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동아시아의 지역주의와 경제통합의 전망

        김창수 동아대학교 동아시아연구원 2004 동아시아 : 비교와 전망 Vol.2 No.-

        1990년대에는 세계화,아메리카와 유럽의 지역주의,WTO의 출범 등 범세계적 국제무역 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동아시아 지역에서 역내국간 국제경제관계가 이전보다 한층 심화되었다. 1997-98년 동아시아 금융통화위기를 경험하고 2001년 말부터는 도하 라운드(Doha Development Agenda)가 시작됨에 따라 동아시아 각국은 지역주의에 대한 입장을 정리하고 동아시아 지역경제통합을 다양한 형식으로 모색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이 논문은 동아시아에서 지역주의를 지향하는 움직임이 대두하게 된 배경을 외부적 환경변화와 동아시아 역내 국제경제관계의 변화라는 관점에서 검토하고 동아시아 지역경제통합에 관한 최근의 논의와 가능성을 평가한다. 그리고 동아시아의 방어적 지역주의와 경제통합의 전망을 2002년 11월 프놈펜에서 개최된 ASEAN+3정상회의에서 공식화한 중국, 일본 및 ASEAN간의 ASEAN+1FTA 논의와 관련하여 재평가해 본다. The 1990s witnessed a sea change in global economic environment: the galloping globalization, the conclusion of the Uruguay Round and the launch of WTO, and the surge of regionalism, among others, in terms of NAFTA and European Union. At the same time, international economic relations among countries in East Asia have been deepening at an accelerating pace in the 1990s. The East Asian currency-financial crisis brought home the countries in the region the fact that they are in effect on the same boat, against the aggressive waves of FTAs pushed by the United States and the ever enlarging European Union.The ongoing Doha Development Agenda started in 2001 provided a further motive for the East Asian countries to get together and look for ways to institutionalize the functional economic integration achieved in the 1990s. The ASEAN+3 summit provided a good opportunity for China, Japan, Korea and the ten ASEAN countries to discuss the regional issues and grope for many forms of institutionalizing their regional economic cooperation and integration. Roads ahead seem not so smooth given the present economic relationship yet to be settled between the two key players, that is, China and Japan. ASEAN-China FTA is being negotiated and the Japan-ASEAN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talk has been going on. It seems that they are still talking multilateral but acting bilateral, while the United States announced an offer for FTA with ASEAN countries, the Enterprise for ASEAN Initiative in 2002. Yet, the prospect for a further economic integration of the East Asian countries is by no means pessimistic, if we could extend our time horizon to the order of decades, considering the half-a-century European experience leading to the European Union.

      • 동아시아 금융협력의 특징과 전망

        박성빈 동아대학교 동아시아연구원 2006 동아시아 : 비교와 전망 Vol.5 No.-

        동아시아 지역은 종래 지역경제협력에 대한 움직임이 활발하지 못한 지역으로 분류되었지만. 1997년 금융위기 이후 동아시아 지역 각국은 지역경제협력의 필요성에 공감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금융협력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지역경제협력의 추진 배경과 특징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동아시아 지역의 금융협력의 필요성은 우선 동아시아 지역 내 무역 및 투자의 증가라는 측면에서 논할 수 있으며 금융협력의 진전은 지역 내 무역, 투자의 활성화로 이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금융위기 이후 동아시아 지역은 금융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게 되지만. AMF 구상의 실패와 같은 좌절을 경험하였다. 동아시아 금융협력은 비상시의 유동성 공급 메커니즘, 채권시장의 활성화를 중심으로 추진되었으며 최근에는 ACU(Asia Currency Unit)와 같은 공통통화단위의 도입을 둘러싼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동아시아 지역에서 공동통화단위 (ACU)의 도입을 포함하는 높은 수준의 금융협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적지 않은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한편으로 동아시아 지역 내 무역, 투자 등의 증가라는 측면을 고려하면 동아시아 금융협력은 지역금융협력기구 및 ACU의 도입을 포함하는 높은 수준의 지역금융협력을 목표로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East Asia was conventionally classified as an area of inactive regional economic cooperation. However, since financial crisis in 1997, each country in East Asia sympathized with the need of economic cooperation of this region. This paper analyses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East Asian regionalism revolving around financial cooperation. The necessity of financial cooperation in East Asia can be discussed, in the first place, in terms of increase in trade and investment within the East Asia reg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progress in financial cooperation would give the boost to trade and investment in the area. After the financial crisis, East Asian region has pushed forward the financial cooperation. Nevertheless, the ideas such as AMF (Asia Monetary Fund) experienced frustration. East Asian financial cooperation has pushed ahead liquidity supply mechanism in an emergency and bond market activation and recently introduction of ACU (Asian Currency Unit) is being discussed. Many struggles are predicted in realizing high level of financial cooperation such as bringing in ACU in East Asia but 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increase of trade and investment in the region, the necessity itself of financial cooperation which includes the induction of ACU will grow in the future. Every country in East Asia needs to aim for higher level of financial cooperation covering induction of ACU and establishment of AMF while keep promoting the ways to strengthen liquidity supply mechanism and to activate bond market.

