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아이즈치」 운용실태에 관한 연구

        최지나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얼마 전 까지만 해도 외국어 교육의 중심은 문법능력의 향상에 있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얼마나 문법적 체계에 맞게 자신의 의사를 상대방에게 전달하는가에 중점을 두고 교육이 행해져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의사소통을 하는데 있어서 단순한 문법능력 뿐만 아니라, 상황과 상대에 따른 적절한 언어능력을 중시하는 교육이 활발히 행해지고 있다. 그 중 일본인의 대화 속에서 빈번하게 출현하는 「아이즈치(あいづち:맞장구표현)」는 일본어의 담화구조에 있어서 청·화자간의 회화 진행을 돕는 언어행동으로, 외국인 학습자의 경우 아이즈치에 관한 인식의 차이로 일본인과의 대화 시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따라서, 아이즈치에 관한 이문화의 이해나 언어행동의 이해 및 학습의 필요성은 일본인과의 충분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필수불가결한 학습항목이라 할 수 있다. 최근, 국내는 물론이고 여러 나라에서 일본인의 아이즈치와 비교분석을 하거나, 자국의 아이즈치 운용실태을 알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행해지고 있다. 하지만 계속되는 연구 속에서도 아직까지 교사나 학습자에게 있어서 아이즈치에 관한 인식이나 학습은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듯 하다. 이에 본고는 사회언어요소인 아이즈치 표현이 일본어 교육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고 이를 명확히 밝혀내기 위한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아이즈치 운용실태를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일본어 교육에 있어서 적극적인 지도의 필요성을 밝히는 것을 본고의 연구목적으로 삼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실제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와 일본인의 회화가 녹음된 테이프를 자료로 하여 담화분석을 시도하였다. 담화분석은 학습자가 실제 사용하고 있는 언어의 모습을 그대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학습자의 문제점을 보다 실제적으로 나타내 주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아이즈치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 방법 중 한국내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와 일본인간의 회화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그다지 없었다는 점에서 다른 연구와의 차별을 두고자 한다. 한국인 학습자의 아이즈치 운용실태를 위한 주요 분석 항목으로는 아이즈치의 빈도, 표현형식, 출현위치, 오용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빈도에서는 학습자의 1분당 아이즈치 출현 횟수를 조사하여 선행연구의 경우와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성별과 일본체제유무에 따른 빈도와의 관계도 분석해 보았다. 표현형식에 있어서는 아이즈치詞와 반복, 바꿔 말하기, 먼저 말하기를 학습자의 실제 담화를 예문으로 들어 학습자들의 아이즈치 표현에 관한 실태를 분석해 보았다. 특히 아이즈치詞 항목에서는 학습자들의 종류일람표를 작성하여 학습자들의 아이즈치詞의 종류 및 출현횟수를 분석해 보았으며, 선행연구를 토대로 유형별 아이즈치詞의 적절한 사용위치를 살펴보았다. 또한 출현횟수 및 사용인수에 관한 순위를 분석하여 학습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아이즈치詞가 무엇인지 알아보았으며, 아이즈치詞의 종류수와 빈도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아이즈치 학습에 있어서 빈도의 중요성 뿐만 아니라 풍부한 아이즈치 표현의 학습도 중요함을 밝혔다. 반복, 바꿔 말하기, 먼저 말하기 항목에서는 학습자들의 사용례를 분석하여 이러한 표현이 출현하는 상황과 기능 등을 설명하였다. 아이즈치 출현위치에 관한 분석에서는 학습자들이 일본인과의 대화 시 어느 위치에서 아이즈치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대방이 아이즈치 표현을 넣을 수 있도록 적절한 길이의 발화를 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는 일본어의 담화구조가 청·화자가 함께 진행해 나가는 공화적인 구조로써 필요한 분석항목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학습자의 아이즈치 운용실태에 관한 분석을 위해 학습자에게 보이는 아이즈치 사용의 오용례를 찾아 그 원인 및 적절한 표현을 제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일본인과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실제 담화에 있어서 한국인 학습자의 아이즈치 운용실태를 분석해 보았다. 아이즈치는 개인차에 따라 빈도와 종류면에서 차이가 많이 보이는데 이러한 개인차를 줄이기 위해 보다 다각도에서 아이즈치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하겠다. 특히 1:2회화로 했기 때문에 1:1회화와는 다른 양상을 띨 수 있다는 변수를 고려하지 못한 점, 그리고 5종의 자료 테이프만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미흡함이 남는 점 등은 아쉬움으로 생각하며 금후의 과제로 삼고자 한다. Even not so long ago, it is not exaggerated to say that the focus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lies in improving grammatical ability. Thus its education has been conducted concentrating on how to convey opinions to others in harmony with grammatical system. However, of late, the education is active to highlighting simple grammatical competence as well as proper lingual ability fit for circumstances and counterparts. Of them the expression「Aizuchi(あいづち: chiming-in expression)」often appearing at dialogues with