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이오복 한국청소년학회 2018 청소년학연구 Vol.25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ssential meaning of what is experienced, felt, and personal perception in the volunteer activitie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ssential meaning of what they experience, feel, and subjective re from volunteer activities of social welfare students through Phenomenological methods.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in-depth interviews with 18 college students from 6 universiti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were conduct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he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7 times from July 4th to September 3rd in 2016. The data were analyzed by six steps based on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7 themes and 7 theme clusters on the essential structure of the volunteer experience were driven. The final 7 theme clusters are as following; ‘new attempt’, ‘recognition of relationship with major’,‘trivial presence’,‘low quality of manager’,‘guide of career’, and ‘gift from volunteering’. ‘the dream of a social worker in a daily life’. In the view of the above findings of this study, we suggest formulating volunteer service management system to help career decision, strengthening volunteer capacity training program for social workers and developing volunteer activity management manual.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의 자원봉사 활동에서 무엇을 경험하고 느끼며, 개인의 주관적 인식을 현상학적인 방법을 통해 본질적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6개 대학의 사회복지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1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를 현상학적 접근을 통해 분석하였다. 면접조사는 2016년 7월 4일부터 2016년 9월 3일까지 7차례에 걸쳐 수행되었다. 자료는 Colaizzi가 제시한 6단계에 의거하여 분석되었는데, 17개의 의미 있는 주제와 7개의 주제묶음이 도출되었다. 7개의 주제묶음은 ‘새로운 시도’, ‘전공과의 관계 인식’, ‘하찮은 존재감’, ‘담당 사회복지사의 아쉬운 자질’, ‘진로의 길잡이’, ‘봉사에서 얻은 선물’, ‘일상 속에서 찾아가는 사회복지사의 꿈’등이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자원봉사활동을 통한 전공 이해, 현장학습을 통한 역량강화와 진로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한 봉사활동 관리 체계화 방안, 자원봉사자 담당 사회복지사의 역량 함양 프로그램 개발과 자원봉사활동 관리 매뉴얼 개발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예비사회복지사가 코로나 19 상황에서 경험한 사회복지현장실습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

        이오복,권순애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2 복지상담교육연구 Vol.11 No.1

        This study used Q methodology to analyze the subjective perception types of the preliminary social workers who performed social welfare field training in the COVID-19 situ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four types of subjective perceptions about the social welfare field practice experience of the students who completed social welfare field training were derived. The type were that ‘Measures need to be developed’, ‘uncertainty of the performance of practical education’, ‘More needed role in times of disaster’, ‘The meaning of practice in the contextual limitations of practical education’. Based on these perceptions of the students, three suggestions are as follows. A sustainable social welfare practice education system even in the closed situation of social welfare practice sites, education for the diversification of social welfare service provision methods that can be used in the social disaster situations, and strengthening competence in the social welfare and the nature of the social worker’s role. 본 연구는 코로나 19 상황에서 사회복지현장실습을 수행한 예비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현장실습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을 Q 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예비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현장실습 경험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은 총 4가지로 도출되었다. <‘방안개발 필요’ 문제해결형>, <‘실습교육의 성과 불확신’ 회의형>, <‘재난에 더 필요한 역할자’ 인정형>, <‘실습 한계 속 실천 의미’ 부여형>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제안하는 세 가지 방안은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실천현장의 폐쇄 상황에서도 지속가능한 사회복지실습 교육체계, 사회적 재난 상황에서 활용될 수 있는 사회복지서비스 제공방법의 다양화에 대비한 교육, 사회복지와 사회복지사 역할 본질에 대한 역량 강화이다.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학전공 대학생의 호스피스 사회복지 교과 및 비교과 수강 경험에 관한 연구

