구에서는 김치섭취 후 시간경과에 따른 구취제거효과 및 구취억제효과의 지속성에 대한 연구로 진행하였다. 연구대상 치약은 실험실적 연구에서는 대조치약 1종과 실험치약 2종으로 실험치약 1은 탄산수소나트륨의 효과를 평가하였고, 실험치약 2는 탄산수소나트륨과 트리클로산을 병용할 때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임상적 연구에서는 대조치약 1종과 실험치약 1종으로 탄산수소나트륨과 트리클로산을 병용하여 상승 작용을 평가하였다. 1. 구취유발 균주인 P. intermedia에 대한 실험치약의 항균력 평가 결과 실험치약 2에서 가장 우수한 항균효과를 보였다. 2. 마늘섭취시의 VSC 형성억제효과를 실험실적으로 평가한 결과, 탄산수소나트륨과 트리클로산을 함유한 실험치약 2는 대조치약에 비해 구취억제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p<0.05). 3. 김치 냄새 성분 중 acetic acid(초산)의 제거효과를 평가한 결과 대조치약에 비해 실험치약 1과 2는 각각 59.90%, 52.28%의 GC피크면적이 감소하여 실험치약 1, 2 모두에서 유기산제거효과를 확인하였다. 4. 임상적으로 김치섭취 후 실험치약으로 잇솔질 후의 구취제거 효과 비교를 관능검사를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 잇솔질 직후부터 2시간 경과 후까지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구취감소효과가 나타났다 (p<0.05). 5. 임상적으로 잇솔질 12시간 경과 후에 구취억제효과의 지속성을 관능 및 Halimeter로 평가한 결과, 탄산수소나트륨과 트리클로산을 함유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우수한 구취형성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p<0.05). 이상의 연구 결과로서 탄산수소나트륨과 트리클로산이 함유된 치약은 대조 치약에 비해서 구취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dentifrice containing sodium bicarbonate and triclosan on the removal of kimchi and garlic odor and its 12 hours lasting efficacy. To confirm the efficacy of dentifrice on oral malodor in-vitro and clinical trials were conducted. Antibacterial activity on P. intermedia and removal efficacy of kimchi and garlic odor were measured by GC and a Halimeter. Clinical trials were designed by a double blind, crossover study for subjects aged between 27?38. The removal effect of kimchi originated odor and its 12 hours long-lasting inhibitory effect of oral malodor were conducted by organoleptic evaluations and / or with a Halimeter. Three kinds of dentifrice such as control, experimental 1 containing sodium bicarbonate, and experimental 2 containing sodium bicarbonate with triclosan were evaluated in vitro study. In clinical trial, the experimental 2 dentifrice was compared with control dentifrice. 1. Experimental 2 showed the highest antibacterial activity on P. intermedia causing oral malodor. Experimental 2 showed more effective than the control in removing oral malodor caused by garlic (p<0.05). 2. The result of measuring the effects removing acetic acid among the kimchi odor ingredients showed that the peak area of experimental 1, 2 decreased 59.90%, 52.28%, respectively compared to control. 3. The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after brushing under the kimchi intake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oral malodor control for 2 hours after brushing compared with control group (p<0.05). 4. In clinical test by the sensory evaluation and Halimeter, the experimental group inhibited oral malodor for 12 hours after brushing compared with control group (P<0.05). It is proven that dentifrice containing sodium bicarbonate and triclosan is more effective on oral malodor control than dentifrice without triclosan and sodium bicarbonate.

      •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연어 교육 방안 연구 : 주술 목술 관계 연어를 중심으로

        김지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연어 교육 방안 연구 -주술․목술 관계 연어를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한국어교육전공 김지혜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과 어휘 능력 향상을 위한 연어 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하고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어 목록을 선정, 구체적인 연어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어휘 교육을 할 때 체언이나 용언 등의 어휘를 단독으로 가르치기보다는 그 어휘와 함께 쓰이는 사용 맥락을 알 수 있도록 하나의 덩어리인 연어로 교육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므로 정확하고 유창한 의사소통을 위해 초급 단계부터 연어를 명시적으로 가르쳐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사용 중인 한국어 교재 분석을 통해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주술․목술 관계 연어 목록을 선정하고 어휘 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연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연어 선정과 연어 교육 방안 그리고 연어 사용 오류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Ⅱ장에서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연어의 개념과 유형에 대해 살펴보고, 연어의 유형 중 초급 한국어 학습자에게 교육해야 할 연어를 어휘적 연어로 제한하고 ‘체언+용언’형 연어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주술․목술 관계 연어로 연구 대상의 범위를 한정하였다. Ⅲ장에서는 대학 기관의 초급 한국어 교재 5종에 나타나 있는 연어 제시 양상과 연어 교육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초급 한국어 교재 5종에 제시된 연어 목록을 분석하여 1단계 연어 목록을 정리하고『한국어 교재 분석 연구』와 기존 논문들에서 공통으로 제시된 연어 목록을 추가하여 2단계 연어 목록을 정리하였다. 이 연어 목록들을 국립국어원「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 1단계」의 연어 목록에 제시된 연어를 바탕으로 3단계 연어 목록을 추출하고 마지막으로『한국어 연어 사전』등재 여부를 바탕으로 초급 주술․목술 관계 연어 목록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Ⅳ장에서는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어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제시하고 Ⅲ장에서 선정한 연어 목록을 바탕으로 Nation(2011)이 제시한 어휘 교육 방법인 형태, 의미, 사용의 측면에서 초급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효과적인 연어 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활동들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과 어휘 능력 향상을 위해 초급 단계에서 학습해야 할 연어 목록을 선정하고 언어 사용의 정확성과 유창성을 위해 초급 학습자들을 위한 연어 교육의 내용과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핵심어 : 한국어 교육, 어휘 교육, 어휘 능력, 연어 교육, 주술 관계 연어, 목술 관계 연어, 초급 연어 목록, 초급 학습자

