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발도르프 교육사상에 의한 심상표현 지도 방안

        이은경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Teaching policy for expression of image according to Waldorf educational ideology - Focusing on 4thgradestudentinelementaryschool Eun-Kyung Lee Department of Art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eungnam University (Advised by Professor Jung,Byung Guk ) ABSTRACT A fine art is a realm of arts that create and develop visual impression or idea through the visual and formative language, and the education of its aims to foster whole man able to succeed and develop art culture as well as to promote aesthetic attitude of feeling and enjoying the beauty of world, and to improve imagination, critical ideas through various art activities. However, in the reality of Korea, such true goals of fine art is just textbook or theory, so that our students need the education that allows them to express their feeling by experiencing real art and by cultivating their emotion.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of art education, this research has a goal to apply the art education of Waldorf school based on Steiner educational ideology in the art education of Korea. Steiner educational ideology argues the education for whole man focusing on internal world of human through art education. Based on such an ideology, Waldorf school provides the education relevant to achieve true goal of human since his or her birth through practicing education art, education based on art for a long time. In order to confirm whether Waldorf art education is effective to Korean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 or not, this research evaluated following subjects by developing a draft of lesson based on the theory of education art and art education of Waldorf: 1) Art education of Waldorf school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rest of 4th grade children of Korea in art course. 2) Art education of Waldorf school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esthetic experience of 4th grade children of Korea. 3) Art education of Waldorf school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xpression of image of 4th grade children of Korea. As a result, Waldorf art education did not make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est and aesthetic experience of above students but did mak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image expression of children. Even though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e this result according to applied institutions and subject, this suggests an important thing the art education of Korea has to follow. First, the art education of Waldorf school provided the opportunity of spiritual joy and free expression to our students. Second, through the hydro water color painting, one of the art course of Waldorf school, the students overcame the fear of free expression and was not deterred by form. Third, the art education of Waldorf is not separated from other courses and is useful in interdisciplinary education. Fourth, the art education is useful to improve creativity, imagination, and aesthetic sensitivity of art teachers by themselves. 발도르프 교육사상에 의한 심상표현 지도 방안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이은경 미술은 시각적 느낌이나 생각을 시각적 조형 언어를 통하여 창조, 발전시켜 나아가는 예술의 한 영역으로 미술교과 교육은 다양한 미술활동을 통하여 주변세계의 아름다움을 느끼며 향유할 수 있는 심미적인 태도와 상상력, 창의성, 비판적인 사고력을 길러 주고, 아울러 미술문화를 이해하며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전인적인 인간을 육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현실에서는 이러한 미술의 본질적인 목적은 교과서와 한낱 이론에 불과하기에 우리 학생들에게는 진정한 예술을 체험하고 예술을 통해 정서를 함양하며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미술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슈타이너의 교육사상을 토대로 한 발도르프 학교의 미술교육을 우리나라 미술교육에 적용해 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슈타이너 교육사상은 예술교육을 통해서 인간의 내면세계를 중시하는 전인교육을 주장하였다. 이 같은 이념아래 슈타이너가 세운 발도르프 학교에서는 오래전부터 예술을 교육의 근간으로 하는 교육예술을 실시해 옴으로써 인간이 이 세상에 태어 날 때 지니고 있는 본질적인 목적을 그대로 성취할 수 있는 적합한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발도르프 미술교육이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4학년생에게 유효한지를 알아 보기위해 교육예술론과 발도르프 학교의 미술교육을 토대로 한 수업 안을 작성하여 학생들에게 투입하여 보고 아래와 같은 사항을 검증해 보았다. (1)발도르프 학교의 미술교육은 우리나라 초등학교 4학년 어린이의 미술교과에 대한 흥미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칠 것이다. (2)발도르프 학교의 미술교육은 우리나라 초등학교 4학년 어린이의 미적체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칠 것이다. (3)발도르프 학교의 미술교육은 우리나라 초등학교 4학년 어린이의 심상표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 결과 발도르프 미술교육은 우리나라 초등학교 4학년 어린이에게 미술교과에 대한 흥미도와 미적체험에는 영항을 끼치지 못하였으나 아동의 심상표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었다. 비록 적용 기관과 대상에 있어서 일반화하는 데는 제함점이 있지만 이는 우리나라 미술 교육이 지향해야 할 중요한 시사점을 보여주고 있다. 첫째 발도르프 학교의 미술교육은 우리 학생들에게 정신적인 즐거움과 자유로운 표현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되었다. 둘째, 발도르프 학교 미술교육과정의 하나인 습식 수채화 수업을 통하여 형태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표현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 주었다. 셋째, 발도르프 학교의 미술교육은 따로 떨어져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타 교과와의 통합교육에 유용하다. 넷째, 발도르프 학교에서 미술교육은 교사 스스로 창의성과 상상력과 미적 감수성을 일깨우려고 노력하게 한다.

