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석당 정재환선생이 수집한 기록유산과 그 가치 - 특히『고려사』 판본과 『고려대장경』 인경본의 가치를 중심으로 -

        김광철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7 石堂論叢 Vol.0 No.69

        There are many ancient books in the Hamjinjae(函珍齋) of Dong-A University. The volume of books is 22,170 books of 5,750 kinds. These ancient books have collected by Jeong Jae-Hwan, the founder of Dong-A University. These books are classified in the form of Siku Quanshu(四庫全書). The volume of Gyung-Bu(經部) is 2,312 books of 556 kinds, Sa-Bu(史部) is 7,331 books of 1,175 kinds, Ja-Bu(子部) is 8,118 books of 2,014 kinds, Jip-Bu(集部) is 4,409 books of 2,005 kinds. 『Goryosa(高麗史)』 is essential data for the study of the Goryeo period and is a precious cultural heritage of ours. There are 80 editions of 『Goryosa』 home and abroad these days. But most of them are missing volumes and only 5 complete sets of works exist including one owned by Dong-A University (hereinafter the DAU 『Goryosa』). The DAU 『Goryosa』 printed from woodblocks is compiled into 75 volumes, combining some of Ji(志) and Yeoljeon(列傳) into a book in one volume or a book in three volumes. The DAU 『Goryosa』 is the same book as one in 85 volumes owned by Gyujangkak(奎章閣), Seoul National University. It is confirmed that quite a few misprints and omitted words are found in 『Goryosa』 printed from woodblocks. This resulted from the fact that missing and omitted words had been increased in the process of publication from the first edition to Eulhae letter edition and to final carving edition in woodblocks. However quite a few misprints and omitted words there are found in 『Goryosa』 printed from woodblocks, they limit to only a small number among 800 thousand words in all. The 『Tripitaka Koreana(高麗大臧經)』 wooden printing blocks have been recognized as a priceless Korean cultural heritage since the 13th century. They represent the advanced level of Buddhist studies at that time and its printing technology. The 『Tripitaka Koreana』 also reflect the universal cultural values of 13th century East Asia. This study analyzed into the source-value of the 『Tripitaka Koreana』 in the Hamjinjae(函珍齋) of Dong-A University. This Tripitaka Koreana was printed from 1963 to 1968. This Tripitaka Koreana has been printed in a circular pattern, providing a rich source of data. 동아대학교 고서 도서관 석당함진재에는 동아대학교 설립자 석당 정재환 총장이 수집한 고서들이 소장되어 있다. 이들 고서는 한국본, 중국본 등을 고루 갖추고 있으며, 주제별로는 경서를 비롯하여『고려사』 등 사서, 해인사 팔만대장경 책판 등 불경, 법가를 비롯한 제자백가서 그리고 문집 등 다양한 주제의 고서들이다. 그 수량은 經部 556종 2,312책, 史部 1,175종 7,331책, 子部 2,014종 8,118책, 集部 2,005종 4,409책 등 모두 5,750종 22,170책에 달한다. 1950년대 말부터 시작되는 동아대학교의 고전에 대한 연구와 역주사업의 전개는 대학이 수집한 고서가 상당 수준에 올라 있었던 데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고 고서의 수집과 정리작업을 활성화 하는 계기가 되었다. 석당선생의 수집한 기록유산의 가치를 『고려사』 판본과 『고려대장경』 인경본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고려사』는 『삼국사기』와 더불어 우리 나라 2대 정사의 하나이다. 동아대학교 소장 목판본 『고려사』는 보기드믄 완질의 판본으로, 『고려사』 139권을 75책으로 분책하여 15개 함으로 분류하고 있다. 책은 그 권 수를 일정량씩 묶은 것이기 때문에 책 수가 큰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분량과 내용을 고려하면서 요령있게 묶을 때 독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동아대본 『고려사』는 규장각 소장의 85책 태백산사고본과 대조해 본 결과, 그 광곽과 판심의 형태, 자형이 같은 모습이며, 오탈자가 동일하게 추출되고 있는 점도 동일한 판본임을 확인할 수 있다. 함진재 소장 고려대장경 인경본은 1963년 4월부터 1968년 9월까지 인출한 13질 가운데 1질이다. 동아대학교 소장 고려대장경 인경본의 가치는 고려대장경판이 갖는 본래의 가치와 인경과정과 방식에서 비롯된 가치 두 측면에서 엿볼 수 있다. 고려대장경은 현존하는 대장경판 가운데 최고의 정확한 대장경이다. 함진재 소장의 고려대장경 인경본에는 인경 당시의 각수 자료가 상당 부분 원형대로 인경되어 있어 원천자료를 보다 풍부하게 제공하고 있다. 특히 이들 각수 자료 가운데는 그들의 출신성분이나 발원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도 있어 고려대장경의 역사․문화적 실체와 성격을 보다 명확하게 밝힐 수 있었다.

