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학대학교 학생과 일반대학교 학생의 수치심 경향성, 자기불일치, 우울,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비교 분석

        박미하 한영신학대학교 상담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95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s of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and general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hame-proneness and self-discrepancy on university students'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reliminary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way that questionnaire tests were administered to 227 students from theological universities and general universities. The test results were analyzed by means of SPSS 10.0 program,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show higher degrees of mental stability than general university students in the actual self, the ideal self, the ideal/othe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the survey on gender difference shows that, in theological universities, female students have higher degree of shame-proneness than male students. In general universities, female students show higher degrees of shame-proneness, the ideal/other, and self-discrepancy than their male colleagues.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school, the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who feel less satisfied with their school have higher degree of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and depression. The general university students who feel satisfied with their school show higher degree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rvey on the majors of the theological students reveals that those who major in theology have higher degree of mental stability in the real self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hereas those who major in general subjects have higher degrees of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other discrepancy, general discrepancies, and depression. In general universities, the Christian students have higher degree of mental stability in the ideal self and the ideal/other than non-Christian students. Third, the comparative analyses between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Christian students in general universities, and non-Christian students in general universities show the following results.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general university Christian students, and general university non-Christian students prove to have the degree of the real self in increasing order from the lowest to the highest. General university Christian students,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 and general university non-Christian students show an increasing order of the degree in the ideal self and the ideal/other.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general university Christian students, and general university non-Christian students show a decreasing order of psychological well-being. Lastly, the final test has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oups and the variables in the degree of the ideal self and the deal/other. Fourth, depression has positive correlations with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and other discrepancy,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ctual/own discrepancy. Psychological well-being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ctual/own discrepancy, while having negative correlations with depression,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other discrepancy. Shame-proneness and self-discrepancy prove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depression by 43% of accountability, while shame-proneness have a higher degree of influence on depression. Shame-proneness and the actual/own discrepancy wiel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by 44% of accountability. Shame-proneness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In conclusion, shame-proneness and the real self operate as important variables in reducing depression and improving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make practical programs to deal with shame-proneness and the real self in cultivating the students' positive selves in the school atmosphere. 본 연구는 신학대학교 학생과 일반대학교 학생의 수치심 경향성, 자기불일치, 우울,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를 알아보고, 자기(self)관련 변인인 수치심 경향성과 자기불일치가 대학생의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신학대학교와 일반대학교에 재학 중인 227명의 학생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 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학대학교 학생이 일반대학교 학생보다 실제 자기, 이상 자기, 이상/타인, 심리적 안녕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서는 신학대학교는 수치심 경향성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일반대학교는 수치심 경향성, 이상/타인, 자신불일치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교만족도에서는 신학대학교의 경우 학교에 불만족하는 학생들이 수치심 경향성, 자신불일치, 우울이 높게 나타났고, 일반대학교는 학교에 만족하는 학생들이 심리적 안녕감이 높았다. 신학대학교 학생의 전공에 있어서는 신학전공 학생이 실제자기, 심리적 안녕감이 높게 나타났고, 일반전공학생은 수치심 경향성, 자신불일치, 타인불일치, 전체불일치, 우울이 높게 나타났다. 일반대학교 학생의 기독교 신앙유무에 있어서는 이상 자기, 이상/타인에서 기독교 신앙을 가진 학생들이 기독교 신앙을 가지지 않은 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신학대학교 학생, 일반대학교 기독학생, 일반대학교 비기독학생의 세 집단간을 분석한 결과는, 실제 자기는 신학대학교 학생, 일반대학교 기독학생, 일반대학교 비기독학생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이상 자기와 이상/타인에서는 일반대학교 기독학생, 신학대학교 학생, 일반대학교 비기독학생 순으로 높았으며, 심리적 안녕감에서는 신학대학교 학생, 일반대학교 기독학생, 일반대학교 비기독학생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사후검정 결과, 이상 자기와 이상/타인에서 세 집단과 변인간에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우울은 수치심 경향성, 자신불일치, 타인불일치와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고, 실제 자기와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심리적 안녕감은 실제 자기와 정적상관을 나타내었고, 우울, 수치심 경향성, 자신불일치, 타인불일치와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수치심 경향성, 자신불일치가 우울에 유의하게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설명력은 43%였고, 수치심 경향성이 우울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수치심 경향성, 실제 자기가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하게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설명력은 44%였다. 수치심 경향성은 심리적 안녕감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에 대학생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데 있어서 수치심 경향성과 실제 자기가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대학생의 긍정적인 자기(self)형성을 위한 대학환경 구성에 있어서 수치심 경향성과 실제 자기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초대교회 사막 영성가 이해 : 안토니오스, 에바그리오스, 닛사의 그레고리오스를 중심으로

        천선미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ractical spirituality of evangelical life’ of desert spiritualists in the Early Church for restoring ‘practical spirituality of evangelical life,’ which today’s Christians have lost. With the end of religious persecution and the richness of external environment in terms of law, material, and human resource resulting from Emperor Constantine’s pro‐Christian policies and Emperor Theodosius’ decrees making Christianity as the state religion of the Roman Empire, the church was captured by secularization, deprived of the spirit of the cross and fallen into internal poverty. Resisting the waves of secularization, some Christians gave their possessions to the poor and went out to the desert in order to preserve the purity of their cross faith. This is how desert spirituality was born. Desert spirituality was established by fathers who were “philosophers practicing an evangelical life” based on the Bibl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irituality were, first, the spirituality of ‘abandoning’ possessions. The spirituality abandoned possessions based on the word “Jesus answered, ‘If you want to be perfect, go, sell your possessions and give to the poor, and you will have treasure in heaven. Then come, follow me’” (Matthew 19:21). Second, the spirituality denied desires. They practiced the word “Those who belong to Christ Jesus have crucified the flesh with its passions and desires” (Galatians 5:24). Third, the spirituality implemented through life the love of Jesus’ cross, which was taking care of social minorities as if taking care of the Christ himself. Those who contributed to influencing the society by spreading such spirituality were not the desert hermits but monks who were trained in the desert and then became the overseers of the church. Becoming church leaders and endowed with great wealth from the political and financial support of the Roman Empire, properties inherited from euergetes, and offerings, they waged charity activities of a huge scale that even the Roman Empire did not dare to try, and as a result, social welfare projects laid the spiritual foundation of Christian civilization in the Western European countries. Those whom the researcher took interest in among the monk spiritualists were St. Anthony who was the founder of desert monk spirituality, Evagrius of Pontus who systematized desert spirituality, and St. Gregory of Nyssa who initiated apophatic theology. The keys of their spiritual thoughts were, first, the establishment and protection of the orthodox Christian doctrines against heretics. Second, their lives are summed up into contemplation of apophatic theology presuming ‘the abandoning of the private world.’ Contemplative prayer is not being like God or being absorbed into God but being united with God spiritually and being endowed with power to participate in God’s goodness and enjoying the power. In the process, as it is impossible to express God, who is infinite and transcendent, in finite human languages and concepts, one confesses the apophatic theology of ‘abandoning the private world’ by removing the concept of God from the mind. In this process, hesychia is a state in which one is filled with the Holy Spirit and his soul takes a rest in the presence of God. The content of such a contemplative life of apophatic theology is only the passion to see God through the purity of mind, to love the Christ, and to follow the Christ. Therefore, for the restoration of ‘practical spirituality of evangelical life,’ this study suggested an individual’s benevolent decision and abandoning after St. Anthony, and emphasized removing evil desires and passions for loving only the Christ after Evagrius of Pontus. After St. Gregory of Nyssa, moreover, this study admonished, as the way for Christians to follow and be united with God, that Christians in the course of sanctification should continue progress until reaching God’s infiniteness. Such spirituality is suggested as a solution for today’s Christians to restore ‘the practical spirituality of evangelical life’ from secularization. 본 논문의 목적은 오늘의 그리스도인들이 상실한‘복음적 삶의 실천 영성’을 회복하기 위해서 초대 기독교 사막 영성가들의‘복음적 삶의 실천영성’을 연구하는데 있다. 초대교회는 신앙의 박해가 종식되고 콘스탄티누스에 의해 친 기독교 정책과 테오도시오스 황제의 기독교 로마제국 화라는 외적 환경의 법적, 물질적, 인적 자원의 풍요로움은 십자가 정신이 상실된 내적 빈곤을 초래하는 세속화의 포로가 되게 하였다. 일부 기독교인들은 세속화의 물결에 대항하여 자신의 소유를 가난한 자들에게 나누어 주고, 개인적 십자가 신앙을 순수하게 지키기 위해서 사막으로 나아갔다. 여기에서 사막영성이 태동하게 된다. 사막 영성의 특징은 성경말씀에 근거하여 “복음적 삶을 실천하는 철학자들”인 교부들에 의해 세워지게 되는데 그 영성의 특징은 첫째, 소유를 ‘포기’하는 영성이다. ‘예수께서 이르시되 네가 온전하고자 할진대 가서 네 소유를 팔아 가난한 자들에게 주라. 그리고 와서 나를 따르라’(마19:21)는 말씀대로 ‘소유를 포기’하는 영성이다. 둘째, 정욕을 부정하는 영성이다. 그들은‘그리스도 예수의 사람들은 육체와 함께 그 정욕과 탐심을 십자가에 못 박는다는’(갈5:24) 말씀을 실천하는 실천가들이었다. 셋째, 사회적 약자를 돌보는 것이 그리스도 자신을 돌보는 것’이라는 예수 십자가 사랑을 삶으로 해석해 내는 영성이다. 이러한 영성을 사회의 영향력으로 전파한 공헌자들은 사막에서 은둔생활을 한 자들이 아니라 사막에서 훈련되어진 수도자들이 교회의 감독이 된 자들이었다. 이들은 교회지도자가 되어 로마국가의 정치적, 국가재정후원, 그리고 사후(死後) 선행가(euergetes)의 유산상속, 증여라는 부(富)를 통하여 로마국가가 시도하지 못했던 엄청난 규모의 자선활동으로 사회 복지사업이 서구, 럽 국가들에게 기독교문명이 정신적 기반이 되게 하는 영향력이 되었다. 이러한 수도주의 적 영성가 중에서 본 논자가 관심을 갖고 연구하려는 영성가는 사막 수도영성의 시작인 성 안토니오스(St.Anthony), 사막영성을 체계화 시킨 에바그리오스(Evagrius of Pontus), 부정신학(否定神學, Apophatic theology)의 시작인 닛사의 그레고리오스(St. Gregory of Nyssa)이다. 이들의 핵심적인 영성 사상은 첫째, 이단자들에 대항하여 기독교 정통교리를 확립시키고 수호하는 일에 앞장 선 정통신학자들 이었다. 둘째, ‘자기세계의 포기’가 전제되는 부정신학적 관상의 삶으로 요약 된다. 관상기도는 하나님처럼 되거나 하나님께 흡수되는 것이 아닌 하나님과 영적으로 연합 되어 하나님의 선한 성품에 참여하는 능력을 받아 누리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무한하시고 초월해 계시는 하나님을 유한한 인간의 언어와 개념으로는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하나님에 대한 개념을 마음에서 제거하는 ‘자기세계의 포기’라는 부정신학이 고백되어 진다. 이 과정에서 헤시키아는 성령 충만하여 하나님의 임재 안에 머물러 영혼의 쉼을 누리는 상태이다. 이러한 부정신학 적 관상의 삶의 내용은 오직 마음의 청결을 통하여 하나님을 보려는 열망, 오직 그리스도만 사랑하고, 그리스도를 따르려는 것이 전부이다. 그러므로 본논문은 복음적 삶의 실천 영성’을 회복하기 위해서 성 안토니오스로부터는 한 개인의 선한 결단력과 포기의 영향력을 제시하고, 에바그리오스로부터는 그리스도인이 그리스도만을 사랑하기 위해서는 악한 정념들을 제거해야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닛사의 그레고리오스로부터는 성화 과정에 있는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을 따르고 연합하고 닮아가는 길은 하나님의 무한하심에 다다를 때까지 끝없는 전진이라는 것을 교훈하였다. 이러한 영성은 오늘의 그리스도인들이 세속화로부터‘ 복음적 삶의 실천 영성’을 회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 하고자 한다.

