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SiNx/Si 구조를 이용한 SiC 박막성장

        김광철,박찬일,남기석,임기영,Kim, Gwang-Cheol,Park, Chan-Il,Nam, Gi-Seok,Im, Gi-Yeong 한국재료학회 2000 한국재료학회지 Vol.10 No.4

        Si(111) 표면을 NH$_3$분위기에서 실리콘질화물(SiNx)로 변형시킨 후 탄화규소(silicon carbide, SiC) 박막을 성장하였다. 질화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SiC 박막 두께가 감소함을 관찰하였다. 또한 성장변수에 따라 SiC/Si 계면에서 결정결함인 틈새를 없앨 수 있었다. 100nm, 300nm, 500nm의 SiNx/Si 기판 위에 SiC 박막을 성장시켰다. 성장된 SiC 박막들은 모두 [111]면을 따라 성장되었고, SiC 결정들이 원주형 낟알로 성장되었다. SiC/SiNx 계면에서 void를 관찰할 수 없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SOI 구조의 산화규소를 SiNx로 대체함으로써 SiC 소자 제작에 응용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Silicon carbide(SiC) films were grown on modified Si(111) surface with a SiNx in the NH$_3$surrounding. Thickness of SiC films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of the nitridation time. Also, voids having crystal defects were removed at interface of SiC/Si according to growth parameters. SiC films were grown on SiNx/Si substrate of 100, 300 and 500nm thickness. SiC films were deposited along [111] direction and columnar grains of SiC crystal. The void-free film was observed in the interface of SiC/SiNx. This result suggests that fabrication of SiC devices are applied to SiNx replacing silicon oxide in SOI structure.

      • KCI등재

        기획논문 : 『국역 고려사』 완간의 의미와 활용 방안 ; 『고려사』의 간행 유통과 동아대 소장 『고려사』판본의 특징

        김광철 ( Gwang Cheol Kim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2 石堂論叢 Vol.0 No.54