      • KCI등재

        석당 정재환선생이 수집한 기록유산과 그 가치 - 특히 『고려사』 판본과 『고려대장경』 인경본의 가치를 중심으로 -

        김광철 ( Kim Gwang-cheol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7 石堂論叢 Vol.0 No.69

        동아대학교 고서 도서관 석당함진재에는 동아대학교 설립자 석당 정재환 총장이 수집한 고서들이 소장되어 있다. 이들 고서는 한국본, 중국본 등을 고루 갖추고 있으며, 주제별로는 경서를 비롯하여 『고려사』 등 사서, 해인사 팔만대장경 책판 등 불경, 법가를 비롯한 제자백가서 그리고 문집 등 다양한 주제의 고서들이다. 그 수량은 經部 556종 2,312책, 史部 1,175종 7,331책, 子部 2,014종 8,118책, 集部 2,005종 4,409책 등 모두 5,750종 22,170책에 달한다. 1950년대 말부터 시작되는 동아대학교의 고전에 대한 연구와 역주 사업의 전개는 대학이 수집한 고서가 상당 수준에 올라 있었던 데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고 고서의 수집과 정리작업을 활성화 하는 계기가 되었다. 석당선생의 수집한 기록유산의 가치를 『고려사』 판본과 『고려대장경』 인경본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고려사』는 『삼국사기』와 더불어 우리 나라 2대 정사의 하나이다. 동아대학교 소장 목판본 『고려사』는 보기드믄 완질의 판본으로, 『고려사』 139권을 75책으로 분책하여 15개 함으로 분류하고 있다. 책은 그 권 수를 일정량씩 묶은 것이기 때문에 책 수가 큰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분량과 내용을 고려하면서 요령있게 묶을 때 독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동아대본 『고려사』는 규장각 소장의 85책 태백산사고본과 대조해 본 결과, 그 광곽과 판심의 형태, 자형이 같은 모습이며, 오탈자가 동일하게 추출되고 있는 점도 동일한 판본임을 확인할 수 있다. 함진재 소장 고려대장경 인경본은 1963년 4월부터 1968년 9월까지 인출한 13질 가운데 1질이다. 동아대학교 소장 고려대장경 인경본의 가치는 고려대장경판이 갖는 본래의 가치와 인경과정과 방식에서 비롯된 가치 두 측면에서 엿볼 수 있다. 고려대장경은 현존하는 대장경판 가운데 최고의 정확한 대장경이다. 함진재 소장의 고려대장경 인경본에는 인경 당시의 각수 자료가 상당 부분 원형대로 인경되어 있어 원천자료를 보다 풍부하게 제공하고 있다. 특히 이들 각수 자료 가운데는 그들의 출신성분이나 발원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도 있어 고려대장경의 역사·문화적 실체와 성격을 보다 명확하게 밝힐 수 있었다. There are many ancient books in the Hamjinjae(函珍齋) of Dong-A University. The volume of books is 22,170 books of 5,750 kinds. These ancient books have collected by Jeong Jae-Hwan, the founder of Dong-A University. These books are classified in the form of Siku Quanshu(四庫全書). The volume of Gyung-Bu(經部) is 2,312 books of 556 kinds, Sa-Bu(史部) is 7,331 books of 1,175 kinds, Ja-Bu(子部) is 8,118 books of 2,014 kinds, Jip-Bu(集部) is 4,409 books of 2,005 kinds. 『Goryosa(高麗史)』 is essential data for the study of the Goryeo period and is a precious cultural heritage of ours. There are 80 editions of 『Goryosa』 home and abroad these days. But most of them are missing volumes and only 5 complete sets of works exist including one owned by Dong-A University (hereinafter the DAU 『Goryosa』). The DAU 『Goryosa』 printed from woodblocks is compiled into 75 volumes, combining some of Ji(志) and Yeoljeon(列傳) into a book in one volume or a book in three volumes. The DAU 『Goryosa』 is the same book as one in 85 volumes owned by Gyujangkak(奎章閣), Seoul National University. It is confirmed that quite a few misprints and omitted words are found in 『Goryosa』 printed from woodblocks. This resulted from the fact that missing and omitted words had been increased in the process of publication from the first edition to Eulhae letter edition and to final carving edition in woodblocks. However quite a few misprints and omitted words there are found in 『Goryosa』 printed from woodblocks, they limit to only a small number among 800 thousand words in all. The 『Tripitaka Koreana(高麗大臧經)』 wooden printing blocks have been recognized as a priceless Korean cultural heritage since the 13th century. They represent the advanced level of Buddhist studies at that time and its printing technology. The 『Tripitaka Koreana』 also reflect the universal cultural values of 13th century East Asia. This study analyzed into the source-value of the 『Tripitaka Koreana』 in the Hamjinjae(函珍齋) of Dong-A University. This Tripitaka Koreana was printed from 1963 to 1968. This Tripitaka Koreana has been printed in a circular pattern, providing a rich source of data.