      • 영성신학의 정립에 관한 연구

        김영순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개혁신학은 오늘날 팽창된 영성운동에 대하여 응답하여야 한다. 이것은 개혁주의적 영성신학으로 전개되며, 영성신학의 중요한 과제는 성화론의 전개이다. 구원에 따르는 성화의 강조이기도 하다. 이미 믿는 신자들의 삶이 의로운 삶이 되고 성화의 삶을 살도록 강조를 해야 한다. 이제 복음주의는 신자가 사회에서 빛과 소금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하는 성화론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신앙의 성숙과 생활에의 적용이 필요하며, 복음의 말씀과 구원의 원리를 우리 삶 속에 구체적으로 적용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성령의 충만한 임재가 필요하다. 그리하여 복음의 능력이 단순히 영혼의 차원에만 머물지 않고 우리 삶의 전 영역에 까지 파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먼저 영성신학의 관한 일반적인 고찰과 정의를 살펴보고, 둘째로 영성신학의 성경적 의미를 고찰하며 셋째로 개신교의 영성신학에 대해 알아보고, 넷째로 성령론적 관점에서 본 구원에 따른 성화의 과정과 영성의 관계를 고찰한 후, 영성신학의 정립에 관하여 결론을 맺으려고 한다. Reformed theology should reply to expansive spirituality movement today. This lead to reformed spirituality theology and the principal subject of spirituality theology is the unfoldment of sanctification. That is also the emphasis of sanctification resulted from salvation. The lives of believers should be righteousness and we shoud put emphasis on living the sanctified life. Now evangelism should study, in the concrete, sanctification how believers live as light and salt in the society. Maturity of true faith and application to life is needed and we should apply the word of the gospel and the principle of salvation to our lives in the concrete. The fully existence of Holy Spirit is needed for this. Threrefore, the ability of Good News stay only not in spiritual level but in the whole life. So, this theme get at the general consideration and the definition about spirituality theology in advance, secondly considers the meaning of the Scriptures about spirituality theology, thirdly investigate the spirituality theology about Protestantism, fourthly look over the special character and the meaning of reformed theology, fifthly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sanctification process resulted from salvation and spirituality from the viewpoint of pneumatology, draw conclusions about the erection of sprituality theology.