Japanese is the lingual behavior to help proceed conversation between a listener and speaker in Japanese talk, in case of foreign learners, they have trouble conversing with Japanese due to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on Aizuchi. Thus, the understanding of different culture, lingual action and need of learning on Aizuchi can be said to be essential learning item for sufficient communication with Japanese. Recently, those at home or in other countries, are actively conducting comparative analysis of research into Aizuchi, and research into the operation ststus of their own countries. In spite of continuing research, the recognition and study on Aizuchi seems to be insufficient to teachers and learners. Therefor, this essay taking Aizuchi expression as a social lingual factor necessary in Japanese education, seek to look into the Aizuchi operation status of Koreans' Japanese learners in order to clearly explore this. An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clarifying the need of active instruction in Japanese education will be made the main goal of this study. As research method, conversation analysis was attempted using the recorded tape of the conversation between a Korean Japanese learner and a Japanese. Since conversation analysis has a merit to show a learner's problems in that through which the learner can see the picture of the language used. On one hand, this study would like to have discrimination with other studies since few approaches on Aizuchi so far have looked at the conversation between Korean Japanese learners and Japanese. Major analysis items for the operation status of conversation analysis in Korean Japanese learners were its frequency, expression type, apperance position and mis-use example. In frequency, the learner's Aizuchi use frequency per one minute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that of a precedented study. Also it was analyzed with that by gender and Japanese style. In expression type, exemplifying speaking with the actual conversation of a learner, the status of the learner's Aizuchi expression was analyzed. Especially in Aizuchi expression, drawing up the kind list of a learner, the kind and appearance frequency of Aizuchi expression was analyzed, and based on precedented studies, the appropriate use position of Aizuchi expression was explored. Also analyzing the order of appearance frequency and users' number, most frequently used Aizuchi expression was investigated, and looking at the correlation of the kind and frequency of Aizuchi expression, and the importance of its frequency and rich expression learning was emphasized. In repetition, conversion, prior speaking items, a learner's usage was analyzed and the condition and function showing this expression was explained. In the analysis of Aizuchi appearance position, what position a learner uses Aizuchi in conversing with a Japanese, and whether the counterpart utters so proper length as to use Aizuchi expression was explored. Since these are the necessary items as harmonious structure to proceed with a listener and a speaker. Finally, for analyzing a learner's Aizuchi operation status, misuse of Aizuchi expression was found out and the cause and proper expression was presented. As above, Korean learners' Aizuchi operation status in real conversation between Korean learners and Japanese was analyzed. Aizuchi reveals much difference in frequency and kind by individual, so needs to be diversely analyzed to reduce such individual difference. Especially this article lacks considering the variable that one to one conversation may have different phase as it analyzed one to two conversation, and limiting the subject to 5 kinds of data tapes, which will be handed over to the future task.

