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학대학교 학생과 일반대학교 학생의 수치심 경향성, 자기불일치, 우울,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비교 분석

        박미하 한영신학대학교 상담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s of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and general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hame-proneness and self-discrepancy on university students'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reliminary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way that questionnaire tests were administered to 227 students from theological universities and general universities. The test results were analyzed by means of SPSS 10.0 program,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show higher degrees of mental stability than general university students in the actual self, the ideal self, the ideal/othe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the survey on gender difference shows that, in theological universities, female students have higher degree of shame-proneness than male students. In general universities, female students show higher degrees of shame-proneness, the ideal/other, and self-discrepancy than their male colleagues.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school, the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who feel less satisfied with their school have higher degree of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and depression. The general university students who feel satisfied with their school show higher degree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rvey on the majors of the theological students reveals that those who major in theology have higher degree of mental stability in the real self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hereas those who major in general subjects have higher degrees of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other discrepancy, general discrepancies, and depression. In general universities, the Christian students have higher degree of mental stability in the ideal self and the ideal/other than non-Christian students. Third, the comparative analyses between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Christian students in general universities, and non-Christian students in general universities show the following results.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general university Christian students, and general university non-Christian students prove to have the degree of the real self in increasing order from the lowest to the highest. General university Christian students,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 and general university non-Christian students show an increasing order of the degree in the ideal self and the ideal/other.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general university Christian students, and general university non-Christian students show a decreasing order of psychological well-being. Lastly, the final test has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oups and the variables in the degree of the ideal self and the deal/other. Fourth, depression has positive correlations with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and other discrepancy,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ctual/own discrepancy. Psychological well-being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ctual/own discrepancy, while having negative correlations with depression,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other discrepancy. Shame-proneness and self-discrepancy prove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depression by 43% of accountability, while shame-proneness have a higher degree of influence on depression. Shame-proneness and the actual/own discrepancy wiel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by 44% of accountability. Shame-proneness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In conclusion, shame-proneness and the real self operate as important variables in reducing depression and improving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make practical programs to deal with shame-proneness and the real self in cultivating the students' positive selves in the school atmosphere. 본 연구는 신학대학교 학생과 일반대학교 학생의 수치심 경향성, 자기불일치, 우울,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를 알아보고, 자기(self)관련 변인인 수치심 경향성과 자기불일치가 대학생의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신학대학교와 일반대학교에 재학 중인 227명의 학생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 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학대학교 학생이 일반대학교 학생보다 실제 자기, 이상 자기, 이상/타인, 심리적 안녕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서는 신학대학교는 수치심 경향성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일반대학교는 수치심 경향성, 이상/타인, 자신불일치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교만족도에서는 신학대학교의 경우 학교에 불만족하는 학생들이 수치심 경향성, 자신불일치, 우울이 높게 나타났고, 일반대학교는 학교에 만족하는 학생들이 심리적 안녕감이 높았다. 신학대학교 학생의 전공에 있어서는 신학전공 학생이 실제자기, 심리적 안녕감이 높게 나타났고, 일반전공학생은 수치심 경향성, 자신불일치, 타인불일치, 전체불일치, 우울이 높게 나타났다. 일반대학교 학생의 기독교 신앙유무에 있어서는 이상 자기, 이상/타인에서 기독교 신앙을 가진 학생들이 기독교 신앙을 가지지 않은 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신학대학교 학생, 일반대학교 기독학생, 일반대학교 비기독학생의 세 집단간을 분석한 결과는, 실제 자기는 신학대학교 학생, 일반대학교 기독학생, 일반대학교 비기독학생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이상 자기와 이상/타인에서는 일반대학교 기독학생, 신학대학교 학생, 일반대학교 비기독학생 순으로 높았으며, 심리적 안녕감에서는 신학대학교 학생, 일반대학교 기독학생, 일반대학교 비기독학생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사후검정 결과, 이상 자기와 이상/타인에서 세 집단과 변인간에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우울은 수치심 경향성, 자신불일치, 타인불일치와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고, 실제 자기와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심리적 안녕감은 실제 자기와 정적상관을 나타내었고, 우울, 수치심 경향성, 자신불일치, 타인불일치와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수치심 경향성, 자신불일치가 우울에 유의하게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설명력은 43%였고, 수치심 경향성이 우울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수치심 경향성, 실제 자기가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하게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설명력은 44%였다. 수치심 경향성은 심리적 안녕감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에 대학생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데 있어서 수치심 경향성과 실제 자기가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대학생의 긍정적인 자기(self)형성을 위한 대학환경 구성에 있어서 수치심 경향성과 실제 자기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바울의 ‘십자가 신학’에 대한 연구