      • 동아시아 경제통합의 전망과 과제

        현오석 동아대학교 동아시아연구원 2006 동아시아 : 비교와 전망 Vol.5 No.-

        Economic relations of countries within the East Asian region have been getting stronger in recent years. With China that has achieved rapid economic growth as a central force, countries in the East Asian region have increased the share of intra-regional trade in their trade. On the investment front, for some years, intra-regional investment was mostly concentrated on China. However, in recent years, East Asian countries have been actively looking for more investment opportunities following China. The East Asian region is also more actively working on bilateral Free Trade Agreements(FTAs) than any other continent on the globe. Countries in this region have shown a great interest in establishing an East Asia Free Trade Agreement(EAFTA) bringing the whole East Asian region into a single economic zone based on current regional FTAs. There is an expectation that an EAFTA may be realized by 2008. If an EAFTA was concluded, its economic scale would surpass that of the North Atrerican Free Trade Agreement (NAFTA) and resulting effects would be much considerable. However,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that an EAFTA would be created by simply integrating various regional or bilateral FTAs to form a single economic community. The degree and scope of liberalization in the ASEAN integration model that has been suggested so far has turned out to be not enough to lead to an EAFTA. Therefore, it is more realistic that an EAFTA can be eventually materialized through establishing a China-ASEAN FTA, Korea-ASEAN FTA and Japan-ASEAN FTA, to which a Korea-Japan FTA, Korea-China FTA and China-Japan FTA are added.Bilateral FTAs which are now underway should serve as a foundation in creating an EAFTA. Furthermore, if these bilateral FTAs were to serve as a springboard in establishing an Asian economic community, there are a lot of obstacles to be tackled before achieving that goal. First of all, bilateral FTAs that are currently underway should be developed into more comprehensive ones. Simultaneously, mutual conformity of each individual FTA should be enhanced. In addition, the scope of FTA negotiations should include not only liberalization of commodities, but also a wide range of areas such as services, investment,intellectual property rights, competition policies, and economic cooperation, etc. What'smore, there must be more efforts to reduce the length of exception list in the liberalizationof commodities and the service sector. As there is an enormous gap in the national income among countries in the East Asian region and they have different industrial structures, it would not be easy for a simple horizontal integration to help achieve such a comprehensive FTA down the road. Therefore, it will be desirable to provide assistance programs for underdeveloped countries and to find a way for a mutual existence in the area of agriculture, the biggest obstacle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 intra-regional FTA. For individual countriesin the region, they should take a more positive action to facilitate restructuring of less competitive industries than other areas. In addition, there should be a consensus on the scope of participation in the EAFTA and relationships with other countries outside the region like the US. Although