      • 백남준(1932~2006) 작품 연구 : 시간성을 중심으로

        최지나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의도는 백남준(Nam June Paik)(1932~2006)의 작품세계에서 시간성을 연구하는 데에 있다. 백남준 예술을 전체적으로 가로지르는 특성중 하나가 시간과 관련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시간성을 분석하여 백남준의 작품을 해석하는 것이 글의 목적이다. 백남준은 음악에서부터 행위예술, 비디오예술, 설치예술, 레이저예술을 진행하면서 시간예술과 조형예술의 경계에 위치했다. 백남준은 이렇게 종횡 무진한 예술활동을 펼쳤지만, 그에 대한 비형은 대게 음악가로서의 백남준과 테크놀로지예술가로서의 백남준으로 거칠게 나누어져 왔다. 본 논문은 기존 백남준의 예술세계에 대한 이분법적 논의를 넘어서 그의 전체적인 예술세계를 접근하고자, 시간성을 중심으로 그의 작품세계를 고찰해 보았다. 본 논문의 전개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제Ⅰ장에서는 백남준의 생애, 예술사상의영향, 예술의 획기를 살펴보면서 백남준 예술의 전반적인 지형도를 그렸다. 제Ⅱ장에서는 미술사에서 나타나는 시간의 문제를 다룬 후, 백남준의 작품에서 시간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기 위한 분석적 틀을 만들었다. 제Ⅲ장에서는 백남준의 작품 전개에 따라 일정한 특성을 가진 시간성을 중심으로 작품을 분석해 나갔다. 시대 흐름의 주요한 작품 경향을 기준으로 하되 어떠한 맥락에서 그 경향성이 시작되었고, 그 이후의 작업들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주게 되는지의 관계성까지 살폈다. 그리고 마지막 제Ⅳ장에서는 몇 가지 주요한 시간 구조인 ‘반복성’ ‘동시성’ ‘시간의 재구조화’를 중심으로 작품의 시간성 의미를 여러 관점에서 바라보고 작품들의 해석을 시도했다. 여기에서 백남준의 작품에서 시간의 문제가 시대적, 문화적으로 어떠한 맥락 속에 있는지 바라보면서 넓은 지평에서 백남준의 예술세계를 이해 할 수 있었다. 본문의 내용들을 토대로 백남준 예술 작품들의 시간성은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정리 되었다. 첫째, 체험적이다. 관객의 직접적인 체험을 바탕으로 한다. 둘째, 동시대적이다. 매 시기 발전하는 테크놀로지와 변화한 사회상을 반영하고 그 세계와 관계한다. 셋째, 역사성을 지닌다. 백남준은 일상을 기록했기 때문에 모든 것이 역사적 기록으로서의 가치를 획득하게 된다. 그리고 테크놀로지 자체가 시대성을 지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백남준 예술의 시간은 실존적이라 할 수 있다. 쉽게 말하자면, 백남준은 전쟁, 이데올로기 대립, 제3세계인에 대한 시선, 첨단테크놀로지 발전의 가속화 등을 경험하면서, 인간의 유한한 삶과 세계와의 관계성에서 존재에 관한 질문을 작품들의 시간 구조를 통해 나타낸 것이다. The intent of this paper is to studying on the Temporality of Nam June Paik's works. Nam June Paik's Arts had been done in various area, such as, Music, Performance, Video Art, Installation Art, and Laser Art. However, the criticisms for him has been divided into as a Musician and as a Technology artist. And, interpretations of the Paik's works have been stayed on the same frame. This study attempted to go beyond the traditional dichotomous view of Paik's art world by methodology that analyzed his works through the viewpoint of the temporality. This paper developed as follow: Chapter Ⅰ, Nam June Paik's life, art historical background, and artistic development were simply discussed. Chapter Ⅱ, in art history, works that represented the time or dealed with the problem of time were looked at. After that, tried to make gender analytical framework for the discussion about temporality in the work of Nam June Paik. Chapter Ⅲ, Paik’s work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emporality. Chapter Ⅳ, The meaning of the 'repeatability', 'simultaneity', ‘time collage’ which is mainly appeared temporality on Paik’s art works was interpreted. Based on above discussion, the temporality of Paik’s works was characterized by the three characteristics. At first, it is experiential. His works only can be entirely appreciated through the direct experience. Second, it is contemporary. Paik always adopte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reflected the issues in the world. Third, it is historical. Paik had known that not only human, but also everything has limited life span. So he recorded around him, and exhibited Time itself: music, alive-object, old-object, picture, and so on. In conclusion, the Temporality of Nam June Paik’s Art can be called existential.