        조선 문종 1년에 편찬이 완료된 『고려사』는 단종 1년 4월경에 처음으로 인출되었다. 그러나 그 인출 규모가 소량인데다 궁궐에만 보관됨으로써, 이후 추가 인쇄와 반포 요구가 이어졌다. 『고려사』의 반포는 상당 기간 유보되다가 성종 초에 을래자본 『고려사』가 간행되면서 비로소 반포되었다. 조선 성종대 이후 『고려사』는 관료와 지식인 사회에 널리 유통되었다. 성종 5년부터 『고려사』는 경연 자료로 채택되었으며, 현안 문제를 논의하는 데에도 자주 활용되었다. 지식인 사회에서 ``『고려사』읽기``가 확산되는 가운데, 개인적으로 『고려사』를 소장하는 등 민간에 유통되기 시작하였다. 광해군 4년 경에는 목판본 『고려사』가 간행되어 지속적으로 인출됨으로써 민간 유통을 더욱 확산시킬 수 있었으며, 17세기 이후 지식인사회에서 『고려사』를 연구하고 이를 자신의 저작에 활용하는 등 그 이해의 폭이 넓혀지고 있었다. 이같은 분위기 속에서 『고려사』를 텍스트로 하여 수정, 보완하거나 개편하는 작업도 시도되어 안정복의 『동사강목』과 같은 역작이 나타날 수 있었다 조선말에 이르기까지 『고려사』판본의 유통 확대와 그에 대한 폭넓은 이해는 『고려사』판본을 현재까지 남겨 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던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현재 국내외에서 확인되는 『고려사』판본은 80여 종에 이른다. 그러나 대부분 결본이고 완질의 『고려사』판본은 동아대학교 소장본을 포함하여 5종에 지나지 않았다. 동아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목판본 『고려사』는 75책의 규모인데, 2권1책을 기준으로 하여 지와 열전의 경우 그 일부를 1권 1책이나 3권 1책으로 묶은 결과이다. 동아대본 『고려사』는 서울대 규장각 소장의 목판본 『고려사』85책과 동일한 판본이다. 다만 규장각 소장본에 비해 자면이나 계선에서 나뭇결의 터짐 현상 혹은 탈락 현상이 더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인출 시기가 늦은 후쇄본이거나 보관과 유통과정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목판본 『고려사』에서는 오탈자가 확인된다. 오탈자가 많게 된 것은 편찬 당시 초고에서부터 초간본을 저본으로 한 을해자본의 출현, 그리고 을해자본을 저본으로 복각 목판본을 간행하는 과정에 이르기까지 누적된 결과라 할 수 있다. 목판본 『고려사』에 오탈자가 많다 하더라도 그 수량은 『고려사』 판본의 갖는 가치를 훼손하지는 않을 것이다. Koryo History(『高麗史』) whose compilation had been finished in the first year of King Moonjong was firstly introduced around April in the first year of King Danjong in the Chosun Dynasty. However, a small quantity was publicized inside palace only, which caused a request of its additional printing and publicizing. It was not until the earlier years of King Seongjong that the circulation of Koryo History was distributed with its publication in type of Eulhae(乙亥) letter after reserving its distribution for a long time. Koryo History had been a wide circulation in the society and bureaucrats and intellectuals since the time of King Seongjong. It had been adopted as a reference text for contests since the fifth year of King Seongjong and frequently used in the discussion of current issues. Reading Koryo History spread in the intellectual society and quite a few people owned it individually. Ultimately it began to be distributed in the reading public at large. In the fourth year of King Gwanghae its wood block books were printed in quantity continuously and this made their gradual public distribution possible. Since the 17th century intellectuals had conducted their research concerning Koryo History and used many quotations from it in their writing . Many began to understand it in this way. In this environment the attempt was commenced to revise or supplement it adopting Koryo History as text and as a result a masterpiece like Jeongbok Ahn`s Dongsagangmok(『東史綱目』) could be published.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expanding the distribution of Koryo History and the broad understanding of it up to the end of Chosun Dynasty period served as momentum for inheriting it to this day. There are 80 editions of Koryo History home and abroad these days. But most of them are missing volumes and only 5 complete sets of works exist including one owned by Dong-A University (hereinafter the DAU Book of Koryo History). The DAU Book of Koryo History printed frorn woodblocks is compiled into 75 volumes, combining some of Ji(志) and Yeoljeon(列傳) into a book in one volume or a book in three volumes. The DAU Book of Koryo History is the same book as one in 85 volumes owned by Gyujangkak(奎章閣), Seoul National University, but it has more cracking and falling off grains in typefaces and lines compared with one owned by Gyujangkak. They were caused by carelessness in the process of distribution and it proves that the DAU Book of Koryo History was printed later than one owned by Gyujangkak. It is confirmed that quite a few misprints and omitted words are found in Koryo History printed from woodblocks. This resulted from the fact that missing and omitted words had been increased in the process of publication from the first edition to Eulhae letter edition and to final carving edition in woodblocks. However quite a few misprints and omitted words there are found in Koryo History printed from woodblocks, they limit to only a small number among 800 thousand words in all. In conclusion, it is firmly believed that this never diminishes Koryo History printed from woodblocks in value.

      • KCI등재

        고려 초기 실록 편찬

        김광철 ( Gwang Cheol Kim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3 石堂論叢 Vol.0 No.56