        조광석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9631

        바울의 ‘십자가 신학’은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서 죽으셨을 때 신자도 함께 죽었다고 말하는 다음의 구절들에서 가장 선명하게 표현된다: “그러므로 우리가 그의 죽으심과 합하여 세례를 받음으로 그와 함께 장사되었나니”(롬 6:4); “우리가 알거니와 우리의 옛 사람이 예수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힌 것은”(롬 6:6); “내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혔나니 그런즉 이제는 내가 사는 것이 아니요 오직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시는 것이라”(갈 2:20). 이 구절들은 직설법 부정과거 수동태로 표현되어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과 연합하여 신자가/신자의 ‘옛사람’이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혀 죽었다고 말한다. 여기서 수동태는 ‘신적 수동태’로서 하나님께서 그러한 사건이 일어나도록 행하셨다는 것이며 신자에게 은혜로 이미 이뤄진 사건이라는 뜻이다. 이 사건에 근거하여 신자에게 죄 사함과 칭의가 은혜로써 이뤄진다고 바울은 설명한다. 한편 바울은 신자가 죄와 육신의 정욕을 이기고 성령을 따라 성화생활을 살아야 할 것을 ‘죽이라’ 또는 “죽은 자로 여기라”는 명령형을 써서 권면한다: “그러므로 땅에 있는 지체를 죽이라. 곧 음란과 부정과 사욕과 악한 정욕과 탐심이니 탐심은 우상 숭배니라”(골 3:5); “너희가 육신대로 살면 반드시 죽을 것이로되 영으로써 몸의 행실을 죽이면 살리니”(롬 8:13). 로마서 8:13의 경우는 조건절로 표현되었으나 의미상으로는 명령형의 권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직설법과 명령법의 관계가 문제되고 있는 것을 보게 된다. 신자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혔고 함께 죽었는데, 또 한편으로는 신자가 죄와 육신을 죽이는 삶을 살아가야 한다는 문제이다. 불트만을 비롯하여 많은 주석가들은 이 문제를 “세례시에 하나님의 은혜로 이미 이뤄진 구원의 사건이 신자의 윤리생활 속에서 실행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는 식으로 설명한다. 하나님의 은혜로 신자의 구원이 “이미” 이뤄졌으나, 완전히 “아직” 다 이뤄진 것이 아니며 이 세상에서 윤리생활을 통해 이뤄가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는 말이다. 다시 구체적으로 예를 들자면, 빌켄스(Wilckens)는 로마서 6-8장에서 “그리스도인의 삶에 있어서의 칭의의 현실”을 말하고 있다고 본다. 또 쉬라이너(Schreiner)는 로마서 5-8장에서 “이신칭의의 결과로서의 소망”을 말하고 있다고 본다. 수많은 주석가들이 비숫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주석가들은 바울의 십자가 신학을 오해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바울이 신자가/신자의 ‘옛사람’이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히고 함께 죽었다고 하는 것은 신자가 은혜로 구원받아 새로워진 ‘신분’ 즉 칭의에 대하여 말한 것이다. 갈라디아서 2:20과 6:14에서 바울이 신앙고백적으로 표현한 것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다. 그러나 골로새서 3:5와 로마서 8:13의 경우는, 신자의 새로워진 ‘신분’과 ‘지위’에 대하여 말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워진 신분에 상응하게 ‘새사람’으로서 성화생활을 살아가야 한다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대속의 은혜로 이뤄진 신자의 칭의는 신자의 성화의 생활과 직접 연결되는 관계에 있지 않다고 보아야 한다. 바울이 로마서 8:13과 골로새서 3:5에서 “몸의 행실을 죽이면 살리라” 또는 “지체를 죽이라”와 같이 강한 표현을 써서 표현하고 있는데, 단순한 “칭의의 현실”을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신자가 성화생활을 위해 끈질기게 분투노력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죄의 습관과 육신의 정욕은 어느 정도 억제하는 노력을 하면 해결될 수 있다는 희망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또 신자의 의지를 통해 성화생활이 가능하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 반대다. 즉 철저하게 죄의 습관과 육신의 정욕을 철저하게 끊어버리는 투쟁을 하여야 하며 그것을 성령의 도우심으로 힘써 행할 때 성화생활이 가능하게 된다는 것을 가르치고 있는 것이다. 신자가 성화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근본적으로 방해하는 세력이 신자 안에 있는 ‘육신’ 즉 죄성(罪性)인데, 신자 자신의 노력으로는 이 육신 때문에 성화생활이 실패할 수밖에 없으나, 성령으로 살게 될 때 육신의 욕망을 제어할 수 있고 생명을 얻는 거룩한 생활을 살 수 있다고 바울은 강조한다. 이것을 바울은 갈라디아서 5:16-26과 로마서 7-8장에서 설명해주고 있다. 로마서 8:13(“너희가 육신대로 살면 반드시 죽을 것이로되 영으로써 몸의 행실을 죽이면 살리니”)에서 교훈하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그런데 갈라디아서 5:24(“그리스도 예수의 사람들은 그 정욕과 탐심과 함께 육체를 십자가에 못 박았느니라”)의 경우는 대부분의 주석가들의 설명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들은 이 구절이 로마서 6:6(“우리의 옛 사람이 예수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힌 것”)에서 말한 것과 같이 모든 신자들이 믿고 세례 받고 거듭날 때 경험한 보편적인 사건이라고 본다. 그러나 갈라디아서 5:24의 전후 문맥을 보면, 그러한 해석은 피상적이고 그릇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5:16-26의 문맥에서 말하고 있는 것은, 신자가 세례 받았을 때에 일어난 경험이 전혀 아니다. 오히려 그 문맥에서 바울은 신자의 성화생활을 권면하고 있음이 분명하다. 또 5:16-23에서 바울은 육신을 따라 사는 삶은 성령을 따라 사는 삶을 통하여 극복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신자가 믿고 세례 받았을 때 육신을 십자가에 못 박았다고 한다면 5:16-17에서 “육신으로 행하지 말고 성령으로 행하라”고 권면하고 있는 것이 모순된 말이 될 것이다. 또 로마서 8:13(“너희가 육신대로 살면 반드시 죽을 것이로되”)의 경고도 헛된 말이 되고 말 것이다. 그러므로 갈라디아서 5:24는 신자가 육신으로 살지 않고 성령으로 사는 생활을 힘썼을 때 이뤄진 결과를 말한 것으로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5:19-21에서 육신으로 산 결과를 말하고 있고, 5:22-23에서 “성령의 열매”를 말하고 있으며, 이어서 5:24의 선언이 나타나고 있는 것을 볼 때, 이 구절은 성령으로 사는 신자의 성화생활의 결과를 말하고 있는 것으로 보는 것이 자연스럽다.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힌 “옛 사람”(롬 6:6)과 “나”(갈 2:20)는 직설법, 곧 신자의 신분의 변화를 지칭한 용어로 쓰인 반면에, 갈라디아서 5:24에서 ‘십자가에 못 박은 육체’는 거듭난 신자 속에 여전히 남아 있는 죄성을 가리키는 ‘육신’이 성령으로 살아갔을 때 철저하게 제어된 상태를 “십자가에 못 박았다”고 하는 강한 표현으로 말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말이다. 갈라디아서 5:24에 대한 새로운 해석학적 통찰이 주석 분야에 기여하기를 바라며 이것이 영적인 믿음 생활을 하기 원하는 성도들에게 도움이 되리라 믿는다. ‘Theologia crucis’ of Paul was expressed evidently in the following verses which say when Christ was crucified at the cross, believers also were crucified with Christ: “we were buried with him through baptism into death”(Rom. 6:4); “we know that our old self was crucified with him”(Rom. 6:6); “I have been crucified with Christ”(Gal. 2:20). The above instances which were expressed with aorist passive indicative say that ‘old self’ of believers were crucified in the union with the crucifixion of Christ. This passive voice is ‘passivum divinum.’ It means God this event to permit this grace to the Christians. Paul explained forgiving of sin and justification were given to Christian as grace in the basis of the event. Paul exhorts believer to conquer sin and lust and to live sanctified life with imperative mood as “put to death”(Col. 3:5) or “count yourself dead”(Rom. 8:13). Here we can see the issue between indicative and imperative. On the one hand, Christian was dead and crucified with Christ at the cross, on the other hand, Christian should put to death sin and sinful nature. Bultmann and many commentators explained this issue as follows: “when we were baptized were already saved from the sin with the grace of God, and then we carry into ethical life.” It means the salvation of Christian realized ‘already’, but ‘not yet’ accomplished, was realizing through ethical life in this world. To show instance concretely, Wilkens says the subject of Rome ch. 6-8 is the “reality of justification in Christian life.” And Schreiner sees the the subject of Romans 5-8 is the “hope as a result of justification by faith.” And many commentators explain this similarly. But they mistook the ‘crusis theologia’ of Paul. Paul said the “old self” of Christian was crucified with Christ in the verse of Galatians 2:20 and Romans 6:6, in order to manifest new identity of Christian that is justification by saving grace. But in the case of Romans 8:13 and Colossians 3:5, it doesn't say about new identity and position of Christian, because they say Christian should practice sanctified life as ‘new man’ in the newly granted position. Accordingly the justification of Christian bestowed by the atoning grace of crucifixion of Christ was not related directly with the life of sanctification of Christian. Paul expressed strongly at the following verses “if you put to death, you will live”(Rom. 8:13), “put to death whatever belong to your earthly nature”(Col. 3:5). This is not to speak “the reality of justification,” but to put emphasis on strenuous and hard efforts of sanctified life of Christian. Paul did not say the habit of sin and lusts of the flesh will be relieved with a little efforts. In succession he did not say sanctified life of Christian is possible by the strong will of christian. Contrarily it needs strenuous struggle with the lusts of flesh and hard abstention of the habits of sin by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The cardinal obstacle of sanctified life of Christian is ‘sinful nature’ in Christian. Paul emphasizes this sinful nature makes to fail the Christian victorious life because of the sin, but if we live by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we can abstain the lusts of the flesh and can live sanctified life. The teaching of Romans 8:13 is correctly this one. By the way there are some questions in the explanations of many commentators about Galatians 5:24: “Those who belong to Christ Jesus have crucified the sinful nature with its passions and desires.” They thought Galatians 5:24 has same meaning with the meaning of Romans 6:6: “our old self was crucified with him so that the body of sin might be done away with.” They intends that the meaning of Galatians 5:24 is universal experience of all Christians when we believed in Jesus Christ and were baptized like as the experience of Romans 6:6. But this is shallow and incorrect exposition. Because the context of Galatians 5:16-26 is not talking about the experience of baptism of Christian. Rather it speaks about the sanctified life of Christian. If Christians crucified the sinful nature at the cross when they were baptized, then the mention of Galatians 5:16-17 “live by the Spirit not by the sinful nature” will be contradictory to each other. And the admonition of Romans 8:13 “for if you live according to the sinful nature, you will die, but if by the Spirit you put to death the misdeeds of the body, you will live” will come to nothing. Consequently the teaching of Galatians 5:24 is the result of the Spirit following christian life. And “those who belong to Christ Jesus”(Gal. 5:24) means not the ordinary Christian but the spiritual Christian. Because the content of Galatians 5:19-21 is the result of life of the sinful nature-followed Christian, but 5:22-23 is the fruits of the Holy Spirit. And the declaration of 5:24 has followed the preceded verses. On the one hand, the “old self”(Rom. 6:6) and “I”(Gal. 2:20) who was crucified with Christ mean the new identity of Christian for the mood of indicative, on the other hand “σάρξ” of Galatians 5:24 is the still remained sinful nature in Christian. And it's influence will be smaller and smaller when Christian lives spiritual life by the Spirit. And “have crucified (the sinful nature)”(Gal. 5:24) is the strong expression of control by the Spirit thorough and thorough. I believe this new hermeneutic insight of Galatians 5:24 would contribute to the exegetical world and it could help the christian who want to be spiritual believer.

