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경관디자인코드를 활용한 장복리 경관정비계획

        서주환,이경진,최현상,양희승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3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7 No.2

        본 계획은 농촌마을에서 마을경관의 공통적 특성으로 나타나는 농촌경관디자인코드를 경관정비에 활용하여 지역주민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농촌경관의 질적 향상과 지역고유의 경관을 관리하기 위한 농촌경관정비계획을 수립하는 것으로 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 장복 1리를 대상으로 계획을 수립하였다.계획수립을 위해 장복리의 입지여건, 인문환경, 경관특성 및 주민의식을 분석하고 농촌경관디자인코드를 파악하여 경관디자인 구상 및 공간별 경관정비계획에 적용하였다.장복리 경관정비를 위한 계획은 지역주민들의 생활환경 개선 및 방문자들의 체험루트 조성을 위해 달천 제방 산책로 정비, 마을뒷산 산책로 정비, 마을안길 정비, 담장 및 지붕 정비 등을 계획하였으며 마을 소득증대 및 농촌관광기반조성을 위해 농산물 판매장 조성, 달천 정비, 국화꽃 단지 및 국화체험장 조성 등의 계획을 수립하고 마을의 인지도 제고 및 장소성 형성을 위해 진입도로 및 진입공간 정비계획을 수립하였다. By leveraging on landscaping the rural landscape design code that is displayed in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of the village in a rural village, this plan is to improve the living conditions of local residents, Target area is a Jangbok 1-ri, Daesul-myon, Yesan-gun, Chungcheongnam-do, region intrinsic decided to formulate a rural landscape development plan for managing the landscape of the region-specific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rural landscape.Analyze the public awareness of location for planning, humanities environment,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understand the rural landscape design code, it is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another area landscaping plan and concept of landscape design.The plan for landscaping, development of Dalcheon embankment promenade for the experience route structure and visitor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of local residents, trail maintenance mountain behind the village, village depth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roof and fence and we plan to, Developed a plan, such as field development of mum experience hall, of Dalcheon, and mum complex and rural income growth of the village, where formability and awareness of the town we have developed an approach space development plan and approach road for.

      • KCI등재

        익산시 경관계획 수립 및 실행방안 확보에 관한 연구 : 동지역을 중심으로

        김현숙,배진아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1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5 No.1

        익산시는 KTX역세권, 국가식품클러스터, 고도지정 등에 의한 대규모 도시개발 사업으로 인해 도시경관의 급격한 변화가 예상되므로 종합적인 경관계획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첫째, 익산시에 내재되어 있는 경관자원을 도출하여 자원의 보존, 연계방안을 설정하고, 둘째, 시가지 환경개선과 지역특색을 강화하기 위한 종합적이고 바람직한 경관계획을수립하며, 셋째, 주민과 함께하는 경관계획 실행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연구는 도농통합시 익산의 중심시가지인 15개 동지역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통해 경관자원을 도출하고 자원의 가치및 중요도를 펑가한 후, 계획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경관유형은 자연경관, 시가지경관, 가로 및 철도경관으로 구분하였다.자연경관에서는 배산, 탑천, 대간선 수로의 보존 및 녹지의 네트워크화 방안이 모색되었다. 주거지, 상업지, 공업지및 KTX 역세권에 대해서는 주요 지역에 대한 특정경관계획과 건축물 및 외부공간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설정하였다. 가로 및 철도경관에서는 하나로, 송학로의 선형공원화를 통해 녹지 네트워크를 강화하였으며 철도변 경관저해요소 제거방안을 제시하였다.계획의 실행은 경관사업과 병행하여 주거지 경관정비는 주민 주도형 경관협정을, 탑천, 폐선부지, 하나로의 공원화사업은용도지구 지정을, 배산, 역세권, 대학로는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함으로서 규제 및 인센티브가 상호 보완적으로 나타날수 있게 하였다. Iksan-si has got to set a comprehensive landscape planning as there is expected a rapid change in the cityscape by the large scaled urban development from its designation of KTX station area, national food cluster, and historic city.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following purpose. First, it sets a plan to identify the scenic resources in Iksan-si so that they can be conserved and linked with each other. Second, it sets the comprehensive and desirable landscape planning to improve the urban environment and reinforce its characteristics. Third, it suggests a implementing method for the landscape planning that can be practiced with residents. For this purpose the landscape resource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field survey on the base of downtown areas built with 15 dongs in Iksan and their value and importance were assessed. And then the method of conservation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were decided. Landscape type was divided into four as natural, urban, street, and railroad landscape. For the natural landscape there was investigation on Baesan, Tapcheon, conservation of main road waterway, network of green belts. For residence areas, commercial areas, industrial areas, and KTX station areas a design guideline was made on the base of buildings and outer space as well as a specific landscape planning on the main areas. For street and railroad landscape, green belts network was reinforced with the construction of linear park for Hana-ro and Sonhak-ro and also a plan was suggested to remove the landscape impediments around railroads. To implement the plan for landscape, both the methods of regulation and incentive were taken by offering the residence areas project to citizen-leading agreement, park construction of Tapcheon, abolished railroads, and Hana-ro to designation of zoning district, and Baesan, station areas, and Dahak-ro to establishment of district unit planning.