      • KCI등재

        해방 후 부산지역의 대학설립과 동아대학 창학 및 법학교육의 전개

        李鍾吉(Lee, Jong-Khil)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東亞法學 Vol.- No.85

        본고는 일제 식민지배로부터 해방을 맞은 다음 부산지역에서 일어난 대학설립움직임과 대학설립경과, 그리고 그의 변화과정 등에 대해 검토한다. 국립부산대학의 설립과 동아대학의 창학은 부산경남지역에서 비로소 대학교육이 시행되는 시작점이 된다. 특히 동아대학은 바로 동아대학으로의 출발이 아니었다. 동아대학은 전신이 되는 남선대학 및 남조선법문학원의 태동이 먼저 있었던 것으로, 요건불비의 그를 수용·정리하면서 사립대학교육을 출범해낸 부산경남지역의 대표대학이 된다. 해방 후 부산지역사회가 표출하던 대학설립에 대한 열망이 주요 지역인사 및 미군정관계자들과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던 혼란상에 대해서도 이해를 도모한다. 아울러 이 글에서는 東亞大學의 초기 창학과정과 해방이후 법학교육을 최초로 시행한 사립대학으로서의 의미와 내용에 중점을 두게 된다. 미군정기 대학설립은 중앙교육심의회의 의결을 거쳐 중앙군정청의 인가를 받아야하는 것이었으나 남선대학 또는 남조선대학은 그러한 절차를 거치지 못한 하자와 함께 재정 및 시설 등의 미흡으로 문제가 적지 않았다. 학교인가를 둘러싼 분규 혼란 속에서 남조선대학은 정식인가 없이 1946년 4월2일 ‘南朝鮮法文學院’이라는 명칭으로 이름을 변경하여 개학하게 되었으며 동년 6월에 1년을 시한으로 개교허가를 받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교수 및 교육설비 등의 미비와 인가절차상의 흠결로 혼란을 거듭하던 남조선법문학원을 동아대학기성회 석당 정재환 선생이 인수(1946년 9월)하여 대학교육을 새롭게 정립(1946.11.1.)하는 변환을 맞게 된다. 남선대학을 이은 동아대학은 해방이후에 법학과를 본격적으로 설치 교육하고 그 첫 번째 졸업생을 1949년 7월 20일에 배출하였는 것으로, 동아대학의 최초 법학교육 실상에 대해 당시의 사료를 기초로 연구를 수행하게 된 것이다. 시기적으로는 한국전쟁 전까지를 위주로 하면서 관련하는 내용에 있어서는 논의를 연장한다. 결국 본고는 해방 후 부산지역의 대학설립과 동아대학의 창학, 그리고 동아대학이 수행한 초기 법학교육에 대해 관련 자료를 기초로 연구․검토하고 있다. This article is to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the changing process of university that took place in Busan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The establishment of Busan Nat’l University and Dong-A Univ. was the initial start in college education at Busan and Gyeongnam province. In particular, Dong-A Univ. was not the start of Dong-A Univ. itself. It had a former Univ., that was to say ‘Namseon’ college or ‘Namjoseon Beopmunhakwon(南朝鮮法文學院)’. It became a representative university in Busan and Gyeongnam province, which launched private university education after Liberation. At that time, as for solving the local community’s desire to establish a university, a group of local public figures and U.S. military official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matter. Accordingly they sought to understand the confusion that has occurred in that social relations. In addition,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early establishment course of Dong-A Univ. and the education of law that were implemented for the first time since liberation. Namseon college, the predecessor of the present Dong-A Univ., had many problems in the school’s accreditation, which were insufficient finances, facilities and legal flaws. Therefore the school was renamed as ‘Namjoseon Beopmunhakwon(南朝鮮法文學院)’ without authorization. But in June of the same year(1946), the school was conditionally allowed to open with a one-year. In the end Dong-A univ.(President of the Foundation, Jeong Jae-hwan) undertook the Namseon college. After Jeong Jae-hwan took over (September 1946) the school, he went through a phase of re-establishment of his college education, especially law school department. This article ultimately carrys out a basic review of the actual law education of Dong-A Univ. after Liberation.

