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암환자 영적간호요구에 대한 간호사의 인지와 수행

        정지숙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71

        인간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 ·심리적 요소와 함께 영적인 요소가 통합되어 유기적으로 작용하는 독특한 존재이다. 현대 간호는 전인간호를 지향하고 있으며, 영적간호는 신체적, 정신적 간호와 더불어 간호의 필수 차원이다. 암환자들은 의미의 추구, 신과의 연결을 추구, 용서 등의 다양한 영적요구들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영적요구에 대해 의료인으로부터 영적간호를 제공받기를 원하지만 실제적으로 영적간호를 제공받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영적간호요구에 대한 인지 정도와 수행 정도 및 그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B광역시의 1개 대학병원과 U광역시의 1개 대학병원에서 암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 134명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로 영적간호요구에 대한 인지 측정도구는 지기순(1995)이 암환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영적간호요구 사정도구를 인지에 맞게 본 연구자가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영적간호요구에 대한 수행 측정도구는 지기순(1995)이 암환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영적간호요구 사정 도구를 수행에 맞게 본 연구자가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1년 10월 20일부터 동년 11월 12일 까지였다. 자료수집방법은 먼저 U 대학병원 임상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B광역시의 K대학병원과 U광역시 U대학병원의 간호부를 방문하여 연구목적 및 방법을 설명하여 자료수집의 허가를 얻었다. 이어 연구보조원이 연구에 참여를 동의한 대상자에게 연구참여 동의서를 받고 설문지를 배부하여 기록케 한 다음 회수 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 program을 사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와 Sheffe test 및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대상자의 영적간호요구에 대한 인지 정도는 평균이 167.48±22.96(도구범위:42-210), 평균평점이 3.99±0.54(척도범위:1-5)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는 사랑과 관심에 대한 영역은 평균평점이 4.33±0.5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은 의지 및 인정받고 싶은 영역이 평균평점이 4.20±0.54, 종교적 영역이 평균평점이 3.75±0.77 의 순서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영적간호요구에 대한 수행 정도는 평균이 130.53±25.02(도구범위:42-210), 평균평점이 3.11±0.60(척도범위:1-5)으로 중간정도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는 사랑과 관심에 대한 영역이 평균평점이 3.50±0.58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은 의지 및 인정받고 싶은 영역이 평균평점이 3.30±0.60점, 종교적 영역이 평균평점이 2.53±0.80의 순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총 영적간호요구에 대한 인지 정도와 수행 정도의 비교에서는 영적간호요구에 대한 인지 정도가 수행 정도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12.595, p=<.001). 대상자의 영역별 인지 정도와 수행정도의 비교에서 사랑과 관심에 대한 영역(t=12.213, p=<.001), 의지 및 인정받고 싶은 영역(t=12.595, p=<.001) 및 종교적 영역(t=15.043, p=<.001) 등 세 영역 모두 인지 정도가 수행 정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대상자의 문항별 영적간호요구에 대한 인지 정도와 수행 정도의 비교에서는 모든 문항에서 인지 정도가 수행 정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4.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총 영적간호요구에 대한 인지 정도는 연령(F=3.291, p=.023)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상자의 근무관련 특성에 따른 총 영적간호요구에 대한 인지 정도는 암환자 간호경력(F=3.662, p=.014)과 직위(t=-2.274, p=.02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상자의 종교관련 특성에 따른 총 영적간호요구에 대한 인지 정도는 종교(F=10.271, p<.001), 삶에 종교의 영향 정도(F=4.884, p=.001), 신앙생활 기간(F=4.714,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총 영적간호요구 수행 정도는 어느 특성(인구사회학적, 근무관련, 종교관련 특성)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6. 간호사의 영적간호요구에 대한 인지 정도와 영적간호요구에 대한 수행 정도의 관계는 중간정도의 정 상관관계(r=.405,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암환자 영적간호요구에 대한 간호사의 인지 정도는 높았으나 수행 정도는 중간 정도로 나타났으며, 영적간호 인지 정도와 수행 정도의 관계는 중간정도로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영적간호요구에 대한 인지 정도와 수행정도는 여러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전인간호를 추구하는 현대간호에서 간호사의 암환자 영적간호 인지와 수행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고려하여 영적간호요구에 대한 인지가 수행으로 까지 나타날 수 있도록 영적간호의 수행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 미용종사자의 성격강점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정지숙 창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Purposes: In the changing environment of the beauty industry, the competence of manpower is needed to meet the creative technology development and management strategies for customers. The beauty industry is highly dependent on human resources such as technology and service due to its management structu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beauty industry workers by categorizing the character strength,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and identifying the effects and pathways that affect job performance of beauty industry workers through research. Methods: This study recruited 449 subjects who are engaged in the beauty field such as beauty salons, nail salons and skin care shops in Busan and Gyeongsang province. The survey using a self-questionnaire was conducted between 15 April and 10 May 2021.