      • 포항시 일반계 고교의 국악교육 실태조사

        장현석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경상북도 포항시 일반계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국악교육의 실태조사를 통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포항시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 10개교의 음악교사 10명, 학생 28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설문 문항에 대한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교육의 관심도 조사에서 교사는 80%, 학생은 12.9%로 국악교육에 관한 관심도가 교사는 높으나 학생은 저조하여, 국악교육에 대한 학생의 관심도 증대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알았다. 둘째, 음악교사들의 국악 연수 실태 현황의 조사 결과로 최근 5년간 국악 연수를 2회 이하로 받은 음악교사는 80%로 나타났고, 그 중 20%의 교사는 국악 연수 경험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국악 연수에 참가한 교사들은 국악 연수가 국악교육에 도움이 되지 않는 이유를 ‘연수의 지속성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음악교사들이 국악 연수에서 희망하는 교육내용으로는 ‘실기 및 이론 영역’이 90%였다. 셋째, 국악수업 실태의 조사결과로 30%의 교사들이 음악수업 중 국악수업의 비중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악수업 중 교과서의 내용을 토대로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들은 90%였으며, 60%의 교사들은 국악교육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는 현황이 확인되었다. 그 이유로는 50%의 교사들이 ‘교육환경의 미비’, 20%의 교사들이 ‘학교 현장 상황을 고려하지 못한 교육과정’때문인 것으로 응답하였다. 국악지도에 어려움이 있는 영역으로는 ‘기악 영역’이 44.4%, ‘가창 영역’ 및 ‘창작 영역’이 각각 22.2%로, 이러한 영역을 지도하기 어려운 이유로는 70%의 교사들이 ‘실기능력 및 이론적 지식 부족’으로 답변하였고, 30%의 교사들은 ‘교재 및 교구, 교육환경 미비’로 인한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학생들의 국악교육 만족도로는 긍정적인 응답이 30.3%로 저조하였다. 넷째, 국악교육 환경의 실태를 조사한 결과로 90%의 학교에서는 별도의 국악실이 부재한 점과 국악교육을 위한 자료 및 국악기가 부족한 점으로 열악한 교육환경을 지적하였다. 학교에서 보유하고 있는 국악기로는 타악기를 가장 많이 구비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관악기인 단소였다. 이외에 가야금 및 대금이 극소수의 학교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포항시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의 국악교육 실태조사를 통해, 교사의 전문성 결여, 학생들의 무관심, 교육시설의 부재로 인한 열악한 교육화경 등을 쟁점으로 정리할 수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교사들의 국악 연수 활성화, 학생들의 국악에 대한 흥미유발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학교의 교육시설 구비 등이 제안점이 된다.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argeting general high schools in Pohang, Gyeongsangbukdo. For this, this research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10 music teachers and 287 students of 10 general schools in Pohang, and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analysis on each question of the survey using SPSS Statistics program on the collected data.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respect of research on the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80% of teachers displayed interest while 12.9% of students displayed interest, accordingly, teachers displayed high interest and students displayed low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determined a plan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s required. Second,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e of music teachers’ participating in Korean traditional music training, 80% of music teachers received Korean traditional music training less than twice within the recent 5 years, and 20% of them responded no experience in Korean traditional music training.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training responded the reason of no efficienc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raining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s, ‘lack of continuity of training’. 90% of the conten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at the music teachers required was ‘practice and theory’. Third, a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stat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30% of teachers responded that the propor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among the music class was low. 90% of teachers progresses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based on the textbook, and 60% of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felt difficulty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s the reason, 50% of teachers responded ‘insufficient educational environment’, and 20% of teachers responded ‘due to the curriculum that does not consider the situation of school’. In respect of the area where teachers felt difficulty in Korean traditional education, ‘instrumental music’ appeared 44.4%, ‘singing area’ and ‘creative area’ appeared respectively 22.2%, and 70% of teachers responded the reason of difficulty in teaching such areas as ‘insufficient practical ability and theoretical knowledge’, and 30% of teachers responded, ‘insufficient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tudents’ response satisfaction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displayed 30.3% in positive response, relatively low. Fourth,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e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poor educational environment was pointed out, such as absence of separate Korean traditional music room in school and insufficient materials and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90% of schools. Among the instruments owned by schools, percussion appeared most frequently, next, danso, wind instrument. Besides, only a few schools owned Gayageum and Daegeum. In conclusion,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current stat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of general high schools in Pohang, the issues such as teachers’ insufficient professionalism, indifference of students, and poor educational environment due to absence of educational facility were determined, and this research suggested activ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raining for teachers,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to cause students’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prepara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school to settle such problems.