      • 수학적 모델링을 적용한 수학 수업의 효과 탐구 : 8-가 단계 연립방정식 활용을 중심으로

        김지혜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study is focused on the union equation unit in the Middle school. Middle school students rae hard to solve the practical using problem of union equation on the velocity and concentration. For this study, the logist developed the data and power-point program.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observe the improving solve the problems and mathematical attitude. To accomplish this purpose, I have set up the following subjects of study. 1)Did the experiment group solve the problem of the union equation bett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2)Were there any great effect on the mathematical attitude for using the mathematical modeling? 3)Analysis for students are showed an error and catching idea from problems by mathematical modeling? This study consisted of 57 students an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An experimental group had group activities and problem solving activity paper and use the developed program by logist. A comparative group had traditional teaching focused on textbook. After experiment and comparative students got test on the application of union equation, and experiment students got mathematical attitude test which vented this experiment. Mathematical attitude test enforce two times ; before the experiment and after the experiment. I developed an achievement test which was verified by an expert and 5 other colleagues. The conclusions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results of the achievement test for solving the application of the union equation showed little higher in the part of concentration for experimental group. However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part of the velocity and the price. And experimental students showed great reacting the attitude of the for mathematical modeling program. Second,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mathematical attitudes for reliance and self-examination and value. But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some mathematical attitudes. Third, students who were in experimental group developed solve the problem and exchanged their interest with others in the classroom. And I observed great reacting which used the activity paper and modeling program for experimental group. In the interview, students who were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developing their mathematical attitude. Fourth, students who faced up to a little hard question showed the forming discussed other students. And I observed that their's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become higher better than before. In conclusion, mathematical class using the mathematical modeling were successful method for students who have trouble the application of union equation. And students developed an interesting with mathematic through the mathematical modeling. I believe that mathematical modeling have a good point for students who have trouble with mathematics. And I believe that many researchers and professional have to be concerned for the mathematical modeling program in the mathematical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현 중학교 2학년들이 어려워하는 연립방정식 활용 단원을 중심으로 연구자가 개발한 활동지와 파워포인트를 자료로 하여 속력과 농도와 여러 가지 활용문제를 다뤄 봄으로써 학생들이 얼마나 활용문제 해결능력이 향상되는지를 알아보고 개발된 교수학습방법이 학생들의 수학적 성향에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수학적 모델링을 적용한 토론식 수업을 한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을 한 비교집단에 비해 교과서식 수학 활용 문제를 잘 해결하는가? 2) 수학적 모델링을 도입한 토론식 학습이 학생들의 수학적 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3) 수학적 모델을 통해 학생들이 보인 오류와 아이디어 잡기, 성취비교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구시 달서구에 소재하는 ○○중학교 2학년 학생 2학급 57명을 대상으로 1학기 중간고사를 기준으로 하여 T-Test를 실시하여 동질집단임을 토대로 하여 1학급은 비교집단과 또 다른 1학급은 실험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연구자가 개발한 활동지와 파워포인트자료를 이용하여 조별활동을 7차시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비교집단은 전통적 설명식 수업을 중심으로 연구를 실시 하였다. 또한 매차시마다 연구자가 개발하고 수학교사 5명과 전문가에게 타당도를 의뢰한 뒤 수정. 보완한 성취도 문제를 토대로 형성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은 실험 전과 실험 후 수학적 성향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의 실험 결과에 대한 데이터 분석은 수학적 성향 검사와 성취도 검사 부분에 대해 SPSS12.0k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도 부분에 있어 교과서식 수학 활용 문제 해결에 대해 속력과 수량 및 가격계산부분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학생들이 다소 어려워하는 농도부분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으며 개별적인 인터뷰에서도 긍정적인 평가가 나타났다. 활동지를 토대로 실시한 개별 인터뷰에서도 농도부분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알 수 있으며 전제적인 활용 문제에 대한 평균도 비교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이 미비하지만 높게 측정된 것으로 보아 본 연구가 연립방정식의 활용부분에 있어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를 다각도로 연구해 본다면 속력과 가격 및 수량계산부분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결과가 나오리라 판단된다. 둘째, 수학적 성향 부분에 있어 자신감부분과 융통성, 호기심영역은 실험전과 후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각각의 영역 안에 각각의 질문 중 몇 부분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자신감영역에서는 “나는 수학 문제를 풀면 신이 난다”라는 부분과 융통성영역에서는 “수학문제를 풀 때 다양한 방법으로 풀기를 좋아 한다”라는 부분과 호기심영역에서는 “나는 수학을 잘하는 친구를 좋아 한다” 부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를 통해 실험 전보다 실험 후에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수학적 성향 부분 중 의지, 반성, 가치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험집단은 수업시간에 실시한 활동지와 토론식 수업을 통해 활용문제에 대해 여러 가지 시행착오를 경험하면서 동료집단과의 토론도 원만하게 하였으며, 활동지를 통해 활용문제에 대한 흥미도 가지게 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수학적 모델링이 적용된 활동지를 통해 활용문제를 접하게 되는 방법이 달라지고 어려워만 하는 부분이 아니라 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인터뷰와 활동지를 통해 관찰되었다. 넷째, 다소 어려운 문제에 부딪혔을 때는 서로 의논해서 해결하려는 모습도 관찰되었다. 협동학습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상위권과 하위권사이의 의사소통이 전혀 이뤄지지 않았으나 활동지수업과 토론식수업을 통해서 원만해 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발표를 통해 다른 학생들과의 의사소통도 함께 발전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위의 결론을 정리해 보면 수학적 모델링을 적용한 수업이 학생들에게 다소 어려운 수학문제로 자리 잡고 있던 활용문제가 수학적 모델링을 통해 보다 단계적이고 재미있게 해결해 나갈 수 있는 부분임을 보여주었으며 수학에 대한 흥미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방법이라 볼 수 있다.

