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Online monitoring of multiphase batch process with transient dynamics

        이혜지,이종민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1

        Batch 형태의 반응기는 동일한 조건의 운전을 반복하더라도 초기 운전 조건의 작은 차이나 외란 등의 영향으로 결과물과 batch의 길이 등이 달라진다는 특징을 가진다. 모든 변수가 실시간으로 측정 가능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성공적인 운전을 위해서 중요 변수의 실시간 측정과 이를 기반으로 한 fault detection은 필수적이다. 고분자 합성, 생물 공정 등에서 자주 나타나는 multiphase batch operation의 경우 하나의 unit 내에서 여러 단계의 반응이 진행되기 때문에 phase가 전환되는 시점이나 전이구간에서의 거동을 잘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phase 내 거동과 phase transition시의 거동을 모사할 수 있도록 Gaussian mixture model을 이용하여 phase와 transition region을 분리하고, uneven batch의 실시간 synchronization 문제를 다루기 위해 batch가 진행되는 속도를 Bayesian 방식으로 예측하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이를 이용하여 online state estimation과 monitoring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 KCI등재

        살인사건에서 관찰되는 범죄현장 위장행동 유형 분류 : 잠재계층분석방법(Latent Class Analysis)을 이용하여

        이혜지,강슬기,홍정윤,이수정 한국중독범죄학회 2020 한국중독범죄학회보 Vol.10 No.4

        본 논문에서는 실제 살인사건에서 관찰되는 범죄현장 위장행동에 대한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위장 행동에 대한 실증적인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2006년부터 2020년 2월까지 발생한 살인사 건 중 프로파일러가 살인범죄 피의자를 직접 면담한 자료 45건을 분석하여 위장행동을 선정하 고, 잠재계층분석방법(LCA)을 통해 위장행동의 유형분류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교차분석으로 유형화된 위장행동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LCA를 이용한 유형분류 결과 위장행동은 강간 위장, 강도 위장, 자살/사고사 위장으로 분류되었으며, 유형에 따른 특성의 차이가 관찰되었다. 강간 위장의 경우, 성기 이물질 삽입 행동과 탈의 행동이 수반되는 특성이 나타났다. 강도 위장은 물 색 흔적과 침입 흔적을 남겨놓는 행동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관찰되었다. 자살/사고사 위장 에서는 손목이나 경부(頸部)에 상처를 남겨 놓아 자해 흔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위장한 행동이 관찰되었다. 유형별 범죄자 특성을 살펴보면, 강도 위장이나 강간 위장과 같이 다른 범죄로 위장 한 유형에서는 여성보다 비교적 남성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간 위장 유형에서는 피 해자에게 흉기를 사용하거나 맨손으로 폭행하는 살인방법이 관찰된 반면, 자살/사고사 위장 유 형에서는 피해자를 질식시켜 살인하는 비율이 가장 높게 관찰되었다. 본 논문은 국내에서 발생한 실제 사건을 이용하는 등 범죄현장 위장행동의 실증적인 자료 를 분석함으로써 범죄현장에서 관찰되는 위장행동의 초기 논문으로 볼 수 있다. 실제 사건을 분석한 실증적 연구로써 표본 수의 한계에 대한 아쉬움이 있지만, 위장행동의 유형화를 통해 범인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범죄현장행동에 대한 다각적인 이해를 도울 수 있다는 것에 의 의가 있다. In this paper, the analysis of staging of crime scene observed in murder case. Among the murders that took place from 2006 to February 2020, the profiler selected staging by analyzing 45 cases of direct interviews with suspects in homicide. Types of staging were classified through the Latent Class Analysis(LCA). The characteristics of staging, which were characterized by cross-analysis, were compared. As a result of classifications using LCA, staging was classified as type of rape staging, type of robbery staging and type of suicide/accident staging. It was confirmed that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by type. In the case of rape staging, insertion of foreign substance to vaginal and abrasion behavior tend to occur frequently. The robbery staging accounted for a relatively high percentage of the actions that left traces of search and invasion. The suicide/accidental death staging was observed to leave scars on the wrist or the neck so that they could be seen as traces of self-harm. The criminal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male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females in types disguised as other crimes, such as robbery or rape staging. The proportion of men and women in the type of suicide/accidental death staging was similar. In addition, murder methods of using a weapon or assaulting a victim with bare hands were observed in the type of rape staging, but the rate of suffocation was the highest in the type of suicide/accidental death staging. In the type of robbery staging, the rate of suffocation or murder using a weapon was the highest. This paper is meaningful as an early paper of staging by analyzing empirical data. It is also meaningful that empirical data were analyzed to help various understanding of staging in crime scenes.

