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뷰티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와 호기심이 싫증 및 전환행동에 미치는 영향

        안가은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Beauty consumers intend to express their personality and show consumption characteristics such as need for uniqueness and curiosity, thus showing boredom and switching behavior to product and brand.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helpfu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beauty brands by analyzing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need for uniqueness, curiosity, and boredom. For this,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 to 30s that have the experience of buying color cosmetics within the past 1 year were asked to respond to a survey. The following is a brief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First, creative choice and avoidance of similarity among the beauty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affects product boredom, and unpopular choice does not affect product boredom. Avoidance of similarity and unpopular choice affects brand boredom, and creative choice does not affect brand boredom. Second, curiosity as a feeling of interest and curiosity as a feeling of exploration among the beauty consumer’s curiosity affects both product boredom and brand boredom. The variable that has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product boredom is curiosity as a feeling of exploration, and the variable that has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brand boredom is curiosity as a feeling of interest. Third, product boredom and brand boredom among beauty consumer’s boredom affects both product switching and brand switching. The variable that has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product switching is brand boredom, and the variable that has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brand switching is product boredom. Fourth, the creative choice and avoidance of similarity of beauty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affects product switching and brand switching, while not affecting unpopular choice. Among beauty consumer’s curiosity, curiosity as a feeling of interest and curiosity as a feeling of exploration affects both product switching and brand switching. Product switching and brand switching is affected the most by curiosity as a feeling of exploration. This research confirms the influence of beauty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and curiosity on boredom and switching behavior, and identifies the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and curiosity as an important variable in purchasing color cosmetics.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provide theoretical evidence to prevent customer boredom and switching behavior, and extend our knowledge in the field of beauty such as need for uniqueness, curiosity, boredom and switching behavior, which currently lacks academic research. Through this study I hope beauty brands understand consumer psychology and establish appropriate marketing tactic to prevent customer’s switching behavior. 뷰티 소비자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고자 하며 독특성 욕구와 호기심과 같은 소비특성을 보임에 따라 제품과 브랜드에 대한 싫증과 전환행동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특성 욕구와 호기심 및 싫증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뷰티 브랜드의 발전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수도권에 거주하면서 최근 1년 이내에 색조화장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20∼30대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뷰티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 중 독창적 선택과 유사성 회피가 제품 싫증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비대중적 선택은 제품 싫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브랜드 싫증에는 유사성 회피와 비대중적 선택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독창적 선택은 브랜드 싫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뷰티 소비자의 호기심 중 흥미형 호기심과 탐구형 호기심은 제품 싫증과 브랜드 싫증에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제품 싫증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요인은 탐구형 호기심이었고, 브랜드 싫증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요인은 흥미형 호기심으로 나타났다. 셋째, 뷰티 소비자의 싫증 중 제품 싫증과 브랜드 싫증은 제품 전환과 브랜드 전환에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제품 전환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요인은 브랜드 싫증이었고, 브랜드 전환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요인은 제품 싫증으로 나타났다. 넷째, 뷰티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 중 독창적 선택과 유사성 회피는 제품 전환과 브랜드 전환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비대중적 선택은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뷰티 소비자의 호기심에서는 흥미형 호기심과 탐구형 호기심이 제품 전환과 브랜드 전환에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제품 전환과 브랜드 전환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요인은 탐구형 호기심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뷰티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와 호기심이 싫증 및 전환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고, 색조화장품을 구매하는데 있어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와 호기심이 중요한 변인임을 밝혔다. 이 결과를 통해 소비자의 싫증과 전환행동을 막을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 것과 현재 뷰티 분야에서 독특성 욕구와 호기심, 싫증 및 전환행동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시점에 관련 연구의 폭을 넓힌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뷰티 브랜드에서 소비자의 심리를 이해하여 그에 맞는 마케팅 전략을 세워 고객의 전환행동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를 기대한다.

      • 특수교육대학원 심리치료 관련 전공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 조사

        안가은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학원 심리치료 관련 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를 조사함으로써 특수교육대학원의 발전과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향과 개선점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수교육대학원이 설립된 대학원 중 심리치료 전공이 개설된 대학원을 조사하여 경기도 소재 D대학원과 충청남도 소재 G대학원의 재학생 95명을 대상으로 2014년 9월 27일부터 10월 6일까지 총 10일에 거쳐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총 95부(100%)를 회수하였고, SPSS 18.0을 이용하여 자료를 기술통계로 처리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특수교육대학원 심리치료전공에 진학한 동기는 심리치료사가 되기 위함이 가장 높았으며, 학교의 이미지와 명성으로 대학원을 선택하게 된 요인이 많았다. 심리치료 관련 전공인식은 대체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에 대한 조사와 관련하여 첫째, 교육과정 영역에서는 교과목 이수와 자격증의 연계성과 교과목의 다양성에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수업운영 영역에서는 강의계획서에 따른 수업진행, 수업시간의 적절성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육여건 영역에서는 행정서비스의 친절도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등록금 제도, 장학금의 적절성, 학사일정 안내에 대한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넷째, 졸업 및 진로 영역에서는 진로의 영향력, 경쟁력 향상, 취업 전망의 긍정성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요구에 대한 조사로 첫째, 교육과정 영역에서는 치료영역별 자격 취득을 위한 다양한 입문 과정의 개설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둘째, 수업운영 영역에서는 수업내용의 질 향상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셋째, 교육여건 영역에서는 전공자의 전공운영 전담의 요구가 높았다. 넷째, 졸업 및 진로 영역에서는 심리치료사 관련 자격증 안내 등 졸업생을 위한 적극적인 진로안내를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 특수교육대학원의 발전과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재학생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계속적인 관리와 평가를 위한 체계가 시급히 구축되어야 하며, 수요자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재구성되어야 한다.