      • 마태복음 25장 비유에 나타난 종말사상 연구

        문종선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9647

        This dissertation has purposed to examine Eschatology thoughts of Jesus by approaching the three parables at the end of the eschatological sermon in chapter 25 of the Gospel of Matthew from diverse perspectives. The particular intention for dealing with the Gospel of Matthew 25 was to consider the parables, which had been specially edited in as the consummating part of the five intensification, and examine how the parables have been accepted as the eschatological teachings by the Matthew assembly and strongly suggested a watchful living and that prepares the end. Therefore, the three parables that had been edited in by Matthew were studied as a whole in terms of their positional significance and commonality, and the eschatological teachings of Jesus were examined in regards to Matthew's intention that was conveyed in these parables. As the foundation of the analysis of the text, the teachings of the eschatological sermon of Jesus were deduced (chapter II) by examining the environmental background of the early Christianity and comparatively analyzing the eschatology appearing of the contemporary Jewish people and that of Jesus in the Gospels; the dynamics of the Scriptural messages wa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Scripture and its recording by examining the social circumstances of the early Christian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thew assembly (Chapter III); moreover, Matthew 25:1-46 was approached as the conclusion of the intensification with its focus on the five intensifications. The study deduced as follows: First of all, as a theological subject according to the eschatological teachings of Jesus from this study, the subject has been deduced according to the eschatological reality based on Matthew's concept of the kingdom of the heaven and continuity of God's administration in the present and the coming kingdom in regards to chapter 25 of the Gospel of Matthew. Moreover, through a detailed analysis, the study deduced the messages regarding a watchful living preparing for the end; carrying out of the commission as a member of an assembly that prepares the end; and the ethics and living that prepares the end. The eschatological reality based on Matthew's concept of the kingdom of the heaven, which is related to the eschatology about the kingdom of God that Jesus declared, includes both the things of the future and of the present. Such a concept of the kingdom of the heaven is the reality of the eschatology; it already exists with His people in the present, and its consummation will be in the future. In terms of the continuity of God's administration in the present and the coming kingdom, Matthew's concept of the kingdom of the heavens sees that the kingdom is related to the growth, and the consummated kingdom will be at the end of this age(24:29-31; 25:31-46 ). What is particularly emphasized here is that the continuity of the present kingdom and the coming kingdom is related to the living under God's administration as clearly indicated in the parables in chapter 25(25:10, 21, 23, 34, 36, 41, 46). The eschatological teachings of Jesus related to this issue must be at its peak in the three parables of Matthew 25. Further, in order to understand Matthew's intention in editing in the three parables as a process of analyzing the eschatological parables in Matthew 25, considering the commonality in the nature, subject, and structure of the parables, the study specifically examined what common emphasis Matthew had put in his editing by relating the parables to the adjacent context. As a result of the consideration, all these parables were found to have the characteristics of eschatological parables related to the second coming of the Son of Man, and contain identical subject and structure in terms of their dealing with an absence and return of the main characters. It was evident that in order to answer the contemporary issues regarding the delay of the second coming, the edition of the parables structured with such commonalities purposed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assembly according to the eschatological reality based on Matthew's concept of the kingdom of the heaven, namely the eschatology about the kingdom of God that Jesus declared; further, the edition was intended to solidify the eschatological lesson regarding the living under the present kingdom according to the commission and commitment of the assembly. From such a point of view, the study related the focus of the eschatological teachings conveyed in the parables through Matthew's peculiar edition and its positional significance to the reality of the kingdom of the heavens in this age that prepares the second coming of the Lord. Also, the parables in chapter 25 were considered as an intensifying message containing concrete parables following the admonition of the eschatological teachings in chapter 24, dealing with the aspects of being watchful,' 'faithful and prudent slave, and ethics of disciple in a balanced way. Throughout the paper, the study proposed a more definite understanding based on the eschatological teachings of Jesus. Also, considering Matthew 25 as the conclusion and completion of the five intensifications, an eschatological message was deduced regarding how the three particularly-edited parables were accepted by the Matthew assembly as an eschatological teaching and strongly suggested a watchful living and thorough ethics that prepares the end. Moreover, is it desired that the very eschatological teaching given to the Matthew assembly would establish for the contemporary people a proper faith for living in the reality of the kingdom in this age according to the eschatology appearing of Jesus, and become a lamp to the feet of those who anticipate the end with a watchful living, longing for the second coming of the Lord 본 연구자는 종말론적 가르침의 후반부에 위치한 마태복음 25장의 세 비유 분석을 위해 다 방면으로 접근하여 예수의 종말사상의 교훈을 얻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 하였다. 특히 마태복음 25장을 다룬 본 연구의 초점은 마태복음서의 다섯 강화의 완결 부분으로서 특별히 편집된 세 비유들이 마태공동체에게 어떠한 종말적 교훈으로 수용되고, 종말을 준비하는 깨어 예비하는 삶을 강하게 제시받게 되었는가를 규명하는데 있다. 따라서 25장의 세 비유를 부분적으로 보지 않고 마태에 의해 독특하게 편집된 이 비유들의 위치의 중요성과 공통점을 관심하며, 이 비유를 통해 전달하고자하는 마태의 의도에 따른 예수의 종말사상의 교훈을 얻는데 본 연구의 중요성을 두었다. 본 연구를 진행한 논문의 개략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 연구목적과 중요성, 연구방법과 범위에 대하여 기술하였고, 이어서 예수의 종말론적인 가르침에 대한 연구사와 아울러 본문 해석을 위한 최근의 신약해석의 흐름을 살피기 위한 기존연구사의 개관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마태에 의해 편집된 특수 자료로서의 마태복음 24-25장의 종말설교 후반부에 위치한 세 비유를 통하여 종말론적 교훈을 얻는데 연구목적과 중요성을 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본문연구에 있어서 종교사적, 배경사적 접근에 국한 되거나 전체구조와 상관없이 본문에만 매여 있지 않고 초기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정황 또는 그 공동체가 속한 주변세계의 정황과 관련하여 공동체의 삶의 자리를 중시하여 본 연구의 접근을 사회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본문에 나타나는 사상들이나 행위들의 배후를 이해함으로 본문 해석의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이러한 의도에 따라 종말론 연구에 관한 기존 연구동향과 방향성을 살펴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본문에 나타난 종말사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의 가르침에 따른 종말론 관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Ⅱ장에서는 초기 그리스도교 배경이 된 예수 이전의 유대 종교운동으로 유대묵시문학사상을 살핌으로 주변세계를 고찰하고, 예수님 당대 유대인들의 종말사상과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의 종말사상을 살펴보았다. 여기에서 예수의 선포에 나타난 종말사상에는 미래적 대망사상뿐 아니라 하나님 나라의 현재적 임재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에 주안점을 두어 마태복음서에 있어서 가장 포괄적인 개념으로서 천국(kingdom of the heaven)에 대한 개념, 즉 종말론적인 실재로서의 ‘하나님의 통치’를 이해하였다. 그것은 예수께서 그의 제자들에게 가르치신 종말론적 교훈을 임박한 파루시아에 대한 집착이 아닌 현재 하나님의 종말론적인 통치 아래에서의 삶과 활동으로 이해되었다. 이러한 이해로 마태복음의 다섯 강화의 마지막 부분으로 제시된 마태복음 25장의 비유들을 분석함에 있어서 용이한 접근을 시도하게 되었다. Ⅲ장에서는 본 논문의 본문분석을 위한 기초로 초기 그리스도교의 형성 배경과 사회적 정황 및 마태 공동체의 특징과 성격을 탐구하였다. 우선 초기 그리스도교는 당시에 만연했던 헬라세계의 영향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그리스도교의 메시지가 선포되는 환경도 헬라 세계의 영향권 안에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그리스도교는 헬라 세계에 다양하게 반응함으로써, 그들의 독특한 정체성을 형성해 나아가며, 당시의 문학적인 기법, 사회적, 종교적 관습, 철학적 개념 등을 수용하거나 변형하여 그들의 메시지가 선포될 수 있는 틀을 만들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교의 생성초기의 배경은 헬레니즘이었으며, 예수가 출현하였던 당시 유대의 세계는 정치적 상황으로 일종의 종교적 위기를 경험하고 있었고, 초기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형성에 있어서의 사회적 배경은 유대적 배경이다. 이러한 유대교적 영향 가운데 초기 그리스도교가 지녔던 독특한 새롭게 강조한 점들을 살펴보며, 본 연구를 위한 본문 분석의 직접적 토대가 되게 할 마태공동체의 성격에 관하여, 마태공동체의 유대적 배경과 갈등, 마태공동체의 내부대립과 공존, 예수의 재림지연에 따른 마태 공동체의 정황 등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여기에서 마태는 그가 속한 공동체의 목양과 강화를 위해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토대로 새로운 율법과 의를 지향하는 새로운 이스라엘 공동체의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종말론적 강화의 성격으로 마태복음을 기록한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정황들과 기록들이 예수의 재림 지연과 관련하여 공동체가 감당하며 극복해야 할 문제들로서 공동체의 강화는 물론 예수의 재림을 통하여 완성에 이르는 하나님의 나라에 참예하기 위하여 현시대에 깨어 예비하며 신실하게 그들의 위임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강화시키는 메시지가 필요 했던 것이다.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성서는 그것이 기록된 사회적 정황과 분리될 수 없다는 점과 그 시대의 역사적, 사회적 배경, 즉 그리스도교가 형성되고 성서가 기록된 배경에 대한 이해는 성서의 메시지가 갖고 있는 역동성을 살려내고, 성서의 내용을 단순한 문자의 배열이 아니라 현 시대에 적용할 수 있는 실제로 되살려낸다고 보았다. Ⅳ장에서는 다섯 편의 강론(강화)을 중점으로 구성된 마태복음의 종말론적 구조와 강화의 결론이며 마지막 단원의 교훈 부분이라 할 수 있는 마태복음 24장과 25장을 하나의 큰 주제로 두고 마태복음 25장의 위치의 중요성을 살펴보았다. 여기에서 저자는 자신의 공동체 구성원들에 대한 자신의 의도와 교육의 문제를 염두에 두고, 예수의 가르침을 현재와 같은 형태의 다섯 편의 강론으로 재구성했을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 복음서의 저자의 의도를 따라 다섯 편의 강화를 중점으로 구성된 문장 구성의 중요성을 따라 이 강화의 마지막 부분의 결론으로서 25장의 위치의 중요성을 두며, 세 비유 안에 나타난 종말강화 메시지에 초점을 두었다. Ⅴ장에서 마태복음 25장에 제시된 세 비유인, 지혜로운 처녀들과 어리석은 처녀들의 비유(25:1-13), 책임완수의 달란트 비유(25:14-30), 최후의 심판 비유(25;31-46)를 주석하여 마태의 의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25장의 세 비유의 분석을 위한 직접적인 접근으로 먼저 선행 문맥으로서의 24장의 관련된 인접 문맥을 살펴보는 것을 우선 하였다. 이는 24장의 종말설교의 내용이 마태복음을 기록할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직접적인 관련이 되며, 특히 제자들의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제시된 종말론 강화는 마지막 종말론적 심판이 임하기까지의 모든 세대에 종말을 지시하는 징조들의 실제, 종말 이전 시대의 천국 복음의 전파, 재림 준비 등의 내들은 이 강화 결론으로 세 비유를 안배한 선행 구절(24:42, 24:44)들로 보기 때문이다 이어서 인접문맥을 통한 예수의 종말론적 교훈들의 이해를 토대로 마태복음 25:1-46에 위치하고 있는 세 비유, 즉 “열 처녀비유”(25:1-13), “달란트 비유”(25:14-30), “양과 염소의 비유”(25:31-46)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이 비유들이 강조점과 공통점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예수의 종말사상의 교훈을 따라 종말을 대비하는 깨어있는 삶과 주님의 재림을 준비하는 신실한 공동체 윤리와 사명을 다하는 종말강화의 메시지를 도출하기 위하여 본문을 세밀하게 분석 하였다. Ⅵ장에서는 24장의 종말론적 가르침과 연관 되어진 25장의 이 비유들이 어떠한 점을 강조하며, 이 비유들을 통해 마태복음 기자가 표현하려고 한 종말사상의 신학적 의도와 기능이 무엇인지 규명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를 통해 관찰된, 예수의 종말적 교훈에 따른 신학적 주제는 첫째로, 마태의 천국 개념에 따른 종말론적인 실재를 인식함과, 둘째로 현재왕국과 미래왕국 사이의 연속성 안에서 현재 하나님의 종말론적인 통치 아래에서 살아가는 것으로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마태복음 25장의 세 비유 분석에 따라 도출된 신학적 메시지로서의 종말론적 교훈을 각각의 비유의 내용에 따른 메시지의 초점과 그 비유의 강조점 및 유의할 점을 제시 하였다. 이와 같이 도출된 종말론적 교훈으로 현대를 사는 우리에게 바른 신앙을 정립하고, 주 예수의 재림을 준비하며 구원을 고대하는 공동체에게 길을 제시하는 것이다.