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 .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e case of gender, 321 women (71.5%) responded higher than men 128(28.5%), and inters of age, 198 people (44.1%) aged 30 to 39 responded the most. In the case of marital status, 241 people (53.7%) were single,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208 people (46.3%) who were married. In the case of educational status, those who attended a collage of less thad the highest response rate with 213(47.4%), and in the case of work experience, those with 1 to 5 years or less had the highest response rate with 143(31.8%). In this case, managers (leaders) had the highest response rate with 180 people(40.1%). In the case of salary level, those with more than 2 million won anad less that 3 million won had the highest response rate with 148 people(33.0%), and for the number of days off, 4~5 days had the highest response rate with 221 people (49.2%). Also, skin care had the highest response rate with 146 people (32.5%). Second, wisdom and knowledge, courage, love and humanity, sense of justice, self-control, spirituality and transcendence, which are sub-factors of character strength,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When the score of character strength is high,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at self-efficacy,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lso increas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personality strengths on cosmetology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job performance, the six sub-factors of character strength (wisdom and knowledge, courage, love and humanity, sense of justice, self-control, spirituality and transcende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robability of 0.000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job performance under 95% confidence level. All of the sub-factors for character strength have positive values of the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 so it can be said that they all have a positive effect. Among the sub-factors for character strength, the factor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pirituality and transcendence ( = 0.345), which have the highest standardization coefficient values, and the order of influence is spirituality and transcendence > sense of justice > self-control> wisdom and knowledge> love and humanity> courage.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personality strengths on cosmetology worker’s job satisfaction to job performance, the six sub-factors of character strength (wisdom and knowledge, courage, love and humanity, sense of justice, self-control, spirituality and transcende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robability of 0.000 on job satisfaction under 95% confidence level. All of the sub-factors for character strength have positive values of the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 so it can be said that they all have a positive effect. Among the sub-factors for character strength, the factor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pirituality and transcendence ( = 0.316), which have the highest standardization coefficient values, and the order of influence is spirituality and transcendence > sense of justice > courage > love and humanity> self-control> wisdom and knowledge .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character strength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osmetologists,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plays a complete mediating role between wisdom and knowledg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step 1, step 2 and step 3 of the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step,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parameter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dependent variable in step 3,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valu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0.305, it can be seen that it plays a complete mediating role. Six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character