        고려시대에도 조선왕조실록과 마찬가지로 역대 실록이 편찬되고 있었다. 현종대 황주량이 찬집한 7대실록에서부터 조선건국 후 태조대에 편찬한 공민-공양왕실록에 이르기까지 고려왕조실록이 구비되어 있었다. 이들 고려왕조실록은 『고려사』 편찬 당시까지 남아 있어 『고려사』 편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었다. 황주량의 7대실록은 태조에서 목종대까지 7대의 실록을 한꺼번에 편찬한 것으로, 고려 최초의 실록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7대실록은 거란 침공에 따라 궁궐에 보관 중이던 서적이 모두 소실됨으로써, 그 수습 복구 차원에서 왕명으로 편찬되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것이 고려 최초의 실록이었는지 의문이다. 단편적으로 전하는 『태조실록』의 기사를 검토하고, 목종대까지 『고려사』의 왕대별 기사의 양을 비교 분석한 결과, 황주량의 7대실록은 고려 최초의 실록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7대실록은 그 이전에 이미 편찬된 태조대에서 경종대에 이르는 5대실록이 소실되었거나 흩어짐으로써 이를 다시 수집 편찬하고, 여기에 『성종실록』과 『목종실록』을 최초로 편찬하여 이를 합쳐 이렇게 부른 것이다. 경종대에 이르는 5대실록은 성종대에 수찬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사관으로 활동했던 인물의 등장은 광종대부터 확인되지만, 이 시기에 실록 편찬이 이루어지기는 어려웠을 것이고 성종대가 가장 실록 편찬에 적합한 시기였다. 성종대에 사관의 활동이 자주 보이고, 중국과의 교류를 통해 중국에서 실록 등 사서 편찬 정보도 많이 확보하면서 고려실록의 편찬 작업을 구체화 했던 것으로 보인다. 성종대 실록 편찬작업이 완료된 시기는 확인할 수 없으나, 대체로 성종 13년 경이 아닐까 추정된다. Successive chronicles had been compiled in the Koryo era like The True Record of the Choson Dynasty. These True Records of the Koryo dynasty had existed until the compilation of Koryo History『高麗史』 and used as database for compiling Koryo History. Seven Chronicles(七代實錄) edited by Hwang Juryang(黃周亮) is considered the first true record of Koryo dynasty. However, it is open to question whether the chronicle is the first record of Koryo dynasty or not. Because the original version in court for safekeeping was destroyed by fire on account of the Kitan invasion and later it was compiled by royal order for the purpose of its restoration.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descriptions in the true record on Taejo(太祖) of which fragmentary documents only were handed down among Seven Chronicles and to compare the quantity of descriptions classified by kings in Koryo History until king Mokjong(穆宗). As a result, it is proved that there is a sharp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Seongjong reign. This means that Seven Chronicles consists of Five Chronicles(五代實錄) which had already been compiled before king Seongjong(成宗), the true record concerning him which had been compiled in the Hyeonjong reign and the true record on Mokjong.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Seven Chronicles edited by Hwang Juryang is not the first true record of Koryo dynasty. Five Chronicles is generally thought to be edited in the time of king Seongjong. It is guessed that the compiling chronicles of Koryo dynasty would be realized judging from the facts that chroniclers frequently did their jobs in the time of King Seongjong and that they obtained much information for compiling chronicles from China through interchange with her. It is not certain when the compiling project of Five Chronicles had completed, but the date is presumed around the thirteenth year in the reign of King Seongjong.

      • KCI등재

        고려시대 합포 지역사회

        김광철 ( Gwang Cheol Kim ) 한국중세사학회 2004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17

        Happo(合浦) County, representing today`s Masan, stems from Happo, the old Chinese name meaning a town with an honest and clean ruler since the Han dynasty. The change from Golpo(骨浦) to Happo, therefore, was a national wish to look for good politics of local governors as well as the happiness and security of people`s lives. In the troublesome transition from the late Unified Silla to the early Goryeo, regional restructuring was made. In the 9th year of King Hyeonjong, a massive system reshuffle made Happo belong to Geumju(金州). Even though no governor was sent to Happo County, a sacrifice storage named Seokduchang(石頭倉) was stationed there, serving as an important foothold of gathering sacrificial products. When Yuan`s rule was about to begin after a long war with Mongolia, Happo was the birthplace of Sambyeolcho(三別抄) struggle. As the villages in the southern coast at that time were already in the control of the Sambyeolcho, Happo was attacked three times owing to the help of the residents there. When Sambyeolcho struggle was at last suppressed, Happo was highlighted again as an advance base for Japanese expeditionby the Goryeo-Mongolia allied forces, in consideration of the blessed natural conditions, short direct distance to Japan, and the existence of the sacrifice storage. The conquest of Japan in two trials failed at all. Happo had to supply all the materials and facilities for the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f the injured soldiers returning from Japan. In short, Happo looked like a military city. Another shock to Happo was the invasion of Japanese pirates. Their raid left great damages to the residents, but this simply proved that Happo was an essential place of military importance. That is, southern territory was regarded as important as northern one in national defense. With the establishment of military headquarters soon, Happo came to act as a strategic point.