        이오복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9 복지상담교육연구 Vol.8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subjects and non-subjects programs of palliative and hospice social work of college undergraduates majoring in social welfare.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3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ubjects and non-subjects programs in palliative and hospice social work and was analyzed through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All interviews were digitally recorded and transcribed with the consent of the participa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9 meaningful themes and 7 theme clusters on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the programs of palliative and hospice social work were derived. The 7 theme clusters are as following; ‘acquisition of new knowledge’, ‘seeing the hospice social worker’s aspect of the field’, ‘finding the vision of hospice social welfare’, ‘opportunity for self-growth’, ‘review of the meaning of life and death’, ‘regret in a wonderful experience’, and ‘unexpected gift’. The seven theme clusters meant that the students learn the meaning and knowledge of hospice social welfare that was not available in the regular curriculum, discover the qualities and roles required as professionals and the vision of hospice social work.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y learned various things through non-subjects. Students became acquainted with hospice knowledge such as hospice, hospice social worker, life and death that was not available in the subject curriculum of major subjects. They also recognized the need and importance of hospice, and had a desire for hospice lectures. Professors in social welfare departments of universities should recognize a need of hospice theory education in undergraduate education.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hospice social welfare lectures should be opened in the social welfare major curriculum to nurture professional manpower.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전공 대학생의 호스피스사회복지 교과 및 비교과 프로그램 수강 경험의 본질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는 사회복지학전공 대학생 13명을 대상으로 호스피스 사회복지 교과 및 비교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에 대한 심층 면담과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의한 분석으로 진행되었다. 심층면담은 2018년 12월3일부터 12월 21일까지 학생들이 편안하고 자유롭게 얘기할 수 있는 공간에서 40분 ~ 2시간 동안 진행되었다. 1회 면담 구성 인원은 1명, 2명, 4명 등 학생들의 요구에 따라 구성하였다. 면담 전 연구 참여자의 동의를 구하고 녹취 및 필사되었으며, 필사된 내용은 Giorgi 현상학적 체험연구방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이 밝힌 호스피스 사회복지 교과 및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경험의 본질은 19개의 의미 있는 주제와 7개의 주제묶음으로 도출되었다. 7개의 주제 묶음은 ‘새로운 지식 습득’, ‘현장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모습을 봄’, ‘호스피스 사회복지의 비전 발견’, ‘자아 성장의 기회’, ‘삶과 죽음의 의미 고찰’, ‘좋은 경험 속의 아쉬움’, ‘뜻밖의 선물’로 파악되었다. 7개의 주제묶음은 학생들이 정규 교과목에서 접할 수 없었던 호스피스 사회복지의 의미와 지식을 배우고 전문가로서 요구되는 자질과 역할, 그리고 비전을 발견했다는 것을 의미했다. 또한 호스피스 사회복지 비교과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배움을 얻었다는 결실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호스피스의 의미, 호스피스사회복지, 호스피스 사회복지사, 삶과 죽음 등 학과 전공 교과 커리큘럼에서는 접할 수 없는 지식을 얻게 되었다. 또한 호스피스의 필요성과 중요성, 그리고 교육에 대한 욕구를 가지고 있었다. 대학의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학부교육에 호스피스 이론 교육의 필요성 인식과 교과목 개설을 통한 전문 인력 양성에 노력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사회복지조직에서 MZ세대 동료와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새로운 조직문화 형성 경험 연구