      • 기독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신앙성숙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박양균 한영신학대학교 상담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기독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신앙성숙의 하위영역, 그리고 자아정체감의 수준이 기독대학생의 일반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기독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신앙성숙, 자아정체감과의 상관관계와 부모의 양육태도와, 신앙성숙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지역에 소재한 4개 교회의 청년 대학부 대학생과, 수도권 모 기독교대학의 학생을 중심으로 216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내적 신뢰도(Cronbach α) t검증과 일원분량분석,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나타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대학생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기독대학생이 지각한 부의 양육태도에서는 부의 수용적 양육태도가 신앙연수, 교회출석시기, 가족신앙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모의 양육태도에서는 수용적 양육태도가 교회출석시기, 가족신앙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앙성숙의 하위유형인 신앙고백성에서는 교회출석, 신앙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교회생활성에서는 월평균 교회 출석, 신앙경력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회생활성에서는 성별, 신앙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기독대학생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자아정체감에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기독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수용적 양육태도는 낮은 정적상관이 있었고,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는 낮은 부적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부모의 양육태도는 신앙성숙의 하위영역인 신앙고백성, 교회생활성, 사회생활성과 낮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독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신앙성숙과 자아정체감관계에서는 부의 수용적 양육태도가 자아정체감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신앙성숙이 자아정체감의 하위영역인, 교회생활성, 사회생활성이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독대학생의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신앙성숙이 자아정체감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양육태도가 거부적 양육태도로 지각될 때보다는 수용적이라고 지각될 때 더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신앙이 성숙할수록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제2의 탄생이라고 불리는 이 시기의 기독대학생들의 자아정체감 확립을 돕기 위해서는 부모가 자녀들을 수용적으로 대할 수 있도록 수용적 양육태도에 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신앙성숙을 도울 수 있는 상담적 접근모델이 필요하다. The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difference in the sub‐factors of parents’ parenting attitude and perceived by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and the students’ religious maturity and self‐identity level according to the students’ general background,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and the students’ religious maturity and self‐identity, and the effects of parents’ parenting attitude and religious maturity on self‐identity. For these purposes, we collected data from 216 university students sampled from the Youth and University Part of four churches and a Christian university in the capital area, and analyzed collected data through internal reliability (Cronbach α)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procedure were as follows. First, as to father’s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the students’ general background, father’s receptive parenting attitud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years as a Christian, the period of church attendance, and the state of family’s faith. As to mother’s parenting attitude, receptive parenting attitud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period of church attendance and the state of family’s faith. Confession of faith, one of the sub‐factors of religious matur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church attendance and religious experience, and church lifestyl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monthly average number of church attendances and religious experience. In addition, social lifestyl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nd religious experience.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self‐identity according to their general background. Second, parents’ receptive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showed a low positive correlation and parents’ rejective parenting attitude showed a low negative correlation. In addition, parents’ parenting attitude was found to have a low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ub‐factors of religious maturity, namely, confession of faith, church lifestyle, and social lifestyle. Third, as to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and the students’ religious maturity and self‐identity, father’s receptive parenting attitude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identity, and religious maturity had a positive effect on church lifestyle and social lifestyle among the sub‐factors of self‐ident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self‐identity can be enhanced by parents’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the students and the students’ religious maturity. That is, the students had stronger self‐identity when they perceived parents’ parenting attitude to be receptive and their religious maturity was high. Accordingly, in order to help university students establish their self‐identity during this period, which is called the 2nd birth, we need to develop parent education programs on receptive parenting attitude so that parents treat their children receptively and to formulate counseling approach models for enhancing religious maturity.

      • 히브리서 2:5-18에 나타난 기독론

        박성혜 한영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One cannot help but notice that the literary structure of Hebrews is peculiar. Not only is the purpose of the letter uncertain but both the author and the intended audience is not known to us. Methods to interpret the book varies considerably and the only thing we can be certain of is that the author is a gifted preacher. We shall take the view that this letter serves as an admonishment to it's readers in order to interpret the text. It was once believed that the Law was delivered to Moses through the intercession of an angel. This view, however, causes the critical problem of relying too heavily on the Law in dealing with their sins. The best method to confirm the beliefs of these people would have been to teach them Jesus' superiority over the angels. The author warmed readers God's judgement for their fluctuating devotion. The faithfulness and perseverance of covenant is based on the fresh understanding of Jesus and his sacrifice. Incarnation and expiation lead us to the following arguments. First of all, the author comments on both the glory and misery of men by quoting psalm 8 and genesis 2-3. Though God made human as a heavenly transcendental being, but sorrowfully, we see the depths of meaninglessness, fear and darkness in relation to morality. Although this world is filled with pain and misery, we are promised of another world that is to come. It is a different world, It is referred to as God's kingdom, which is accomplished by God's activity. In it the people share in His glory. Jesus became man to realize this. He identifies himself with human being and also persevered severe suffering, testing and even tasted death. So his death produced high and noble glory with redemption and ascending. Now he is alive and sits at the right of God. He also allows us to fellowship with God. Therefore, Jesus, our high priest is our model in faithfulness, perseverance, and the restoration of man. His death provided access to God for His people and we are also given assurance of help in times of need. The text conclusively supports Jesus' superiority to the angels. 히브리서는 문학적 구조의 형태나 양태에서 독특하다. 저자, 목적, 그리고 의도된 청중들과 관련한 전통은 대립적이고 신뢰성이 없다. 텍스트 자체에서 제공되는 증거들은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게 한다. 히브리서의 문학적 구조에 특징적인 해석과 권면의 교차적 사용은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한다. 현대의 독자들은 히브리서를 설교로 봄으로써 그것을 이해할 수 있다. 당대 유대교의 가르침에서 율법은 천사의 중재로 모세에게 전달된 것으로 간주되었다. 이것은 문제의 핵심으로 독자들이 죄의식에 대처하기 위하여 율법에 의존하려는 유혹을 받았기 때문이다. 기독교 가르침의 우월성을 표현하는 하나의 방법은 예수가 천사들보다 우월함을 보여 주는 것이다. 그리하여 히브리서 저자는 새로운 위기에 직면해서 그들의 신앙을 확고히 하게 함으로써 그들을 강화하는 일을 추구하고 있다. 히브리서는 만약 그들이 헌신에 동요를 일으킨다면 발생할 수 있는 하나님의 심판을 경고하고 있고, 히브리서의 언약적 신실성과 인내에 대한 권고는 예수와 그의 희생에 관한 의미의 신선한 이해에 근거를 두고 있다. 그것의 논쟁은 성육신과 십자가 사건이다. 먼저 저자는 인간의 영광과 비극을 보게 됨을 말한다. 하나님은 인간을 하늘의 존재를 초월하도록 의도하셨지만 슬프게도 우리 각자의 삶들과 조직들 모두에서 도덕적 어두움과 두려움의 심연과 부도덕함과 의미 없음의 깊이들을 보게 된다. 현 세상은 비참하지만 오는 세상이 있다. 그것은 저자가 기대했던 이 세상의 왕국과 질적으로 다른 하나님의 왕국이며 그것은 하나님 사랑의 영광된 행위로 인하여 성취된다. 그곳에는 많은 하나님의 자녀들이 하나님의 영광을 공유하도록 운명되어진다. 이를 위해 예수 그리스도께서 자유롭게 인간과 동일시하심을 선택하여 예수님은 살과 피의 인간 본성을 취하셨다. 이것은 그가 참인간에게 요구되는 모든 것에 참여하는 것을 말하는데, 그것은 고통과 시험과 죽음이다. 그러므로 그의 죽음은 존귀와 영광의 관을 씌우는 구속과 승귀의 결과를 낳았다. 또 우리를 그의 아버지와 함께 그의 영원한 교제를 나누도록 허용한다. 따라서 인간과 유대하고 있는 대제사장이신 하나님의 아들로서의 예수는 하나님에 대한 신실과 인내의 최고 모범이시며, 그의 희생적 죽음은 믿는 자들이 하나님에게 제한 없이 접근하고, 적당한 때에 있게 될 도움을 확신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예수 그리스도는 천사들보다 월등하시다.