      • KCI등재

        『고려사』 판본과 그 간행 시기

        김광철 ( Kim Gwang Cheol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4 石堂論叢 Vol.0 No.59

        현재 국내외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사』 판본은 모두 80여 종 정도이다. 그 판종(版種)은 활자본인 을해자(乙亥字)본과 목판본 두 종류인데, 목판본 『고려사』는 을해자본을 저본으로 하여 복각한 것이다. 문종 1년 8월에 편찬을 완료한 『고려사』는 『고려사절요』와 함께 단종 1년 4월에 처음으로 간행되었다. 이 때 『고려사』의 인쇄는 소량에 그쳤고, 그것도 궁궐에만 보관하도록 하여 반포되지 않았다. 『고려사』초간본의 형태는 다만 세종대 이후 인쇄 경향과 『고려사절요』와 동시기에 간행된 점을 감안하면, 갑인자(甲寅字)본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 판식은 을해자본 『고려사』와는 달리 10행 17자의 행격을 유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사』는 간행되었지만, 반포되지 않음으로써 간행 직후부터 반포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계속 이어졌다. 이 같은 반포 요구에 따라 성종은 각종 사서(史書)를 을해자로 인쇄하는 과정에서 『고려사』의 인쇄와 반포를 약속했다. 이는 곧 실행에 옮겨져 성종 6년 말에서 7년초에는 을해자본 『고려사』가 빛을 보게 되었다. 을해자본 『고려사』가 간행됨으로써 경연 과목으로 널리 활용되고 민간 유통도 활성화되어 지식인 사회에서 고려사에 대한 인식을 심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그런데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전쟁으로 수많은 서적들이 소실되거나 흩어지는 가운데 『고려사』 또한 그 피해를 면치못했다. 전쟁이 끝난 후 광해군은 서적의 수집과 간행 등 문예 진흥책을 펼쳤는데, 서적의 간행은 주로 남아 있는 주자본을 저본으로 하여 목판본으로 복각하는 방안이 채택되었다. 『고려사』의 목판본 복각은 『용비어천가』, 『신증동국여지승람』 등과 함께 광해군 2년 말부터 시작되어 5년 9월 이전에 완료되었다. There are 80 editions of 『Goryosa(高麗史)』 in domestic and abroad library these days. Among them, 5 kinds of the book were printed with Eulhae metal type(乙亥字) and the rest of them were printed with woodblock printing(木板本). The woodblock printing 『Goryosa』 was recarved based on Eulhae metal type 『Goryosa』. 『Goryosa』 whose compilation had been finished in the first year of King Moonjong(文宗) was firstly published with 『Goryeosa- Jeolyo(高麗史節要)』 around April in the first year of King Danjong (端宗). Considering the printing methods since the age of King SeJong(世宗), we can assume that the first edition of 『Goryosa』 was published with Gapin metal type(甲寅字). And it`s lines and letters are form of 10 lines with 17 letters. The first edition of 『Goryosa』 was printed a small quantity. And It was housed inside palace only, which caused a request of its additional printing and publicizing. By these request of proclamation, King Seongjong(成宗) promised to print and distribute 『Goryosa』 as soon as possible. These pledges was carried into effect, Eulhae metal type 『Goryosa』 was published in the late sixth year and early seventh year of King Seongjong. 『Goryosa』 had been a wide circulation in the society of bureaucrats and intellectuals after print it using the Eulhae metal type. It had been adopted as a reference text for contests since the age of King Seongjong and frequently used in the discussion of current issues. While suffe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壬辰倭亂), so many precious books were burnt or scattered. Even the printed books of 『Goryosa』 was not immune. After the war, King Kwang- Hae(光海君) has done various works to promote literature and book acquisition. The work was cut on blocks and published based on the metal movable type prints. The woodblock printing 『Goryosa』 was printed in the fourth year of King Gwanghae.