        이오복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23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25 No.4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들이 세대 간 인식이나 사고방식의 차이로 발생하는 관계 문제를 어떻게 다루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사회복지 이용시설에 재직 중인 8명의 사회복지사로부터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 방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개방코딩 분석 결과 총 189개의 개념, 30개의 하위범주와 15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축 코딩 분석에서, 중심현상은 ‘빈번한 요구, 늘어나는 업무’로 파악되었고, 인과적 조건은 ‘우리 보다 ‘나’중심 마인드’와 ‘규정이나 지침 기반 사고’이었다. 맥락적 조건은 ‘언제나 ‘본인의 이해 우선’ 태도’와 ‘스스로 노력 보다 ‘도움 요청’ 먼저’이었고, 중재적 조건은 ‘사회복지사 직 보다 직업으로서 ‘일’ 개념’, ‘보장된 권리에 철저함’과 ‘신입 직원의 잦은 이직’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 전략은 ‘회의 통한 소통과 합의 과정 정례화’, ‘비공식 배려 보다 정당한 권리 누림’, ‘끼인 세대의 중재 역할’, ‘신입 직원 능력 고려한 업무 배정’, 결과는 ‘서로 간 ‘세대 특성’ 인정’, ‘후배 덕에 누리는 편안한 선택’과 ‘사무실에서만 유효한 관계’로 밝혀졌다. 선택코딩에서 핵심범주는 ‘요구에 대응하고 적응 도우며 조금씩 변화하는 조직 분위기’로 파악되었다. 사회복지사들은 기성, 중간, MZ 세대가 서로 간의 차이를 인지하는 가운데 서로에게 적응하고자 노력하면서 새로운 조직 문화를 만들어 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 사회복지사의 세대교체가 일어나는 현상과 조직 문화가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조직 운영을 위한 대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social workers deal with relationship issues arising from different perceptions and ways of thinking between generations. The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8 social workers working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analyzed using a grounded theory method. The open coding analysis yielded a total of 189 concepts, 30 sub-categories, and 15 super-categories. In axial coding, the central phenomenon was ‘frequent demands and increasing workload’, and the causal conditions included ‘a self-centered mindset’ and ‘regulation or guideline-based thinking.’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identified as ‘prioritizing one’s own interests’ and ‘seeking help before personal efforts.’ The interventional conditions included ‘viewing work as a profession rather than a social worker’, ‘the maximum use of guaranteed rights,’ and ‘frequent turnover of younger employees.’ The interaction strategies involved ‘regulating discussion and agreement through meetings’, ‘enjoyment of legitimate rights rather than informal consideration’, ‘mediating role of the ‘sandwiched generation’’, and ‘task assignment based on younger employees’ abilities’. The consequences indicated ‘acknowledgment of each other’s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comfortable choices made by the contributions of younger colleagues’, and ‘relationship building only within the ‘office’’. In selective coding, the core category emerged as ‘an evolving organizational environment that gradually adapts to the needs of younger employees and fosters their successful workplace transition’. Despite different experiences between the older, middle, and MZ generations, social workers made efforts to respect each other’s differences (e.g., open communication) and to create a new organizational culture. This study demonstrated the ongoing generational transition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the concurrent transforma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lternative approaches for effective organizational management are suggested.

      • KCI등재

        대학생의 태아와 낙태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 - Q 방법론의 활용

        이오복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22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12 No.2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college students’ subjective perception types of fetus and abortion. To this end, it used 31 statements related to fetus and abortion, and forty participants classified the statements. The Q Classification identified the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 of fetus and abortion into four types. <Type 1> ‘a type of pregnant woman priority over the fetus’ prioritizes the life of a pregnant woman and her right to make decisions on an abortion. <Type 2>‘fetal-first type – the human fetus that needs to be protected over women’ perception type means that It is a perception that the right to life should be protected because ‘the fetus is a growing human being’. <Type 3> is the ‘Circumstances Priority - allowing abortion in case of unavoidable circumstances’ type, and it is the opinion that abortion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realistic circumstances or reasons. <Type 4> is ‘an abortion prevention type - prevention of side effects caused by compulsive childbirth’ and childbirth in an unprepared state as a parent was recognized as having another risk of side effec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necessity of activities for sex education, Bioethics Education, and establishing a system to support child rearing of unmarried parents was suggested for the establishment of right values for sex among college student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inding ways to prevent abortion in the future despite the limitation on the number of data collection subjects and regional limitations caused by using the Q methodology.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태아와 낙태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을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Q 방법론을 활용하여 태아와 낙태에 대한 4가지 인식유형과 특징을 밝혔다. <유형 1>은 ‘여성 우선형-태아보다 임신모의 삶 우선’ 으로 임신한 여성의 삶과 그의 결정권을 우선했다. <유형 2>는 ‘태아 우선형-‘여성보다 보호받아야 할 인간 태아 우선’으로, ‘태아는 성장 중인 인간’이기 때문에 생명권이 보호받아야 하는 존재라는 인식이다. <유형 3>은 ‘불가피, 상황적’ 낙태 허용형으로 현실적 상황이나 이유에 따라 낙태를 할 수 있다는 의견이다. <유형 4>는 ‘낙태 예방형-무리한 출산에 따른 부작용 예방형’으로 부모로서의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출산은 또 다른 부작용의 위험을 안고 있다고 인식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올바른 성가치관 정립을 위한 성교육, 생명교육, 미혼부모의 자녀양육 지원 제도 확립을 위한 활동의 필요성을 제언했다. Q 방법론을 사용한 연구로 발생하는 자료수집 대상자 수의 제한과 지역적 한계에도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낙태 예방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관한 연구