strengths and job satisfaction of beauty industry workers,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plays a complete mediating role between wisdom and knowledge and job satisfaction. In step 1, step 2 and step 3 of the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step,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parameter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dependent variable in step 3,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valu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0.749, it can be seen that it plays a complete mediating role. Conclusions: In conclusion,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a direct and indirect mediation effect on character strengths and job perform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among character strengths, wisdom and knowledge were found to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nly through self-efficacy. Since it has a direct impact, it can be seen that self-efficacy improvement is essential in order to link the abilities of cosmetologists (curiostiry, enthusiasm for learning, judgment, creativity, sociability and foresight) to job performance. Although the personality strengths of beauty industry workers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 job perform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t can be seen that job performance can be further enhanced if self-regulation and self-esteem are improved and self-efficacy is improved. 연구목적: 미용종사자의 직무성과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미용종사자의 성격강점과 자기효능감에 주목할 필요가 있고 미용종사자의 성격강점과 직무성과 사이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본 연구는 미용종사자의 성격강점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 조사대상은 부산 및 경남지역에서 미용실, 네일샵 및 피부관리실 등 미용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대상자 500명으로 4월 15일에서 5월 10일까지 총 26일에 거쳐 온라인,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진행되었으며 총 500부를 배포하여 불성실한 응답의 설문지를 제외한 최종 449부를 SPSS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종사자의 성격강점, 자기효능감, 직무성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성격강점의 하위요인인 지혜·지식, 용기, 사랑·인간애, 정의감, 절제력, 영성과 초월은 서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성격강점의 점수가 높으면 자기효능감, 직무몰입 및 직무만족도도 높아지는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자기효능감은 성격강점의 모든 하위요인, 직무몰입 및 직무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직무몰입 및 직무만족도 역시 성격강점 및 자기효능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미용종사자의 성격강점에 대한 6개 하위 영역(지혜·지식, 용기, 사랑·인간애, 정의감, 절제력, 영성과 초월성)이 직무성과의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성격강점에 대한 6개 하위 영역 모두에서 유의확률 값이 0.000으로 신뢰수준 95%하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강점에 대한 6개 하위 영역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성격강점에 대한 6개 하위 중 조직몰입도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요인은 영성과 초월성(=0.345)이고 정의감, 절제력, 지혜·지식, 사랑·인간애, 용기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용종사자의 성격강점이 직무성과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미용종사자의 성격강점에 대한 6개 하위 영역(지혜·지식, 용기, 사랑·인간애, 정의감, 절제력, 영성과 초월성)이 직무성과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성격강점에 대한 6개 하위 영역 모두에서 유의확률 값이 0.000으로 신뢰수준 95%하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강점에 대한 6개 하위 영역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으며, 성격강점에 대한 6개 하위 중 직무만족도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요인은 표준화 계수 값이 가장 높은 영성과 초월성(=0.316)이고 정의감, 용기, 사랑·인간애, 절제력, 지혜·지식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미용종사자의 성격강점과 조직몰입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결과, 미용종사자의 성격강점에 대한 6개 하위 영역과 직무성과의 조직몰입도 사이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 변수 역할을 하는가에 대한 분석 결과 지혜·지식과 조직몰입도 사이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 역할 분석 결과, 매개효과 검증 단계의 1단계, 2단계, 3단계에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및 매개 변수의 관계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고 3단계에서의 독립변수 및 매개변수와 종속변수의 회귀분석 결과 유의확률 값이 0.305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아 완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미용종사자의 성격강점과 직무만족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결과 미용종사자의 성격강점에 대한 6개 하위 영역과 직무성과의 직무만족도 사이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변수 역할에 대한 분석 결과 지혜·지식과 직무만족도 사이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 역할을 하는가에 대한 분석 결과, 