      • 평신도 전도사역 활성화를 위한 전도역량강화 연구 : 광진교회를 중심으로

        백만숙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9647

        Ever since the first introduction of Christianity in Korea, the Korean churches had been growing with the health and wealth gospel that has the basic belief of ‘believing in Jesus brings health and wealth.’ However, the growth has slowed down since the 2000s, one of the reasons being the distorted method of mission works. What are more important than the method of mission work are the principles of it. After the baptism, Jesus has concentrated on the mission work. The mission work is the supreme order of Jesus and he had shown the practical mission work to his disciples. What the Korean churches must really consider over are how the mission work taught by Jesus affect the growth of Christianity and how his principles of mission work ought to be practiced and applied. The Bible records that the salvation of human beings is complete from a God’s sovereign grace and humans’ responsibility on mission work. In other word, although the mission works are practiced by human beings, the sovereignty of it is owned by God. After his baptism, Jesus had selected his disciples, worked with them and demanded for their full obeisance. He had granted himself to his disciples and showed them how they should be living. He gave them the missions to work for and supervised them to reproduce. Like so, the scope of missionary is to make disciples, give baptism and educate them with what is told until they reproduce. The modern churches must remember that Jesus has trained only a selected minority was trained for the mission works. Jesus changes the world with only the selected minority. The sovereignty of mission work is owned by the Holy Spirit and we are only participating in the mission works as his tools. Therefore, we have no right to interfere in the works of the Holy Spirit with the strategies and programs of our mission works. In mission works, its strategies or programs ought to be applied on its principles, but it may not become the principal of the work. The mission work that the lord demands is that led by the Holy Spirit. To make his disciples to complete the gospel works with competence, the Holy Spirit gives abilities to them and removes all obstacles. The missionaries rely on the God’s ability only when they are sensitively opened for the works of the Holy Spirit. All of these occur in the process of gospel transmission, during which the Holy Spirit opens up the hearts of nonbelievers. The strengthening of missionary abilities occurs through the dynamic training of the mission works. This paper attempts to analyse and consider the internal and external effects of strengthening of mission works that is in process at KwangJin Church, through a statistical analysis on the participated laities, in order to illustrate the application of missionary principles on modern churches. The following are the internal results of the dynamic trainings for mission work in KwangJin Church. First, through the traning, the number of laities getting saved and baptised are has increased. It meets the objective of the dynamic trainings to reproduce missionaries through the trainings. Second, along with number of the baptised, number of settled believers has also increased. To help settlements of the believers, Kwangjin Church has prepared the agreement ceremony of the blessed mentor and mentee. In this program, a mentor is responsible for his/her mentee’s training for 3-12 months. Third, one of the outcome of the dynamic training is the independence of a ward head along with the increase in number of the laities. When a believer settles as a missionary and completes the certain period of training, he/she becomes a ward head. Like so, the dynamic missionary training in Gwangjin Church has resulted in some internal outcomes including the increase in number of the baptised, settlement of missionary members and independence of a ward heads. In addition, there also were some external outcomes of the dynamic missionary training. First, ever since it was first found in 1999 in Shiwha area, Kwangjin Church has been continuously growing. Second, Pastor Min Kyeong-seol has become the president of Daejeon Theology University to expand the range of the dynamic missionary training. He has established a Missionary Academy to apply the dynamic missionary training on students of theology. Third, Pastor Min Kyeong-seol was appointed as the principal of the aggregated mission school of the General Assembly of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The aggregated assembly mission school carries a dynamic missionary training every year for the Pastors, to turn over 200 pastors in to true missionaries every time. Lastly, the dynamic missionary training is turning the pastors not only in mission school, but also in the capital, Chuncheong, Honam and Kyeongnam cities into missionaries. Like so, the dynamic missionary trainings helped bearing fruits of mission works both on the laities and on the mission workers. Through the dynamic missionary trainings for the laity, the believers could experience the principles of mission works and practiced the supreme order of Jesus to bear the most effective outcomes of mission works. 한국 교회는 1970년대 좀 더 향상된 삶의 질을 바라는 사회적 욕구와 함께 기복주의적 신앙요소들이 가미되어 커다란 교회성장을 이룩할 수 있었지만, 2,000년대부터는 교회성장의 급격한 둔화를 가져왔다. 그 이유 중 하나가 왜곡된 전도의 방법 때문이다. 전도는 방법이 아닌 원리가 중요하다. 예수께서 공생애 기간 동안 한 일은 전도이다. 전도는 예수의 지상명령이고, 공생애 기간 동안 그는 제자들에게 전도의 실천을 보여주었다. 한국 교회는 예수가 원하는 전도원리가 기독교의 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예수의 전도원리를 어떻게 실천하고 적용할지 고민해야 한다. 성경은 인간의 구원이 전적인 하나님의 주권적 은혜와 인간의 전도에 대한 책임으로 이루어진다고 말한다. 즉 전도는 인간이 하지만 전도의 주권은 하나님이 갖고 있는 것이다. 예수는 그의 공생애 기간 동안 제자들을 선택하고 그들과 함께 지내며 그들에게 순종을 요구하였다. 그는 제자들에게 자신을 주었고, 그들이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를 실천으로 보여주었다. 제자들에게 사역을 부여하고, 감독하며 재생산을 요구한 것이다. 이처럼 전도의 범위는 제자 삼고, 세례 주고, 분부한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여 재생산에 이르기까지 이다. 현대 교회는 예수가 한 일이 전도를 위해 소수의 사람을 택하여 그들을 훈련하였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예수는 소수의 훈련 받은 자를 통해 세상을 변화시킨다. 전도의 주권자는 성령이요, 인간은 성령의 도구로서 전도에 참여할 뿐이다. 그러므로 전도의 전략이나 프로그램이 성령의 역사를 방해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전도는 전도 원리 위에 전략이나 프로그램이 접목되어야지 그 자체가 주체가 되어서는 안 된다. 주님이 원하는 전도는 성령의 이끌림에 의한 전도이다. 성령은 제자들에게 능력을 주고, 모든 장애물을 제거하고, 복음사역을 능력 있게 수행하도록 하였다. 전도자는 성령의 역사에 민감하게 마음이 열려 있을 때 하나님의 능력을 의지하게 된다. 이 모든 요소들은 복음 전달과정에서 일어나며 성령이 불신자의 마음을 연다. 전도역량강화는 전도동력 훈련을 통해 일어난다. 이 논문은 주님의 전도원리에 대한 현대 교회적용을 예증하기 위해 광진교회에서 실시하고 있는 전도역량강화 사역에 참여한 평신도들에 대한 통계분석을 통해 이 사역의 교회 내, 외부적 영향들을 분석하고 고찰하였다. 광진교회에서 실시한 전도동력 훈련의 내적인 결과로는 첫째, 전도동력 훈련을 통해 나날이 구원 받고 세례 받는 사람이 늘어났다. 세례 받은 자들에게 전도동력 훈련을 통해 전도자로 만드는 것이 재생산이며 전도동력 훈련의 목적이다. 둘째, 세례자의 증가와 함께 전도교인의 정착률이 증가하였다. 광진교회는 전도교인의 정착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축복의 멘토· 멘티 협약식을 진행한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멘토가 3-12개월 동안 관심을 가지고 멘티를 양육한다. 셋째, 전도동력 훈련의 결과는 전도교인의 증가와 함께 사랑방장 분가이다. 전도교인이 정착되고 일정기간 훈련을 마치면 사랑방장이 된다. 이처럼 전도동력 훈련을 통해 광진교회는 세례자의 증가, 전도교인의 정착, 사랑방장의 분가 등 내적인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전도동력 훈련의 외적인 결과로는 첫째, 1999년 시화지역에 광진교회가 개척되어 교회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둘째, 민경설 목사가 대전신학대학교 총장이 되어 전도동력 훈련의 영역을 넓히게 되었다. 목회사관학교를 세워 신학생들에게 전도동력 훈련을 접목하였다. 셋째, 민경설 목사가 대한예수교 장로회 통합측 전도학교 교장으로 세움을 받게 되었다. 통합측총회 전도학교는 일 년에 한 차례씩 목회자들을 대상으로 전도동력 훈련을 하여 한 회에 200여명의 목회자들이 전도자로 거듭나고 있다. 넷째, 총회 전도학교 외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경남권 통합측 목회자들에게 전도동력 훈련을 통해 전도자로 만들고 있다. 이와 같이 전도동력 훈련은 평신도뿐만 아니라 교역자에게도 많은 전도의 열매를 맺게 하였다. 평신도 전도동력 훈련을 통해 전도원리를 체험할 때 예수의 지상명령을 수행함에 있어 효과적인 전도의 열매가 맺게 되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다.