      • 체육교과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적용한 댄스스포츠 프로그램 설계

        도현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world has ente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of the 21st century. Education is also changing rapidly according to the changed social atmosphere. The trend of education was shifted from emphasis on acquisition of knowledge to problem solving or creation us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Accordingly, the Ministry of Education presented the 2015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that focuses on competence to foster creative and convergent individuals who can cope with future changes. While proposing competencies for each subject, it allowed learners to develop competencies in all subjects. The author studied a dance sports program based on competencies of physical education. This study proposes a dance sports program based on competencies shown in the expression domain of physical education for each grade. The purpose is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physical education programs for each sporting event through program design and to increase the value of dance sports programs at education sites. In the introduction, previous studies on competencies of physical education were explored to reveal that there is a lack of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based programs utilizing certain sporting events. Also, the necessity of dance sports programs based on the education curriculum focused on competencies of physical education was explained. In Chapter 2, competencies to prepare for the future society and competence-oriented education curriculum were understood. After finding out about 6 core competencies of the 2015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competencies of physical education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eaning of each were examined to find and develop various competencies in subjects. In Chapter 3, dance sports program design for each grade was planned out by selecting cha cha cha and rumba among dance sports to propose the procedure and details of program design. The program was divided into the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summary steps, comprised of 10 sessions for each grade. The program to be developed by the author was presente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n Chapter 4. The program for grades 1 through 3 was described in detail, along with the teaching theme and objective for each grade and session. Lastly in Chapter 5, the details and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to draw a conclusion. It is difficult to demonstrate the dance sports program and expect an outcome from the dance sports program of this study based on the education curriculum focused on competencies of physical education. However,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in attempting the design of an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education curriculum focused on important competencies of physical education utilizing certain sporting events. This can help increase the value of physical educ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diverse sporting events and programs. A follow-up study will be carried out to demonstrate the program and verify the value of education, hopefully discussing any other aspects which not dealt with in this study. 우리는 급변하는 21세기 사회에서 4차 산업혁명을 맞이하였다. 전반적으로 변화한 사회적 분위기에 맞춰 교육의 변화도 빠르게 일어나고 있다. 지식의 습득을 강조하던 교육에서 지식과 정보를 토대로 문제해결 또는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교육의 흐름으로 변화시켰다. 이에 교육부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미래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창의 · 융합형 인재육성을 위한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제시하였고, 교과별 역량을 함께 제시하면서 학습자가 모든 교과를 통해 다양한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체육과의 역량을 적용한 댄스스포츠 프로그램 설계를 연구하였다. 이 연구는 체육과의 표현영역에 제시되어있는 댄스스포츠를 토대로 체육과 역량을 적용한 프로그램을 학년별로 제시하였다. 프로그램 설계를 통해 체육과의 종목별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교육현장에서 댄스스포츠 프로그램에 대한 가치를 높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서론에서는 체육과 역량을 바탕으로 한 선행연구 탐색을 통해 특정 종목을 활용한 역량중심의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미흡한 상황임을 밝혔다. 그리고 체육과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적용한 댄스스포츠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미래사회에 대비하기 위한 역량과 역량중심 교육과정에 대해 이해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6대 핵심역량에 대해 알아보고, 교과에서 다양한 역량을 찾아 발달시킬 수 있도록 교육부가 제시한 체육과의 역량과 각각의 의미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댄스스포츠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절차 및 내용에 대해 제시하고자 댄스스포츠 종목 중 차차차와 룸바를 선정하여 학년별 프로그램 설계를 계획하였다. 프로그램을 도입, 전개, 정리 단계로 나누어 학년당 총 10차시로 구성하였다. 연구자가 개발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4장에서 연구의 결과로 제시하였다. 1학년부터 3학년까지 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나타내었으며, 학년별 및 차시별 학습지도 주제와 목표를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 5장에서는 연구의 내용과 결과를 정리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체육과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적용한 댄스스포츠 프로그램 설계를 통해 프로그램의 실연 및 이를 통한 성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교육에서 중요과제로 제시된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체육과 역량을 적용한 프로그램의 설계와 특정 종목을 활용한 프로그램의 설계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스포츠 종목 및 프로그램의 개발과 프로그램을 통한 체육과의 가치를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후속 연구를 통해 프로그램의 실연 및 교육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가치를 제시하고자 하며, 이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측면에 대해 풍성한 논의 및 개발이 이루어지길 기대해본다.