      • KCI등재

        한림(漢林) 정수봉(鄭樹鳳) 선생의 선현들의 말씀에 대한 인식

        조해훈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2 石堂論叢 Vol.- No.82

        경남 남해에서 가장 명망이 높은 가계에서 출생한 한림 정수봉 전 동아대학교 총장은 가풍으로 어릴 적부터 서당에 다녔으며, 고전에 대한 지식이 상당하였다고 평가받았다. 경남중·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부친이 설립한 동아대 법률학과에 진학하여 1952년 졸업하였다. 이후 내무부에 들어가 혼란스런 정국에서 나라의 행정체계를 바로 세우기 위하여 헌신하다가 동아대학교 교수로 부임하였다. 교무처장과 부총장 등의 보직을 거쳐 동아대학교 제2대 총장에 취임하여 3·4대 총장과 재단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그런 한림 선생은 동아대학교의 입학식과 졸업식 등을 비롯해 외부 행사에서도 많은 연설을 하였다. 그 연설들에서 적절하게 사서오경이나 퇴계 이황의 문집 등에 있는 말씀들을 인용하여 가르침을 주었다. 단순히 사자성어를 한두 번 인용하는 데 그친 것이 아니라, 공식적인 자리에서든 사석에서든 선현들의 말씀이 들어있는 문장들을 통째로 인용하기도 하였다. 그는 오랫동안 동아대를 발전 성장시키는 데 혼신의 힘을 다 바쳤지만 내면적으로 평생 추구한 것은 수양을 통한 이른바 수기치인이었으며, 효를 매우 소중한 가치로 여겼다. 한림 선생은 평소에 과묵하기로 소문이 나 있었으나 스스로 판단해 학교발전에 도움이 되겠다고 생각이 되면 무서울 정도로 추진력을 발휘하였다. 세계 유수의 대학들을 견학하면서 그 대학의 역사와 문화, 행정시스템 등을 파악하였던 그는 동아대를 성장시키기 위해 온갖 반대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승학캠퍼스와 동아대병원을 밀어붙여 지었다. 그 결과 동아대는 한수이남 최고 사립대학교라는 명성을 얻었다. 또한 대학을 키우는 데는 체육활동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일찍 간파하고 유망주들을 동아대로 데려와 각종 지원을 하며 훈련을 시킨 결과 우리나라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양정모 선수를 비롯해 하형주·조재기·문대성 등 올림픽 메달리스트들을 배출하였다. 게다가 그는 동아대를 설립한 부친인 석당 정재환 선생의 뒤를 이어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재정립 시키는데도 세상을 버리기 전까지 애를 썼다. 한림 선생이 선현들의 말씀들을 인용해 학생과 교수, 시민들에게 이야기 한 그 바탕에 깔려 있는 ‘인식’을 간단히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는 어릴 적부터 서당에 다니면서 천자문과 명심보감, 소학 등을 공부하여 군자와 소인의 차이, 공부의 목적과 방법, 수양과 처세 등 살면서 귀감이 될 내용들을 배웠다. 그래서 선현들의 말씀을 참조하여 살게 되면 제대로 된 삶을 영위할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둘째, 한림 선생은 동아대학교 총장으로서, 그리고 여러 사회단체의 장으로서 연설을 하거나 이야기를 하면서 적절하게 선현들의 말씀을 대입시켜 설명함으로써 말하고자 하는 논점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었던 것이다. 셋째, 그가 특히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 말씀들을 많이 인용하였다. 대학 시절의 수학 내용은 실제로 사회에 진출하여 학생들의 직업이나 대인관계 등에서 그대로 적용이 되므로, 선현들의 말씀 등을 대입시켜 설명을 함으로써 학생들이 보다 공감하도록 하였다. 그 역시 선현들의 말씀에서 벗어나지 않고, 그 말씀들이 일러주는 대로 평생을 살았던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Former Dong-A University President Hanlim(漢林) Jeong Soo-bong(鄭樹鳳), who was born in the most prestigious family in Namhae(南海), Gyeongsangnam-do(慶尙南道), has been to Seodang(書堂) since childhood due to his family tradition, and was evaluated as having considerable knowledge of classics. After graduating from Gyeongnam Middle and High School, he went to the Department of Law at Dong-A University established by his father and graduated in 1952. After that, he entered the Ministry of Home Affairs(內務部) and devoted himself to establishing the country's administrative system in a chaotic political situation, and was appointed as a professor at Dong-A University. After serving as the second president of Dong-A University, he served as the third and fourth president and the chairman of the foundation. Such a teacher Hanlim gave many speeches at external events, including the entrance ceremony and graduation ceremony of Dong-A University. In those speeches, he properly quoted the words in the writings of Sasa Ogyeong(四書五經) and Toegye(退溪) Yi Hwang(李滉) and taught them. It was not just a four-character idiom quote once or twice, but also a whole sentence containing the words of the ancestors, whether officially or privately. He devoted himself to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Dong-A University for a long time, but what he pursued internally throughout his life was the so-called handicraft through training, and filial piety was considered very valuable. Teacher Hanlim was rumored to be quiet, but he showed frightening momentum when he judged himself and thought it would help the development of the school. Having grasped the university's history, culture, and administrative system while touring the world's leading universities, he pushed ahead with Seunghak Campus and Dong-A University Hospital despite all kinds of opposition and difficulties to grow Dong-A University. As a result, Dong-A University gained a reputation as the best private university on the south side of Han River. In addition, as a result of detecting the importance of sports activities early and bringing promising athletes to Dong-A University to provide various support and training, they produced Olympic medalists such as Yang Jung-mo, Korea's first Olympic gold medalist, Ha Hyung-joo, Cho Jae-ki, and Moon Dae-sung. In addition, he tried to inherit and re-establish Korea's traditional culture after his father, Seokdang Jeong Jae-hwan, who founded Dong-A University, until he abandoned the world. Citing the words of the ancestors, Hanlim briefly summarizes the “recognition” underlying the story to students, professors, and citizens as follows. First, while studying Seodang from an early age, he studied Cheonjamun (千字文), Myeongsimbogam (明心寶鑑), Sohak (小學), etc. to learn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unty and the small, the purpose and method of study, training and attitude. Second, as the president of Dong-A University and as the head of various social organizations, Hanlim was able to highlight the issue to be said by properly substituting and explaining the words of the ancestors. Third, he cited the words a lot, especially for students. Since the contents of mathematics in college actually entered society and were applied to students' job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tudents were able to sympathize more by substituting and explaining the words of the ancestors. He, too, is considered to have lived his whole life as the words tell him without departing from the words of the ancestors.