      • 항공사 조직문화유형이 객실승무원의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 혁신행동에 미치는영향

        최지나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신규항공기의 도입, 국내·외 저비용 항공사들의 등장 및 항공정책에 따라 치열한 경쟁 환경에 놓여있는 항공사들은 차별성 있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경쟁우위를 달성하기 위해 비전과 전략을 세우고, 그것을 이루기 위해 끊임없는 노력을 하고 있다. 항공 산업은 인적자원에 의존도가 매우 높은 인적서비스 산업으로, 그 중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고객접점인 현장에서 고객의 안전 및 서비스를 담당하고, 문제조정 및 해결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객실 승무원이라 할 수 있다. 항공 이용률 증가와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추어 경영환경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핵심 인력에 대한 조직적인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 따라서 조직은 객실 승무원이 조직에 대한 충성심과 애사심을 가지고 조직에 몰입할 수 있는 조직 문화를 만들어주어야 한다. 또한 조직 몰입의 수준은 개인의 역량 강화와 조직의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개인의 능력을 개발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며 실천하는 일련의 행동인 혁신행동과 조직 구성원의 자유재량의 행동으로 조직의 이미지를 높이고, 자발적이고 헌신적인 행동으로 조직성과에 도움이 되는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떠한 조직문화의 유형이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고, 이 조직몰입이 조직시민행동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설문조사 대상은 국내 K 항공사의 객실승무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수집된 설문자료의 통계는 SPSS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및 타탕성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조직문화 유형이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1에 대한 분석 결과 관계지향문화와 혁신지향문화는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었고, 과업지향문화와 위계지향문화는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몰입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2에 대한 분석결과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몰입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3에 대한 분석결과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조직문화유형에 따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며, 조직몰입은 조직시민행동과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다. 또한 서비스조직의 핵심인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하여 조직에 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직문화의 유형을 제시하여, 조직구성원의 조직에 대한 자발적이고 헌신인 조직시민행동과 조직의 경쟁력의 원천이자 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새로운 아이디어의 개발과 실천의 과정인 혁신행동을 이끌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제안을 제공하였고,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견교환이 자유롭고, 상호 적극적인 업무협조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관계를 구축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소 모임 등의 비공식적인 모임을 통해서 서로 간의 관계지향의 친목을 높여 조직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혁신행동을 이끌기 위해 유용한 아이디어 제안 및 실행을 위한 창구와 제도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현장에서 근무하는 객실승무원에게 유연성을 보장하고 권한위임의 범위를 넓혀 업무처리 시 위축되지 않기 위한 제도마련이 필요하다. 넷째, 새로운 아이디어의 제안과 실행을 위한 분위기를 제도적으로 형성하고, 이룰 수용할 수 있도록 보상제도, 고가반영 및 상장제도를 도입하여 이에 대한 캠페인 및 교육을 통한 확립이 필요하다. With the introduction of new aircraft, domestic and foreign low-cost carriers, and new aviation policy, airline industries have been exposed to highly competitive environment. In order to sustain competitive advantage, it is necessary for them to provide differentiated services from other airlines and establish the strategy and vision for the goal. The airline industry is highly dependent on human resources. Especially, cabin crew are the key elements of the front-line employees who are responsible for services and safety of customers as well as the adjustment and solution to the possible problems.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our airline management with the increase of Load Factor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t is systematically required to give the key human resources full attention and support. Therefore, organizational culture that can lead to commitment, loyalty and devotion to the company needs to be redesigned. In addition,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can influence on both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innovative behavio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s the series of voluntary and devoted acts towards the company and innovative behavior is the ones that develop individual ability and create ideas. These behaviors end up with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what type of Organizational culture improv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ow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ffect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innovative behavio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Literature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were combined. The empirical research of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as the survey by the cabin crew of K airline and SPSS pakage program has been used for various analysi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statements. First, clan culture and adhocracy culture showed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contrast, hierarchy culture and market culture do not affect it. Second, organizationl commitment has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rd,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wed positive influence on innovative behavior. The analysis has shown that the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vary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positive influence on OCB and innovative behavior. This study suggests the organizational culture type that can improv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rder to efficiently manage human resources as the main part of service industry. Furthermore, it can lead OCB and innovative behavior to enhan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ver all.