      • 고등학교 관악부 운영실태 조사연구 : 경북 지역을 중심으로(2009년)

        조혜정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새로운 변화와 변혁의 시대인 21세기를 맞이하면서 고등학교 관악 교육은 학생들의 음악적 잠재력과 창의성을 계발하고, 음악을 통하여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도록 하며, 삶의 질을 높이고 전인적인 인간이 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관악부를 운영하는 고등학교에서는 관악 연습실 및 합주실 미확충, 재정적 지원 부족, 학부모 및 학교 관리자의 필요인식 결여, 체계적인 지도방법 및 연구 미비 등으로 고등학교 관악부의 활성화를 저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관악부의 운영 실태, 관악부 지도교사의 현황, 관악부원의 활동 실태 등을 조사 ‧ 분석하여 개선 방안과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함이다. 경상북도지역 고등학교 관악부의 운영 실태와 지도교사 설문 조사 결과는 인문계열 보다는 실업계열의 학교에서 주로 활성화되고 있으며, 주로 교내 외의 각종 행사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관악을 전공하지 않은 교사도 관악부을 맡아 지도되고 있는 실정이고, 학교예산만으로 운영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악기 구입 및 강사 초빙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설문 조사 결과 본인 희망에 의해 관악부 가입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음대 진학을 목적으로 하기보다는 음악을 좋아하고 취미생활을 하고자 활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악부 활동이 성적하락에 미치는 영향은 없으나 여가 활용시간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를 토대로 고등학교 관악대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악부 활동을 통해 올바른 교육적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주어 관악부원 모집 및 연주활동에 적극 협조 할 수 있는 학교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다. 둘째, 일반학과 수업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융통성 있게 관악부 연습시간을 확보하여 체계적인 교육지도와 지도방법 연구를 통하여 양질의 관악 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지역사회 ‧ 기업 ‧ 동창회 ‧ 후원회 등 유기적인 경제지원 체제를 구축하여 충분한 예산확보를 하여 교육환경 개선에 힘써야 한다. 넷째, 다양한 연주 기회를 제공하여 관악부원의 성취감을 갖게 하고, 학부모와 일반교사에게 관악부의 입지를 높이며 학교와 지역사회의 문화예술발전에 이바지하여야 한다. 고등학교 교육이 대학입시위주의 학업분위기로 과열되어감에 따라 예능과목의 교육은 부가적 과목으로 치부되어 가고 있는 실정에서 턱없이 부족한 음악 수업 시수 편제에서 모든 음악적 효과를 거두는 것은 불가능하다. 입시위주교육의 양적 확대가 속 빈 강정처럼 부풀려지고 있지만 이는 교육의 올바른 길이 아님을 인식하고, 음악인의 한 사람으로서 고등학교 관악부 활성화로 인해 교육의 본질적 가치달성에 한 걸음 더 가까이 나아갈 수 있으리라 본다. As the twenty-first century, a time of new change and revolution comes, wind musical education in high school aims at developing musical potentials and creativity of students, letting them express their feelings and thoughts through music, improving the quality of their life and leading them to become a whole person. However, high schools that are operating wind instrument music clubs are hampering revitalization of their wind instrument music clubs due to failure to expand practice rooms and concert rooms, insufficient financial support, lack of awareness of parents and school manager, inadequacy of systematic guidance methods and researche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material for planning ways for improvement and efficient operation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current status of operation of wind instrument music clubs, advising teachers, activities of the club members in high schools. As a result of studying the current operating status of wind instrument music clubs in high schools located in Gyeongsangbukdo and the surveys of advising teachers, it was found that the clubs were mostly revitalized in the industrial classes rather than humanity classes and they were mainly operated for various internal events in the schools. Teachers who did not major wind instrument were guiding the club, and the clubs were mostly run by school budgets so there were difficulties with purchasing instruments and inviting instructors. As a result of surveying students, it was found that many students joined the club voluntarily and most of them played music as a hobby and not for entering college of music. Students' activities in the club did not affect their grades but there were some opinions pointing out that students had little leisure time. Based on the these, efficient operating methods of wind instrument music clubs in high schools were foun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form schools' atmosphere in a way that they can actively co-operate with the clubs to invite the club members and music playing activities by planting awareness that desirable educational effects can be obtained through activities in wind instrument music club. Second, quality wind music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hrough studying the systematic education and instruction methods by procuring flexible practicing time to the extent that it does not affect daily classes. Third, educational environment must be improved by procuring sufficient budget through establishment of organic economic support system such as local community, corporations, alumni association, aid association and etc. Fourth, by providing students with various music playing opportunities the club members should have a sense of satisfaction with their activities, parents and other school teachers will have more awareness of the club and this will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cultural and art development of the school and local community. As high school education is over heated with studying for university admission, education of art subjects is becoming supplementary subjects. In such context, the number of music classes is decreasing and it is impossible to achieve every musical effects. Qualitative expansion of education toward entrance examination is growing like a balloon but we need to be aware that this is not a desirable way of education. As a musician, I believe that revitalization of wind instrument music clubs in high schools will take us one step closer to the essence of education.