      • KCI등재

        동아대학교 함진재 소장 강화경판(江華京板)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인경본의 자료적 가치와 활용방안

        신태갑,최영호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3 石堂論叢 Vol.0 No.57

        This case study analyzed into the source-value and utilization-plan of the Ganghwa Woodblock-Koryo Tripitaka’s printing-material in the Hamjinjae of Dong-A University. this printing-date was printed from 1963 to 1968, was systematically investigated since the 1990s. hereby, this printing-date was utilized the source-material that researched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ality of the Ganghwa Woodblock-Koryo Tripitaka. Nevertheless, this printing-date was some cases that the source- material was missing or unclear. therefore, the missing source- material can be compensated from these sources. the complementary-data is the digital material of Tripitaka-Koreana- institute(八萬大藏經硏究院) in the Haein(海印)-Temple, the printing- material of the Otani(大谷) University, the printing-material of the Woljeong(月精)-Temple. the supplemented source-material can be used as follows. it is the systematic study of the Ganghwa Woodblock-Koryo Tripitaka, the restoration of the Goryeo- Dynasty's Annals(高麗王朝實錄), the source material of the cultural content-development, the restoration of the damaged original woodblock. 이 글은 동아대학교 함진재 소장 강화경판 『고려대장경』 인경본에 대한 자료적 가치와 보완방법 및 보완자료의 활용방안을 진단하였다. 1960년대 확보된 함진재 소장의 강화경판 인경본은 1990년대부터 원천자료의 체계적인 조사․정리작업을 수행하면서 자료적 가치가 새롭게 인식되어 주목되었다. 199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해인사 소장 강화경판의 원천자료를 열람할 수 없었으므로, 함진재 소장의 인경본은 원천자료로 중요한 가치를 확보할 수 있었다. 더구나 1970년대 동국대학교에서 간행한 『고려대장경』 영인본 총48책에 비해, 보다 풍부한 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좌․우 변란과 그 외곽에 새겨진 각수, 발원문 자료와 함께 ‘외장(外藏)’ 자료도 풍부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1990년부터 2013년 현재까지 함진재 소장 인경본 자료가 연구자료로 활용되면서 상당한 연구성과를 축적하도 하였다. 우선, 강화경판의 역사․문화적 가치를 객관적으로 밝히는 원천자료로 활용되었다. 일제식민주의 학자들이 강화경판을 소위 초조대장경판의 복각판(復刻板)으로 파악한 문화적 정체성(停滯性) 등을 극복하는 원천자료로 활용하여 역사․문화적 객관성을 바로잡았다. 다음으로, 조성사업의 주체와 목적에 대한 역사 실체를 객관적으로 정립하는 자료로도 활용되었다. 일제식민주의 역사학자와 해방 이후 한국 연구자들이 강화경판의 조성주체․목적과 조성공간의 위치 및 참여자의 범위를 최씨무인정권과 연계시켜 축소․평가한 이해방식을 객관적으로 바로잡는 데 함진재 소장의 원천자료를 적극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내용을 새롭게 밝히는 원천자료로도 활용되었다. 그 결과, 대장․분사도감의 운영조직체계와 역할, 그 산하의 판각공간, 분사도감의 위치 등이 구체적으로 탐색되었고, 조성사업 참여자들의 다양한 출신성분과 그들의 현실인식 등도 새롭게 밝히게 되었다. 그러면서도 함진재 소장의 인경본은 1960년대 인출 당시 인경 전문가의 제한적 인식, 개별 경판의 마모나 훼손 등으로 원천자료가 누락되거나 불명확하게 인경된 경우도 있다. 특히 좌․우 변란의 밖이나 그 외곽 부분에 새겨진 각수, 발원문, 공방(工房) 자료의 상당수도 누락되어 있다. 따라서 누락된 원천자료는 해인사 팔만대장경연구원 소장의 디지털자료를 원천텍스트로 삼고, 우왕 7년(1381) 인출된 일본 오오타니(大谷)대학 소장본의 자료집, 조선 고종 2년(1865)에 인출된 월정사 소장 인경본의 사진자료 등을 교차적으로 활용하여 보완할 수 있다. 보완된 자료는 체계적인 연구와 함께 고려왕조실록의 복원, 문화․관광콘텐츠 개발의 원천소스, 마모․훼손된 원판의 복원, 원판과 후대 보각판의 진위여부 진단 등 다양한 영역에도 활용할 수 있다.