      • 중동지역 이슬람을 위한 선교전략에 관한 연구 : 방송선교를 중심으로

        인소윤 한영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논문의 목적은 중동지역에 살고 있는 무슬림들에게 복음을 전하기 위한 "방송선교 전략"에 관한 연구이다. 지금까지 한국 교회는 중동지역에 살고 있는 무슬림들을 너무 도외시 해왔다. 그 이유는 중동 지역의 선교가 어렵고, 중동 지역에서 이슬람의 세력이 워낙 강하기 때문에 한국교회의 선교사역이 미미한 원인이 있다고 분석되어진다. 그러나 본 연구자의 관점에서 더욱 중요한 이유는 중동 이슬람 지역에 대한 효과적인 선교전략이 개발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복음에 적대적이고 현지인들과의 직접적인 접촉이 어려운 중동 이슬람 지역에서도 방송을 통해서는 집안까지 복음을 전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것을 생각하게 된다. 더 나아가 중동지역의 무슬림들에게 방송선교는 복음의 닫힌 문을 열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선교전략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중동지역에서는 정부의 심의를 거치지 않고 위성방송을 통하여 무슬림들이 살고 있는 안방까지 방송을 통해 복음이 수신될 수 있도록 허락하기 때문이다. 다른 말로 한다면 정부의 간섭을 받지 않고 방송을 통하여 중동의 무슬림들에게 예수그리스도에 관한 복음을 전파할 수 있는 것이다.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중동지역의 이슬람을 위한 효과적인 선교전략으로 방송선교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전개되어진다. 제Ⅰ장은 서론으로서 본 논문의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방법, 연구 범위와 한계로 구성한다. 제Ⅱ장은 중동 지역의 특성과 상황에 대해서 연구한다. 제III장은 이슬람의 역사와 교리를 집중적으로 연구 분석한다. 제Ⅳ장은 중동지역 무슬림을 위한 방송 선교전략을 한국교회가 반드시 적용하고 활용하도록 하기위해서 방송선교의 역할과 영향력을 알아보고 방송 선교전략의 효율성을 총체적으로 연구하여 제시한다. 제Ⅴ장은 결론 부분으로서 본 논문의 연구를 전체적으로 요약하고 본 논문이 도출해 낸 중동 지역의 효과적인 선교전략인 방송선교전략이 지니고 있는 중요성과 가치를 설명한다. 또한 오늘의 한국교회가 중동 지역 선교를 효율적으로 성취하기 위하여 방송을 가지고 선교전략을 활용하고 적용하도록 제언하는 것으로 본 논문을 끝맺는다.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based on the study of the "strategy of broadcasting" in order to preach the gospel to Muslims in the Middle East. Currently, Korean churches have disregarded Muslims living in the Middle East. It is analyzed that the reason why the Korean churches do not try their best to do the missionary work is that it is hard to do a missionary work in the Middle East as Islam has a very strong, dominant, influence on the Middle East. However, this paper proposes that another important reason is that an effective mission strategy has not been developed to spread the Christian message effectively in the regions of the Middle East. Factors impacting this proposed mission statement include overcoming the religious and socio-cultural barriers that make Christian evangelism extremely difficult within the context of modern Islam. The author therefore proposes that the major methodology to be used is by broadcasting the Christian message via the various media available in today’s technically advanced world. Using broadcast media in all its natures, all of which are available in the countries occupying the Middle Eastern region, is considered to be a very effective means of evangelization as it allows people to listen and watch the programs that they wish to view without any overt interference of the local authorities, be they governmental, secular, or religious in nature. Without the interference of the local authorities, the gospel of Jesus Christ can be shared with those who would choose to listen to it. Based upon this premise, this thesis will suggest a plan for an effective mission strategy to disseminate the Christian message throughout the Middle East through the use of media broadcasting. This thesis has the following composition. Chapter Ⅰ is an introduction and composed of the necessity, purpose, study methods, and range and limitation of the study. Chapter Ⅱ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s of the Middle East. Chapter Ⅲ intensively examines and analyzes the history and religious dogma of Islam. Chapter Ⅳ examines the role of missionary works through broadcasting and its influences in order for Korean churches to apply and utilize the mission strategy through broadcasting to Muslims in the Middle East, and suggests an efficient mission strategy through broadcasting in general. Chapter Ⅴ is the conclusion, summarizing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thesis on the whole and explaining the importance and value of the proposed broadcast based mission strategy. Finally, this thesis will be finished by suggesting that today's Korean churches utilize and apply the mission strategy using broadcasting to achieve their hoped for missionary works in the Middle East efficiently.