      • 상업계 고등학교 전산회계 교육과정 개선안에 따른 취업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

        김현주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요약 21세기는 우리에게 다양하고 방대한 정보와 문화 속에서 창의력과 경쟁력을 지닌 인재양성을 요구한다. 필자는 현재 우리사회전반에 걸친 청년실업률 원인을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찾아보았다. 계열 및 전공과 무관한 일괄적인 대량취업과 취업 후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전문교과 내용ㆍ과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취업진로정보 및 상담 또한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실업계 고등학교의 정체성을 잃어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상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취업지원 프로그램 개발연구를 위하여 상업계 고등학교의 전공과목인 전산회계 교육과정 개선안에 따른 선행연구논문들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관련 사례연구 경력단절여성 대상 취업지원프로그램의 참가자 및 고용주 평가 만족도 설문 실증분석을 통하여 성공요인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논문의 개선안과 관련 사례연구 성공요인을 바탕으로 상업계 고등학교 전산회계 교육과정 개선안에 따른 학생들의 취업지원 프로그램(FJAP : Finding Job Assist Program about Accountant)을 개발하였다. FJAP을 학교현장 적용 시 기대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 회계 교과목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으로 전문교과활동의 활성화 - 취업에 필요한 전문교육을 통하여 취업의 극대화 - 학생들에게 취업진로탐색의 양적ㆍ질적 정보제공 - 직업윤리의식 교육으로 능동적인 인재양성 FJAP은 침체되어있는 상업계 고등학교의 본질을 되찾고, 취업진로에 대한 활성화를 목표로 개발되었다. FJAP을 시작으로 다양한 교과목 적용과 여러 취업취약계층에 필요한 취업지원프로그램 개발 연구에 시발점이 되도록 한다. Abstract Our world requires creative and competitive people to deal with massive information and diverse cultures in 21st century. This research was motivated from the hypothesis that problems of the Professional-Technical High School might cause the high unemployment rate in our society. The problems might be from limited job options regardless of student's majors and the curriculum was not applicable to the actual fields. In addition, there might be an identity crisis of the school due to limited information about jobs and the proper counselling. In this study, we first analyzed previously published studies about improving computerized finance education system in the Professional-Technical High School to develope Job Assist Program. we also considered and main factors of the previous successful program through interviewed and surveyed both employees and employers. From the results, we developed a new program, called FJAP(Finding Job Assist Program about Accountant). The expected effects when FJAP is applied to the school are as follows - Activating specialized curriculums for the finance majored students with positive perception - Increasing successful employment rate by proper educations - Providing the best information to search jobs - Producing active human resources by teaching professional ethics FJAP was developed to regain the original identity of the Professional-Technical High School and to stimulate on getting jobs. We expect that FJAP will rise interest to develop more advanced job assist program for different majored students and other social groups which have handicaps to be employed.