the scope of an EAFTA will first include the ASEAN plus three, which groups ASEAN with Korea, China and Japan, the settlement should be made about its relationships with the US, Oceania, and India which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economy and security of the East Asian region. There are substantial political and economic obstacles standing in the way of realizing EAFTA. Politically, the perception of a common destiny and regional identity has not been fully developed in East Asia Mistrust between China and Japan, arising from historyand the emerging rivalry for Asian leadership, may be difficult to overcome in the immediate future. Economically, because of the wide differences in development levels and different ambitions for liberalization, the regional countries will want to open up at different paces and protect different sensitive sectors. These are difficult challenges. But judging from the experience of regionalism elsewhere, they should not be insurmountable. 최근 동아시아지역 내에서는 경제적 밀접도가 점점 높아가고 있다.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룩한 중국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지역 내 국가들은 역내 거래 비중이 높아지고 있고, 투자 또한 그 동안 중국에 집중 되었지만 최근에는 중국에서 탈피, 여타 ASEAN 국가로의 투자도 확대되는 추세이다. 동아시아 지역은 또한 현재 세계 어느 지역보다도 양자간 자유무역협정 (FT A: Free Trade Agreement)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그리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역내 양자간 FTA를 바탕 으로 동아시아 전체를 하나로 묶는 FTA. 즉 동아시아 자유무역협정 (EAFTA: East Asia Free Trade Agreement)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2008년쯤이면 EAFTA가 실현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EAFTA가 실현된다면 그 경제 규모는 현재 NAFTA를 능가하는 수준이며, 그 파급효과도 매우 클 것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지금의 동아시아 역내 국가 간의 FTA가 EAFTA로 확대 발전될 수 있을 지에 대해서는 쉽게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왜냐하면 지금까지 제시되고 있는 ASEAN 통합 모델을보면 자유화 정도나 그 포괄범위가 상당히 낮은 수준이어서 EAFTA로 이어지기에는 매우미흡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EAFTA는 결국 중-ASEAN, 일-ASEAN, 한-ASEAN이 체결되고 여기에 한 일, 한-중과 함께 중-일이 통합되는 것이 더 현실적일 것이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양자간 FTA가 EAFTA의 기반이 되어야 하고, 더 나아가 「아시아공동체」구축의 출발점이 되려면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우선 현재 진행되고있는 양자간 FTA는 한 층 더 높은 수준의 FTA되어야 하고, 동시에 각 FTA 상호간의 정합성을 제고시켜야 한다. FTA 대상에 상품자유화 뿐만 아니라 서비스, 투자, 지적재산권, 경쟁정책, 경제협력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합할 필요가 있으며, 상풍 및 서비스 분야의 자유화 수준 또한 예외를 최소한으로 하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또한 현재 동아시아 내에서는 국가별 소득 수준의 차이가 심하고 산업구조도 상이하여 단순한 수평적 결합으로는 높은 수준의 FTA체결이 어렵다. 저개발국가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이나 역내 FTA 체결에 가장 큰 걸림돌인 농산물 분야에서 상호 공존 방안도 찾아야 할것이다. 국가별로는 취약한 산업분야에 대한 구조조정 추진에 보다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그리고 EAFTA 참여 범위와 향후 미국 등 역외국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합의가 이뤄져야할 것이다. EAFTA의 범위가 우선적으로는 ASEAN+3이 되겠지만 경제적으로나 안보적으로나 동아시아에 영향력이 큰 미국, 대양주, 인도 등에 대한 관계도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EAFTA를 실현하는 데에는 현실적인 정치적, 경제적인 장애물도 있다. 정치적으로는 동아시아내 국가들은 아직 공동 목표와 지역적 동질성에 대한 인식이 충분하게 성숙되지 않은 상태이다. 역사 문제와 아시아 리더에 대한 라이벌 의식에서 야기되는 중국과 일본 간의 불신도 가까운 장래에 극복되기 어려울 것이다. 경제적으로는 동아시아 국가들 사이에 경제적 발전 수준이나 자유화 요구 수준이 크게 차이가 나고 있어 이들 각국이 원하는 개방 속도나 민감 분야가 국가별로 크게 다를 수 있다 이처럼 EAFTA 실현에는 많은 어려운 과제들이 많지만, 여타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지역주의를 감안한다면 이런 과제들은 반드시 극복되어야 할 것이다.