      • KCI등재

        경관단위 유형분류 및 가치평가에 기초한 경관 개선방안 설정 및 적용

        김진효,나정화,권오성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0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4 No.4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 신동지구 지구단위계획부지를 대상으로 경관단위 유형분류 개념에 기초하여 유형분류 도면 및 가치평가 도면을 작성함으로써 경관개선을 위한 정량적인 기초자료 구축 방법론을 모색해 보는데 가장 큰 의의를 두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경관 단위 유형분류 결과 경관단위 유형군(대분류)은 총 9개, 경관단위 유형(중분류)은 총 24개, 세 부경관단위 유형(소분류)은 총 56개로 분류되었다. 1차 평가 결과, 가치가 가장 높은 I등급에 해 당하는 경관단위 유형들은 총 12개로 나타났다. 1차 평가에서 중간등급 이상으로 평가된 경관단 위 유형들을 대상으로 한 2차 평가 결과, 미시각적 측면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진 경관단위(1a, 1b) 는 39개, 미시각적 측면에서 의미를 가진 경관단위(2a, 2b, 2c)는 56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한 경관계획 관련 현행 법·제도와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경관계획 내용과의 비교분석 결과 현 행 법·제도의 대부분은 인공물을 미시각적 측면에서 개선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는바, 지구 단위개발계획의 공간적 범위 내에 분포하고 있는 미시각적으로 가치 높은 띠형 수림, 노거수 등 과 같은 다양한 크기, 형태를 지닌 자연경관요소들을 개발계획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전하기 위한 법·제도적 뒷받침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비시가화지역을 대상으로 수립되는 지구단위계획을 미시각적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써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greatest significance in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thodology of establishing quantitativ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landscape plans by creating type classification drawings and valuation drawings based on the concept of landscapetope type classification for district unit planning sites in Shindong district in Daejeon, Korea. Put.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landscapetope type classification, a total of 9 landscapetope types (large classification), a total of 24 landscapetope types (medium classification), and a total of 56 detailed landscapetope types (small classification). As a result of the primary evaluation, a total of 12 landscapetope types corresponding to the I-grade with the highest value were found. As a result of the secondary evaluation, targeting the types of landscapetopes rated as intermediate grade or higher in the first evaluation, 39 landscapetopes (1a, 1b) with special meaning in the microscopic aspect, and landscapetopes with meaning in the microvisual aspect. (2a, 2b, 2c) were analyzed to be 56. In addition, as a result of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current laws and systems related to landscape planning and the contents of landscape plans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most of the current laws and systems focus on improving artifacts in the microscopic aspect, within the spatial scope of the district unit development plan. It was found that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effectively preserving elements of various sizes and shapes, such as the microscopically high value of the belt-shaped forests and old trees, from the development plan was insu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nsidered to play an important role as basic data that can guide the district unit plan established for non-urban areas in a sustainable direction from a microscopic perspective.