      • 중학교 기술·가정과 ‘정보통신기술과 생활’ 단원에서 진로교육 수업자료 개발

        최지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교과의 ‘정보 통신 기술과 생활’ 단원의 진로교육 수업자료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크게 준비, 설계, 개선의 3가지 단계로 진행한다. 준비단계로서 단원을 선정하기 위해 기술교과 정보통신기술단원에서 단원분석과 교육과정 분석을 하였고, 진로교육 영역을 선정하기 위해 중학교 진로교육 영역을 기존의 연구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진로교육을 위한 수업자료의 소단원의 내용분석 후 진로교육 영역을 맵핑하였다. 다음은 수업의 설계 단계로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정’에서 2007개정 교육과정에 사용되고 있는 11종 교과서를 분석하여 단원 설계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진로교육 프로그램 모형 중 하나인 SHIP모형을 적용하여 ‘도입’, ‘활동’, ‘정리’의 단계로 수업자료를 개발한 후 설문지를 이용하여 전문가 평가를 받아 수업자료의 타당성을 높였다. 마지막으로 수업의 실행단계로서 충청북도 청주시 중학교 2학년 학생 3명을 대상으로 파일럿 테스트를 ‘도입’, ‘활동’, ‘정리’의 단계로 진행하고, 학생에 의한 평가 후 수정·보완 하여 최종 자료 개발을 완료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된 수업자료는 기술·가정과 ’정보통신기술과 생활‘ 단원의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정 내용을 잘 반영하고 있고 중학교 진로교육 영역을 추출하여 개발하였기 때문에 중학생을 위한 수업자료로 적절하며, 중학교 진로교육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둘째.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정에 관련된 다양한 직업을 접하고 정보통신기술 단원에 더욱 더 관심이 생기고 진로 탐색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을 것이다. 셋째. 2007개정 교육과정의 ‘정보통신기술과 생활‘ 단원의 진로교육을 위한 수업자료로서 교사들이 교과시간에 수업자료로 부분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진로교육과 관련된 재량활동, 창의적체험활동에 학년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다. 2009개정 교육과정의 ‘정보통신기술’ 중단원에서는 정보통신기술의 진로교육에 대한 소단원이 배정되어 있으므로 소단원의 교과시간에 수업자료로 부분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 영어과 수준별 이동수업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최지나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학습 집단을 재구성하여, 각 집단의 능력에 맞는 교육을 실시하는 수준별 이동수업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 대상으로 경기도 소재 중학교 2학년 5개 반 학생 192명을 선별하여 수준별 이동수업을 적용한 후, 실시 이전과 이후의 학업성취도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수준별 교육과정이 영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준별 이동수업이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객관적인 자료로서 2차례에 걸친 정기고사 성적을 분석하였다. 각 정기고사는 해당 학년을 담당하는 교사들이 공동 출제한 것으로, 2005년 2학기 기말고사 성적과 2006년 1학기 중간고사 성적을 학업성취도 증감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자료로서 활용하였다. 이러한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는 통계 처리 프로그램인 “SPSS for windows”와 독립표본 T-검정 (Independent Two Samples T-Test) 통계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수준별 교육과정이 영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그리고 동일 연구 대상 학생들이 수준별 이동수업에 대해 어떠한 태도와 견해를 가지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수준별 이동수업의 실시로 심화반의 경우에는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보충반의 경우에는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둘째, 수준별 이동수업의 실시로 나타난 학업성취도의 변화에는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준별 이동수업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수준별 이동수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학습자의 수준별 반 편성이 단순히 우열반 편성이 아님을 인지시켜, 자신의 성적에 특히 민감한 청소년기의 학습자들이 자신이 소속된 단계에 우월감이나 열등감을 갖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는 영어 성적의 총점을 기준으로 학생들을 단계별로 구분하기보다는 기능별로 나누어서 듣기 반, 말하기 반, 쓰기 반 등으로 구분하는 방안이 있을 수 있다. 둘째, 수준별 이동수업에서 모든 단계의 학습자에게 동등한 관심과 노력이 요구되나, 특히 학습의 소외 계층인 하위집단에게 가장 큰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셋째, 각각의 수준에 맞는 다양한 학습자료가 개발되어 수업에 적극 활용된다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넷째, 수준별 수업과 동시에 각 단계별 학습 내용에 맞는 수준별 평가가 시행된다면 학습자의 동기유발과 함께 그들의 성취감 및 자신감을 높이는 훌륭한 교육방법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n achievement of ability-based mobile class of English. In this method of teaching, the classes are divided by which the ability that each group of students has. It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if students whose levels are the same are grouped together, they will show better achievement in leaning.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ten classes in the second grade of a secondary school were chosen to be examined. The experiment group was specified into two sub-groups - higher and lower level classes - according to the test score. To compare the achievement of each group, final exam (taken before practicing the method) and mid-term exam (taken after practicing the method) were used.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the Independent Two Samples t-Test and the Paired Two Samples t-Test. Also a survey was done to see what kinds of attitudes and feelings the students had about the ability-based mobile cla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 of the higher group did not change while the one of the lower group showed a meaningful decrease. This meant that the ability-based mobile class did not give a positive influence to the lower level class. Second, there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achievement between male students and female ones. However, the result was that the method gave a little positive influence on the male ones than female one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students should not have the feeling of pressure or rejection on the ability-based mobile class. They should realize that the class which they belong to is not divided for them to feel superiority or inferiority. The teacher should remind the students that the class division is meant to provide the lecture that is appropriate to their level and accomplish the goal of leaning. Students' better understanding on the mobile class will help them to perform better in the class.