      • 한국교회 어린이를 위한 간세대 예배에 관한 연구

        장동은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nderstanding about intergeneration worship for Korea church children. The bible keep says children are created like God's shape and gift. Jesus thought children as an example for faith. However, they are still immature so need to be grown up, an need to resolve their crime like other people. Therefore, the bible says parents need to raise their kids with word and discipline. The pedagogists like Comenius, Maria Montessori, Horace Bushmell, John H. Westerhoff III, and Jerome W. Berryman, each of them has different opinion, however, they see children with positive view and educatable. An education of faith didn't create out of sudden in one day. It's been already starting since the universe created. Since Exodus Period, Imperial Age before captive, and after captive, an education of faith had been continuing. During Jesus Period, and education of faith centrally was composed at the synagogue. After Jesus Period, not only twelve disciples but also other disciples shared the word according to his order. During the Middle Age, Christianity established as a tate religion, education of faith was composed at abbey and temple schools. At the period of reformation, the bible came into wide use as printing's development so that a lot of people got opportunity to read it. Therefore, the education about bible had flourished. At the Modern Age, an education for the children had started from England and it spreaded to the America, it influenced Korea. Today's Korean Church, there is variety worship that reflect children's culture and respect them. Show a typical example, Awana, Mebig, Wingwing, Nfriends, Wow Q Kidz ect... Today's variety type of worship and format of education are right to be complimented. However, there is put to inconvenience. It is admittable that child worship and child education reflected children's culture. However, regrettably, Child Worship made them to hang with peer friends, but it made them to recede with other adults and church community. It is very feeling something that church that needs to make healthier community than other made rupture between young generation and old generation. To resolve this rupture, Intergeneration Worship is proposed. Intergeneration Worship can be define as more than two generation learn together as a community. It means all the generation gather together which are children, teenager, the eldest, and old age, influence each other and learn together as a worship. Biblical basis about Intergeneration Worship can be found in Genesis 17:7, Deuteronomy 31:10-13, Psalm 145:4, Matthew 19:13-15, and Luk 21:41-48. Westerhoff III who is representative a scholar of christianity education said the healthy faith community need to make up with three generation, honest, and friendly interaction need to work between them. In these days, there are a few church that live out the Intergeneration Worship. For typical examples, Faith Evangelical Covenant Church, Wheaton, in the America, Sarangbang Church, Wonchun Church, Sungsil Church, and Ogosipun Church in Korea. Anticipate Intergeneration Worship can recover feeling for community for Korea Church that has a huge gap between young generation and old generation and to become a model for the true education.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교회 어린이를 위한 간세대 예배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는 것이다. 성경은 어린이에 대해서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된 존재이며 선물이라는 점을 반복해서 이야기한다. 예수님은 어린이들을 신앙의 모범으로 보기도 하셨다. 하지만 아직 다듬어지지 않은 미성숙한 존재이기에 성장의 과정을 거쳐야 하며, 모든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죄성을 해결해야만 한다. 그래서 성경은 자녀들을 말씀과 훈계로 양육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코메니우스, 마리아 몬테소리, 호레이스 부쉬넬, 존 웨스터호프 3세, 제롬 베리만과 같은 기독교교육학자들은 조금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공통적으로 어린이들을 긍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며, 교육이 가능한 존재로 보았다. 신앙교육은 어느 날 갑자기 생겨난 것이 아니라, 이미 세상이 창조되던 시기부터 시작된 것이다. 출애굽시대에도, 포로 이전의 왕정시대에나, 포로 이후에나 계속해서 신앙교육이 이어졌다. 예수님 당시에는 회당을 중심으로 신앙교육이 이루어졌으며, 예수님 이후에는 열두제자를 비롯한 수많은 제자들이 예수님의 명령을 따라 말씀을 나누고 가르쳤다. 중세시대에는 기독교가 국교로 받아들여졌고, 수도원과 사원학교를 통해 교육이 이루어졌다. 종교개혁시대에 이르러서는 인쇄술이 발달함에 따라 성경이 널리 보급되었고, 동시에 많은 사람들이 성경을 읽을 수 있는 기회를 얻으면서 성경에 대한 교육이 과거의 그 어느 때 보다 활발하게 일어났다. 근대에 이르러서 영국에서부터 어린이들을 위한 교육이 실시되었고, 이 불길이 미국에까지 이어졌다가, 다시 한국에 영향을 주게 되었다. 오늘날 한국교회에는 어린이들을 배려하고, 어린이들의 문화를 반영한 다양한 예배가 준비되어있다. 대표적인 예가 어와나, 메빅, 윙윙, 앤프랜즈, 와우큐 키즈 등이다. 오늘날의 다양한 예배와 교육의 형태는 충분히 칭찬받아 마땅한 일들이다. 그러나 여기에도 아쉬움은 있다. 어린이 예배, 어린이 교육이 어린이들의 문화를 반영하고 배려한 점에 대해서는 인정할 만하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어린이를 위한 예배가 준비되면서 또래 친구들과는 가까워졌을지 모르지만, 선배들과 그리고 다른 교회 공동체, 어른들과는 멀어졌다는 것이다. 그 어느 집단 보다 건강한 공동체를 이루어야 할 교회가, 오히려 세대와 세대 사이에 큰 담을 세워 놓고, 세대 사이에 단절을 만들고 있다는 점이 참으로 아쉽다. 이러한 단절을 해소하기 위해, 간세대 예배를 제안한다. 간세대 예배는 둘 이상의 세대가 함께 배워가는 공동체적인 학습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즉 어린아이들과 청소년, 장년, 노년 등 모든 연령의 세대들이 함께 모여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함께 배워가는 공동체적 예배이다. 간세대 예배에 대한 성서적 근거는 성경의 창세기 17장 7절, 신명기 31장 10-13절, 시편 145편 4절, 마태복음 19장 13-15절, 누가복음 21장 41-48절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대표적인 기독교교육학자인 웨스터호프 3세도 건강한 신앙공동체는 세 개의 세대(three generation)로 구성되어야 하고, 그 사이에 진실하고 친밀한 상호작용이 일어나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오늘날 몇몇 교회에서 간세대 예배가 실행되고 있는데, 미국 휘튼에 위치한 Faith Evangelical Covenant Church, 한국의 사랑방교회, 원천교회, 성실교회, 오고 싶은 교회가 대표적인 예이다. 점점 세대 간의 차이가 벌어져가고 공동체성이 상실되어 가는 현 시대에 한국교회가 간세대 예배를 통해서 공동체성을 회복하고, 진정한 교육의 모범이 되기를 기대한다.