        이오복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7 복지상담교육연구 Vol.6 No.1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university students’ multicultural perceptions using phenomenological approach. Research participants were 14 university students who had completed a subject related to multiculture and majoring in social welfare.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 and analyzed by six steps based on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5 themes and 6 theme clusters on the essential structure of the perceptions were driven. The final 6 theme clusters are as following; ‘people inferior to natives’, ‘Korean or foreigner’, ‘treasure growing in suffering’, ‘relationship with me’, ‘national policy’, ‘prepartion for the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future’. In the view of the above findings of this study, we suggest educating in multiculture to school aged children, giving students an opportunity of coming into contact with foreigners through voluntary action in the community, trying to improve the multicultural perceptions of the nation’s through mass media.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외국인 노동자, 유학생, 결혼이민자들로 인하여 다문화 사회현상이 뚜렷해지는 시점에서 다문화에 집단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바람직한 인식이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서비스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전문가로서 사회적 소수자인 다문화 집단과 접촉할 기회가 상대적으로 높은 만큼 보다 수용적인 다문화 인식이 요구되는 직업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를 준비하는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들의 다문화 집단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 현상학적 접근을 통해 분석해 보았다. 14명의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들과 심층면담을 진행하고 콜라쥐(Colaizzi)가 제시한 6단계에 의거해서 자료를 분석하여 15개의 의미 있는 주제와 6개의 주제묶음을 얻었다. 6개의 주제묶음은 ‘우리 국민들 보다 못한 사람들’, ‘내국인 혹은 외국인’, ‘상처 속에 자라는 보물’, ‘나와의 관계성’, ‘국가 정책적 문제’, ‘미래의 다문화 사회를 위한 준비’ 등이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령기 학생들에 대한 다문화 기초 교육, 자원봉사활동을 통한 교류의 기회 갖기, 대중 매체를 통한 전 국민 인식개선 노력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복지정책에 대한 서비스 제공자의 인식유형 연구 -사회복지사, 방문교육지도사, 언어발달지도사를 중심으로