      • 리처드 백스터의 경건훈련에 관한 연구

        신현규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49647

        In the late 1800's the world of enlightenment was opened by accepting Christianity in the dark Korean society. Protestantism spread scientific thinking, neo-education, the eradication of illiteracy, a democratic sense of values and social reform into Korean culture. With these movement Korean church could easily set into the Korean culture. Protestant Church taken root in the Korean culture, in spite of the diversity of a denomination, was influenced by the earlier missionaries' religious form. Especially, the Presbyterian Church was affected more enormously by them. Therefore the religious form of the earlier missionaries had a decisive effect on that of Korean Church. These missionaries were mostly Puritanism at least in the case of the Presbyterian Church that has a majority in Korean church. Whenever the identity of Korean Church is discussed, a repeated problem is that Korean Church has ignored about Puritanical inheritance and forgotten it. Fortunately current academic circles have the interest in Puritanism and have produced lots of fruits in many respects of it. As this thesis is of use in that trend, in particular, this study will concern about Richard Baxter, the core of Puritanism in the seventeenth century. I think we have to investigate Baxter today because his ministry and life will be a help to the slowdown of the growth in Korean Church. Korean christians have failed to grow the quality of their spiritual life because they have failed to cultivate their spiritual knowledge. We have not had enough time to pray and read the Scriptures and we have stopped the practice of meditation. Puritan has regarded meditation as the core discipline in Christian religion and the essential duty of christians. But it is a tragedy, indeed, that these days "meditation" is a non-Scriptural word related the spirituality of New Age Movement. In fact, "meditation" or "contemplation" is used by much more spiritualists out of church than in church. In this aspect through the study on Baxter's Godly discipline centered meditation I expect to find out a clear vision, a distinct philosophy and an utter goal of ministry for many souls God's entrusting to me. And I anticipate to indicate the goal of faith to many christians clearly and to discover the certainty of ministry to lead them. Churches and pastors of our own time should awake as a God's person like Puritans to change the world. The incentive and the object of this thesis are to rediscover Baxter's pious life and discipline and to search for a truthful figure of minister and preacher in rapid secularization of Korean church. This study will illuminate Baxter as a pastor. We can learn many things from Baxter as a pastor if because preacher's words are not in keeping with his deeds present Korean church is getting poor spiritually. Baxter emphasized it is important that a preacher should practice what he has occupied the pulpit. Therefore this study will try to focus on Baxter as a practical minister. This study will research for Richard Baxter's Godly discipline through literature investigation, re-illuminate it and investigate how it can be applied to contemporary ministry. The following books of Baxter's numerous writings are the subject of my study.: The Autobiography of Richard Baxter, Practical Works: Reformed Pastor, The Saints' Everlasting Rest, A Call to the Unconverted, A Christian Directory. They contain the contents of "Godly discipline". With these writing this study investigated his practical fruits of Godly discipline. This thesis will focus on the pious life and the discipline of ministry from beginning to end. So following this order.: As an introduction, the first chapter will introduce the motivation, the tendency and the method of the study on Baxter's Godly discipline. The subject of the chapter Ⅱ is the peculiarity of Puritanical Godly discipline, "meditative discipline". For Baxter, a great Puritan, meditation was the most important unexceptional factor in a pious life. Baxter wrote The Saints' Everlasting Rest by using all his strength with the heart like on the verge of death in 1649. At that time Baxter wrote "Weakness and pain helped me to study how to die; that set me on studying how to live." Baxter thought that his suffering had brought benefit in various respects. He believed that the agony had taken away the worldly temptation and it had allowed the time for profound meditation. This study will deal with meditative discipline of Puritans.: the definition and the substance, the obligation and the necessity of meditation, and the preparation, directory, subject, advantage, and obstacle in practicing meditation. And this study will explore meditation as "self-examination". Chapter Ⅲ will inquire into Richard Baxter's life more concretely.: His spiritual ideal and practice of holiness will be discussed. Baxter considered that all the degradation of church come out from a pastor and, first of all, to reform pastors, he made a proposal to hold a meeting per a month and to make a profound study of the Scriptures to many pastors around his parish. The reformation produced big results coming out the changes of pastor's life. As the church reformation had been accomplished, the parish was filled with 20 devout pastors. As a pastoral minister, Baxter preached about true shepherd and had strong affects on many people. His working was getting more and more active. One day he was asked for a sermon, when he couldn't be present by health problem, he wrote a lecture to them. And the written lecture become a famous book, The Reformed Pastor read by many Puritans and being read by pious pastors after ages. He mentioned that the cause of growth and decline of church were related to pastor in this writing. He encouraged pastors to examine themselves if they depend on God wholly and to devote themselves to reading the Scriptures and praying. After this chapter will deal with his life generally, the instruction from his life will be examine. With the instruction his exemplary feature of shepherd(pastor) will be explored. Chapter Ⅳ will investigate Baxter's structure of Godly discipline. "Godly discipline" doesn't mean simply one or two actions. It contains theological, affective and practical dimensions as well. To understand this structure of Godly discipline, for a start, this chapter will explore historical affairs.: the moralistic state in the seventeenth, the influence of Antinomianism and Baxter's theological respond to this. And in turn this chapter will investigate three dimensions of piousness.: in cognitive dimension this will concern the purpose of theology study, the selection of the subject, the order and the method of practical theology. In meditative dimension Baxter's heavenly meditation will be explored in aspects of centripetal force, content and method of it and then will be evaluated. In practical dimension this chapter will research Baxter's practical theology of self-examination and obedient perseverance. Chapter Ⅴ will examine Baxter's pastoral theory. He taught catechism thoroughly and catechized all the families in his parish. With two assistants, two days a week, from morning to night, he would visited at every door. After he taught them, he asked them questions. With a large sensitivity, he led them by the Scriptures. These brought a huge revolutionary effect to the city. And he had emphasis on repentance. He focused his sermon on sinner's repenting for their sin. His concern about repentance was demonstrated in Call to the Unconverted(1663) rendered an account of the way of persuading sinners and recover their soul toward God. Baxter's attitude in preaching was plain and had a strong power. And he always warned against sin seriously and persuaded repentance solemnly. As a person experienced repentance by practical faith Baxter asserted that christian life should start from repentance. He repeated again and again that unbeliever have to offer his life completely to God and repent his old wickedness. This chapter will examine man's repentance and God's salvation, in turn, explore, of church's roles, the essence of church, means of grace and the pastor's and congregation's commission. As a conclusion, chapter 6 will summarize the core contents according to the point of this thesis and view that how Baxter's ministry and Godly discipline can affect on the modern pastors and their pastoral spot. To sum up, Baxter's experience reminds us of the danger of Antinomians tendency as an excessive prescription of reform theology. His life and thought have been reflected on many christian practical life. His covenant theology offers one case of Puritanical emphasis on the foundation of piousness by the Trinity. And it presents an available substitute measure to unessential dichotomy between grace and man's effort and to the view of judgment. His understanding of 'responsible grace' is not to concede God's full glory and to fulfill his own responsibility by man's effort. In another dimension of understanding, he combined unessential separation between designed revelation and individual revelation. And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s he presented dependant but meaningful ways for literal approach. His idea on three codes, the Scriptures, the Holy Spirit and the Reason, nullifies apopathic approach and mystic unity in Catholic spirituality. He insisted that it is important that christian experiences spiritually 'walking with God', especially, through the practice of obligation. He asserted that the point of office was on evangelical piousness. However, he insisted that it is important that the foundation of ministry is an affective understanding on spiritual substance. He gave an emphasis on Christ's role as a mediator. That is he emphasized Christ's inevitable role submitted positively to God's plan of salvation. He was opened to Catholic church but demonstrated a critical approach to it and suggested that Protestant tradition should be given priority of our investigation on evangelical devoutness. As we recognize the necessary of the unification of theology, ethics and spirituality more and more, his practical theology will be a living exemplification. Today Korean Church has lost not only the power of holiness but also the appearance and doesn't play a role of light and salt of the world any more. Moreover it stigmatized the object of reformation to this society rather than. For Korean church in this spiritless state, Baxter's practical theology will be a good stimulus which can excite a dynamic of religion. Thus pastor should recover his/her power of holiness and the wholesome theology properly through the Godly discipline. And pastor should distinct between the unconverted and the hypocritical and try to lead them to perfect convert. And he has a historical mission to reform church and society.