      • KCI등재

        중국 도시풍경명승구 경관요소의 시각적 선호도 분석

        손문청,김상욱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9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3 No.3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visual preferences of landscape elements in urban scenic areas of China. Firstly, visual preferences were evaluated with 28 Landscape elements and 7 visual elements selected from previous chinese landscape studies. Among 28 landscape elements, flowers, lawns, amusement facilities and garden architectures got high scores and among visual elements, spatial scale, color and relative position were the primary considerations. Secondly, through factor analysis, 8 main factors of Tourism service facilities, water, attractions, secure & guidance facilities, road & square, plant, natural landscape and topography were extracted. Thirdly, through the t-test and variance analysis to 8 landscape factors, attractions and plant factors have significant results by gender. Women scored higher than men in the attractions factor, but in plant factor, men is higher than women. By age, surveyees over 40s gave higher scores to road & square factor than young people in their 20s. Among landscape visual factors, women prefers color factor than men. In conclusion, for enhancing landscape aesthetics in urban scenic areas, landscape elements of tourism service and security facilities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ain users have to be considered together. 본 연구는 중국의 28개 도시풍경명승구에서 선정한 200개 디지털 이미지를 대상으로 경관의 매력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관요소 및 시각조형요소의 선호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내 관련 선행연구들을 종합하여 28가지 경관요소 및 7개 경관의 시각조형요소를 선정하였으며, 직관평가법을 이용하여 이들에 대한 선호도를 평가한 결과, 경관요소의 시각적 선호도는 꽃, 잔디, 유희시설 및 정원시설물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시각조형요소는 규모, 색상 및 상대위치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요인분석 결과 28개 경관요소는 8개의 경관요인(관광서비스, 수경시설, 안전·지도시설, 매력물, 식물, 도로·광장, 자연풍경 및 지형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었다. 셋째, 도출된 경관요인 및 시각조형요소를 대상으로 피평가자들의 선호도 성향을 분석(T-검정, 분산분석)하였다. 경관요인의 경우 매력물 및 식물재료에서 성별에 따른 선호도 차이를 보였는데, 정원, 문화유적 등을 포함하는 매력물의 경우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점수를, 식물재료의 경우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점수를 주었다. 연령별로는 도로·광장인자의 경우 40세 이상의 평가자들이 20대 이하의 젊은 층에 비하여 높은 점수를 주었다. 시각조형요소 중 색상요소의 경우 여성이 남성보다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명승구 계획에 있어 자연경관뿐 아니라 안내판, 안전지도 등의 관광기반시설 설치가 중요한 경관요소임을 알 수 있었으며, 주 이용객의 특성을 반영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서울로 7017의 이미지와 경관구조 특성의 분석

        고경재,서주환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1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5 No.1

        보행전용 고가도로의 경관특성 파악을 위해, 시각적 선호도 및 심리적 변수와 관계를 파악하였으며 경관파악모델을 토대로 경관변화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이를 통해 도시 내에서 보행전용 고가도로 조성 시 경관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요인을 분석하여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자연요소가 대부분의 경관을 차지하고 있는 경우 선호도가 높게 나타나, 자연요소를 포함한 경관이 주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분석된 특이성·심미성·개방성·친숙성 등 4개 인자군 중 특이성이 선호 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어, 고가보행로라는 대상지의 특성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타났음 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경관요소의 관계성을 분석한 결과 고가 내 식재된 수목이 주대상으로 분석된 사진에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주대상이 건축물로 분석된 경우 선호도가 낮게 나타나 도심의 고가보행로에서 자연요소가 중요한 경관 요소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보행전용 고가도로 경관특성을 선호도, 경관이미지뿐만 아니라 경관요소의 관계성을 파악할 수 있는 경관파 악모델을 활용함으로써 조성 시 고려되어야 하는 경관 요소에 대한 기초 데이터로서 의미가 있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pedestrian overpasses, visual preferences and psychological variables were identifi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changes were analyzed based on landscape models to derive implicat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eference was high when the natural elements occupied most of the landscape, indicating that the landscape, including the natural elements, was important. In addition, out of the four factor groups analyzed, specificity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preference, indicating that this result wa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gh-priced walking route. In addition,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scape elements showed a high preference in photos of trees planted in elevated areas, but when trees planted in elevated areas were analyzed as buildings, the preference was low, indicating that natural elements were important in urban high-priced street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basic data on landscape element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onstruction by utilizing landscape identification models that can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scape elements as well as landscape images.