      • 응급실 간호사의 무례함 경험, 임파워먼트, 회복탄력성이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최지나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무례함 경험, 임파워먼트, 회복탄력성이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C도와 J도에 소재한 10개의 응급의료기관 또는 응급의료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응급실 간호사 158명이었다. 자료는 일반적 특성, 무례함 경험, 임파워먼트, 회복탄력성, 전문직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0년 11월부터 12월까지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무례함 경험은 5점 만점에 평균평점 2.53±0.62점이었다. 하위영역 중 환자와 가족의 무례함이 가장 높았고, 의사의 무례함, 상사의 무례함, 동료의 무례함 순이었다. 2. 임파워먼트는 5점 만점에 평균평점 3.20±0.52점이었다. 하위영역 중 지지가 가장 높았고, 기회, 정보, 자원 순이었다. 3. 회복탄력성은 4점 만점에 평균평점 2.36±0.53점이었다. 하위영역 중 지지가 가장 높았고, 인내력, 낙관성, 강인성, 영성 순이었다. 4. 전문직 삶의 질은 50점 만점에 공감만족은 32.24±6.29점, 소진은 28.22±4.94점, 이차외상성 스트레스는 26.50±5.89점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삶의 질의 하위영역 공감만족, 소진, 이차외상성 스트레스를 파악한 결과, 공감만족은 성별(t=2.68, p=.008), 종교 유무(t=2.96, p=.004), 최종학력(F=4.63, p=.011), 직무만족도(F=12.88,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소진은 종교 유무(t=-2.05, p=.042), 직무만족도(F=19.26, p<.001), 부서이동희망 여부(t=2.02, p=.04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이차외상성 스트레스에서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6. 대상자의 무례함 경험, 임파워먼트, 회복탄력성과 전문직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파악한 결과, 전문직 삶의 질의 하위영역인 공감만족은 무례함 경험(r=-.34, p<.001)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임파워먼트(r=.21, p=.009), 회복탄력성(r=.65, p<.001)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전문직 삶의 질의 하위영역인 소진은 무례함 경험(r=.42,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임파워먼트(r=-.20 , p=.014)와 회복탄력성(r=-.57 p<.001)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전문직 삶의 질의 하위영역인 이차외상성 스트레스는 무례함 경험(r=.18, p=.027)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7. 대상자의 전문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공감만족의 영향요인은 회복탄력성(β=.57, p<.001), 직무만족도(β=-.24, p<.001), 최종학력(β=.14, p=.022)이었으며, 설명력은 51%였다(F=22.02, p<.001). 소진의 영향요인은 회복탄력성(β=-.48, p<.001), 직무만족도(β=-.22, p=.002), 무례함 경험(β=.22, p=.003)이었으며, 설명력은 42%였다(F=18.35, p<.001). 그리고 이차외상성 스트레스의 영향요인은 무례함 경험(β=.18, p=.027)이었고, 설명력은 3%였다(F=5.02, p=.027) 본 연구결과를 통해 응급실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의 하위영역인 공감만족은 회복탄력성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고, 소진은 회복탄력성, 무례함 경험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이차외상성 스트레스는 무례함 경험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응급실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병원 차원에서 무례함 경험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대처해야하며,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공감만족을 높이고, 소진과 이차외상성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o identify the effects of incivility experience, empowerment, and resilience on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mong the emergency room nurses. The study subjects were 158 nurses who have at least 6 months of working experiences in Regional medical institutions and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located in C province and J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to December, 2020 using structured self-reported survey to measure general characteristics, incivility experience, empowerment, resilience,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of the emergency room nurs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25.0 progra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incivility experience score was 2.53±0.62 out of 5. Incivility by patients and their familie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incivility from doctors, incivility from supervisor, and incivility from co-worker. 2. The mean empowerment score was 3.20±0.52 out of 5. Support was the highest, followed by opportunity, information, and resource. 3. The mean resilience score was 2.36±0.53 out of 4. Support was the highest, followed by persistence, optimism, hardiness, and spirituality. 4.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score was 32.24±6.29 out of 50 for compassion satisfaction, 28.22±4.94 out of 50 for burnout, and 26.50±5.89 out of 50 for secondary traumatic stress. 5. Participants’ compassion satisfaction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gender (t=2.68, p=.008), religion (t=2.96, p=.004), education level (F=4.63, p=.011), and job satisfaction (F=12.88, p<.001). Burnout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religion (t=-2.05, p=.042), job satisfaction (F=19.26, p<.001), and desire to transfer to a different unit (t=2.02, p=.045). However,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according to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6. Regarding the correlation among incivility experience, empowerment, resilience,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compassion satisfac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civility experience (r=-.34, p<.001)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powerment (r=.21, p=.009) and resilience (r=.65, p<.001). The burnout component of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civility experience (r=.42, p<.001)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empowerment (r=-.20 , p=.014) and resilience (r=-.57 p<.001). The secondary traumatic stress component of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civility experience (r=.18, p=.027). 