      • 대학 교양교육과정의 한·일 간 비교 : 동아대학교와 쯔쿠바 대학을 중심으로

        신해우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동아교육논총 Vol.24 No.-

        본 연구는 대학 교육과정에서의 교양교육의 중요성 인식과 그 효과성을 제고하고, 대학 교양교육과정의 바람직한 방향정립을 위한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한일 양국의 대학 교양교육과정의 구성을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대상으로는 한국의 동아대학교와 일본의 쯔쿠바대학이 선정되었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전체적으로 종합해 보면, 양국에서 선정된 두 대학 즉, 동아대학교와 쯔쿠바 대학에 있어서 교양교육과정에 해당하는 교과목의 유형과 명칭 그리고 교육과정의 구성에 있어서는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양 대학 공히 전체 교육과정에서 교양교육과정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교양교육의 중요성을 잘 인식하고 있다고 판단되며, 이러한 교양교육에 대한 관심의 증가는 매우 고무적인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오늘의 사회상황으로 볼 때 대학에서의 교양교육의 내실화는 그 어느 때 보다도 절실한 실정이라 할 수 있으며, 따라서 교양교육과정을 계획할 때에는 현재의 교양교육과정이 미래지향적인 교육과정인가 하는 문제의식을 지속적으로 불러 일으키면서 그에 적절한 제도적 장치의 마련 및 탄력적 시행으로 전공영역과 교양영역의 상호 보완과 균형을 이루는 운영의 묘를 살려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urricula in the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of the two countries, Korea and Japan, in order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urriculum in the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and to enhance its efficacy and to take a step toward its desirable orientation. Dong-A University in Korea and Tsukuba University in Japan are chosen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Synthesizing wholl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the two universities, Dong-A University and Tsukuba University, represent a little difference in the type of cultural studies, their names and the construction in the curriculum for the general culture course, but the curricula for the general culture course in the two universities show a higher ratio compared to other courses, which means that both universities admit the significance of general education. It can be said that an increasing concern for general education is very much encouraging. The recent social conditions are characterized by an increase of knowledge and a rapid social change, and the academic field shows its advanced and professionalized change. In this respect, it can be felt keenly that general education which can provide us with a wide experience of man and his surroundings must be made substantial right now. Therefore, the proper measures must be taken to meet some questions what the commendable curriculum for future-oriented general education is, what curriculum can meet a social change timely, and what curriculum can deal positively with problems from a coming uncertain future societ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hat a curriculum for general education must have a firm systematic installment so that the learners may develop their cultural talents and acquire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And the management of curriculum should be carried out flexibly and elastically so that mutual supplement and balance between a major field of general studies can be harmoniously achieved in the whole curriculum.

      • KCI등재

        석당 정재환선생의 건학이념과 동아대 구덕캠퍼스 계획 - 구덕캠퍼스 건축물의 근대문화유산 가치 -

        김기수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7 石堂論叢 Vol.0 No.69

        The Dong-A University is one of private comprehensive educational institutions in South Korea with rich history and tradition, and we celebrated the 70th year of the establishment of the Academy in 2016. The history of Dong-A University dates back to 1946 when JaeHwan Chung an eminent statesman of modern South Korea, founded “Dong-A” as a private academy on the site of the Busan. In 1951, he started established Guduck Campus in Busan, South Korea. The plan of Guduck Campus was applied to the School Spirit and Educational Philosophy, justice and truth and freedom, pursued by Jae-Hwan Jeong. This thesis is results summarizing the factors that JaeHwan Chung's School Spirit and Educational Philosophy have influenced the Guduck Campus plan. Also, I wanted to research the historical and Modern Cultural Heritage value of the building in Guduck Campus. Through the facility and building of Guduck Campus Founded in November 1946, I could have the opportunity to check the transition proces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in modern times. In particular, I was able to identify various materials to understand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construction process in the central library(1957.12), the second student council(1957.12), and the museum(1957.2).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School Spirit and Educational Philosophy ar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In particular, the Central Library building has historical value of the Modern Cultural Heritage. 1946년 11월 1일 개교한 동아대학교는 1951년 10월 5일 교사를 현재의 구덕캠퍼스 위치인 부산시 서구 동대신동 3가 1번지로 이전하였다. 이에 따라 제2관(1953년 9월)을 시작으로 본관(1954년 11월), 제3관(1955년 9월), 제5관(1955.10), 제2학생회관(1956.8), 과학관(1957년 12월), 중앙도서관(1957년 12월)을 차례로 준공하여 1959년 2월 종합대학교로 승격하였다. 1985년 승학캠퍼스 준공으로 대학본부를 이전하였으며, 1990년 구덕캠퍼스에 부속병원을 준공, 인문학 중심의 부민캠퍼스가 건립하였다. 본 논고는 동아대학교 설립자인 정재환 선생의 철학과 건학이념이 담겨있는 대신동 캠퍼스를 대상으로 캠퍼스 구상계획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을 정리하였으며, 나아가 주요 건축물이 갖는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하여 이들 건축물이 갖는 근대문화유산 가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해방직후인 1946년 11월 자주적 근대교육과 함께 시작된 동아대학교의 교사시설과 구덕캠퍼스는 근대기 부산지역 교육시설의 변천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가치를 갖고 있으며, 특히 중앙도서관(현 석당기념관 1957.12), 제 2학생회관(구 과학관 1957.12), 박물관(구 소강당, 특수교실 1957.2)에서는 근대기 건축이 갖는 조형적 특성과 함께 지역건축의 건설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각종 자료들을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사학교육기관으로서 설립자의 건학이념에 따른 건축적 영향이 구덕캠퍼스 계획과 구상에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중앙도서관 건물은 근대문화유산 가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석당 정재환선생의 건학이념과 동아대 구덕캠퍼스 계획 - 구덕캠퍼스 건축물의 근대문화유산 가치 -

        김기수 ( Kim Ki-soo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7 石堂論叢 Vol.0 No.69