매개효과 검증 단계의 1단계, 2단계, 3단계에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및 매개 변수의 관계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고 3단계에서의 독립변수 및 매개변수와 종속변수의 회귀분석 결과 유의확률 값이 0.749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아 완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자기효능감은 성격강점과 직무성과(조직몰입 및 직무만족도)에 직·간접적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격강점 중 지혜와 지식은 자기효능감을 통해서만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므로 미용종사자의 능력(호기심, 학구열, 판단력, 창의성, 사회성 및 예견력)을 직무성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 향상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미용종사자의 성격강점이 직무성과(조직몰입 및 직무만족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스스로 자기를 조절하고 자신의 존재감을 만들어 가면서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면 직무성과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 급식환경에 따른 학교급식의 만족도 조사 : 배식방법을 중심으로

        정지숙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국문요약 급식환경에 따른 학교급식의 만족도 조사 - 배식장소를 중심으로 - 본 연구는 중학교 급식의 배식장소에 따른 학생의 급식 만족도를 알아 보기 위하여 경기도 S지역에 위치한 중학교를 중심으로 일반적인 특성과 급식환경 및 급식 음식에 대한 만족도를 비교하였다. 향후 학교급식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급식배식 방법 개선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1. 배식장소(교실배식과 식당배식)에 따른 급식 환경 만족도 비교 배식장소에 따른 학교급식 환경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교실배식에 비해 식사장소, 식사분위기, 배식시간의 적정성에서 교실배식이 식당배식에 비해 만족도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그러나 교실배식 집단(2.76)이 식당배식 집단(2.60)보다 식판정리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고, 급식에 대한 불만을 표시 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자 중 동일교내에서 식단이 같지만 배식장소가 다른 학생을 대상으로 교실배식 집단과 식당배식 집단의 학교급식 환경의 만족도를 조사 분석한 결과, 식사장소(교실배식 3.97, 식당배식 2.90)와 식사분위기(교실배식 3.48, 식당배식 2.91), 배식시간의 적당함(교실배식 3.45, 식당배식 2.66)에서 교실배식 집단이 식당배식 집단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만족도 점수가 나타났다(p<0.001). 2. 잔식정도에 따른 급식 환경 만족도 비교 학교급식에서 음식을 남기는 정도에 따라 잔식 없이 거의 다 먹는 집단(A집단), 가끔 남기는 집단(B집단), 항상 남기는 집단(C집단)으로 나누었다. A, B, C 세집단의 학교급식 환경에 대한 만족도 비교 결과 배식온도의 적정성에서 A집단(3.62)이 B집단(3.45)과 C집단(3.34)보다 유의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식사장소 만족도에서도 A집단(3.58)과 B집단(3.44)이 C집단(3.12)보다 유의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식사분위기의 안정성에서 A집단(3.41)과 B집단(3.24)이 C집단(3.03)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배식시간의 적당성에서는 A집단(3.22)이 B집단(3.01)과 C집단(2.86)보다 유의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식사환경의 청결에 대해서는 A집단(3.03)이 C집단(2.79)보다 유의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3. 성별에 따른 급식 환경 만족도 비교 성별에 따른 급식 환경 만족도를 비교해 본 결과, 남자(3.69)가 여자(3.37)보다 배식온도에 유의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배식시간에서는 여자(3.19)가 남자(2.80)보다 유의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식사 후 수업에 지장이 있는 것에 대해서는 남자(2.67)가 여자(2.49)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5), 급식에 대한 불만을 표시할 수 있는 기회에 대해서는 여자(2.35)가 남자(2.15)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4. 배식장소에 따른 급식 음식에 대한 만족도 비교 교실배식 집단과 식당배식 집단의 학교급식 음식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 교실배식 집단(3.40)이 식당배식 집단(3.16)보다 음식의 양에 대해 유의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위생 만족 정도에 대해서는 식당배식 집단(3.03)이 교실배식 집단(2.76)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식단의 영양균형성이나 국의 다양성, 반찬의 적정염도, 반찬의 다양성, 음식의 맛, 식단 만족 정도, 음식 색의 조화, 급식비 적당성, 후식제공 횟수에 대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조사 대상자 중 같은 식단을 제공받지만 배식장소가 다른 학생을 대상으로 교실배식 집단과 식당배식 집단의 급식 음식 만족도를 조사 분석한 결과, 음식의 양에 대한 만족도는 교실배식 집단(3.57)이 식당배식 집단(3.19)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국의 다양성에 대한 만족도는 교실배식 집단(3.15)이 식당배식 집단(2.87)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1), 반찬의 다양성에 대한 만족도 또한, 교실배식 집단(3.08)이 식당배식 집단(2.86)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5. 잔식 정도에 따른 급식 음식에 대한 만족도 비교 조사대상자를 학교급식에서 음식을 남기는 정도에 따라 잔식없이 거의 다 먹는 집단(A집단), 가끔 남기는 집단(B집단), 항상 남기는 집단(C집단)의 급식 음식에 대한 만족도를 비교해 본 결과, 음식의 양에 대한 만족도는 A집단 3.49, B집단 3.29, C집단 3.05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01). 식단의 영양균형성에 대한 만족도는 A집단(3.41)이 B집단(3.18)과 C집단(3.05)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국의 다양성에 대한 만족도도 A집단(3.40)이 B집단(3.03)과 C집단(2.89)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반찬의 적정염도에 대한 만족도는 A집단(3.27), B집단(3.07), C집단(2.89)순으로 유의적인 높게 나타났다(p<0.001). 반찬의 다양성에 대한 만족도도 A집단(3.36), B집단(3.05), C집단(2.75) 순으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01), 음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는 A집단(3.27), B집단(2.95), C집단(2.71) 순으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식단만족 정도에서도 A집단(3.27), B집단(2.88), C집단(2.61) 순으로 나타났다(p<0.001). 위생 만족 정도는 A집단(3.05)이 B집단(2.80)과 C집단(2.70)보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승강장의 BIM 기반 설계