      • KCI등재후보

        실크스크린 기법을 활용한 제주토양자원의 채화 가능성 연구

        이혜지,오창윤 한국도자학회 2020 한국도자학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실크스크린 기법을 활용하여 제주토양자원의 안료화와 적용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지역자원의 활용을 통한 도자 채화기법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크스크린 기법(silk screen)은  판화, 인쇄기법 중 하나로 판 재료에 실크가 사용되기 때문에 실크스크린으로 불리게 되었으며 스크린프린팅(screenprinting) 혹은 세리그래피(serigraphy)로 불리기도 한다. 실크스크린 기법은 대량생산에 용이하며 색채도수에 제약이 없다. 또한 도안의 자유로운 조합이 가능하며 다양한 안료의 활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특징의 실크스크린기법은 현재 산업도자에 주로 활용되고 있지만, 이를 새로운 방식으로 활용함으로써 도자채화기법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었고 제주의 독특한 토양자원의 적용을 통해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제주도는 여러 차례 걸친 화산활동으로 제주의 토양 약 80%가 화산회토이며 이외에는 비화산회토, 화산쇄설암(화산석), 화산쇄설물(스코리아) 등으로 이루어져있다. 제주 토양은 토색(土色)을 기준으로 크게 암갈색토·농암갈색토·흑색토·갈색삼림토로 구분되며 이 중 암갈색토는 비화산회토, 농암갈색토·흑색토·갈색삼림토는 화산회토로 볼 수 있다. 크기에 따라 화산쇄설암과 화산쇄설물로 구분되는 화산석은 용암의 종류에 따라 띄는 색이 다르며, 화산쇄설물인 스코리아는 철분 함유량이 많아 검은색, 적갈색, 황갈색을 띈다. 실크스크린 기법을 도예작업에 활용해오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예용 안료와 전사지 제작 방식의 새로운 활용에 대하여 고민하던 중 제주의 독특한 지역재료에 대해 접하게 되었다. 생성방식과 시기에 따라 상이한 제주의 다양한 토색을 실크스크린 기법에 활용하여 도예작업에 적용하였을 때 지역 색이 돋보이는 채화 재료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크스크린 기법과 제주 전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다양한 토양 자원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여 실크스크린 기법을 통한 제주토양자원의 채화 재료로서의 활용가능성 도출에 중점을 두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과정은 첫째, 연구대상인 실크스크린 기법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제주의 토양의 특성을 고찰하여 다양한 토색의 시료를 선정⦁채취하였다. 채취한 시료는 1차 분쇄 후 불순물을 걸러내 볼밀(Ball Mill)로 2차 분쇄하는 과정을 거쳐 안료화하였다. 둘째, 안료화한 제주토양자원을 백색자기토, 분청토를 이용한 시편을 제작 후 시문하여 발색 실험을 진행하였다. 시편은 초벌 810℃, 재벌 1250℃에서 산화소성 후 발색 실험의 결과를 분석하고 안료로서 활용 가능한 이상적 시료를 선별하여 도출하였다. 발색 실험 결과, 가장 이상적 결과를 보인 시편은 상천리의 화산석, 선흘리의 스코리아, 김녕리의 비화산회토 시편이었다. 사용소지에 따른 실험결과는 색상 면에서 전체적으로 비슷한 색을 보였으나 시편의 색상이 밝을수록 각 시료의 발색과 특징이 돋보였다. 실험결과를 통해 제주토양자원의 도예 채화 재료로서 활용가능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발색실험 결과의 이상적 시료를 실크스크린 기법을 활용하여 평면과 입체기물에 적용시켜봄으로써 채화 재료로써 지역 자원의 활용가능성과 도자채화기법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the new possibility of ceramics painting technique using regional resources by presenting the pigmentization and applicability of Jeju soil resources using silk screen technique. As one of the engraving and printing techniques, the silk screen is called this name as the silk is used as a material of screen. It is also called screenprinting or serigraphy. The silk screen technique is easy for mass production, with no limitation on color tone. It is also possible to freely mix designs, and also to utilize various pigments. Even though the silk screen technique with those characteristics is mostly applied to the current industrial ceramics, the new possibility of ceramics painting technique could be presented by utilizing this in a new method. Thus, this study aimed to seek for the applicability of unique soil resources in Jeju. Because of many times of volcanic activities, about 80% of Jeju soil is volcanic ash soil, and its rest