        1946년 11월 1일 개교한 동아대학교는 1951년 10월 5일 교사를 현재의 구덕캠퍼스 위치인 부산시 서구 동대신동 3가 1번지로 이전하였다. 이에 따라 제2관(1953년 9월)을 시작으로 본관(1954년 11월), 제3관(1955년 9월), 제5관(1955.10), 제2학생회관(1956.8), 과학관(1957년 12월), 중앙도서관(1957년 12월)을 차례로 준공하여 1959년 2월 종합대학교로 승격하였다. 1985년 승학캠퍼스 준공으로 대학본부를 이전하였으며, 1990년 구덕캠퍼스에 부속병원을 준공, 인문학 중심의 부민캠퍼스가 건립하였다. 본 논고는 동아대학교 설립자인 정재환 선생의 철학과 건학이념이 담겨있는 대신동 캠퍼스를 대상으로 캠퍼스 구상계획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을 정리하였으며, 나아가 주요 건축물이 갖는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하여 이들 건축물이 갖는 근대문화유산 가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해방직후인 1946년 11월 자주적 근대교육과 함께 시작된 동아대학교의 교사시설과 구덕캠퍼스는 근대기 부산지역 교육시설의 변천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가치를 갖고 있으며, 특히 중앙도서관(현 석당기념관 1957.12), 제 2학생회관(구 과학관 1957.12), 박물관(구 소강당, 특수교실 1957.2)에서는 근대기 건축이 갖는 조형적 특성과 함께 지역건축의 건설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각종 자료들을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사학교육기관으로서 설립자의 건학이념에 따른 건축적 영향이 구덕캠퍼스 계획과 구상에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중앙도서관 건물은 근대문화유산 가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Dong-A University is one of private comprehensive educational institutions in South Korea with rich history and tradition, and we celebrated the 70th year of the establishment of the Academy in 2016. The history of Dong-A University dates back to 1946 when JaeHwan Chung an eminent statesman of modern South Korea, founded “Dong-A” as a private academy on the site of the Busan. In 1951, he started established Guduck Campus in Busan, South Korea. The plan of Guduck Campus was applied to the School Spirit and Educational Philosophy, justice and truth and freedom, pursued by Jae-Hwan Jeong. This thesis is results summarizing the factors that JaeHwan Chung's School Spirit and Educational Philosophy have influenced the Guduck Campus plan. Also, I wanted to research the historical and Modern Cultural Heritage value of the building in Guduck Campus. Through the facility and building of Guduck Campus Founded in November 1946, I could have the opportunity to check the transition proces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in modern times. In particular, I was able to identify various materials to understand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construction process in the central library(1957.12), the second student council(1957.12), and the museum(1957.2).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School Spirit and Educational Philosophy ar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In particular, the Central Library building has historical value of the Modern Cultural Heritage.

      • 20세기의 보이지 않는 특성-빛

        바너 피터 동아대학교 조형연구소 1996 조형연구 Vol.- No.2

        저는 동아대학 개교 50주년 행사에 초대받아 동아예술제 일환으로 특별강연을 하게 된 것을 매우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저는 특별히 동아대학이 종합대학으로서 인문대학.자연과학대학.생명과학대학.법과대학.사회과학대학.경영대학 그리고 생활과학대.공대.체육대학.의과대학을 갖추고 사회에서 특별히 공헌하고 있는 것이 대단히 훌륭하게 좋아 보입니다. 대학이 이렇게 많은 분야에서 많은 공헌을 하고 있는 것은 참 대학으로서 하기는 힘든 일인데 동아대학교에서는 실질적으로 산업과 실제 생활에 필요한 경영, 공업 그리고 법.의학 등에서도 탁월한 공헌을 하고 있으면서 더욱이 대학이 가치있는 역량들을 미술.음악.공예.디자인 그리고 조각 그리고 섬유예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공헌하는 것은 상당히 드문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 동아시아 경제통합의 전망과 과제