      • KCI등재

        남원 중앙공원 기본계획 - 정유재란 남원성전투 기념원을 중심으로 -

        안득수,양지인,허준,하태규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0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4 No.1

        본 계획의 목적은 정유재란 남원성전투의 역사적 현장이자 구 남원역 터인 중앙공원에 대한 기본계획과 운영프로그램을 계획하여 남원시의 다른 관광자원과 연계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대상지의 역사성과 다크투어리즘에 대한 이론적 고찰, 입지여건, 자연환경, 인문환경 등 현황분석, 관련법규 검토, 주민/상인 설문조사 분석을 통해 기본구상안을 도출하고 마스터플랜을 수립하였다. 향후 남원성 북문과 성곽 복원을 고려하여 최소한의 시설을 도입하였다. 성곽 외 지역은 정유재란 당시 4일간 남원성에서 전개되었던 남원성전투를 시계열적으로 상징화하였고 성곽 내 지역은 기존 철도관련 시설을 활용하는 공간을 도입하였으나 남원성 복원 후에는 철거 하고 원형으로 복원하는 것을 전제로 하였다. 부지의 장소성을 기념하고 역사의식 고취를 위한 체험 프로그램을 제안하였고 유사테마와 연계, 인접한 관광자원과의 연계를 통해 관광객 방문을 유도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lan is to present master plan and operation programs for the Jungang Park, the historic site of the Namwonseong battle. and the former Namwon Station, to provide a plan for linkage with other tourist resources in Namwon. The basic ideas and the master plan were established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historical and dark tourism of the target sites, analysis of the current conditions, such as location conditions, natural and built environments, review of relevant laws and survey analyses of residents and merchants. A few facilities were introduced in consideration of the restoration of the northern gate and fortress. The area outside the fortress symbolized Namwonseong battle, which was occurred at Namwonseong for four days battle during the Jeongyujaeran, and the area inside the fortress introduced spaces to utilize existing railway-related facilities, but it was assumed to be removed and restored in a original form after restoration of Namwonseong. To commemorate the sense of place and to promote the historicity, we proposed experience programs to encourage tourists to visit the site through links with similar themes and adjacent tourism resources.

      • KCI등재

        포용도시를 위한 평택호 일대 단지 계획

        이진욱,진수현,김선중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1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5 No.1

        이 계획은 수질 오염으로 인해 환경, 문화, 경제 등의 피해를 받은 집단에, 단지 조성을 통해 그들이 받은 피해를 복구할 수 있는 계획 기법에 관한 것이다. 경기도 평택시 평택호 일대를 대상으로 하였으 며, 피해 집단을 포용하기 위하여 대상지에서 발생하는 오염원을 해결책으로 하는 전략을 구상하였 다. 오염원을 단지 내 다양한 방식으로 재활용하여 유용한 자원으로 순환시켰으며, 그동안 오염으로 부터 피해받고 단지 계획 과정에서 배제되었던 집단을 단지의 조성과 운영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수질 오염으로 인해 쇠퇴한 수산업을 새로운 산업으로 재창출하였으며 폐기물을 활용 하여 어류 서식지를 조성하고 문화 및 관광 자원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자본을 순환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운영을 구상하여 단지가 지속 가능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계획은 대상지의 오염원을 활용 하여 주민의 자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공간과 활동 프로그램을 계획함으로써 도시의 개발 과정에 서 피해받고 소외되었던 집단을 포용하는 단지 계획의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의미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planning solutions to recover groups with damages such as social, cultur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inequality due to water pollution in a city's development process. This study examined Pyeongtaek Lake in Pyeongtaek city, Gyeonggi Province, and established a strategy to resolve pollution sources in the designated target place for the inclusion of the damaged groups. As the strategy, pollution sources were recycl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complex and circulated as useful resources. A plan has been established to ensure the groups who have suffered damages due to pollution. But Those groups have been excluded in planning, and the complex has been included to allow them to participate in creating and operating the complex. The fishery industry declined by water pollution, was changed as a new industry, and to create fish habitat and use it as a cultural and tourism resource, wastes were used. Moreover, the complex became sustainable by planning the program to circulate capital. The plan is meaningful because it presented a complicated procedure to include the damaged and excluded groups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a city by planning a place and activity program to strengthen autonomous capability.