        정지숙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최근 건설 산업에서 신설 프로젝트에 소요되는 비용, 시간, 공기에 관한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빠르고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한 PC(Precast Concrete) 공법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 공법은 부품을 규격화시킴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되며, 기존의 공법들과는 달리 사전에 공장에서 부재를 대량 생산하기 때문에 품질이 안정됨과 동시에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철도 역사의 경우에도 PC 부재를 사용하여 승강장을 신설하거나 재건축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나, 철근배근 및 부재 조립 시 오류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재설계 비용의 부담으로 활성화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PC 부재의 설계 프로세스에 BIM 기술을 도입하여 재설계를 줄이고 프로세스를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먼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승강장의 설계 프로세스를 고려하여 파라메트릭 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한 모델을 구축한 후, 3D 모델의 파라미터를 구조계산서와 연동할 수 있는 모듈을 개발하였다. 이 모듈은 설계 변동에 따른 재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물량 등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게 하므로, 설계 단계에서 모델의 경제성을 검토하고 대안을 선정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더불어 구축된 모델을 간섭 검토 및 4D simulation에 적용해봄으로써 승강장의 정보모델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간호사의 유니폼에 대한 만족도와 전문직 자기이미지에 관한 연구

        정지숙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유니폼에 대한 만족도와 전문직 자기이미지를 알아보고 그 관계를 파악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니폼의 만족도와 전문직 자기이미지를 파악하며, 이 둘의 상관관계의 알아보아 간호사의 유니폼을 통한 전문직 자기이미지 형성전략에 필요한 자료를 얻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내에 소재한 두 개의 대학부속병원으로 그중 중환자실, 회복실, 수술실, 중앙공급실 등 특수 유니폼을 착용하는 부서를 제외한 일반병동 근무 간호사 중 20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00년 9월 14일부터 9월 22일까지였다. 연구도구로는 간호사의 유니폼의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본 연구자가 만든 유니폼 만족도 도구와 Arthur(1990)가 개발한 도구를 송경애와 노춘희(1996)가 번역 및 수정 보완한 PSCNI 도구를 사용하였다. 각 도구의 Cronbach α는 유니폼 만족도가 0.90, PSCNI가 0.86이었다. 자료 분석은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t-test, One-way ANOVA, Pearson's r 등의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 Scheffe test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사의 유니폼에 대한 만족도는 4점 만점에 2.52점으로 중간수준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영역별로는 상징성 영역 2.48점, 심미성 영역 2.60점, 기능성 영역 2.44점으로 심미성 영역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2. 유니폼의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연령(F=4.05, P=.0189), 병원 총 근무경력(F=4.25, P=.0061) 등 2개 항목이었다. 3. 간호사의 전문직 자기이미지의 평균 점수는 4점 만점에 2.75점으로 중상위 수준을 나타냈고, 구성영역별로는 전문적 실무영역 2.79점, 만족감 영역 2.52점, 의사소통 영역 2.97점으로 의사소통영역이 가장 높았고, 만족감 영역이 가장 낮았다. 4. 전문직 자기이미지에 차이를 보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연령(F=17.85, P=.0001), 결혼상태(T=5.18, P=.0000), 학력(F=8.72, P=.0002), 직위(T=-5.29, P=.0000), 병원 총 근무경력(F=15.23, P=.0001) 등 5개 항목으로 연령이 낮은 집단 보다 높은 집단에서, 미혼자보다는 기혼자 집단에서, 학력이 높은 집단에서, 간호사보다는 책임간호사 이상의 보직자 집단에서, 또 병원 근무기간이 오래될수록 전문직 자기이미지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유니폼에 대한 만족도와 전문직 자기이미지의 상관관계(r=.1978, p=0045)는 통계적으로는 유의했으나 미약하였다. 유니폼의 상징성 (r=.4393, P=.0001), 심미성(r=.2471, P=.0004), 기능성(r=.3094, P=.0001) 영역 그리고 전체 유니폼 만족도(r=.4050, p=.0001) 모두에서 만족감 영역의 전문직 자기이미지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와 유니폼에 대한 만족도가 간호사의 전문직 자기이미지 영역 중 만족감 영역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왔으며, 유니폼의 상징성 영역과 전문직 자기이미지 전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r=.2416, p=.0005)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rve as a basis for mapping out successful strategies to build the professional self-image of nurses through uniform, by examining their satisfaction with uniform and professional self-image b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identifying the correla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acto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5 nurses who served in general departments of two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The departments where special uniform was required, including ICU, RR, OR and CSR, were