      • 국내이주노동자의 문화적응 유형별 우울, 차별, 사회적 지지

        안가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이주노동자의 문화적응 유형별 우울수준, 차별지각, 사회적 지지의 지각의 차이를 탐색하는 것이다. 국내이주노동자의 문화적응 유형에 따른 정신건강, 차별지각에 대한 연구는 확인된 바 없으며, 기존의 이주노동자의 문화적응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연구는 문화적응을 단순히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것으로 보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김현경, 2009; 박근수, 송병국,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고국문화와 한국문화라는 두 가지 독립적인 문화가 이주노동자의 우울, 차별지각, 사회적지지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천과 대구, 경산에 거주하는 이주노동자 9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한 설문지는 일상적 차별감척도(Everyday and major Discrimination question), 우울 척도(CES-D), 사회적지지 척도(Assistance from neighborhood), 문화적응 척도(Acculturation)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MEANS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Berry & Kim(1988)가 제시한 네 가지 문화유형 중 세 가지 유형(주변화, 통합, 분리)은 나타났으나, 동화 유형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군집분석으로 나타난 세 개의 문화유형(주변화, 통합, 분리)에 따라 이주노동자의 연령, 학력, 한국체류기간, 한국어수준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군집별로 학력이나 한국체류기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연령과 한국어 수준에서는 군집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주변화 군집의 연령이 분리와 통합 유형의 군집의 연령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통합 군집의 한국어 실력이 분리 군집의 한국어 실력보다 높았으며 주변화 군집의 한국어 실력이 분리 군집보다 높았다. 넷째, 본 연구에서 나타난 세 개의 군집(주변화, 통합, 분리)별로 차별, 사회적 지지, 우울을 경험하는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주변화 군집은 분리와 통합 군집에 비해 우울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주변화 군집은 통합 군집에 비해 차별 지각이 유의하게 높았다. 사회적지지 수준에서 문화적응 유형별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국내 이주노동자의 문화적응과 정신건강 현황에 대해 탐색한 연구이며, 국내 이주노동자의 문화적응 유형별 차별지각, 사회적지지 지각, 우울 수준이 다르다는 것을 밝힌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주변화 유형은 통합 유형에 비해 우울 수준이 높고, 일상생활에서 더 많은 차별을 지각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이주노동자가 문화에 잘 적응한다는 것은 이주 노동자가 한국 문화에 일방적으로 동화되는 것이 아니며, 고국인과의 관계에만 치중하는 것도 아니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이주노동자가 고국문화를 유지하면서 한국 문화를 수용한다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한국 사회에서 스트레스 상황을 이겨나가는 데 더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앞으로 이주노동자의 문화적응과 정신건강을 위한 정책에 기반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정책적, 사회적 시사점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이주노동자의 문화적응 유형에 따른 한국사회 내 심리사회 적응과 정신건강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과 교육을 마련하는 데 기초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identifying acculturation strategies and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depression, discrimination, assistance from other people according to acculturation strategies, which among immigrant workers in Korea. Because there are no research about depression, discrimination according to acculturation strategies, and few studies in social support for immigrant worker consider acculturation as Unidimensional(김현경, 2009 ; 박근수, & 송병국. 2015). There were 91 immigrant workers investigated in the study by using Everyday and major Discrimination question, CES-D, Assistance from neighborhood, Acculturat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cculturation strategies among immigrant worker in Korea were identified as 3 types. There are integration(high on both), separation (low acculturation and high enculturation), and marginalization(low on both), and there are not assimilation(high acculturation and low enculturation). Secondly, while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evel of education, and period of staying in Korea,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ge and korean level according to the acculturation strategies were confirmed. In detail, in terms of age , marginalization group are larger than separation and integration group. In terms of korean level, marginalization group are larger than Integration group. In period of stayinh in Korea, marginalization and integration group are larger than separation group. let’s take a look at the distributions of cultural adaptation types, the type of integration reaches 38% of the whole, and then followed by marginalization type, it occupies 29.6%. The other two types are the assimilation type and the separation type. They take up 18.9%, and 13.5% respectively. Thir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pulation distribu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rveyed at the immigration center, the type of marginalization reaches 41% and only 27% in the integration group. Surveyed at the heritage community, the type of integration reaches 60% and only 14% in the integration group. Finally,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iscrimination, depression according to the acculturation strategies were confirmed. In terms of depression, marginalization group are larger than seperation integration group. n terms of discrimination, marginalization group are larger than Integration group. In assistance from others,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cculturation strategies.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that characteristics of acculturation among immigrant workers in Korea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acculturation strategies. Unilaterally assimilating korean culture does not mean adapting korea society. In addition, maintaining heritage culture also makes immigrant workers feel a sense of alienation. If immigrant workers both maintain heritage culture and accept Korea culture, immigrant workers could actively cope with stress that they experience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