      • KCI등재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서울정원’ 디자인 기본계획

        김영준,이행열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0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4 No.1

        본 서울정원은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에 참여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에서 공모하여 당선된 기본계획으로 서울특별시를 대표하는 정원 설계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서울만의 특성을 살리면서 아름답고 특색 있는 정원이며, 서울을 상징할 수 있는 친환경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서울시는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역동적 도시로 전통과 현대, 자연과 도시가 공존하는 도시이다. 서울정원은 공존하는 도시 안에 정원을 만들기 위하여 4가지 공간을 계획하였다. 첫째, 옛 서울 공간은 전통정원 공간으로 서울의 옛 모습과 전통성을 계획하였다. 둘째, 근대서울의 풍경은 근대 도시로 변화한 서울의 풍경을 슬픔과 기쁨이 공존하는 공간으로 옛 추억을 느낄 수 있는 낭만적인 공간을 계획하였다. 셋째, 역동적인 서울은 현재의 서울로 역동성과 다양성에서 생태자연과 도시문화의 공존을 현대적인 소재로 계획하였다. 넷째, 숨겨진 한강의 기적은 빠르게 변하는 도시 속에서 스스로 치유하고 회복하고 있는 생태자연을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계획하였다. 본 서울정원 계획은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에 출품되어 전시되었으며, 서울특별시에서 정원박람회 출품을 위해 현상공모 후 설계 및 조성공사를 시행한 첫 번째 작품이었다. 이후, 서울시에서는 2015년부터 서울정원박람회를 직접 개최하여 세계적인 정원디자이너 초청 및 디자인 우수작품을 전시하는 등 다양한 정원박람회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순천만국 제정원박람회의 서울정원 출품을 통하여 서울시의 정원과 정원박람회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기초가 되었다는 것에 대해 본 계획안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Seoul-garden is a basic design that was opened to the public and selected by Seoul special city to participate in the Suncheon Bay Garden Expo. It aims to suggest a garden design strategy for representing Seoul special city. The Seoul-garden focused on the identity of Seoul, reinforced the fact that Seoul is a beautiful and distinctive garden, and suggested an eco-friendly model that can symbolize Seoul. Seoul is a dynamic city where traditional times and modern times coexist and where tradition, modernity, nature and city are in harmony. Four spaces were designed to make a garden in the city that those things coexist. The four spaces are as followed: 1) Tradition Seoul, 2) Landscape of modern Seoul, 3) Dynamic Seoul, and 4) Miracle of the Hangang. First, Tradition Seoul was designed as a space for a traditional garden. It was intended to show old traces and tradition in Seoul. Second, Landscape of modern Seoul is a space where sadness and delight coexist that has been transformed into a pre-war city. It was intended as a romantic space for citizens to remember old memories. Third, Dynamic Seoul is contemporary Seoul and was designed with modern sources that ecological nature and urban culture coexist based on dynamics and diversities. Fourth, Miracle of the Hangang was designed as a space where people can experience ecological nature that heals and recovers for itself in a fast changing city. This Seoul-garden design was exhibited at the Suncheon Bay Garden Expo. Seoul special city carried out the design and construction after the competition for the garden fair for the first time. After that, Seoul has been hosting the Seoul Garden Show since 2015 and various garden fair programs have been performed such as inviting globally famous garden designers and exhibiting excellent design works. This proposal is important in that exhibiting the Suncheon Bay Garden Expo was the basis for the interest and effort on gardens and garden fairs in Seoul.

      • KCI등재

        농촌어메니티 100선의 경관유형 분석

        양지인,안득수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1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5 No.2

        본 연구는 농촌경관유형의 분류를 위한 새로운 분석의 틀을 설정하고 각 유형별 대표경관요소를 파악함으로써 농촌경관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농촌경관유형 분석의 틀은 3개 대분류, 9개 중분류, 71개 경관요소로 세분류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5년 동안 농촌어메니티 100선에 선정된 500개의 농촌경관사진을 분석하였다. 대분류에서는 자연경관, 생활경관과 생산경관이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으며 첫 해에 비하여 마지막 해에는 자연 경관이 감소하였고 생산경관은 약간 증가하였으며 생활경관은 상대적으로 대폭 증가하였다. 중분류에서는 자연경관은 수경관, 생산경관은 경작지경관, 생활경관은 역사문화경관이 대표적인 경관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세분류에서 대표경관요소는 산림경관은 숲, 수경관은 하천, 지형경관은 기암괴석과 특이지형, 경작지경관은 논, 생산시설경관은 저수지, 주거경관 은 마을, 가로경관은 담장, 역사문화경관은 노거수였다. 조망거리를 분석하면 근경이 과반수 정도로 가장 많았고 중경, 원경 순이었으며 자연경관에서는 원경, 생산경관에서는 근경, 생활경관에서는 중경이 타 경관유형에 비해 비교적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계절별로는 여름이 가장 많았고 가을, 봄, 겨울 순으로 모든 경관유형에서 여름이 가장 높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regarding the efficient use and preservation of rural landscape resources by establishing a new analytical framework for the classification of rural landscape types and identifying representative landscape elements for each type. The framework of rural landscape type analysis was subdivided into 3 major classifications, 9 subclassifications, and 71 landscape elements. Based on this, 500 rural landscape photos selected for rural amenity 100 for 5 years were analyzed. In the major classification, natural, living, and production landscapes appeared in similar ratios. It was found that natural landscapes decreased, production landscapes increased slightly, and living landscape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natural landscape, the water landscape, in the production landscape, the cultivated landscape, and in the living landscape, th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were recognized as representative landscapes. Representative landscape elements are forests in forest landscapes, rivers in water landscapes, oddly-shaped rocks and stones and, unusual terrain in topographical landscapes, paddy fields in cultivated land landscapes, reservoirs in production facility landscapes, villages in residential landscapes, fences in street landscapes, and large old trees in historic and cultural landscapes. Analysis by viewing distance found, the close-range views to be the most common at about half, followed by mid-range views and distant-views. Of natural landscapes, distant views made up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whereas in production and living landscapes, close-range views and mid-range views, respectively, were relatively high proportion compared to other landscape types. By season, summer was the most common in all landscape types, followed by autumn, spring, and winter.