soil is composed of non-volcanic ash soil, pyroclastic rock(volcanic stone), and pyroclastic material(scoria). On the basis of soil color, the Jeju soil is largely divided into dark brown soil, very dark brown soil, black soil, and brown forest soil. And the dark brown soil is non-volcanic ash soil while the very dark brown soil, black soil, and brown forest soil could be viewed as volcanic ash soil. According to size, the volcanic stone is divided into pyroclastic rock and pyroclastic material, and its color looks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lava. The scoria which is the pyroclastic material has the high content of iron, so it shows black, reddish brown, and yellowish brown colors. In the middle of thinking about the new utilization of pigment for ceramics and production method of transfer paper generally used by utilizing the silk screen technique for ceramics work, the researcher learnt about the unique regional material of Jeju. If it is possible to show various visual representations when applying such various soil colors of Jeju different depending on the method and period of formation to the ceramics work by utilizing the silk screen technique, it would be possible to develop the painting material with remarkable regional character. Thus, as the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set up silk screen technique and various soil resources distributed in the whole areas of Jeju. Focusing on drawing the applicability of Jeju soil resources as painting material through silk screen technique, this study went through the processe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elected/collected various colored-soil samples by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silk screen technique as a research subject, and the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Jeju soil. After crushing the collected samples, the impurities were filtered out with a strainer. Using a Ball Mill, it was crushed again to be pigmentized. Second, after producing specimens with the pigmentized Jeju soil resources by using the white ceramic soil and Buncheong soil, the color test was conducted. The specimens went through the oxidized firing in 810℃ for the first, and 1250℃ for the second. After analyzing the results of color test, the ideal samples were drawn. In the results of color test, the specimens with the most ideal result were volcanic stone from Sangcheon-ri, scoria from Seonheul-ri, and non-volcanic ash soil from Gimnyeong-ri. In the test result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of use, overall, a similar color was shown. When the color of specimen was brighter, the color and characteristics of each sample were remarkably shown. Based on the test results, it was possible to draw the applicability of Jeju soil resources as a material of ceramics painting. Lastly, this study sought for and presented the new possibility of ceramics painting technique and applicability of regional resources as painting material, by applying the ideal sample in the results of color test to the plane and solid objects by u...