      • 통합교육의 협력교수 유형과 협력정도에 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이경명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educators' perceptions regarding both the types of co-teaching and the degree of cooperation. The following is the result from a total response of 40 teachers. First of all, when it comes to the types of co-teaching, a number of teachers in this study have recognized it is effective strategy and has advantages for general learners, students with disabilities , and even teachers. However, most teachers in this study have not used the co-teaching type yet. Actually, findings suggested that one-teach, one-assist model has been adopted by both groups in the real class the most. Secondly, the special educators' perception of cooperation emerged high level ,compared with that of the general teachers about the degree of cooperation and perception of both teachers. But, there is no significance difference statistically. In short, there is a little significance difference between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educators in terms of the types of co-teaching and the degree of cooperation in the inclusive classes. 본 연구는 통합학급 경험이 있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들을 통해 협력교수 유형과 협력정도에 대한 그들의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장애학생의 교육권 보장이라는 차원에서 장애학생이 겪게 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최상의 교육적 공간을 탐색하고 일반학급에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협력하여 지도하는 가장 바람직한 형태를 모색하고자 했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간 협력교수 유형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 정도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협력교수의 유형 인식 질문지와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정도 인식 질문지 두 가지를 개발하여 G 읍 지역 소재 특수교사 교과연구회와 G 시 지역 소재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출석수업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하였고, 본 검사는 D 시 지역 소재 중학교의 통합학급 경험이 있는 일반교사 20명과 특수교사 20명, 총 40명을 대상으로 직접 방문하여 질문지를 배부․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신뢰도 분석과 빈도분석 그리고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협력교수 유형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많은 참여 교사들은 협력교수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며 학습장애 학생 등 경도장애 학생들의 통합교육에 효과적인 전략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 협력교수 유형은 일반학생에도 효과적이라고 여기고 있었고, 장애학생과 비장애 학생뿐만 아니라 교사에게도 이점이 있다고 인식하였다. 하지만 협력교수 유형을 장애학생들의 통합교육에 효과적인 전략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연구 참여 교사들은 실제 협력교수 유형을 실시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영역에서 협력에 도움을 주는 교수-지원 유형, 장애학생에게 도움이 되는 교수-지원 유형, 일반학급의 학습 위기학생에 도움이 되는 교수-지원 유형, 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되는 팀 유형, 다양한 장애 수준의 학생에 적용 가능한 교수-지원 유형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협력에 도움을 주는 협력교수 유형으로 교수-지원, 보완적, 지원적, 팀, 그림자의 다섯 가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실제로는 두 집단 모두 교수-지원 유형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두 교사 집단의 협력정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학습지도, 생활지도, 학부모 교육 등 전체 영역에서 두 집단 모두 현재 협력에 대하여 ‘만족’할 수준은 아니지만, ‘보통’ 수준 이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선행연구(한옥란, 2003: 21-24)와 비교해 보면, 미세한 수준이기는 하지만, 점진적으로 협력정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장애학생에 대한 개인특성의 협력에 대하여도 ‘보통’ 수준 이상이지만, ‘만족’할 수준은 아니라고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세부영역에 대한 협력정도 인식은 ‘장애학생의 교육적 배치’(t=-2.439, p=0.02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가 나타났을 뿐, 나머지 세부영역에 대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협력정도에 있어서 특수교사의 평균점수는 4.15로 일반교사 3.55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학생의 교육적 배치’라는 세부영역에서 특수교사가 일반교사보다 협력정도를 더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 하나의 세부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세부영역에서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간에 협력정도에 관한 유의적인 인식의 차이가 없음을 의미한다. 즉 협력하고자 하는 생각에는 차이가 없음을 의미한다.

      • 기능적 수학교육프로그램이 지적장애성인의 화폐계산능력과 예산범위 내 구매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단일사례 연구