      • 한국교회의 임상목회 연구

        진문일 한영신학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9647

        It was said that Korean Churches have made a marvelous growth during the 20th century. But entering into the 21st century, Korean Churches have been weakening its growth and facing a difficult situation. As researcher, I am hoping for the restoration of Jesus's teachings and works as in the early churches. The research and study regarding preaching and ministry works done by Jesus Christ such as missionary, teaching and healing, and among them today's healing ministry as a Clinical Pastoral Care science has been done day by day in the hospital sites. Clinical Pastoral Care has been established as one of the sciences based on and through clinical evidences: namely, the spiritual world existing between God and people. This is the key of Ministry work which encompasses rich experiences on words of justice and others. In chapter ?T, as an introductory, it presents the need of research of this thesis and the related problems including the study objective and its approach method. Apostles in the first church and Korean missionaries in early days of Korean Church faithfully obeyed the Jesus messages and thereby resulted in great growth as well as revival. But now Korean Church in the 21 century has turned its face away regarding its essence and mission due to the supreme end of its growth. Under such circumstance, I have tried to seek by studying a model for missionary work of Korean Churches through Clinical Pastoral Care both with theory and practice. I have conducted the study with literatures and real cases in hospital sites centering in Medical Center of Hanyang University where I have been working. In chapter ?U, my study was focused on the history and background of Clinical Pastoral Care with the literatures and practical cases. Generally, the Clinical pastoral Care is said to be a practical method which began and was developed in the U.S.A. Clinical Pastoral Care in the U.S.A. began due to resistance of theological education in addition to an appeal to medical science, psychology and social wellbeing business. William Keller, a pioneer of Clinical Pastoral Care training, started with confidence that in the modern ages, a pastor had to learn much of knowledges and technologies on medical science, sociology and various wellbeing institutions. Richard Cabot, the first advocator of Clinical Theology developed Verbatim as a means for Clinical Pastoral Education. Anton Boison wrote many related books and papers for Clinical Pastoral Care under the influence of Richard Cabot. Clinical Pastoral Care in the U.S.A. started under the severe self-examination regarding theology education. Namely, a pastor, who cares for the spirit and soul of believers, cannot be faithfully satisfied from the acquirement of knowledges both from theoretical study of the holy bible and theology. As a result counseling education that employs real life experiences and self reflections based on these experiences began to develop. Clinical Pastoral Care therefore includes all the services and activities in caring for the patient and its family through the help of understanding of medical and nursing sciences. Chapter ?V is about the Clinical Pastoral Care and bioethics. It mentions that Clinical Pastoral Care for patient object is regarded as an important interest for a pastor. Eduard Thurneysen said,󰡒Missionary work is to care the soul of human being and to convey God's words into its soul". For the Clinical Pastoral Care activity, at first it requires the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pastoral theology. It is Clinical Pastoral Care that together share the minds of pain of the patients in the hospital and their will to overcome the pain. It is to be attained through dialogue with the patient. This requires both psychological understanding of inner being of man as well as medical science. Jesus's healing ministry also was such one that showed the full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human being and that healed both soul and body. Nowadays, the most important issue is known as the problem of life-ethics because we need to understand both depression and suicide while realizing the importance of life. Human life is given from God as the most important thing, therefore, the life and death of human being belongs to God and not to our own. The issue of the brain death and termination of one's life shall be solved not from the social and economical view but from theological point of view. Therefore, life ethics and its laws can be said to be important. Both the manifesto of Nurenberg and Helsinki Declaration are great chapters for human beings made through the bitter historical experience. In the year 2010, patient's rights and responsibilities are the most important instructions. Here, detailed study on the intention letters by each hospital were observed in relation with the issue of dignity of death during 2009 and 2010. Chapter ?W consists of the subject of practice of Clinical Pastoral Care. It observes the counseling theory and the related cases. Every day counseling activities are being made in the hospital. Doctors, nurses, assigned pastors, even those that do not receive specialized training, are able to perform good counseling activities if they were to listen carefully to the words of the patients in pain. Listening itself can be said as a good counseling activity. In order to carry out good counseling activity, one needs to understand the relevant and various theories and shall have practical experiences on site. Not only the analysis of mind by Freud and Jung but also the study approach methods by Rogers and Alport were introduced including many kinds of counseling. Further practical counseling being made in hospital was mentioned here. In Chapter ?X, the review and study were presented on the matter of funeral service and hospice including the deathbed and the worship of funeral ceremonies. In General, patients before deathbed showed fear, loneliness, gloom, loss of spirit, anger, hostility and etc. Such emotions should be well understood before entering into counseling. Patients with cancer need to be cared through hospice since the hospital will not take care of them for a long time. Hospice is the place where patient is at deathbed and its family are to be cared. In hospice nursing there are body nursing, socially spiritual nursing, and spiritual nursing. Spiritual nursing particularly enhances the quality of rest in life by enabling the patient to maintain a correct relationship with God, with its neighbors and environment. It further helps the patient to finally accept his or her conditions or death, waiting for the hope in afterlife. After deathbed, through worships such as the time of deathbed, coffin rites, lowering a coffin into grave, solace and etc, bereaved families should be taken care of while honoring glory to God. Such service and works shall be carried out under Clinical Pastoral Care. As a conclusion, suggestions were made. As a researcher, through this study of Clinical Pastoral Care in Korea, I would like the Korean Church to overcome its current difficulties of pastoral ministry situation. When the growth and revival of Church reduces and becomes worse the principles of the holy biblical pastoral work shall be required. 1) It requires that biblical pastoral work shall be uphold and respected. It shall return to the origin of pastoral missionary as Jesus did when teaching apostles, preaching good news and healing diseases. 2) Clinical Pastoral Care activities are equiped with both theory and practice. counseling theory should be synchronized with its practical performance and pastoral theology should be shown and demonstrated in detail. 3) Urgent establishment of the life ethics in christian churches. The issues of abortion, suicide, brain death, organ transplant, cure for prolonging life and its termination should be decided theologically from doctors and from the life ethics from christian bio-ethic scholars. 4) Necessity of education of dogmatic theology and its practice regarding deathbed and hospice are required. The old aged has been rapidly increasing and the welfare of the old has become socially an issue and a new task to be dealt with. Korean Churches should be prepared to take care of the old aged suffering from terminal cancer through hospice and at the time of deathbed. 본 연구자는 20세기에 놀라운 성장을 가져왔던 한국교회가 21세기에 들어와서 성장을 유지하지 못하고 둔화되는 위기 상황 속에서 초대 교회의 예수님의 사역을 회복하기를 바랐다. 예수님의 목회를 선교의 사역, 교육의 사역, 그리고 치유의 사역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면 이를 이어 받은 오늘의 치유의 사역(Healing Ministry)은 임상목회학으로 병원 현장에서 날마다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임상목회(Clinical Pastoral Care)는 오직 목회의 기둥이 되는 사람과 하나님과 영적세계 그리고 의의 말씀에 대한 풍부한 경험 등에 대한 임상학적인 증명을 토대로 정립된 학문이다. 제1장은 서론으로 논문 연구의 필요성과 문제를 제기하고 연구대상과 방법, 그리고 선행연구를 하였다. 초대교회의 사도들과 한국교회의 초기 선교사들은 예수님의 사역을 철저히 수행했기에 교회가 부흥하고 성장하였다. 그러나 21세기의 한국교회는 교회의 본질과 사명을 외면하고 성장 지상주의에 매몰되었다. 그러므로 본인은 한국교회의 임상목회를 통하여 이론과 실제가 함께하는 한국교회의 목회 모델을 찾고자 하였다. 본인이 시무하는 한양대학교 의료원을 중심으로 병원 현장에서의 사례들과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제?U장은 임상목회의 배경을 고찰하였다. 임상목회는 미국에서 시작되고 발전된 실제적인 목회방법이다. 미국의 임상목회는 신학교육에 대한 반발로 시작된 것이며, 한편으로는 의학, 심리학, 사회사업에 대한 매력에서 기인한 것이다. 윌리엄 켈러(William Keller)는 최초로 임상훈련을 시작한 사람으로 현대 사회에서 목사는 지식과 기술에 있어서 의학, 사회학, 그리고 여러 복지기관에서 배울 것이 많다는 확신에서 출발했다. 리차드 캐봇(Richard Cabot)은 임상신학을 최초로 제창한 사람으로 임상목회교육(Clinical Pastoral Education)의 도구로서 대화록을 개발했다. 앤톤 보이슨(Anton Boison)은 캐봇의 영향을 받은 사람으로 임상목회교육을 위한 수많은 논문과 저서를 남겼다. 미국의 임상목회는 신학교육에 대한 심각한 반성으로 시작되었다. 즉 성서와 신학에 대한 이론적 지식의 습득만으로 영혼을 돌보는 목회자 교육을 충실할 수 없다고 하여 처음부터 현장에서 직접 이뤄지는 실제 체험과 그에 대한 반성으로 상담교육이 싹을 텄던 것이다. 그러므로 C.P.E.는 병원에서 의학적 돌봄과 간호학적 이해를 통하여 환자와 가족을 돌보는 모든 것을 포함한다. 제?V장은 임상목회와 생명윤리를 연구하였다. 임상목회의 중요한 대상인 환자를 돌보는 목회는 목회자의 중요한 관심사이다. 에드워드 투르나이젠은 ?g목회는 인간의 영혼을 돌보며 그 영혼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전달하는 것이다?h라고 하였다. 임상목회를 위해서는 먼저 전통 목회학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병원에서 고통당하는 환자들과 함께 고통의 의지를 진정으로 나누는 것이 임상목회이다. 우울증과 자살을 이해하고 생명의 존귀함을 알아야 하므로 현재 임상목회의 가장 중요한 이슈는 생명윤리문제이다. 인간의 생명은 하나님이 주신 가장 귀한 것이므로 삶과 죽음은 인간이 아닌 하나님에게 속한 것이다. 죽음과 뇌사, 연명치료중단을 인간의 사회적, 경제적 입장에서가 아니라 신학적인 입장에서 풀어야 한다. 그러므로 임상목회에 있어서 생명윤리와 생명윤리법은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뉘른베르그 강령과 헬싱키 선언은 참혹한 역사적 경험에 대한 반성으로 만들어진 인류의 대 장전이다. 환자의 권리와 책임은 2010년 한국 모든 병원의 가장 중요한 지침이다. 2009년과 2010년에 존엄사 문제를 통하여 병원마다 만들고 있는 사전의료 의향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제?W장은 임상목회의 실제로서 의학과 목회학의 만남, 간호학적인 목회적 돌봄, 호스피스 그리고 임상목회와 상담을 다루었다. 병원에서는 매일매일 상담이 이루어지고 있다. 병원의 의사나 간호사 원목들은 전문적인 훈련을 받은 상담자가 아니더라도 고통 받는 환자들의 이야기를 열심히 들어 준다면 그 자체가 훌륭한 상담활동이다. 훌륭한 상담을 하기 위해서는 많은 상담이론을 이해하고 많은 경험과 훈련을 가져야 한다. 프로이드(Freud)와 융(Jung)의 정신분석뿐만 아니라 로저스(Rogers)와 올포트(Allport) 등의 연구 방법을 소개하고 여러 가지 상담에 대해 고찰한 후에 상담모델을 제시하였다. 제?X장에서는 임상목회의 실천과제로 병상일지와 임종에 대하여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였다. 임종 전 환자는 두려움, 외로움, 우울과 의기소침, 분노와 적개심 등의 심리상태를 가진다. 이것을 잘 이해하고 상담을 하여야 한다. 암 환자들이 오랫동안 병원에 있을 수 없기 때문에 호스피스를 통하여 이들을 돌보아야 한다. 임종 후에는 임종예배, 입관예배, 장례예배, 하관예배, 위로예배 등을 통하여 유가족 돌보고 하나님 영광을 나타내는 것이 임상목회자들의 사명이다. 임종과 목회적 돌봄을 통하여 끝까지 환자들을 돌보는 임상목회가 이루어질 때 한국교회는 다시금 예수님의 사랑을 실천하는 성장하는 교회가 될 것이다.