      • 東アジア共同体形成への夢と展望

        井出亞夫 동아대학교 동아시아연구원 2006 동아시아 : 비교와 전망 Vol.5 No.-

        글로벌 사회가 진전되고 있다. 동아시아 공동체의 형성도 이러한 움직임의 일환이며,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 속에서 역사 발전의 궤도를 바르게 진전시켜야 한다. 오늘날 동아시아공동체의 가능성을 부정하는 사림들은, 일찍이 유럽 의 평화와 번영을 기도한 범 유럽주의가 유토피아라고 불리며 EU의 형성이 순조롭게 진행되어 지고 있는 모습을 보면 좋을 것이다. 물론, 동아시아공동체 본연의 모습은 유럽과 다르며, 그에 대한 지적 정치적 국민발안제(initiative)등 많은 노력이 요구된다. 동아시아 공동체를 전망할 때, 각국에 존재하는 발전단계의 상이함과 이를 둘러싼 고유의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이를 인식하여 그 상이성을 인정·조정·극복을 하지 않으면 이 문제를 크게 발전, 진전 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동아시아공동체의 형성은 무역·관세·투자를 중심으로 한 연맹과 함께 경제건설 제도 설계를 포함한 EPA (경제 연맹협정)이어야 한다. 작년 2월 쿠알라 룸프르(Kuala Lumpur)에서 개최된 동아시아공동체를 둘러싼 아세안+ 한·중·일, 인도. 호주, 뉴질랜드의 수뇌회담은 동아시아공동체형성을 향한 의미 있는 선언 은 채택했다. 한일 양국은 그 문화, 역사에 있어서의 다양성을 공유하는 한편, 근대화의 접근에 있어서도 수많은 난관을 극복 하고, OECD 가맹국으로서 많은 가치를 공유하고 있다. 대부분의 아시아 국가들은 아직까지 건설 발전의 과정에 있고 한일 양국은 동아시아공동체형성에 있어 그 역사적 경험을 객관화하고 그 외의 아시아 국가들과 함께 나아가는 역사적 역할을 맡고 있다. The global society is progressing. Creating East Asian Community is a part of the movement. We have to follow a right course in human history. When you look at Europe, you would notice that it had opened a new page of its history by learning from thelesson of the two world wars and by building a pan. Those who deny the possibility of East Asian Community might as well look into the fact that the creation of United Europe, once considered as utopian, has come true. East Asian Community with its vision should be different from that of Europe, of course, and more political efforts and intellectual initiatives should be exercised. When we look at existing East Asian countries, we face differences of their developmental stages in respective countries in addition to institutional proble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kind of differences, admit them and try to make efforts to coordinate and overcome those differences. Without making such efforts we will not be able to develop and flourish our objectives. East Asian Community should be established not only through IT As but EPA which deal with economic and institutional development. The Summit meeting among ASEAN, Japan, Korea, China, India, Australia and New Zealand issued a significant statement on East Asian Community in Kuala Lumpur last December. Japan and Korea have lots of common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s. They share a common value as members of OECD by overcoming lots of difficulties in their modernization. Asian countries are still in their own phase of development. Therefore Japan and Korea have to play a historical role in building an Asian Community by examining their historical experiences including Japan's mistake of expansionism before the war.

      • 동아시아 지역 각 국가 헌정체제와 시민성 발전의 불균등성 고찰

        홍윤기(Yun-Gi Hong) 동서대학교(동아시아연구원) 2022 동아시아와 시민 Vol.1 No.-

        본고는 프랑스 혁명에서 제시된 <인간과 시민의 권리선언> 이래 최근까지 발전한 시민성 개념에서 추출한 ‘최적의 시민상태(OCS)’를 준거점으로 하여 동아시아 지역 5개국 즉 대한민국, 중국, 일본, 대만, 북한의 헌법들에서 자기 국가를 적용범위로 하는 ‘헌정체제’를 파악하고 그 안에 각기 이상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시민상태의 발전 양상과 시민성의 도달 수준을 분석해낸다. 이 작업을 통해 우선 각 국가의 헌법 안에 규정되어 있는 (특히 제국일본을 상대로 한 반제국주의 독립투쟁서 그 건국의 정당성 근거를 찾는) 인민주권의 의식내용과 그 행사 방식(OCS1)이 5개국별로 서로 부정합하고, 인민주권의 시민적 행사를 제약하고 있는 인민 이외의 외생 요인들을 적출하여 이런 요인들로 인해 동아시아 역내에서 시민 간 의사소통이 쉽게 난맥상에 빠질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런 점에서 대한민국과 대만은 시민적 인민주권이 국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절차적 과정이 비교적 순탄한 반면, 일본 헌법 안에는 제국체제의 퇴행적 권력이 잠복할 여지가 잔존하고, 중국 헌법은 ‘국가영역’에만 적용되는 인민주권의 상위에 ‘당(黨)영역’을 설정하여 국가를 전일적으로 통제하고, 북한 헌법은 “주체”의 가문이 북한 국가를 탄생시키고 북한 인민을 가족적으로 보살핀다는 가족주의적 전체주의를 명기하여 사실상 인민주권을 무화시킨다고 분석된다. 다시 말해서 중국에는 불완전한 시민만 존재하고, 북한에는 아예 시민적 실존 자체가 없다. 이제 산업화와 민주화의 긴 여가적 과정 속에서 어느 정도 ‘발전된 시민성’을 획득하게 된 대한민국 시민이 대한민국 국가의 능력으로 동료시민은 물론 타국의 시민이 자기 나라와 건전한 시민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정신적·물질적 생활의 재화를 공급하고 풍부한 삶의 의미를 시연함으로써 동아시아 현대사에서 역사적으로 확보하는 데는 실패해 왔던 역내(域內)-시민간(市民間)-정치적-공감을 문화적 차원에서 획득함으로써 누천년간 동아시아 지역의 정치적 안정을 보장하는 것으로 입증된 한·중·일의 지정학적 세기둥(三柱)체제를 복원할 수 있는 전망을 제시해 보았다. 결국 앞으로 핵심은 대한민국 국내와 동아시아 역내에 탄탄하게 확보된 경제 역능을 도덕적이고도 문화적인 상호애정의 영향력으로 승화시키는 것이다.