exclud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5 through 22, For measurement of uniform satisfaction level, a uniform satisfaction scale was prepared by myself, and Arthur(1990)'s PSCNI translated and modified by Song Kyong Ae and Rho Chun Hee(1996) was employed. The Cronbach a of the uniform satisfaction scale and PSCNI was 0.90 and 0.86 respective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AS, and real number,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Beside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r procedures were utilized, and Scheffe test was conducted as a posttes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1. The uniform satisfaction of the nurses investigated was scored 2.52 on the basis of 4 points, which was on the medium level. By subarea, symbolicity satisfaction was 2.48, and aesthetic satisfaction was 2.60. The functionability satisfaction was 2.44. So the esthetic satisfaction was greatest. 2.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wo factors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uniform satisfaction: age(F=4.05, P=.0189), and total career(F=4.25, P=.0061). 3. Their professional self-image got 2.75 on the basis of 4 points, which was on upper middle level. The subarea score was 2.79 for professional work, 2.52 for satisfaction and 2.97 for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area was rated highest, and the satisfaction area was scored lowest. 4.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professional self-image was different according to five factors: age(F=17.83, P=.0001), marital status(T=5.18, P=.0000), educational background(F=8.72, P=.0002), position(T=-5.29, P=.0000) and total career(F=15.23, P=.0001). Better professional self-image was possessed by the older group than the younger one, by the married group than the singles, by the better-educated group than the less-educated, by the nurses in position equal to or higher than charge nurse, or by the higher-career group. 5. The correlational relationship of uniform satisfaction to professional self-ima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yet very weak(r=.1978, p=.0045). The satisfaction area of professional self-image was correlated to every uniform satisfaction area, including symbolicity(4=.4393, p=.0001), aesthetics(r=.2471, p=.0004), functionability(r=.3094, p=.0001) and total satisfaction(r=.4050, p=.0001). Therefore, the uniform satisfaction gave an impact on the satisfaction area of professional self-image of the nurse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al relationship between uniform symbolicity area and total professional self-image(r=.2416, p=.0005).

      • 농촌현장포럼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정지숙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Effectiveness of Rural Field Forum* Jung, Ji-Sook Department of Agricultural Economics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Jang, Woo-hwa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two purposes of 'Colored villages development' and 'Recovery of Rural Community' in villagers participating in rural field forum. In this study, based on the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on villagers who participated in the Rural Field Forum in 2014, and 'Village color finding' and 'community recovery' were used as dependent variables that using the ordered logit model analysis was attempted. First, variables that are effective in the 'Finding Village Color' were age, role in village, settlement type, but gender and income were not significant. Especially, the younger the age, the more important role in the village, the peasantry returned to the soil rather than natives, made more positive evaluation in the 'Finding Village Color'. Second, there were four variables that were effective in ‘Community Recovery’: gender, age, role in the village, and settlement type. In addition, it was positively evaluated as the younger the age, the more important role in the village, the peasantry returned to the soil rather than natives, and the women rather than man, the 'Community Recovery' function through the rural field forum. Through the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the Rural Field Forum is taking part in its role for the purpose of the project and it seems to have had a considerable effect.