        김주은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독립적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회적 기술이 필요한데 특히 구매기술은 그 가운데 매우 실질적인 기술에 속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입장에서 기능적 수학교육프로그램이 지적장애성인의 화폐계산능력과 예산범위 내 구매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2017년 11월부터 12월까지 주 1회~2회 총 10회기 동안 K 지역에 위치한 H 복지센터를 이용하는 중년의 지적장애성인 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적용한 기능적 수학교육프로그램은 금액알기, 잔돈 바꾸기, 물건 값 계산하기, 거스름돈 계산하기의 4가지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화폐계산능력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프로그램 전‧후 화폐계산 능력 검사를 사전‧사후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예산범위 내 구매기술에 미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물건구매행동 관찰 척도를 사전‧사후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매 회기마다 관찰일지를 통한 질적 분석도 함께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기능적 수학교육프로그램이 지적장애성인의 화폐계산능력 향상에는 효과가 있으나 예산범위 내 구매기술 향상에는 효과를 나타내지 못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대상자가 1명이고 대상자의 특성으로 인해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었으나, 교육의 기회가 없었던 지적장애성인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여 스스로 화폐계산을 할 수 있게 된 것, 구매에 대한 욕구는 컸으나 타인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던 대상자가 스스로 구매활동을 해봄으로 지역사회에서 구매활동에 대해 즐거움과 자신감을 갖게 된 것, 또 더 이상 의존과 고립이 아닌 지역사회로 나올 수 있도록 계기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향수 보다 다양한 지적장애성인을 대상으로 한 구매기술 향상을 위한 수학교육이 시도될 필요가 있다고 볼 수 있다. For the disabled adults to live in a local community independently, they need various social techniques, and the purchase technique is one of the more efficient ones.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effect of a functional mathematics learning program on money calculation ability and the purchase technique within the budget of the disabled adult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 middle-aged adult with the intellectual disability once or twice a week and lasted up to ten times from November to December 2017. The study subject used H welfare center located in K area. The functional mathematics learning program applied was composed of four areas – knowing the amount, breaking the bill into small changes, paying for goods, and calculating change. To prove the effect on money calculation ability, ability 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 result was analyzed. To verify the effect on the technique of purchasing within the budget, observation on goods purchasing behavior was mad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was made. Besides,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the observation log on every session was also executed.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the functional mathematics learning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money calculation ability, but did not have much effect on improving the technique of purchasing within the budget. Although there was a limit of only one test subject and generalizing the result can be difficult, the study was able to provide a learning opportunity to a mentally challenged adult who could not have learning opportunities so the person could calculate the money independently. Also, the study subject who had strong purchasing desire but had to depend on others could now have fun and confidence in purchasing activity in the local community by purchasing by oneself. Since this study created a chance for a disabled adult to come out of dependency and isolation and go into the local society, there is a need to attempt conducting mathematics learnings for various intellectually challenged adults to improve their purchasing skills.

      • 예비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행복감 및 교육신념의 관계

        김정은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향후 유아교사가 될 예비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행복감 및 교육신념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들 변수간의 상호관련성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예비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 주관적 행복감, 교육신념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둘째, 예비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예비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육신념의 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예비 유아교사의 주관적 행복감과 교육신념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D․K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교 중 유아교육과가 있는 4곳의 3학년, 4학년 유아교육과 학생들 246명이다. 연구 도구로는 세 가지의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먼저 자아존중감 측정을 위해서는 Coopersmith(1967)가 제작한 Self-esteem Inventory를 강종구(1986)가 한국판으로 표준화한 것을 사용하였고, 주관적 행복감의 측정을 위해서는 신지연(2007)의 행복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예비 유아교사의 교육신념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Peters 등(1985)이 제시한 교사신념목록(Teacher Belief Inventory: TBI)을 번안한 후 일부 내용을 수정한 오채선(1991)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각 검사의 채점 기준에 근거하여 점수화 한 후, 통계적 분석은 SPSSWIN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상관관계 분석 등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은 보통 수준을 약간 상회하였으며, 주관적 행복감 역시 보통 수준 이상이었고, 교육신념 또한 보통 수준 이상이었다. 둘째, 예비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 전체와 주관적 행복감 전체 및 하위 영역별 상관관계에서 자아존중감 전체와 주관적 행복감 전체가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예비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육신념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자아존중감 전체와 교육신념 전체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며, 교육신념의 하위 영역 중에서 행동주의를 제외한 성숙주의와 상호작용주의와만 낮지만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넷째, 예비 유아교사의 주관적 행복감과 교육신념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주관적 행복감 전체와 교육신념 전체는 낮지만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교육신념의 하위 영역 중에서 행동주의를 제외한 성숙주의와 상호작용주의와 유의한 낮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 울산민요의 국악교육 지역화 방안 모색