      • 루쉰 사상과 동아시아 시민학

        서광덕(Seo, Kwang Deok) 동서대학교(동아시아연구원) 2023 동아시아와 시민 Vol.3 No.-

        글로벌리즘의 대두 이후 국민국가를 상대화하려는 움직임이 강화되는 가운데 등장한 것이 ‘시민’이다. 종래의 ‘국민’과 ‘인민’이란 개념을 대신하여, 국가뿐만 아니라 지구적 차원에서 교류와 연대의 주체로서 시민이 주목받고 있다. 한국을 비롯하여 동아시아 지역에서도 시민 또는 시민활동이 활발해지고 있고, 또 시민단체들 간의 네트워크도 형성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이론적 천착은 다소 부진하다. 그리고 ‘세계시민’, ‘세계시민교육’이라는 말이 회자되고 있는데, 동아시아적 맥락에서 시민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검토가 필요하지 않을까 하는 문제의식을 갖고 루쉰을 소환해서 논의하였다. 곧 루쉰을 동아시아 그리고 시민(성)과 연결하여 오늘날 시민의 자리가 무엇인지를 검토하는 사상적 자원으로 삼아 보려고 하였다. After the rise of globalism, “citizens” emerged amid a strengthening movement to relativize the national state. Instead of the conventional concepts of “people(國民)” and “people(人民)”, citizen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subjects of exchange and solidarity not only at the national level but also at the global level. Citizens or civic activities are becoming active in East Asia, including Korea, and networks among civic groups are also being formed, but the theoretical fixation on this is somewhat sluggish. In addition, the words “world citizens” and “world citizenship education” are being talked about, and Lu Xun(魯迅) was summoned and discussed with a sense of the problem that a theoretical and practical review of citizens is needed in an East Asian context. It was intended to connect Lu Xun with East Asia and citizens (gender) to use it as an ideological resource to examine what the seat of citizens is today.