7. Resilience (β=.57, p<.001), job satisfaction (β=-.24, p<.001), and education level (β=.14, p=.022) were identified as the predictors of compassion satisfaction, and these factors explained for 51% of the variance (F=22.02, p<.001). Resilience (β=-.48, p<.001), job satisfaction (β=-.22, p=.002), and incivility experience (β=.22, p=.003) were identified as the predictors of burnout, and these factors explained for 42% of the variance (F=18.35, p<.001). Incivility experience (β=.18, p=.027) was identified as a predictor of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it explained for 3% of the variance (F=5.02, p=.027).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resilience significantly predicted the compassion satisfaction component of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while resilience and incivility experience significantly predicted the burnout component of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Incivility experience significantly predicted the secondary traumatic stress component of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in emergency room nurses. Thus, hospitals should pay attention to and actively deal with nurses’ incivility experiences and administer programs that enhance their resilience in order to boost compassion satisfaction while reducing burnout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to ensure improvement in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for emergency room nurses.

      • 농촌지역 주민역량강화교육 전·후 주민만족도 분석

        최지나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Currently, it is predicted that 4 out of 10 cities, counties, and districts nationwide may disappear in the near future due to the aging population and the outflow of young people in Korea. In response to this theory of local extinction, the paradigm of rural policy has changed from government-led agricultural production-based projects to spacial policy of rural area. The newly changed agricultural policy aims to preserve rural cultures, traditions, and landscapes so that rural areas can be maintained and sustainable, and to improve the settlement environment of residents. Under this background, various rural development projects suitable for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being carried out nationwide. The general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 development project aims to increase the income and basic living level of residents in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s, improve rural amenities, and promote regional specialized development. In particular, the rural central revitalization project aims to strengthen the central function and provide hinterland services by strengthening the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central to eup and myeon locations in general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s. However, in evaluating project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maintain regional specificity by improving the settlement environment of residents, studies on resident perception, changes in resident competency, and resident satisfaction have been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Geumji-myeon, Namwon-si, Jeollabuk-do as an example and studied how changes in resident perception and resident competency affect resident satisfaction as residents participate in the rural central revitalization project. After three years of training for strengthening residents' competencies compared to the beginning of the project, residents' awareness, participation (conference, education) in the project increased, and the need for additional projects was also strongly felt. Second, as the project proceeded, changes in residents' competencies were clearly confirmed, and residents themselves recognized that their competencies had improved. Third, both changes in resident perception and resident competency had a positive effect on resident satisfaction. From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t is expected that the project will be carried out smoothly if residents' competency education is preferentially implemented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the project, establishing a local community, and based on cooperation between residents. In addition, since residents'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is estimated to be proportional to changes in residents' competencies, participation opportunities should be increased by motivating residents in various ways so that they can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oject. It is expected that residents' perceptions will change and their capabilities will be strengthened through education on strengthening residents' capabilities in rural center activation projects, which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residents' satisfaction, regional revitalization, and community recovery. This study has empirically analyzed the impact of resident competency education on residents' perception, capacity change, and resident satisfaction in the region, and it is meaningful in terms that it has identified that resident competency enhancement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residents' lives over time.