      • 강원도 춘천시의 PM<SUB>2.5</SUB> 내 극성 유기물질 분포

        이혜지,한영지,최준혁 한국대기환경학회 2021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대기오염물질인 초미세먼지(PM2.5)는 시정장애 및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치며 인체 건강에 유해한 물질이다. PM2.5는 크게 탄소, 이온, 금속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탄소성분은 유기탄소(OC)과 무기탄소(EC)로 구성된다. 춘천을 배경으로 한 선행연구 결과 춘천은 다른 지역에 비해 OC 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PM2.5의 중 · 장거리 이동으로 인한 2차유기 에어로졸(SOA)의 발생과 국지적 배출원 파악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성분 중 OC 안에 있는 유기물질 분포를 파악하여 춘천시 PM2.5 배출원을 추정할 것이며 대기 중 주요 유기성분 중 극성 유기성분인 n-Alkanoic acids, Dicarboxylic acids, Sugars, Fatty acids, Sterols를 분석할 예정이다. n-Alkanoic acids는 바이오매스 연소, 자동차 배기가스, 포장도로 비산먼지, Plant wax와 같은 1차 배출원에서 생성되고 Dicarboxylic acids는 SOA의 중요한 마커로 2차 휘발성 유기화합물(SVOC)의 광산화반응에 의해 큰 영향을 받으며 생성된다. Sugars는 주로 바이오매스 연소와 고기구이와 같은 1차 배출원에서 생성되며 바이오매스 연소 배출의 장거리 이동을 나타내는 분자 마커로 사용된다. Fatty acids와 Sterols은 주로 고기구이 연기 중에서 배출된다. 위와 같은 배출원 표적 물질 분석은 GC-MS 기기를 이용해 분석할 예정이며 보다 세밀한 배출원 파악으로 춘천시 PM2.5 저감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 KCI등재

        학교전담경찰관(SPO)의 업무인식과 직무만족도를 통한 SPO 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이혜지,이수정 아시아교정포럼 2022 교정담론 Vol.16 No.3

        School police officers guide juvenile delinquents back into the right path, prevent various crimes related to schools and prepare countermeasures. And they should be able to stay close to juvenile and provide them with the help juvenile need. However, in recent years, youth problems such as crimes of criminal minor and collective crimes of juvenile have been frequently observed. So, this study confirmed the current status and policy changes of the SPO system over the past 10 years. We tried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of SPO by analyzing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of the school police officer system shown in the previous study. In addition,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role recognition and job satisfaction through a survey on SPO. Therefore, the problems and development directions of the system that SPO thinks were confirmed.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we found that SPO was playing too many roles according to policy changes. In addi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fatigue of work increased due to ambiguous regulations and standards.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SPO system. 학교전담경찰관은 학교폭력 및 청소년 선도 관련 업무를 전담하며, 학교와 관련된 다양한 범죄 예방 및 대책 마련을 지원하고 있다. 예방활동 뿐만 아니라 청소년과 가장 밀접한 위치에서 적절한 사법절차를 제공하고 선도를 위한 업무를 수행한다. 그러나 최근 촉법소년의 범죄, 청소년의 집단범죄 등 청소년 문제가 다양해지고 심각해지는 현상이 자주 관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10년간 SPO 제도의 운영현황과 정책변화를 확인하여 제도의 목적을 분석하고, 국내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학교전담경찰관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토대로 SPO의 고충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설문조사를 통해 SPO를 대상으로 업무역할에 대한 인식과 직무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SPO가 인지하는 제도의 문제점과 발전방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SPO들은 제도의 정책이 변해감에 따라 업무역할의 다변화를 경험하고 구체적인 규정과 기준의 미비함으로 인해 업무수행의 피로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소년 문제 지원 업무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직무만족도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청소년범죄 전문가로서 심리지원 및 선도를 하기 위한 방법으로 청소년 전문가 인력 보강 및 최근 발의된 학교폭력 법률 개정안을 통해 SPO 제도의 발전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북한 콩 품종의 개화기 군 분류와 개화특성 평가