      • アメリカ発世界金融危機の東アジア経済成長トライアングルと日韓経済協力への影響

        Testuo Abo 동아대학교 동아시아연구원 2008 동아시아 : 비교와 전망 Vol.7 No.1

        본 논문은 일․한경제협력의 불가피성과 객관적인 가능성을 분석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아래에서는 다음의 세 가지가 중점적으로 논의된다. (1) 현재의 미국발 세계금융위기는 매우 역동적으로 세계로 파급되고 있다. 여기서 강조하고 싶은 것은 현재의 위기는 미국의 주택거품에서 촉발된 단순한 금융위기가 아니며 역사적인 매우 심각한 위기이다. 이러한 위기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구조적인 문제와 단기간에 해결되기 어려운 문제들을 포함하고 있다: a) 팍스 아메리카나의 붕괴이후 국제레짐에서의 불안정성, b) 보다 심각하게는, 세계적 차원의 천연자원의 공급부족에서 기인하는 생존위기이다. 천연자원의 공급위기는 에너지와 자원의 부족과 같은 경제문제뿐만 아니라 대기, 해양, 토양오염과 같은 환경문제도 유발한다. 이러한 문제들은 오는 20년 이내에 인간의 힘으로 극복하기가 쉽지 않을 정도로 매우 심각하다. (2) 금융위기는 1980년대 동아시아지역에서의 경제기적의 근본적인 요인 중의 하나였던 ‘동아시아 성장 트라이앵글’의 역사적 발전과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성장 트라이앵글은 동아시아지역으로부터의 수출의 ‘마지막 완충기’의 역할을 한 미국의 막대한 수입에 의존해왔기 때문에, 현재 매우 심각한 지속적 발전의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동아시아지역 내에서의 상호의존적인 무역 삼각구도로의 새로운 방향전환을 목도하고 있다. (3) 끝으로 강조하고 싶은 것은 일․한 FTA협상의 역할과 중요성, 그와 관련된 전 동아시아 경제통합이다. 그것을 위하여 일-한-중의 경제협력은 매우 중요한 전제조건 중의 하나가 될 것이다. In this paper, on the topic of the present urgent inevitability and objective possibility of the Japanese-Korean economic cooperation, I am going to analyze and discuss the following three points. (1) The current world financial crisis arising from the United States and dynamically spreading worldwide. Here, it is particularly emphasized that the present crisis is not simply financial one caused by the housing bubble in the US but historically more serious one that includes two more structural and difficult problems to be solved in a short period of time, that is, a) interregnum type instability in the international regime after breakdown of the Pax-Americana and, more critically, b) a globe-dimension survival crisis revealed by the supply neck of natural resources in the earth which is raising not only the economic problems such as energy and resources shortage but also the environmental crisis such as contamination of air, ocean and soil. These problems must be so profound that it would not be so easy for human being to overcome them in a couple of decades. (2) The influence of the financial crisis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changes in the ‘East Asian growth triangle’which has been one of the most fundamental factors for the miraculous economic development in this region since the 1980s. As the growth triangle has been so largely depended on the huge imports of the US as the ‘final absorber’of exports from East Asian region that type of growth is so seriously facing its sustainability. On the other hand, however, we can see a new changing direction toward the interdependent trade triangle within East Asian region. (3) Finally, in summing up the above two, the present-day role and significance of the Japanese-Korean FTA negotiation and, in relation to that, the prospect of the overall East Asian economic integration, for which the Japanese-Korean-Chinese economic cooperation shall be one of its important prerequisites.

      • 중국 만주족 살만교에 대한 근대 담론의 변화와 현황 ― 길림성 석씨 살만교 사례연구

        문혜진(MUN, HEAJIN) 동서대학교(동아시아연구원) 2023 동아시아와 시민 Vol.3 No.-

        도리이 류죠의 혼합민족설에 따르면, 조선의 솟대와 몽고의 오보·만주의 신간·일본의 도리이가 동일한 기원으로 동아시아의 태양 숭배 문화권을 나타내는 것이라 하였다. 그리고 이 언설은 일제의 태양신이자 황조신인 아마테라스 숭배가 고대로부터 이어온 전통문화라는 언설로 귀결되며, 일제의 대동아공영권을 뒷받침하는 담론으로 활용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도리이 류죠, 아키바 다카시와 같이 일제 인류학자들의 동북아시아 소수민족지를 통해 혼합민족설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나서 이 글은 2016년 길림성 만족 석씨 살만교의 현지조사를 통해, 중국 공산주의체제 전후의 만족 살만교를 한국의 무속과 비교하여 그 특수성을 고찰할 것이다. 본 연구는 동아시아 민족의 ‘동화’의 언설의 도구로서의 ‘동아시아 샤머니즘’ 담론의 실체를 밝히는 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Torii Ryujo’s theory of mixed ethnicity of Japanese, Sotdae in Joseon, Obo in Mongol, Shinkan in Manchu, and Torii in Japan have the same origin and represent the sun worshiping culture of East Asia. And this discourse resulted in the logic that the worship of Amaterasu, the sun god and emperor god of the Japanese Empire, is a traditional culture that has been passed down from ancient times, and was used as a discourse to support the Japanese empire’s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examine Japanese colonial period’s theory of the same ethnicity through Torii and Akiba’s ethnographies of Northeast Asian ethnic groups. And then this paper will illustrate a fieldwork of the Manchuria Seok clan in Jilin Province in 2016 and reveal its peculiarity.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in revealing the reality of the discourse of ‘East Asian shamanism’ as a tool for the discourse of ‘assimilation’ of East Asian peoples.