      •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중국풍에 관한 연구 : 2000년 이후 해외 컬렉션에 나타난 치파오의 응용을 중심으로

        정지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Today, a myriad of global business enterprises is interested in China’s enormous and largely untapped market potential. This is no exception, even in the world of fashion design. Designers interest in Chinese styles and culture began to intensify after Hong Kong’s return to the mainland. Thereafter, the fashion world’s interest in China has steadily increased, culminating in 2004, which France designated as "The Year of China". This focus on China has led world famous designers and luxury brands to adopt the traditional motif and dress of China in their designs. The "Chinoiserie Look" has become popularized. This is especially true with the "Qipao Style", which has drawn the interest of many foreign fashion designers and consumers. "Orientalism" is the attempted application of differing fashion styles, thorough the fusion of different cultural elements into a single coherent dress style. The recent worldwide attention to Chinese styling has made the "Chinoiserie Look" a global trend. However, despite its strong popularity there has been insufficient research on the origin of the Chinese traditional dress, which forms the basis of the "Chinoiserie Look". This paper studies the origin of the contemporary "Qipao", which is the representative motif of Chinese traditional dress. The paper looks at how the "Qipao" has historically influenced western fashion design and draws on Chinese style art history and costume history for source material. Research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source of "Qipao" and other Chinese style designs, within the context of "Orientalism". Source materials included texts on Chinese style concepts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Chinese styling. Photographic data on the traditional "Qipao" in China was also relied on. Foreign fashion collections, known for their use of Chinese styling, were studied. An analysis of the collected information lea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1) Chinese styling in western fashion design became popular during the Rococo era, at a time when China and the west had a significant cultural exchange. It was at this time that the term "Chinoiserie" first appeared. In contemporary fashion, "Chinoiserie" has come to encompass the varying styles that use some element from Chinese traditional dress style. 2) The "Qipao" is the symbol of Chinese traditional dress style. However, the traditional "Qipao" underwent many changes throughout history. Today, both the traditional "Qipao" and the "Qipao style" used in fashion design comes in a wide variety of differing shapes and styles. 3) While contemporary Chinese style fashion is still a category of "Orientalism", the proliferation of the "Chinoiserie Look" in foreign collections has led to the utilization of large numbers of Chinese fashion designers. The widespread influence of these designers has led to a shift in conventional fashion design. Multicultural designs, which might once have been called exotic, are now considered mainstream in global fashion. 