        현오석 동아대학교 동아시아연구원 2006 동아시아 : 비교와 전망 Vol.5 No.-

        Economic relations of countries within the East Asian region have been getting stronger in recent years. With China that has achieved rapid economic growth as a central force, countries in the East Asian region have increased the share of intra-regional trade in their trade. On the investment front, for some years, intra-regional investment was mostly concentrated on China. However, in recent years, East Asian countries have been actively looking for more investment opportunities following China. The East Asian region is also more actively working on bilateral Free Trade Agreements(FTAs) than any other continent on the globe. Countries in this region have shown a great interest in establishing an East Asia Free Trade Agreement(EAFTA) bringing the whole East Asian region into a single economic zone based on current regional FTAs. There is an expectation that an EAFTA may be realized by 2008. If an EAFTA was concluded, its economic scale would surpass that of the North Atrerican Free Trade Agreement (NAFTA) and resulting effects would be much considerable. However,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that an EAFTA would be created by simply integrating various regional or bilateral FTAs to form a single economic community. The degree and scope of liberalization in the ASEAN integration model that has been suggested so far has turned out to be not enough to lead to an EAFTA. Therefore, it is more realistic that an EAFTA can be eventually materialized through establishing a China-ASEAN FTA, Korea-ASEAN FTA and Japan-ASEAN FTA, to which a Korea-Japan FTA, Korea-China FTA and China-Japan FTA are added.Bilateral FTAs which are now underway should serve as a foundation in creating an EAFTA. Furthermore, if these bilateral FTAs were to serve as a springboard in establishing an Asian economic community, there are a lot of obstacles to be tackled before achieving that goal. First of all, bilateral FTAs that are currently underway should be developed into more comprehensive ones. Simultaneously, mutual conformity of each individual FTA should be enhanced. In addition, the scope of FTA negotiations should include not only liberalization of commodities, but also a wide range of areas such as services, investment,intellectual property rights, competition policies, and economic cooperation, etc. What'smore, there must be more efforts to reduce the length of exception list in the liberalizationof commodities and the service sector. As there is an enormous gap in the national income among countries in the East Asian region and they have different industrial structures, it would not be easy for a simple horizontal integration to help achieve such a comprehensive FTA down the road. Therefore, it will be desirable to provide assistance programs for underdeveloped countries and to find a way for a mutual existence in the area of agriculture, the biggest obstacle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 intra-regional FTA. For individual countriesin the region, they should take a more positive action to facilitate restructuring of less competitive industries than other areas. In addition, there should be a consensus on the scope of participation in the EAFTA and relationships with other countries outside the region like the US. Although the scope of an EAFTA will first include the ASEAN plus three, which groups ASEAN with Korea, China and Japan, the settlement should be made about its relationships with the US, Oceania, and India which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economy and security of the East Asian region. There are substantial political and economic obstacles standing in the way of realizing EAFTA. Politically, the perception of a common destiny and regional identity has not been fully developed in East Asia Mistrust between China and Japan, arising from historyand the emerging rivalry for Asian leadership, may be difficult to overcome in the immediate future. Economically, because of the wide differences in development levels and different ambitions for liberalization, the regional countries will want to open up at different paces and protect different sensitive sectors. These are difficult challenges. But judging from the experience of regionalism elsewhere, they should not be insurmountable. 최근 동아시아지역 내에서는 경제적 밀접도가 점점 높아가고 있다.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룩한 중국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지역 내 국가들은 역내 거래 비중이 높아지고 있고, 투자 또한 그 동안 중국에 집중 되었지만 최근에는 중국에서 탈피, 여타 ASEAN 국가로의 투자도 확대되는 추세이다. 동아시아 지역은 또한 현재 세계 어느 지역보다도 양자간 자유무역협정 (FT A: Free Trade Agreement)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그리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역내 양자간 FTA를 바탕 으로 동아시아 전체를 하나로 묶는 FTA. 즉 동아시아 자유무역협정 (EAFTA: East Asia Free Trade Agreement)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2008년쯤이면 EAFTA가 실현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EAFTA가 실현된다면 그 경제 규모는 현재 NAFTA를 능가하는 수준이며, 그 파급효과도 매우 클 것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지금의 동아시아 역내 국가 간의 FTA가 EAFTA로 확대 발전될 수 있을 지에 대해서는 쉽게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왜냐하면 지금까지 제시되고 있는 ASEAN 통합 모델을보면 자유화 정도나 그 포괄범위가 상당히 낮은 수준이어서 EAFTA로 이어지기에는 매우미흡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EAFTA는 결국 중-ASEAN, 일-ASEAN, 한-ASEAN이 체결되고 여기에 한 일, 한-중과 함께 중-일이 통합되는 것이 더 현실적일 것이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양자간 FTA가 EAFTA의 기반이 되어야 하고, 더 나아가 「아시아공동체」구축의 출발점이 되려면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우선 현재 진행되고있는 양자간 FTA는 한 층 더 높은 수준의 FTA되어야 하고, 동시에 각 FTA 상호간의 정합성을 제고시켜야 한다. FTA 대상에 상품자유화 뿐만 아니라 서비스, 투자, 지적재산권, 경쟁정책, 경제협력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합할 필요가 있으며, 상풍 및 서비스 분야의 자유화 수준 또한 예외를 최소한으로 하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또한 현재 동아시아 내에서는 국가별 소득 수준의 차이가 심하고 산업구조도 상이하여 단순한 수평적 결합으로는 높은 수준의 FTA체결이 어렵다. 저개발국가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이나 역내 FTA 체결에 가장 큰 걸림돌인 농산물 분야에서 상호 공존 방안도 찾아야 할것이다. 국가별로는 취약한 산업분야에 대한 구조조정 추진에 보다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그리고 EAFTA 참여 범위와 향후 미국 등 역외국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합의가 이뤄져야할 것이다. EAFTA의 범위가 우선적으로는 ASEAN+3이 되겠지만 경제적으로나 안보적으로나 동아시아에 영향력이 큰 미국, 대양주, 인도 등에 대한 관계도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EAFTA를 실현하는 데에는 현실적인 정치적, 경제적인 장애물도 있다. 정치적으로는 동아시아내 국가들은 아직 공동 목표와 지역적 동질성에 대한 인식이 충분하게 성숙되지 않은 상태이다. 역사 문제와 아시아 리더에 대한 라이벌 의식에서 야기되는 중국과 일본 간의 불신도 가까운 장래에 극복되기 어려울 것이다. 경제적으로는 동아시아 국가들 사이에 경제적 발전 수준이나 자유화 요구 수준이 크게 차이가 나고 있어 이들 각국이 원하는 개방 속도나 민감 분야가 국가별로 크게 다를 수 있다 이처럼 EAFTA 실현에는 많은 어려운 과제들이 많지만, 여타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지역주의를 감안한다면 이런 과제들은 반드시 극복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