      •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 해석

        임영자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는 누가복음에만 나오는 누가의 특수 자료이다. 우리는 위에서 다른 복음서 기자들은 소개하지 않은 본 비유를 누가는 왜 어떤 의도로 소개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전까지 본 비유의 의도는 다분히 윤리적인 문제로만 국한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우리는 한 걸음 더 나아가 과연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가 우리에게 주고자 하는 메시지가 오로지 ‘선한 사마리아인 법’ 취지처럼 ‘윤리적 이웃사랑’으로 한정된 것인지 알아보았다. 예수께서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를 처음 말씀하실 때 담고자 했던 메시지, 비유를 받아 전하면서 초대교회가 예수의 메시지에 덧붙인 가르침, 그리고 비유를 마지막으로 편집하면서 누가복음의 저자가 내린 비유의 해석과 가르침을 찾아보고 그것이 오늘 우리에게 어떻게, 무엇을 말씀하고 있는가를 신중하게 고려하며 찾아 낼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을 찾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었다. 그래서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를 연구함에 있어 먼저 누가복음의 신학적 사유 속에서의 비유의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누가의 문맥에서 분리시킨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는 어떤 의미로 해석이 가능한지도 살펴보았다. 단 알레고리란, 비유 그 자체를 역사적 상황에서 분리시켜 해석할 때 발생하는데, 우리는 알레고리적 해석의 범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으며, 자칫 적용에 있어 적용자의 ‘마음대로’ 비유를 해석할 여지가 조금이라도 존재할 알레고리적 해석 방법을 거부한다고 밝혔다. 또한 예수님께서 등장시킨 사마리아 사람이 당대의 유대인 청중들에게 얼마나 충격적이었는가를 알기위해서 예수님 당대 유대인들과 사마리아인들과의 극심한 반목관계를 알아야했다. 소외받은 사마리아인들…. 누가는 이런 소외당한 부류의 사람들에 대해 아주 긍정적인, 그리고 호의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었다. 신약성서의 기자 중에서 사마리아인에게 가장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은 단연 누가일 것이다. 누가가 사마리아인에 대해 갖는 긍정적인 관심은 다른 복음서 기자들과는 달리 누가만이 사마리아인에 관계된 이야기들을 여러 개 전해주고 있다는 사실에서도 엿보인다. 본 논문의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도 그 중 하나다. 서론에서 우리는 “선한 사마리아인 법”의 취지를 언급하며 위급상황에 빠진 타인의 생명을 구하려는 인도주의적 행위라고 윤리적 규범의 잣대를 들이 대었다. 그러나 율법교사와 같은 유대인에게 가난한 자를 돕는 정도의 율법의 준수는 이미 익숙한 종교행위였을 테니, 예수의 비유가 단순한 인도주의를 계몽하기 위한 훈계라는 것은 설득력이 약하다. 비유 해석사속에 사마리아인이 바로 예수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해 왔고 이러한 견해는 오늘날의 일부 학계에서도 지지를 받고 있으며, 강도만난 사람이 바로 예수를 나타낸다는 주장도 제기되어 왔다. 하지만 오늘날의 통설은 이 비유는 사마리아인이 우리에게 국적이나 인종, 종교적인 장애물을 뛰어넘는 긍휼을 보여주고 있는 예화라는 것이다.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를 소개하고 있는 누가복음 10:25-42 이야말로 모든 비유들의 주요주제요, 예수의 가장 중요한 사상인 ‘하나님사랑’과 ‘이웃사랑’을 가장 여실히 보여주는 대표적인 본문일 것이다. 이 비유는 비유를 처음 읽었을 때 생각할 수 있는 것만큼 단순하지 않다. 다수는 “이웃이 누구인가?” 대해 이렇게 대답할 것이다. “누구에게나 꼭 필요한 것” 그러나 율법학자는 많은 학식으로 인해 비유의 깊은 의도를 간파했다. 그는 말로 대답하지 않고 비유에서 정체 “상처 입은 남자”, “도움이 필요한 사람”, “사마리아인” 이라는 대답 대신 “자비를 베푼 사람”이라고 대답했다. 물론 예수님은 그에게 어떤 것을 선택해도 좋은, 세 가지 가능성을 주셨다. 그러나 이 질문과 대답은 상호관계 속에서 더욱 강조 되었다. 각각의 사람은 이웃이 되기 위하여 이웃의 필요를 알아야만 한다. 그는 더 이상 사마리아인을 다른 종교적 문화적 사회의 구성원으로 단정 짓지 않았다. 그는 동정심을 보여준 사람이다. 이웃의 의미를 이해하고 또 결정하기 위하여 사람은 먼저 이웃이 되어야 한다. “이웃”을 결정하는 측면에서 사람은 강한 상호관계를 발견하고 사람은 먼저 이웃이 되어야한다. 율법학자는 그의 문화적 종교적 사회에 따라 사마리아인을 이웃의 범주에 넣지 않았었다. 그는 그가 늘 행하던 대로 ‘사마리아인’을 보았다. 그렇지만 그는 예수의 이야기를 통해 깨달았다. 그가 예수의 의도를 깨닫고 사마리아인을 이웃으로 받아들였음을 유추할 수 있게 하는 대목이다. 모든 인간은 친구이건 원수이건 가치가 있고 충분히 평가되어야한다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성서적 요구에 따라 예수는 그의 요점을 율법학자에게 충분히 네 원수라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고 강하게 명령하고 있는 것이다. 누가가 소개하는 이 비유는 이웃사랑의 실천을 강조하기 위함이라고 생각될 수 있다. 처음으로 돌아가서 누가의 문맥 속에서 관찰한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는 “이웃이 누구냐?”는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써 “우리의 이웃이 누구인가?”하는 이론적인 문제가 아니라 “어떻게 이웃임을 보여 주어야 할 것인가?”하는 행함의 문제임을 강조하고 있다는 사실을 일깨워 준다. 누가는 그의 복음서를 기록하던 당시에 이 비유를 미움의 대상에까지 사랑의 폭을 확대해야 한다는 사랑의 교훈을 제시하고 있다고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이다. 사랑의 실천은 제한도 없고 대상도 없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논란의 소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누가복음의 본문 속에서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 부분’을 독립시켜 바라보고자 한 것은 예수의 비유가 단지 모든 유대인들이 다 알고 있는 ‘이웃사랑’의 계명 준수 단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멀고도 가까운 이웃인 사마리아인에 대한 한없는 긍휼함에서 비롯된 인간의 평등과 ‘하나님 나라의 윤리 선포’에 까지 이르는 것이라는 다드(Dodd)의 견해에 동의하기 때문이다. 또한 여기서 누가의 문맥에서 예수의 비유만을 분리해내는 것이 가능 한지 그렇지 않은지의 진위여부는 다루지 않기로 했다. 가능하다는 전제로 ‘예수의 비유 의도’를 이해하고 싶었다. 여기서 우리는 예수의 비유, 그것은 사회적·인종적 및 종교적 우월성을 저주하는 일종의 예수의 고발이었음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더욱 중요한 것은 예수의 비유가 ‘하나님 나라’라는 주제에 일관되게 맞추어져 있다는 것이다. 하나님 나라의 사랑에 비춰보면 선한 사마리아인은 비유 자체(30-35절)는 ‘이웃사랑’이 아니라, ‘원수사랑’을 실천한 모범이다. 하나님 나라는 사랑을 실천하는 것으로 입증 된다. 하나님 나라는 결코 고정된 사회적, 윤리적, 인종적, 민족주의적, 경제적, 또는 종교적 경계선들이 없다. 그것이 바로 조건 없는 사랑이다. 명백하게 이 비유에서 사마리아인은 기능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그는 원수까지 고려한다. “이웃”의 개념은 청중들이 바리새인과 같은 구전 율법을 지킬만한 영웅을 기대한 반면 그들은 동정심을 보여준 원수에 의해 깜짝 놀라게 된다. “이웃”의 의미는 단지 가까운 사람만이 아니라 심지어 원수 까지도 포함되어야만 한다. “또 네 이웃을 사랑하고 네 원수를 미워하라 하였다는 것을 너희가 들었으나 나는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 원수를 사랑하며 너희를 박해하는 자를 위하여 기도하라.”(마 5:43-44) 예수는 율법학자가 본질을 깨닫기를 원했다. “이 세 사람 중에 네가 생각하기에 누가 강도를 당한 사람의 이웃이 되어 주었느냐?” 율법학자가 “자비를 베푼 사람입니다”라고 대답하였을 때 이미 그는 “원수가 내 이웃입니다” 1세기라는 상황을 적절히 고려했을 때 “비록 내 원수이지만 내 이웃입니다”라고 대답한 것이다. 이제까지 우리는 누가복음에 소개되어 있는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를 살펴보았다. 들어가며 말했듯이 ‘선한 사마리아인’이라는 단어는 ‘선한 사마리아인 법’과 같은 곳에도 쓰여서 이젠 모든 사람이 그 뜻을 미루어 짐작할 정도로 자주 입에 오르내리는 단어이다. 그렇다면 “네 이웃이 어려움을 당했을 때 도와야 한다.”는 윤리적이고 소극적인 뜻의 단어였을까? 이제 우리는 ‘선한 사마리아인’이 또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가 그런 의미가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알게 되었다. 하나님 나라의 윤리적 차원은 우리에게 사랑의 앎을 요구하지 않는다. 무조건적인 사랑 극적으로는 ‘원수까지’ 사랑하기를 원한다. 오늘날의 사회는 총구를 겨누지 않아도 자원과 식량도 무기가 되는 치열한 국가 간 부의 전쟁에 돌입하였다. 작게는 개인 이기주의부터 집단 이기주의, 크게는 배타적 민족주의나 국수주의 등 끝도 없을 것 같은 자기중심의 세계 속에서 이웃사랑의 외침은 공허한 메아리에 그쳐야 하는 것인가! 아니 자기중심적인 가치관은 차치하고라도 이웃사랑의 관심은 우리에게 남아있는 것일까? 예수는 우리에게 이웃사랑의 실천을 요구하신다. 단순한 윤리적 실천이 아닌 하나님 나라의 윤리 속에 전적인 사랑, ‘원수까지도 사랑하라’고 말씀하신다. 이제 이천년 전 예수님의 이웃사랑 메시지가 다시 한 번 모든 우리에게 도전 되어야 하지 않을까? 우리는 복음서 속, 예수의 비유 중 가장 감동적인 이웃사랑의 이야기를 꼽으라면 주저 없이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를 댈 것이다. 이제 사랑 없는 세상에서 예수의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는 우화집 속의 미담 정도로 치부해서는 안 될 일이다. 이 패역하고 삭막한 세상에서 예수의 그 가르침의 실천이 다시 한 번 절실하게 요구되는 절묘한 타이밍인 것이다. 21세기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예수의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는 어떻게 순종해야 할 지 치열하게 고민해야 한다.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속의 사마리아와 유대의 갈등 속에서 오랜 세월 남북으로 분단되어 갈등하여 온 우리 민족의 현실과 지금도 요원해 보이는 조국통일과 그 수많은 아픔 속에 고착되어가는 상호관심의 분단을 투영해 본다. 이미 오랜 시간이 흐른 만큼 앞으로도 남과 북의 분단이 계속 고착화 되어간다면 갈등의 골은 점점 깊어만 갈 것이고 어쩌면 우리의 후대들은 서로를 이방인 보듯 낯설어 하지는 않을까? 또한 누가가 그랬던 것처럼 꾸준한 관계회복을 추구하고 특히 이 비유가 지니고 있는 이방선교적인 관점으로 다가가서 북한 선교를 염두에 둘 때 우리는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를 반드시 되새겨야 할 것이다. 끝으로 성서해석의 역사 속에서 많은 하나님의 사람들을 통해서 말씀하고 계시는 하나님의 뜻을 알고자 하는 간절한 마음이 성경 해석자 안에 있어야 할 것이며, 성서 앞에서 해석자의 위치, 목회자로서 성서 해석에 임하는 자세와 준비된 성서해석자가 되어야 함이 중요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 오순절신학에 나타난 성화론 연구