4) Its diversity of styles and its wide fusion of differing cultural elements characterize the contemporary "Chinoiserie" look. This can be exemplified by the "Qipao", which traditionally was considered a single style, but now encompasses a wide diversification, ranging from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 "Qipao", its past inclusion in the East meets West styling from the Rococo Chinoisere era, to its modern incarnation with the inclusion of new multicultural styling elements. The "Chinoiserie" look, as with everything else, is also impacted by the shifting of cultural tastes that demands a cyclical and constant evolution of style and form. 오늘날 세계는 거대한 시장인 중국에 대해 높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패션계에도 예외는 아니어서 홍콩반환 이후에 시선이 집중되어 패션대국 프랑스에서는 2004년을 ‘중국의 해’로 지정하여 중국에 대한 관심을 표명하기도 하였다. 또한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해 세계적인 디자이너들과 명품 브랜드들이 앞다투어 중국의 전통과 민속복식을 응용하면서 중국풍의 의상이 크게 유행하였다. 그 중에서 특히 중국의 치파오는 여러 나라 디자이너와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오리엔탈리즘은 다른 문화적 요소와의 풍요로운 융합을 이루는 시대를 맞이하게 되면서 다양한 복식으로의 응용이 시도되고 있다. 최근의 세계유행경향에서 오리엔탈 룩, 에스닉풍 등 동양적인 요소가 강하게 대두되고, 특히 시누와즈리(Chinoiserie)라는 중국풍이 세계적 조류로 등장하게 되었다. 이렇듯 패션계에 중국풍이 강하게 유행하고 있으나 중국풍에 대한 개념이 확실하지 않고 관련 연구가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풍에 대하여 예술사적 ∙ 복식사적 이해를 바탕으로 중국풍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중국 민속복식 중에서도 서양에 가장 잘 알려져서 대표적인 모티브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치파오(旗袍)를 중심으로 그 특징을 파악하여 현대패션에 나타난 중국풍을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패션계의 중국진출을 위한 중국복식에 대한 이해와 중국풍 복식디자인을 위한 자료로서 활용 되어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내용 및 방법으로는 이론적 연구로서 오리엔탈리즘의 흐름과 중국풍과 중국풍 패션의 개념 및 역사 등에 관하여 문헌적으로 고찰하였고, 치파오의 역사와 조형적 특징에 관하여 국내와 중국의 문헌 및 사진 자료를 고찰하였다. 실증적인 연구로서는 해외 컬렉션에 나타난 중국풍을 응용한 사진자료를 분석하여 치파오 응용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이론적인 연구와 컬렉션 자료 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풍은 로코코(Rococo) 시대에 크게 유행하여 시누아즈리라는 용어가 만들어졌으며, 이러한 유행은 현대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서양과 중국간 사회 ∙ 문화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계기가 중국풍의 유행의 원인이 되어왔으며, 현대에는 중국에 대한 많은 정보들로 인하여 중국풍의 유행의 양상이 다양해지고 있다. 둘째, 치파오는 중국을 대표하는 민속복식으로써, 청대 치파오와 근 ∙ 현대 치파오는 구조와 형태 등 모든 부분에서 많은 변천을 거치면서 다른 모습을 보이게 되었다. 현대 패션 디자인에서는 청대 치파오와 근 ∙ 현대 치파오의 특징 모두가 중국 민속복식의 모티브로서 빈번히 응용되어지고 있었다. 셋째, 2000년 이후 중국풍의 유형은 가장 직접적이며 여성적인 느낌을 표현하기에 적합한 치파오의 응용이 가장 많았고, 소수 민족 복식의 응용, 중국 이미지의 응용, 로코코 시누아즈리의 응용, 중산복의 응용, 만다린의 응용 순으로 나타났다. 디자이너별 분석을 통해 주요 디자이너(브랜드)는 비비안 탬(Vivienne Tam), 입 생 로랑(YSL), 앤드류 쥐앤(Andrew GN), 필라소피(Philosophy), 장 토이(Zang Toi)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현대 중국풍 패션은 여전히 오리엔탈 룩의 범주인 시누아즈리 룩(Chinoiserie Look)의 일환으로 파악할 수 있겠으나, 해외 컬렉션의 중국풍의 흐름에서 중국계 해외진출 디자이너들의 작품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이국취미(Exotisme)의 차원이 아닌 문화적 다원주의(Multiculturalism)의 개념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해외 디자이너들 또한 단순한 차용의 수준이 아닌 중국 민속 복식과 치파오에 대한 깊은 이해와 연구가 바탕이 된 심도있는 작품들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발전이 있었다고 하겠다. 다섯째, 현대 중국풍과 치파오 패션디자인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시대적 흐름인 다양성과 혼합 퓨전(Fusion)을 양상을 꼽을 수 있는데, 단순히 한가지 중국풍을 보여주던 이전의 방식에서 서로 다른 중국풍을 혼합 응용한다던지 다른 에스닉과의 혼합을 시도하는 방식 등으로 다양화되고 있었다. 또한 과거부터 있어 왔던 동서양의 만남이라는 주제 또한 과거에 생산된 중국풍인 로코코 시누아즈리를 다시 도입한다던지, 반대로 유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유럽의 고전적인 이미지와 혼합 응용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변화를 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에 잘 사용하지 않던 모티브가 새로 등장한다던지 자주 사용하던 방식을 변형하는 등의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새로운 룩을 창조하고자 하였으며, 중국의 문화와 중국을 대표하는 이미지들을 활용하여 중국적인 분위기를 강조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