      • 열등감으로 인한 증상과 마음의 문제에 대한 성경적 상담

        최지나 총신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창세기에서 말하고 있는 아담과 하와의 원죄가 모든 관계와의 단절, 즉 하나님과 인간과 자연과의 단절을 말하는 것처럼 우리는 과학의 진보와 기술의 발전 앞에서 다시 한 번 하나님과의 관계와 인간과의 관계, 또 자연과의 관계가 더욱 소원해지고 멀어짐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관계의 단절과 원래 우리가 창조된 목적대로 하나님의 형상을 지닌 자로서의 삶을 사는 일에 실패한 것은 인간으로 하여금 끊임없이 자신의 존재에 대한 질문에 답을 찾는 일에 집중하게 한다. 그러나 이것은 자신의 존재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하나님이 아닌 다른 무언가를 찾아 경배하거나, 혹은 누군가의 인정과 존중을 받고 싶은 마음으로 나아간다. 때문에 상대적으로 자신의 존재가 더 빛나지 않는 것에 대해, 자신이 더 많은 물질을 가지지 못한 것에 대해,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지 못하는 것에 대해 고민하고 갈등하며 열등감에 사로잡혀 자신의 존재 가치를 잃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열등감에 사로잡힌 사람들을 돕기 위한 가장 근본적인 과제가 자존감 회복이나 자기사랑이 아닌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임을 강조하고 있다. 인간 문제에 대한 실마리가 영적인 존재로서의 자신을 발견하고 하나님 안에서의 자신을 찾는 것에서 시작할 때 가능하다는 것을 전제로 출발하고 있다. 그럼으로써 사도 바울이 하나님 안에서 자족하는 일체의 비결을 깨닫고(빌4:11-13) 나아간 것과 같이 열등감을 극복하고 참 자유하는 삶을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을 성경적 상담의 방법으로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 열등감의 이해에서는 인본주의 심리학이 하나님을 떠난 인간에 대한 이해 없이 본질적인 마음의 문제를 찾지 못하고 열등감의 현상적인 측면만을 강조한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이에 반해 성경적 상담학적 측면에서는 열등감의 문제와 겉으로 드러나는 증상의 이면에는 각 사람의 사고와 동기가 있음을 살펴보면서 열등감을 일으키는 마음의 문제를 직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이에 성경에서 말하는 인간 이해를 바탕으로 열등감의 원인을 교만, 하나님의 메시지와 사단의 메시지, 자기 욕구라는 우상임을 말하였다. 다음은 성경적 상담의 방법을 통하여 열등감을 어떻게 구체적으로 적용할 것인지 연구해 보았다. 우선 성경적 상담의 방법과 원리를 살펴보고 성경에 나오는 인물들을 열등감을 극복한 인물과 극복하지 못한 인물로 나누어 그 차이점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결국 자신의 존재에 대한 가치의 문제는 하나님 안에서 찾을 때 해결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즉, 열등감의 해결방안은 성경적 상담을 통하여 극복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열등감의 문제로 고통받는 내담자에게 성경적 상담을 적용하여 상담한 결과 열등감으로 인한 증상의 이면에 있는 마음의 문제를 해결하였을 때 열등감이 해결되고 일상생활 속에서 하나님께 감사하며 자족하는 생활을 하는 내담자의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열등감을 극복하는 길은 나의 있는 모습 그대로를 용납하시고 받아주시는 그리스도를 만나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나 자신이 누구인가에 대한 질문에 답을 하나님 안에서 찾게 된다면 우리의 마음에 하나님의 마음이 회복되고 나의 능력이 아닌 하나님의 도우심과 은혜로 능력을 넘어서는 일들을 감당하게 될 것이며 더 이상 다른 누군가와 혹은 무언가와 비교하지 않고도 마음에 평안을 누리게 될 것을 확신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