        강춘식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present study deals with the doctrine of sanctification in the Pentecostal theology as a whole, and a further attention is given to the Wesleyan Pentecostal theology. Furthermore, as the modern Church has grown out of the dynamic work of the Holy Spirit, which has been the main strength of Pentecostalism,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trigger the Church reform that will bring about the revival of the Pentecostal movement of the early Church in the 2nd millennium. The reason the present study has chosen the theme of the Pentecostal pneumatology and paid a special attention to the doctrine of sanctification is that the early Church was established by the advent of the Holy Spirit and that the holistic salvation and the work of sanctification of the Holy Spirit provided a strong momentum to change ‘Judah, Samaria and the whole world’at that time. Evangelism along with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lead to heartfelt repentance; the manifestation of divine healing, signs, and miracles made the whole Church experience the wonderful grace of the Lord, share the Table of Love (agape) and intimate fellowship with one another, have all things in common, and devote themselves to the relief of the poor, that is, a practical love; the Church exercised a great influence upon the society. Nowadays, however, Pentecostalism is losing its influence. The main reason seems to be that Pentecostalism has been devoted to charismatism and thus lost its aim of ethical life. Therefore,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recover the influence of the degenerating Pentecostalism and to prevent its distortion and find its rightful identity by emphasizing the life of holiness that Pentecostalism has focused on. The present study consists of 8 chapters. The chapter 1, i.e. introduction deals with the motive, the purpose, the significance in the research history, and the proceeding of the present study. The chapter 2deals with the history of the Pentecostal theology.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Pentecostal theology can be considered mainly in three parts: Calvinism, the holiness movement, and the Pentecostal movement. First of all, perfectionism, that is, a new type of the Reformed theology emerged from Calvinism with Charles G. Finney, Asa Mahan, and others. Their aim was to promote the union with Christ and emphasize the role of the Holy Spirit in the union. They accentuated the necessity of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as the power that the regenerate would receive from above, that is, the second conversion. Under the influence of the Wesleyan ‘entire sanctification,’ the Holiness movement pointed out that sanctification rather than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as the power from above should be considered as power and emphasized the ‘instant sanctification.’ According to the two traditions above, the Pentecostal theology can be also divided into two perspectives: the ‘finished work theology’ of William H. Durham of the Assemblies of God under the influence of the Reformed theology, and the ‘theology of entire sanctification,’which emphasizes holiness, of D. S. Warmer of the Church of God under the influence of the Wesleyan Holiness movement. Thus, the present study explain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Pentecostal theology in general and gives more attention to the doctrinal position of the Church of God which centers on the theology of entire sanctification. Consequently, the present study argues that the Pentecostal theology did not break out without any historical background, but the Pentecostalism is the rightful heir of the Reformed theology (influenced by the Reformation) and the Wesleyan Holiness movement. The chapter 3 deals with the theological background of the Pentecostal theology. The Pentecostal theology follows the synergism of Arminius, which emphasized both the divine grace and the human participation, but defines the present human condition as sinful in accordance with the conservative evangelicalism. Through the Wesleyan perfectionism, it has developed the harmony between the dynamism of the Holy Spirit in the Pentecostal theology and the holiness theology. In the Pentecostal theology, however, the influence of the Reformed theology worked in a different way from that of the Wesleyan theology. The Fourfold Gospel emphasizes the charismatic aspect of the Holy Spirit whereas the Fivefold Gospel insists on the holy life of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based on sanctification. The chapter 4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ntecostal theology and sanctification. The Pentecostal theology influenced by the Reformed theology emphasizes the sanctified life. Thus, it insists on the gradual sanctification because, through the sovereign work of the Holy Spirit, the believers constantly fight with sins and experience their renewal in their present life since they did not reach the final glory of God yet. However, the Pentecostal theology influenced by the Wesleyan theology insists on the relative perfection, that is, the state that the believers become sinless through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i.e. the 2nd blessing, and the constant fullness of the Holy Spirit. The relative perfection is the perfection of motive, and the motive is love. Although the contemporary Pentecostal theology has been greatly influenced by the Wesleyan Holiness movement, the influence of the Reformed theology cannot be ignored. The chapter 5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ly Spirit of the Pentecostal theology and sanctification. The role of the Holy Spirit in the Pentecostal theology is enormous. By observing regeneration,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and the fullness of the Holy Spirit, the present study expoundsthe functional significance of the Holy Spiri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ivefold Gospel influenced by the Wesleyan Holiness movement (as reviewed in chaps. 3 and 4) Regeneration and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are explained as the reception of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following the salvific regeneration and sanctification. Concerning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and sanctification, the scholars advocating the Fourfold Gospel insist on the gradual sanctification whereas those advocating the Fivefold Gospel argue that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is the 2nd blessing, that is, the experience of sanctification and it is synonymous with the fullness of the Holy Spirit. The fullness of the Holy Spirit and sanctification can be attested by the 9 fruits of the Holy Spirit among the believers full of the Holy Spirit. Although the Pentecostal theology emphasizing sanctification and power tends to be more inclined to individual faith by accentuating the charismatic aspect, it appears to be balanced by the recognition that power is sanctification for service and devotion. The chapter 6 deals with the dogmatic understanding of sanctification in the Pentecostal theology. In this chapter, the concept of sanctification in the Pentecostal Theology is reviewed, and the Pentecostal theology is explained as the doctrine of the Trinity based on conservative evangelicalism. Sanctification is defined as holiness, offering, purity, devotion and service. The sanctification in the Pentecostal theology is understood as double sanctification, that is, both instant and gradual sanctification. Instant sanctification indicates the change in status while the gradual sanctification points out the severe spiritual warfare within oneself. These courses of sanctification are completed under the grace of God. From the doctrinal perspective, it starts from the fact that the human is totally depraved and argues that the human response to the salvation by the unconditional grace of God should be both realistic and ethical. From the viewpoint of eschatology and missiology, the believers waiting for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should accomplish the work of missions, that is, the greatest commission of God in the Church. Although the strong point of the Pentecostal theology is its emphasis on the gift of the Holy Spirit, it should more concentrate on the expansion of the kingdom of God according to the sanctifying work of the Holy Spirit in its missionary effort. The Pentecostal theology considers the glory of God as its final end by focusing on the Trinity viewpoint that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altogether plan, achieve and work. The chapter 7 deals with the practical understanding of sanctification in the Pentecostal theology. The gift and the sanctification of the Holy Spirit are closely related. The various gifts of the Holy Spirit aim for resembling Jesus Christ, which is the virtue of sanctification, by building up the Church, i.e. the body of Jesus Christ and its members. Resembling Jesus Christ can be understood as the complete sanctification of personality. Here, personality means becoming truly human as the image of God. That is to say, personality is completed when the human responds to the presence of the Holy Spirit and bears spiritual fruits. Out of his profound experience, Wesley considered the ethical fruits of the Holy Spirit as the fruits of the Holy Spirit of the true believers. Pseudo-Macarius described these fruits of the Holy Spirit as love, humility, and courage. The fruit of the Holy Spirit is the fruit of love aiming only for the glory of the God, and it is the life of good works. By emphasizing the ethical aspect of sanctification, the present study argues that sanctification in the Pentecostal theology is the life of bearing the fruits of the Holy Spirit. The chapter 8 deals with the merit and the limit of sanctification in the Pentecostal theology. Sanctification in the Pentecostal theology has been quite influential over many believers, but it still needs to be improved. Since the Pentecostal theology promotes the revival of the Church with the powerful work of the Holy Spirit as its essence, it has neglected the individual life of holiness and growth in faith. Therefore, the Pentecostal theology should point out both aspects of the work of the Holy Spirit for the Church growth, that is, the powerful work of the Holy Spirit and the life of holiness which has been discussed so far in the present study, and the constant church growth should be based on such theological basis.