      • 오순절 운동에서 본 성령의 역사

        김명주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47

        오순절 운동은 19세기 말엽 교회가 사명감을 잃어버리고 타락해 갈 때, 말씀과 행함으로 초대교회로 돌아가는 영적 신앙 갱신운동으로 성결의 영인 성령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며 성령세례를 강조하는 성령운동이다. 존 웨슬리의 제2의 은총사역에 보여진 회개 이후에 나타나는 순간적인 체험인 성화론을 근거로, 또한 미국부흥운동에서 영적인 체험 방법을 이어 받았고 성결운동의 영향으로 웨슬리안주의 신학적 체계를 바탕으로 순절 신학을 형성 하게 되었다. 성령은 삼위일체 하나님으로서, 종속적 능력의 통로가 아니라 성령 하나님으로서 독자적인 신성과 인성을 가지신 하나님으로 본질적으로 동일하신 하나님이시다. 중생은 오직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이루신 하나님의 구속계획을 믿음으로써만 얻어질 수 있다(고후 5:17). 중생은 실제적인 변화로 모든 사람이 필요로 하며, 하나님이 받으심과 영생을 위해서 필요한 것으로 하나님의 형상에 복귀시키는 것이다. 중생은 죄의 능력을 제거하는 것이요, 중생은 주관적, 실제적인 사건이다. 중생은 하나님이 성령을 통하여 내 안에서 하시는 일이다. 중생은 그 자체가 성화의 시작이며, 성화의 일부이다. 그러나 중생은 아직 사람의 마음속에 있는 옛 본성에서 완전히 떠나지 못한 상태이다. 그러기에 우리에게는 거룩하게 되는 성화가 필요하다. 완전 성화 또는 성결이 중생한 사람에게 남아있는 이러한 악한 성품을 온전히 몰아내는 순간이다. 중생에서 성화가 시작하며, 은혜 안에 성장하다가 남아있는 죄 성에서 해방되는 완전 성화의 단계가 있다. 완전 성화는 사람이 유전적으로 타고 난 악한 성품까지도 제거하며, 변화시키며, 정결하게 하는 제 2의 은혜이다. 오순절신학의 핵심은 성령세례에 있다. 성령세례는 오순절 신학의 핵심적 경험이다. 성령세례의 경험 없이 진정한 오순절주의라고 할 수 없다. 성령세례는 오순절 신학의 구성적 축이자 출발점이다. 성령세례는 중생한사람이 두 번째 받는 세례이다. 모든 죄에서 해방되고 영적인 능력을 얻게 된다. 성령은 자유롭게 와서 성령세례를 집행한다. 성령세례는 자기 자신을 충만하게 나타내고 충만하게 주는 것이다. 성령세례의 실제 집행자는 성령이다. 성령세례는 성도들에게 성령으로 충만히 채우는 체험이며 하나님권능을 받아 그리스도의 복음의 담대한 증인이 되기 위함이며 사명을 감당하는데 필요한 봉사의 능력과 권세를 받기 위해서 필요하다. 또한 성령충만은 성령세례 이후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것으로서 성령으로 계속 충만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성령의 은사와 성령의 열매로 충만해야 한다. 오순절주의에서 강조하는 성령세례, 다시 말하면 첫 성령충만은 중생한 신자가 중생과는 별개의 제 2차적 사건으로, 또는 중생과 동시에 체험할 수도 있으며 일차적 표적으로서 방언을 말한다. 방언을 부인해서는 안 된다. 주님으로부터 오는 것이라면 다 귀한 것으로 건전한 은사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교회에서 허용해 주어야 한다. 바울 또한 사도 중 사도요, 학자 중 학자요, 계시 받은 자이다. 그도 방언을 많이 했음을 감사했다.(14:18). 성경은 방언을 말씀하고 있으며, 거룩하신 성령께서는 이 사역을 지금도 계속하고 계시다. 신유(Divine Healing)란 하나님이 초자연적 능력으로 병을 치유하는 것을 말한다. 신유는 복음의 일부분이며, 복음을 전파하기 위한 수단과 방법이다. 신유란 의약을 사용하지 않고 오직 믿음과 기도로 병 고침을 받는 것을 말한다. 신유의 은사를 받아 사용하는 자는 하나님의 통로요, 수단이다. 하나님이 작정하지 않으면 사람이 질병을 고칠 수는 없다. 성령의 은사들은 오늘날도 성경에 기록된 대로 실재함과 모든 은사에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성령의 은사를 "은혜의 선물" (gifts of grace)이라고 말한다. 성령의 은사는 그리스도께서 지상에 있는 모든 교회의 업무를 돕기 위해서 주시는 신령한 능력이다. 성령의 은사를 받은 사람들은 하나님의 영광과 교회를 위해서 봉사하여야 한다. 하나님께서는 그리스도의 몸인 성도들에게 여러 은사를 나누어 주심으로써, 성도들이 온전한 신앙을 가지고 봉사의 일을 하게 하여 그리스도의 몸을 세우며,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에까지 이르게 하신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의 몸을 세우기 위해서 몸의 각 지체들은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몸이 원활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에게서 온몸이 각 마디를 통하여 도움을 입음으로 연락하고 상합하여 각 지체의 분량대로 역사하여 그 몸을 자라게 하며 사랑 안에서 스스로 세우느니라" (엡 4:16)

      • 마르틴 루터의 경제관 : 현대적 의의와 사회복지적 재조명

        김현관 한영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논문은 신자유주의적인 경제 체제를 살아가고 있는 현대의 한국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은 어떠한 성서적인 원리들을 그들의 경제 활동에 녹여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된다. 그리스도인들은 마땅히 속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자신들의 삶을 통해 모든 영역에서 악을 초월하시는 하나님의 능력을 이 세상에 드러내 보여주어야 하기에, 교회는 자본주의 시장 경제를 무비판적으로 따라가기 보다는 그것들이 한편으로 빚어내고 있는 불협화음에 대하여 성서적 경제 정의를 외칠 수 있는 신학적 기반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특히 신자유주의적 경제 체제는 ‘경제의 효율성’과 ‘시장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시장 기능을 확대하고 정부 차원에서의 규제를 축소시키고자 하기 때문에 자본의 불평등한 분배와 양극화를 심화시킬 뿐 아니라 소외된 계층을 위한 복지 정책을 수립하기에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논문이 제시하고자 하는 답변은 16세기의 독일의 경제적 상황에서 루터가 보여준 경제관이 오늘날의 현대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에게 적절한 교훈을 제시해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오늘날의 현대 자본주의는 루터가 살았던 15세기말과 16세기 유럽의 경제적 움직임과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루터는 신항로 개척으로 인해 상업과 무역이 발달하고, 거대자금을 위한 고리대금업이 성행하던 시기의 유럽에서 그와 같은 경제적 변화들이 초래해내는 문제점들을 직접 목격하였으므로 그에 대한 신학적이고 성경적인 비판들을 제시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루터 시대의 유럽과 독일 그리고 교회의 경제적 상황들을 분석하고, 그가 경제적 문제들을 바라볼 때 어떠한 사상적인 배경들을 가지고 있었는지 분석하였다. 그것은 다음과 같은 것들로서 첫째, 루터의 경제 인식 원리는 ‘정의’를 근간으로 하는 아리스토텔레스적 전통을 따르고 있다는 것이고, 둘째, 그가 제시하는 그리스도인의 경제적 실천 원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산상 수훈에 기반을 둔 것이었으며 셋째, 루터 사상의 저변에 흐르는 ‘두 왕국론’에 입각한 현실 인식이 루터의 이상적인 경제관을 뒷받침해 주고 있는 제도적 장치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루터의 경제관은 필연적으로 그의 자선관과 연결되어 당대의 구제 시스템을 정부주도형 사업으로 개혁시킬 수 있는 사상적 원리를 제공하였다. 이와 같은 루터의 경제관은 현대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이 향유하고 있는 경제 체제에 대하여 다시 한 번 돌아 볼 수 있도록 도전한다. 하나님께서 우리의 모든 재정의 주인 되시기에, 그리스도인들은 좀 더 책임감 있는 경제 활동을 해야 할 뿐 아니라, 가난한 자들을 돌보고, 공동체를 위한 경제 활동을 해야 하는 것이다. 그리스도인들이 추구해야 할 진정한 자유는 ‘신자유주의가 보장하는 자유’를 뛰어 넘어 자신의 것들을 기꺼이 나누어 줄 수 있는 사랑에 근거한 자유여야 하며, 루터의 가르침은 우리를 이와 같은 삶으로 도전하는 것이다. This thesis starts with the question of how the modern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s in neoliberal capitalism could integrate the biblical principles to their economic activities. Since christians as members of their society should be able to manifest the power of God who transcends the evil in every realm through their lives, churches ought to have theological foundation on which they can proclaim the biblical economic justice against the discordances produced from the capitalism instead of following it without due consideration. The neoliberal capitalism especially focuses on expanding the functions of the market and limiting the governmental restrictions for the efficiency of the economy and enforcement of the market competitiveness. Therefore, not only is it systematically difficult to establish social welfare policy for the neglected, but also it aggravates the polarization and unequal distribution. This thesis suggests that the economic view of Martin Luther in the 16c could give guidance to the modern churches and christians. Because the modern capitalism is in relation with the economic movement of Europe in the late 15c and 16c. Since Luther witnessed the problems caused by the economy transition in Europe where commerce and trade had developed due to new founded sea routes. And such transition also had made the usury prevail in Europe. To begin with, this thesis focused on the economic situation of the Europe, of the Germany, of the church in Luther's time and analyzed his ideological backgrounds by which he had seen economic problems. From that, this thesis has concluded that following three thoughts are critical elements which consist of Luther's economic view. First, Luther's understanding of economy is in alignment with that of Aristotle rooted in economic justice for the community. Second, the practical principles he suggested was based on the Sermon on the Mount. Third, 'the two kingdoms theory' which underlying Luther's overall thoughts supports his ideal economic view as an institutional device. In addition, such economic view is closely connected with his view of charity, which provided German society with an ideological principle to reform its poor-relief system. For this reason, the economic view of Luther could challenge modern churches and christians to ponder over their economic activity to be tuned with biblical principle.