      • KCI등재

        장안산 힐링 트레킹길 조성계획

        안득수,정나라,강상희 전북대학교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4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8 No.2

        본 계획은 장수군이 가지고 있는 산림자원과 입지적 특성을 활용하여 산림 휴양 및 치유 수요에 대응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힐링 트레킹길을 조성하는 것이다. 힐링 트레킹길 조성계획은 치유의 숲과 트레킹길 조성, 숲길안내센터의 계획으로 크게 구분된다. 치유의 숲 대상지는 전라북도 장수군 신전임도 구간이며 숲길안내센터는 백두대간의 주요 고개인 육십령과 무령고개이다. 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대상지의 지형, 식생, 수문 등의 자연환경과 토지이용 및 법적규제의 인문환경, 조망, 경관의 시각적 환경을 분석하였으며 관련 정책과 유사 사례를 분석하여 계획에 반영하였다. 본 계획은 백두대간 종주를 위한 전진지기로서 대상지가 지닌 입지적 잠재력을 활용하여 종주객 및 등산객을 위한 편의시설을 갖춘 숲길안내센터를 계획하였다. 또한 최근 증가하는 산림휴양 수요를 수용할 수 있는 치유의 숲과 트레킹길을 계획하였으며 산림치유 및 휴양을 위한 시설을 도입하였다. 특히 치유의 숲 대상지 내 지형, 식생, 토지이용 등 입지적 특성을 반영하여 각 자원 특성에 적합한 치유 시설 및 프로그램을 계획하였다. 힐링 트레킹길은 지형 변화와 경사도를 고려하는 시설 배치로 다양한 연령대가 어려움없이 공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계획을 통해 계획대상지와 주변지역의 리조트, 관광지 및 테마마을과 연계이용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roject is to plan healing trekking roads aimed at creating added value in response to the demand for forest rest and healing that utilizes forest resources and the 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Jangsu-gun. The plan is largely divided into the formation of healing forests and trekking roads and the establishment of road information centers. The location of these healing forests is Shinjeonimdo, Jangsu-gun, Jeollabuk-do, and the information centers will be built in Yuksimnyeong and Muryeonggoge, hills in Baekdudaegan. In order to establish the plan, the natural environment, such as topography, vegetation, and hydrologic system; the human environment, such as land use and legal regulations; and the visual environment were analyzed and relevant policies concerning similar cases were reviewed and reflected within it. This plan is conceived in such a way that information centers equipped with amenities for trekkers and climbers will serve as advanced bases when they are walking along the ridges of Baekdudaegan. In addition, healing forests and trekking roads that can accommodate the recently increasing demand for forest rest were planned, and facilities for forest healing and rest were introduced. In particular, healing facilities and programs were designed to be suitable for each resource's characteristics, reflecting positional traits such as topography, vegetation, and land use areas where the healing forests were planned . Elevation changes and gradients were considered when facilities were placed along healing trekking roads so that different age groups would be able to use the spaces without difficulty. Through this plan, utilization of these places, in connection with neighboring resorts, tourist destinations, and the theme village,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ctivation of the local econom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