      • 요셉의 생애를 통해 본 외상 후 성장의 성경적 모델

        황성연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Biblical model of posttraumatic growth throughout Joseph’s lifetime. To do so, I studied the traumas and the types that are appeared in Joseph’s life, and I looked into what a biblical model of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the changes of Joseph that are shown by posttraumatic growth is. The results which have occurred through such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the study on the traumas and the types shown throughout Joseph’s life, the traumas of Joseph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early trauma, trauma in the growth process, and trauma in community. When Joseph was young, he experienced his mother’s death which is a big trauma. The mother’s death which is a trauma experienced by Joseph can be classified into temporary trauma, trauma caus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ype I trauma(i.e. single trauma). In addition, after all, Joseph was sold as a slave to Egypt due to his father’s favoritism toward him and his dreams which made his brothers feel uncomfortable; he experienced another trauma after his mother’s death. Joseph’s trauma is a temporary and artificial trauma caus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 it is a trauma that Joseph was human-trafficked by his brothers. Joseph who was sold to Egypt is sold again to Potiphar, but he becomes the home manager by getting Potiphar’s trust. However, unfortunately, Potiphar’s wife continuously seduced Joseph, and Joseph refused it firmly. Eventually, she entrapped Joseph as an attempted rapist; Joseph was imprisoned. It seemed that Joseph was restored quiet, but he was imprisoned with a false charge. At this time, he experienced a sequential and repetitious trauma. The trauma Joseph experienced was repetitious trauma, trauma caus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ype II trauma(i.e. multiple trauma). Second, as the result of the study on the traumas and the types shown throughout Joseph’s life, everybody can experience hardship; however, since the ruminative thinking is a significant factor which is shown in a posttraumatic growth, there is a clear difference on it between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Christians who are grown up through the ruminative process which includes the existence of God cause the chang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is neighbors, and such changes are expressed as the fruits of the Holy Spirit. Bearing the fruits of the Holy Spirit is the life that takes after the life of Jesus and the shortcut that experiences happiness. Also, it helps u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who is the creator and us whom are his creatures; ultimately, the Biblical view on the world is grown through insight and understanding on God in Jesus Christ. God who gives us blessing through hardship is confirmed again through Joseph’s life in this study. Therefore, it is a very important task to reinterpret the meaning of hardship. As hardship and patience help us bear the fruits of the Holy Spirit at last, the truth that the traumas of human beings make us mature was confirmed in the Bible. Thus,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that a Biblical model of posttraumatic growth was suggested for the first time by adapting the posttraumatic growth theory to the Bible. Additionally, it has a meaning that useful basic information for the education and the rogram development which help Christians to be happy while living ore mature self-actualizing lives by experiencing God who is with me in various traumas in lives which Christians experience are provided. 본 연구의 목적은 요셉의 생애를 통해 외상 후 성장의 성경적 모델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요셉의 생애 속에 나타난 외상 사건과 그 유형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외상 후 성장으로 나타난 요셉의 변화를 통해 외상 후 성장의 성경적 모델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셉의 생애 속에 나타난 외상사건과 그 유형에 대해 살펴본 결과, 요셉의 외상은 초기외상과 성장과정에서의 외상, 지역사회에서의 외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요셉은 어린 시절 어머니의 죽음이라는 큰 외상을 경험한다. 가족의 상실 특히 부모의 죽음은 어린 시절 아동과 청소년들이 경험할 수 있는 최대의 트라우마이다. 요셉이 경험한 어머니의 죽음이라는 외상은 일회적 외상, 대인관계외상, 유형 I 외상 즉 단일외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요셉은 아버지의 편애와 자신이 꾼 꿈으로 형들의 심기를 불편하게 함으로써 결국 애굽으로 팔려가게 된다. 어머니의 죽음이후 또 하나의 트라우마를 경험하게 된 것이다. 요셉의 외상은 일회적이고 인위적인 대인관계외상이다. 형제들에 의해 인신매매를 당한 외상이다. 애굽으로 팔려간 요셉은 다시 보디발에게 팔려가지만 그의 신임을 얻어 가정총무가 된다. 그러나 보디발 아내의 계속적인 유혹이 이어지고 이를 거절하고 단호히 대처한 요셉은 그녀의 모함으로 강간미수범이 되어 감옥에 갇히게 된다. 형들에 의해 팔려간 요셉이 애굽에서 안정을 찾아 가는가 싶더니 이번에는 억울한 누명을 쓰고 옥에 갇히는 연속적이고 반복적인 복합외상을 경험하게 된 것이다. 요셉이 당한 외상은 반복외상이며 대인관계외상이고 인위적인 외상, 유형 II 외상 즉 다중외상이다. 둘째, 요셉의 생애에 나타난 외상 후 성장의 성경적 모델을 살펴본 결과, 고난은 누구에게나 찾아오지만 반추적 사고는 외상 후 성장에서 나타나는 중요한 심리적 요인이기 때문에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은 분명한 차이를 나타낸다. 하나님의 함께하심이 있는 반추의 과정을 통해 성장을 이룬 기독교인들은 하나님과 이웃과의 관계에 변화를 가져오며 이러한 변화는 곧 성령의 열매로 발현된다. 성령의 열매를 맺는 것은 예수님을 닮아가는 삶이고 행복을 경험하는 지름길이다. 또한 창조주이신 하나님과 그의 피조물 된 우리와의 관계를 확인하고 예수 그리스도안에서 하나님에 대한 깊어진 통찰과 이해를 통해 성경적인 세계관을 가지게 된다. 이 연구는 고난을 통해 축복을 주시는 하나님을 요셉의 생애를 통해 다시한번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고난의 의미를 재해석하는 일은 우리 안에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외상을 통한 고난과 인내는 결국 성령의 열매를 맺는 것 같이, 인간의 외상경험도 사람을 성숙하게 만든다는 참 진리를 성경 속에서 확인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외상 후 성장이론을 성경에 도입하여 외상 후 성장의 성경적 모델을 최초로 제시하였다는 것에 큰 의의를 가진다. 또한 기독교인들이 경험하게 되는 인생의 다양한 트라우마 속에서 나와 함께 하시는 하나님을 경험함으로써 보다 성숙한 자기실현적 삶을 살아가며 행복에 이르도록 돕는 교육과 프로그램 개발에 매우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평신도교육을 통한 교회성장 연구 : 은혜의 교회를 중심으로

        김진현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31

        교회의 위기는 지난 60년대 이후 폭발적으로 나타난 교회의 양적 팽창이 1988년 이후 조금씩 하향세를 걸으며 나타나게 되었고, 대부분의 교회를 연구하는 학자들과 현장 목회자들도 연설에서 이것을 인정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속에서 21세기를 맞이하는 한국교회는 큰 위기를 맞고 있다. 이것은 젊은 사역자들에게 있어서 개척의 정신을 주춤하게 만들고 있다. 현장에서 목회를 하는 사역자들은 이러한 한국교회의 위기를 더욱 깊이 경험하고 있다. 참으로 놀라운 것은 교회의 위기에 대해 이렇게 단일화된 목소리가 모아진 것은 한국의 교회사에서 그렇게 많지 오히려 이러한 위기가 한국의 목회자들과 교회가 자신들의 모습을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그리고 이 위기를 교회부흥의 계기로 삼기를 바란다. 침체되어 있는 한국교회에 새로운 바람이 필요한 시기에 개 교회마다 평신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갖는 것은 참으로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많은 교회가 평신도 교육에 혼신의 전력을 기울이고 노력하여 왔다는 사실은 여기저기서 열리는 평신도에 관한 세미나를 통해서 알 수가 있다. 셀 목회, 벤드목회, 자연적 교회성장 등이 그 예이다. 이렇게 정체되고 쇠퇴해 가는 한국교회 속에서 평신도를 가르치고 양육하는 평신도 제자훈련은 교회 부흥 뿐만 아니라 영혼을 변화시키고 양육하는 좋은 모델이 되고 있다. 사랑의 교회와 온누리 교회의 교회성장 사례는 위기에 처한 한국교회에 새로운 돌파구를 제시해 주는 모델이 되어 준다. 뿐만 아니라 초기 한국 교회를 세계적으로 부흥의 선두가 될 수 있게 되었던 선교정책을 다시금 상기하고, 다시금 한국 교회가 부흥의 불길을 사모함으로 평신도 제자 훈련을 실시해야 할 것을 제안한다. 이 제자훈련은 지금 은혜교회에서도 아름다운 열애를 맺고 있다. 그러므로 한국 교회 속에서 제자훈련을 통해 평신도에 대한 성경적 의미를 발견하고 무너져 가는 평신도들의 신앙을 새롭게 정립하고 교회의 체질을 변화시키고 평신도들을 동역자로 세워 하나님 원대한 비전을 만들어 내는 참된 부흥의 역사가 다시금 일어나기를 소망한다. 제자훈련의 신학적 기초를 이루었던 한스 큉의 '교회란 무언인가?'는 종교 개혁 이후, 개신교가 놓쳐 왔던 사도성이란 개념을 재조명하고, 한스 큉의 사도성의 의미인 교회의 본질, 통일성, 거룩성을 재평가하여 하나님의 음성에 귀기울이고, 실천할 때 하나님의 목적에 순응하게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