        이오복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6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multi-cultural welfare service providers such as social workers’ perception types of multi-cultural welfare policy through Q Methodology. It used 35 statements related to the multi-cultural welfare policy. Thirty-eight participants were selected and they were asked to classify the statements. The Q Classification identified the multi-cultural welfare service providers’ perception of the multi-cultural welfare policy into four types. The <Type 1> “Lack of Systematic” dissatisfaction pointed out that there was no consultation between government departments on the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welfare policy. The <Type 2> “Reasonable Fit” improvement suggests that efforts need to be made to support the parties in close proximity to realistic issues. The <Type 3> “Program Effectiveness” skeptic is the view that the current program execution method cannot be convinced of the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welfare policy. <Type 4> “Family Intervention” the future orientation called for a form of policy developed for the future. This study proposes the necessity of flexibility in considering field situation in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multi-cultural welfare policy. Despite the limited number of participants and regional limitations resulting from research using the Q methodology.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finding ways to make the multi-cultural policy effective. 다문화가정이 증가하는 추세에 따라 다문화복지정책도 확대되고 있는 시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 등 다문화복지서비스 제공자들의 다문화복지정책에 대한 인식 유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심층면접을 근거로 도출된 35개의 진술문을 사용하여 사회복지사 등 38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Q방법론을 통해 다문화복지정책에 대한 4가지 유형과 특징을 밝혔다. <유형 1>은 ‘체계성 미흡’ 불만형으로, 다문화복지정책 집행이 정부 부처 간 협의가 없는 점을 지적하였다. <유형 2>는 ‘현실 적합적 지원’ 개선형으로, 당사자들의 현실적 문제에 근접하여 지원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했다. <유형 3>은 ‘프로그램 효과성’ 회의형으로, 다문화복지정책의 목적 달성을 위해 현 프로그램 실행방식은 실효성을 확신할 수 없다는 견해이다. <유형 4>는 ‘가족 단위 개입’ 미래지향형으로, 미래를 위해 발전된 형태의 정책을 요구했다. 따라서 다문화복지정책의 형성과정에 현장 전문가들의 의견 수렴과 정책 집행 과정에서 현장의 상황을 고려하는 유연성이 필요하다. Q방법론을 사용한 연구로 발생하는 자료수집 대상자 수의 제한과 지역적 한계가 있음에도, 본 연구의 결과는 다문화복지정책이 실제적 효과를 낼 수 있는 방안모색의 기초자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심리사회적 중재가 암환자의 통증완화에 미친 효과

        오복자(Oh, Pok Ja),한숙정(Han, Suk Jung) 한국간호과학회 2013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3 No.5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on pain in cancer patients. Methods: Eight studies published between 1980 and 2012 in Korean and ten studies published between 2002 and 2012 in English met the inclusion criteria with a total of 1539 participants. Methodological quality assessed by Cochrane"s Risk of Bias for randomized studies and Risk of Bias Assessment tool for non randomized studies.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RevMan 5.2 program of Cochrane library. Results: Overall, study quality was moderate to high. Effect sizes were heterogeneous and subgroup analysis was don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were effective for pain (ES= -0.35; 95% CI= -0.56, -0.13). Pain education studies measured with NRS and VAS were effective for pain (ES= -0.77; 95% CI= -1.01, -0.52). Publication bias was not detected. Conclusion: This study support the use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administered to cancer patients for their pain management. However, more well-designed studies are needed.

      • KCI등재

        암환자교육이 암환자의 심리적 디스트레스와 자가간호지식 및 자가간호행위에 미치는 효과

        오복자(Oh, Pok-Ja),최형지(Choi, Hyeong-Ji) 대한종양간호학회 2012 Asian Oncology Nursing Vol.12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patient education interventions on distress, self-care knowledge and self-care behavior in cancer patients. Methods: A total of 1,102 studies were retrieved from 6 electronic databases in Korea. From these studies, 18 studi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with a total of 850 participants. Two authors independently assessed the methodological quality by Cochrane’s Risk of Bias and Methodological Items for Non Randomized Studies.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RevMan 5.1 program of Cochrane library. Results: Overall effect size of education interventions on anxiety was -2.12 (95% CI: -3.90, -0.34) (p<.001). The effects on self-care knowledge and self care behavior were -1.08 (95% CI:-1.73, -0.43) (p=.001), and -1.41 (95% CI: -2.13, -0.68) (p<.001), respectively. Publication bias was detected as evaluated by funnel plot, but the fail-safe number was moderat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patient education interventions can relieve anxiety and self-care. Furth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patient education intervention on dep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