      • 감추인 보화 비유와 진주 상인 비유 연구 : 믿음과 행위의 구원론적 관계성을 중심으로

        김형근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감추인 보화 비유와 진주 상인 비유는 동일한 주제와 동일한 내용을 가진 '쌍둥이 비유' (Twin parables)가 아니라 아래와 같이 상이한 주제와 상이한 내용이 절묘한 신학적 조화를 형성하는 소위 '동반비유' (Companion parables)이다.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위 도식에서 볼 수 있듯이 두 비유에 대한 언어학적 분석은 첫째, 비유 서두에서의 비교점의 차이, 둘째, κρν`πτω, xaρα^ζ, κaλον`ζ, πωλει^와 πε´πρaκεν 등의 주요 어휘소들의 현격한 차이, 셋째, 시제의 차이와 시제에 따른 비유 유형의 차이 등을 통해 두 비유의 상이점을 분명하게 보여 주었다. 두 비유의 텍스트 안에 내재되어 있는 여러 구성 요소들 간의 뚜렷한 상이점들은 두 비유가 결코 동일한 비유로 예수에 의해 발설되었거나 동일한 비유로 마태에 의해 편집된 것이 아님을 함축한다. 이러한 두 비유의 상이점들은 단순한 차이를 넘어서 상호 간의 절묘한 신학적 조화를 통해 바울 신학과 복음서 신학을 관통하는 통전적 구원론을 제시하고 있다. 감추인 보화 비유는 보화 획득의 은혜성을, 진주 상인 비유는 진주획득의 공로성을 각각 주제로 한다. 진주 획득의 공로성은 그리스도의 대속 사건의 공로성을, 보화 획득의 은혜성은 종말적 구원 완성에 있어서 믿음과 행위의 역할을 각각 진술한다. 감추인 보화 비유에서 신자의 믿음은 천국의 가치 인식 및 동의의 차원을 넘어서 천국에 내재되어 있는 신적 공로-그리스도의 대속-의 인지 및 동의이며 행위는 이 믿음에 근거한 당위적 열매인 신자의 소유 처분-신의이행의 삶-이다. 천국 안에 내재되어 있는 신적 공로를 인지하고 이에 인격적으로 동의한 자는 그 신적 공로에 응답하는 당위적 열매(반응적 은혜성)를 맺게 된다. 이 당위적 열매가 마태복음서의 산상설교에서는 '신의이행' 또는 '더 나은 의' 로 설명되고 산상설교 밖에서는 '제자도' (마16:24), "지극히 작은 자를 향한 선행" (마25:40)으로, 또한 요한복음서에서는 '밀알의 죽음' 으로, 그리고 바울 서신에서는 "예수를 위해 죽음에 넘기움" (고전4:11) 등으로 서술되고 있는데 이 서술들은 모두 종말적 구원과 직결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당위적 열매가 단순한 인과론적 관점에서 믿음을 확인하는 리트머스지가 아니라 신자의 종말적 구원 완성에 간접적 필수적 요소로 참여하고 있음을 말한다. 두 비유에서 믿음과 행위는 바울 신학의 이신칭의 구원론에서 믿음과 행위의 어색함을 청산하고 완벽한 조화와 합일을 통해 종말적 구원을 완성한다. 두 비유에서 믿음은 천국의 가치 인식 및 동의의 수준을 넘어서 천국의 은혜성 인식 및 동의이며 행위는 구원을 목적으로 하는 전제 조건 또는 인과론적 관점의 행위가 아니라 믿음과 함께 종말적 구원 완성에 참여하는 종말적 행위(Eschatological Works)이다. 믿음은 행위를 통해 일하고 행위는 믿음을 근거로 종말적 구원에 믿음과 함께 참여한다. 보화를 발견한(믿음의 국면) 농부가 현재적 소유 처분(행위의 국면)을 통해 보화를 매일매일 획득하듯(종말적 구원의 현재적 경험) 천국을 발견한 신자는 신의이행을 통해 종말적 구원을 매일매일 획득한다. 신적 공로에 자발적 신의이행의 삶으로 응답하는 자, 그 삶이 일회성이 아니라 지속되는 자, 신의이행을 실천함에 있어서 시간적 상황적 대인적 차별이 없는 자, 바로 신의이행의 영원한 현재성을 나타내는 자, 그가 천국을 진정으로 소유한 자임을 두 비유는 진술한다. 자발적 신의이행의 영원한 현재성, 이것이 나무를 알게 하는 이실지목의 열매다. 그러므로 두 비유의 구원은 "값없이 얻는" 구원이 아니라 "값있이 구입하는" 구원이다. 농부는 소유 처분이라는 그의 자발적 공로로 보화가 은폐된 밭을 구입함으로써 보화를 획득한다. 여기서 농부의 공로는 보화 획득을 위한 의도적 직접적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간접적 필수적 요소(절차)로서 보화 획득에 참여한다. 믿음(천국의 은혜성 인지 및 동의)에서 출발한 신자의 행위(신의이행)는 간접적이며 필수적 요소(절차)로서 종말적 구원을 완성한다. 따라서 신자는 은혜로 주어진 구원을 그의 행위로 구입하는 것이다. 천국의 본질적 은혜성-신적 소유처분-을 인지하고 동의하는 자는 그에 대해 반응적 은혜성-인적 소유처분(신의이행의 삶)-으로 응답함으로써 천국을 구입한다. 그러나 천국의 은혜성에 대한 인지와 동의가 없이 천국의 혜택만 인지한 자는 신의이행의 삶이 없이 천국을 얻으려 한다. 그는 "값없이 구입하는" 천국을 "값없이 얻으려" 한다. 구원을 값없이 얻으려는 자들에게 행위는 무의미하며 산상설교의 윤리는 거추장스런 장식품일 뿐이다. 그들에게 제자도나 신의이행의 삶은 소수의 사명자들의 숙명으로 치부되고 그들의 열정적인 종교활동과 업적은 내세에서의 구원을 위한 인위적 공로로 둔갑하여 그들에게 값싼 위안을 준다. 천국을 값없이 얻으려는 이들에게 은혜는 값싼 은혜다. 행위 없는 믿음, 따름 없는 고백, 고난 없는 부활, 십자가 없는 영광, 이 모든 것이 천국을 발견했으되 천국의 혜택만 주목하고 그 안에 있는 신적 공로에 대한 진실된 인지와 인격적 동의가 없는 싸구려 은혜다. 이들은 산상설교의 '아노모스' 들이 고(마7:21), 입으로는 시인하나 행위로는 부인하는 자들이며(딛1:16), 종말적 구원에 이르지 못하는 죽은 믿음의 소유자들이다(약2:26). 풀러신학교 김세윤 교수는 지난 1989년 한국교회문제연구소 주최 제4회 한국교회 심포지움에서 발표한 그의 논문 「예수의 하나님 나라 선포와 그리스도인의 정치적 실존」에서 산상설교의 가르침의 적용에 대한 한국교회의 의지에 강한 의구심을 제기하면서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 역사 속에 시작된 '자기를 내어줌' 이라는 하나님 나라의 현실들 (realities:Wirklichkeiten)이 그리스도인의 삶을 통해 표현되지 않는다면 그 믿음은 '미신' (Superstition)에 불과하다고 갈파한 바 있다. 그의 진단에 의하면 '자기를 내어줌' 이라는 하나님 나라의 현실에 미온적인 그리스도인의 신앙은 소유 처분 없이 보화를 현장 착복하려는, 즉 종말적 구원에 이르지 못하는 '사신' (dead faith)일 뿐이다. 본 논문은 그 동안 학계에서 거의 주목받지 못한 두 비유가 함축하는 구원론적 주제들을 정리하여 이신칭의 교의와의 발전적 조화를 도모하고 이를 토대로 해서 복음서 신학과 바울 신학을 통합하는 통전적 성서적 구원론의 단초를 제시하고자 했다. 이 졸고를 계기로 한국교회 및 세계 신약학계가 행위구원적 색채를 이유로 기경(cultivation)을 기피했던 복음서 신학의 밭에 묻혀 있는 진리의 보화를 캐내어서 이신칭의 일변도의 구원론이 빚어낸 믿음과 행위의 어색한 조화와 그로 인한 신학적, 신앙적, 교회적 혼란을 바로잡음으로써 지구촌 그리스도인들이 값비싼 은혜를 값없이 구입하는 진정한 부흥의 그 날이 오기를 갈망하며 486주기 종교개혁주일에 탈고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