      • 우리나라 주요 하천과 호수에서 질소의 분포와 유기질소 분해속도

        김지혜 강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우리나라 주요하천과 호수에서 질소의 분포와 유기질소의 분해속도를 연구하기 위해서 금강, 영산강, 섬진강 그리고 한강 수계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총질소의 평균농도는 금강 수게에서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냈으면, 섬진강에서 가장 낮은 농도를 나타냈다. 암모니아는 금강에서 높았고, 북한강에서 낮은 농도를 나타냈다. 유기질소중 용존형태의 비율은 금강 62%, 영산강 64%, 한강하류 54%로 대부분 용존형태였다. 유기질소의 분해속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2가지 모델을 이용하였다. TON의 분해속도는 금강에서 가장 높았고, 북한강 수게에서 낮은 분해속도를 보였다. LPON은 LDON보다 낮은 분해속도를 나타냈다. 대체로 도시하수가 유입하는 지점에서 높은 분해속도를 보였다. Many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the distribution and source of organic matter whereas very little is known about decomposition rate in a view of meterial cyc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nitrogen and its decomposition rate in lotic environments.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two to seven different sites in the mainstreams of the five river systems(Kum River, Youngsan River, Sumjin River, North-Han River and Han River), including major tributaries. Sampling was conducted for three years from June 2005 to October 2007. The nitrogen was measured was analyzed by a auto analyzer(Skalar-100). To determine the decomposition rate, the samples were incubated in dark condition at 20℃ for 15 days. TN, NO3-, NO2-, NH4+ and DTN were analyzed on 0, 1, 2, 3, 5, 7, 10 and 15th day of incubation. By fitting the change to two types of medels the decomposition rates of organic nitrogen were determined. Mean TN was 3.09(± 2.51). The lowest 1.43(± 0.56) was in the North-Han River while the highest 4.13(± 0.32) was in the Kum River, indicating the unbanization effect on it. Mean NO3- was 1.64(± 0.04) and mean NH4+ was 0.70(± 1.15). Approximately 66% of On was composed of DON and rests of them were PON. DON and PON concentrations varied seasonally. In the Youngsan River and the Han River, both DON and PON concentration were relatively low during rainy season, while there was a high value in the North-Han River. The LPON contents was 45%, and it was strongly correlation with algals, meaning that almost LPON are derived from phytoplankton. Approximately 26% of DON was composed of LDON and rests of them were RDON. Mean TON decomposition rates of the five rivers were very similar. The coefficients were approximately 0.074 day-1. Decomposition rates of LPON and LDON were much faster than those of TON. Mean decomposition rates of LPON was 0.094 day-1 and LDON was 0.124 day-1, respectively. The decomposition rate of LPON was LPON was slightly larger than that of LDON, meaning that decomposition of PON occurs much faster. ON the other hand, model coefficient suggested by CE-QUAL-W2 showed opposite trend compared to ourresult. Default values in CE-QUAL-W2 model are 0.08 day-1 for LPOM and 0.10 day-1 for LDOM, respectively. Mean NO3- decomposition was 0.32 day-1 and mean NO2- decomposition was 0.73 day-1.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give a guide to the selection of parameters in the calibration processes of water quality mod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