      • 『중국문화의 심층구조』 비판

        박선화 동아대학교 동아시아연구원 2007 동아시아 : 비교와 전망 Vol.6 No.1

        현재 중국은 세계화로 나아가는 과도기에 놓여있다. 그러한 길목의 중국이 아픔을 겪고 있음은 여러 가지 상황에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혁개방 이후 생겨나는 많은 문제점, 그 중에서도 군조직의 당에 대한 예속, 권력과 노동의 정의롭지 못한 관계, 권력의 상호견제가 불가능한 집중, 경제성장에 상응하는 민주의 법적 제도적 장치의 결락과 이로 인한 부패의 만연 등이 그것이다. 중국의 깊은 곳에 자리 잡고 있는 문화를 개선하지 않는 한 중국은 더 많은 아픔들을 겪어야만 할 것이다. 그러나 젊은 중국인들이 보여주고 있는 근대인으로서의 모습은 중국이 세계화를 이루어 더욱 넓은 안목과 개성을 지닌 중국인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반영하기도 한다. 현재 세계화로 나아가는 중국의 모습은 비단 중국이라는 한 나라의 모습이기 보다는 동아시아 여러 나라의 모습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도 완벽한 세계화를 이루어내지는 않았다. 한국 역시 ‘二人’대응관계, 즉 유교의 영향을 받은 나라로서 많은 모습이 중국과 닮았다. 이 연구를 통해 중국만의 문제와 대안점을 바라볼 것이 아니라 한국의 문제와 대안점도 같이 생각해 볼 만하겠다. China has been in the transition period to be internationalized at the present time. It has suffering various pains as the rite of passage. However, those pains are worth for China's young generation themselves will have more wide vision and individuality. By this book, emotional approach which reflects superficial judgment, arrogant attitude has to be rationally criticized and accurately analyzed. Moreover, there is no doubt that we need to be fully prepared to meet China which is closely related with us historically, literally and academically for the distant future.

      • 주민자치센터 운영활성화 방안 연구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박범규 동아대학교 동아시아연구원 2008 동아시아 : 비교와 전망 Vol.7 No.1

        본 연구는 부산시의 주민자치센터를 중심으로 운영의 현황을 파악하고, 전담공무원, 주민자치위원, 강사 등의 의식조사를 통하여 요구를 파악하고, 그들의 요구에 맞는 현실적인 주민자치센터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시 16개 구·군의 223개 주민자치센터의 당사자인 담당공무원, 주민자치위원, 강사, 이용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 주민자치센터의 재원부족, 프로그램의 세분화 및 전문화의 부족, 주민자치위원회 전문성과 대표성의 한계, 프로그램의 편중성과 같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으로 첫째, 주민들의 자치역량을 제고하기 위해 주민참여형 사업추진, 동호회·동아리 활성화, 지역복지 및 진흥 프로그램의 활성화이며, 둘째, ‘주민자치위원회’의 활성화를 위하여, 자치위원에 대한 역량강화교육 및 주민자치발전협의회 구성, 자치위원 조직 및 구성의 다양화이며, 셋째, 지역자원을 이용한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 공공기관, 각급학교, 복지관, 자원봉사센터, 각 도서관 등과 같은 지역 내 유관시설과의 협력을 위한 지역 네트워크 형성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operation realities of the resident autonomy centers in Busan Metropolitan City in terms of their roles and operations and to propose some activation plans which help enhancing the role of the residents autonomy centers. The study has adopted survey research methods intended for the diverse members of resident autonomy committee, center using residents, and the officials in charge.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inancial resources of autonomy centers are not sufficient for their efficient operations. Second, programs for self-participating and governing are not sufficient, and professionalization of programs is racking. Third, the representation of committee members of the resident autonomy centers is problematic. This paper suggests some incremental and concrete operation schemes to help strengthening the original roles of resident autonomy centers. Especially, the paper suggests that the centers have to reinforce the functions of members of the resident autonomy board and to construct a cooperative local networks which provide the resident autonomy center with necessary facilities and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