        이혜지,김보환,김욱,박세준 한국작물학회 2020 한국작물학회지 Vol.65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lowering characteristics of 22 soybean (Glycine max Merrill) varieties of North Korea and classify the flowering group by the flowering date. The flowering date and the days required for flowering with the different planting times on May 31, June 19, June 30, July 3, and July 4 were investigated at the agricultural experimental field of Korea University for three years from 2017 to 2019. The flowering date and the days for flowering of “Yeonpungkong”, an early maturing soybean cultivar of Korea, were July 18 and 48 days, respectively, at the planting time of May 31, those of “Daewonkong”, a mid-late maturing cultivar, were July 30 and 60 days, respectively. Based on the flowering dates of “Yeonpungkong” and “Daewonkong”, North Korean soybean varieties were classified into six flowering groups. Eight North Korean soybean varieties had the flowering dates earlier than “Yeonpungkong”, including “Brekkhat” classified into the early flowering group. The range of flowering date was July 2 to 15 at planting time of May 31. Twelve North Korean soybean varieties had flowering dates similar to or later than “Daewonkong”, including “Chang Dan Bac Mok” classified into the mid-late flowering group. The range of flowering date was July 24 to 30 at the planting time of May 31. For flowering response to environmental stimulus, all of the mid-late flowering varieties of North Korea responded to “photosensitive or day-length” for flowering reaction. The early flowering varieties were divided by “photosensitive” response and “temperature” response variety. 북한 콩 22 품종의 개화기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2017 년부터 2019년 3년간 고려대학교 실험농장에서 5월 31일, 6월 19일, 6월 30일, 7월 3일, 7월 4일의 파종기에 따른 개화기와 개화일수를 조사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개화기 군을 분류하여 개화기 반응을 분석하였다. 1. 5월 31일 파종한 한국 조생종인 ‘연풍콩’의 개화기는 7 월 18일, 개화일수 48일 보였으며, 중만생종 ‘대원콩’은7월 30일의 60일이었다. 2. 5월 31일 파종기에서 개화기가 ‘연풍콩’보다 빠른 북한 품종의 개화기는 7월 2일~15일로 분포하였으며, ‘Brekkhat’ 을 포함한 8개 조생종 품종이 분류되었다. 3. 5월 31일 파종기에서 ‘대원콩’과 비슷하거나 늦은 북한품종의 개화기는 7월 24일~30일로 분포되었으며, ‘Chang Dan Bac Mok’을 포함한 12품종을 중·만생종 품종으로분류하였다. 4. 콩 품종의 개화기 조만성은 년차 간 또는 파종기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품종의 개화기 군 분류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5. 한국 조생종 ‘연풍콩’과 중만생종 ‘대원콩’의 개화기를기준으로 북한 콩 품종의 개화기를 6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6. 북한 중·만생종 콩 품종은 모두 ‘감광성 중·만생종’으로분석되었으며, 조생종 품종의 경우, ‘감온성 조생종’과‘감광성 조생종’의 2 형태로 분류되었음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Concordance between the underlying causes of death on death certificates written by three emergency physicians

        이혜지,김선휴,최병호,옥민수,박은지 대한응급의학회 2019 Clinical and Experimental Emergency Medicine Vol.6 No.3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oncordance between the underlying causes of death (UCOD) on the death certificates written by three emergency physicians (EPs). We investigated errors on the death certificates committed by each EP.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06 patients issued a death certificat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of an academic hospital. Three EPs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retrospectively and completed 106 death certificates independently. The selection of the UCOD on the death certificates by each EP (EP-UCOD) was based on the general principle or selection rules. The gold standard UCOD (GS-UCOD) was determined for each patient by unanimous consent between three EPs. We also compared between the EP-UCOD and the GS-UCOD. In addition, we compared between UCODs of three EPs. The errors on the death certificates were investigated by each EP. Results The rates of concordance between EP-UCOD and the GS-UCOD were 86%, 81%, and 67% for EP-A, EP-B, and EP-C, respectively. The concordance rates between EP-A and EP-B were the highest overall percent agreement (0.783), and those between EP-A and EP-C were the lowest overall percent agreement (0.651). Although each EP had differences in the errors they committed, none of them listed the mode of dying as UCOD.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each EP wrote death certificates indicating different causes of death for the same decedents; however, the three EPs made fewer errors on the patients’ death certificates compared with those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