        조승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MA Thesis The localization of folk musical education by means of the traditional Ulsan methods Cho Seung Hee Major of Music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eungnam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Choi Moon Ji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Ulsan’s folk songs; related to Korea’s traditional music education can be used as class contents in the 2007 revised regulations and also to localize these songs by restructuring the curriculum. This study is further aimed at finding methods of localizing Ulsan’s folk songs by developing text books and lesson plans which would restructure the curriculum based on third grade students. Ulsan can use this music course to teach its traditional nursery rhymes and folk ballads. These were chosen based their practical melodious pieces. The musical pieces were selected to teach third grade music. The materials are aimed at further developing the field of musical education. The study included in this compellation conclu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given the sanctions of this course, it can not only be applied to the Traditional Music 2007 music and curriculum, but it can also be integrated with the everyday life of an Ulsan resident. The versatile areas include the instrumental realm, the creative areas and listening. It further exclaims the importance of spreading its content. Secondly, Ulsan folk songs and nursery rhymes were examined and research proved that there is great support for the traditional music and it can therefore be preserved. It can also be practiced and performed locally with ease. Lastly, there is easy access to the learning materials and songs. These can be downloaded at www.ulsangugak.org. In this reference folder, you can find most of Ulsan’s traditional folk songs, so students and teachers are able to enjoy and learn them by themselves. 울산민요의 국악교육 지역화 방안 모색 曺 承 希 嶺南大學校 敎育大學院 音 樂 敎 育 專 攻 (指導敎授 최 문 진) 요 약 본 연구는 울산민요를 현행 2007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제재 곡으로 활용하여 학습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음악과 교육과정의 재구성을 통하여 울산민요의 국악교육 지역화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일반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을 대상으로 음악과 교육과정을 재구성 할 수 있는 교재와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여 울산민요의 국악교육 지역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울산민요는 3학년 음악과 교육과정에 적합한 교육내용을 듬뿍 담고 있는 울산 전래동요와 토속민요를 중심으로 제재 곡으로 선택하였으며 선택된 제재 곡으로 가르칠 수 있는 3학년 음악과 교육과정의 교육내용을 담아 교재를 개발하고 그 교재로 지도할 수 있는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여 교육현장에 학습 자료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음악교육과정에서 주어진 제재 곡을 대신하여 울산민요로 적용 가능한 2007년 음악과 교육과정 국악영역 분석을 해 본 결과 생활화 영역, 가창영역, 기악영역, 창작영역, 감상영역, 이해영역에 있어 지도해야 할 내용이 울산민요로 적용할 수 있었으며 다양한 울산민요와 전래동요 관련 자료의 수집 및 채보를 통해 초등학교 3학년 음악과 교육과정 국악영역의 지도 내용 재구성을 할 수 있는 울산 전래동요와 민요의 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다. 둘째. 울산민요와 전래동요를 제재 곡으로 하는 초등학교 3학년 음악과 교육과정 교재와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로 울산민요의 국악교육 지역화에 터전을 마련할 수 있었고 울산민요의 국악교육 지역화가 용이하게 되었다. 셋째. 울산국악사랑 (울산사랑노래연구회 홈페이지-http://www.ulsangugak.org) 공개 자료실에 울산 전래동요 및 민요 제재 곡의 실음을 탑재하여 학생들과 교사들이 자유롭게 다운 받아 울산민요의 국악교육 지역화 자기 주도 학습이 가능하게 되었다.

      • 중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분석을 통한 체육수업의 개선방안

        박우호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중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분석을 통한 체육수업의 개선방안 박 우 호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과 본 연구는 해방이후부터 2007년에 발표된 개정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체육교육과정과 관련된 내용들을 분석해보고 이를 통하여 앞으로 중등학교의 체육수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학교에서 체육교육이 제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분석을 통한 체육수업의 개선방안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렸다. 첫째, 체육교육이 제자리를 찾아가기 위해서는 체육교육에 관한 정체성이 확립되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하여 체육수업은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결과중심의 단조로운 평가방식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평가도구들이 활용될 수 있는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변화하는 수업환경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체육교사의 적극적인 역할모색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체육교육이 스스로 반성하고 변화를 주도할 수 있다면 최근 교육계의 교육과정 개정에 관한 논의와 예체능 교과의 평가방식 전환에 대한 논란은 오히려 우리에게 새로운 도전의 기회가 될 수 있다. 또한 지금의 위기상황이 전화위복이 되어 체육교과의 정상적인 운영과 가치의 극대화를 재고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M. A. Thesis The Method of Improvement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by Analyzing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Secondary School Park, Woo-Ho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Kim, Dong-Kyu) ABSTRAC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ight way that physical education in school has to head for by analyzing all of the curriculum since the Liberation and indicating the direction that physical education class in Secondary School is going to proceed.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identity of physical education has to be established to set it back into place. Second, various kinds of teaching method should be applied to induce students' interest. Third, diverse assessment tools should be used to move away from result-based evaluation. Finall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need positive attitude to search for a role of accepting rapid-changing education environment. Based on this conclusion, current controversial issues on curriculum revision and evaluation method change in arts and physical education can be an opportunity to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f the physical education can reflect itself and lead the trans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