      • KCI등재

        복고풍 신진사대부(新進士大夫)의 재현(再現) -현행 중학교 역사 교과서의 "신진 사대부" 서술 검토-

        김광철 ( Gwang Cheol Kim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5 石堂論叢 Vol.0 No.62

        현행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서 신진 사대부는 공민왕대 개혁정치와 관련하여 서술되고 있다. 그 내용은 9종 교과서가 비슷한데, 성장 시기는 공민왕대, 출신은 지방 향리나 하급 관리 자제, 사상경향은 성리학, 입사로는 과거, 외교노선은 친명 등으로 서술하고 있는 것이 그것이다. 새 교과서의 신진 사대부 서술 방식은 1970년대에 구축된 ‘신흥사대부론’을 수용한 것이며, 교과서 측면에서는 1990년대 판 국정교과서 『국사』(상)의 계통을 잇는 것이다. 2002년판 『국사』가 신진 사대부를 제한적으로 접근한 것과 비교하면, 새 교과서는 이를 발전적으로 이어 받은 것이 아니라 1990년대 판으로 회귀했다고 볼 수밖에 없다. 신진사대부의 범주 설정, 사대부층 형성 시기에 대해서 재검토가 요구되며, 사대부의 등장 시기에 대해서도 고려 말에만 머무를 것이 아니라 고려전기로 올려 서술하는 방법을 적극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e Publishing system of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 changed from a government designated system to a government-authorized system according to the history curriculum of the revised course of study in 2007. The current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 『History』①·② was described as focusing on the political history and cultural history. And it involves the various learning materials. This study has analyze the contents and explanations of Shinjin-Sadaebu in the current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 It has now been generally accepted that Shinjin-Sadaebu came from local clerical professions through passing the literary examinations. And they are thought to have become the Neo-Confucianism scholar and builder of the new Choson dynasty, rejecting the Buddhism. But understanding method of Shinjin-Sadaebu was trapped in the framework of Sinheung-Sadaebu theory(新興士大夫論) made in the `70s. Therefore, the categories and disposition of Shinjin-Sadaebu should be reviewed. And it must be set the Sadaebu(士大夫)`s formation time in early Goryeo.

      • KCI등재

        석당 정재환선생이 수집한 기록유산과 그 가치 - 특히 『고려사』 판본과 『고려대장경』 인경본의 가치를 중심으로 -

        김광철 ( Kim Gwang-cheol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7 石堂論叢 Vol.0 No.69

        동아대학교 고서 도서관 석당함진재에는 동아대학교 설립자 석당 정재환 총장이 수집한 고서들이 소장되어 있다. 이들 고서는 한국본, 중국본 등을 고루 갖추고 있으며, 주제별로는 경서를 비롯하여 『고려사』 등 사서, 해인사 팔만대장경 책판 등 불경, 법가를 비롯한 제자백가서 그리고 문집 등 다양한 주제의 고서들이다. 그 수량은 經部 556종 2,312책, 史部 1,175종 7,331책, 子部 2,014종 8,118책, 集部 2,005종 4,409책 등 모두 5,750종 22,170책에 달한다. 1950년대 말부터 시작되는 동아대학교의 고전에 대한 연구와 역주 사업의 전개는 대학이 수집한 고서가 상당 수준에 올라 있었던 데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고 고서의 수집과 정리작업을 활성화 하는 계기가 되었다. 석당선생의 수집한 기록유산의 가치를 『고려사』 판본과 『고려대장경』 인경본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고려사』는 『삼국사기』와 더불어 우리 나라 2대 정사의 하나이다. 동아대학교 소장 목판본 『고려사』는 보기드믄 완질의 판본으로, 『고려사』 139권을 75책으로 분책하여 15개 함으로 분류하고 있다. 책은 그 권 수를 일정량씩 묶은 것이기 때문에 책 수가 큰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분량과 내용을 고려하면서 요령있게 묶을 때 독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동아대본 『고려사』는 규장각 소장의 85책 태백산사고본과 대조해 본 결과, 그 광곽과 판심의 형태, 자형이 같은 모습이며, 오탈자가 동일하게 추출되고 있는 점도 동일한 판본임을 확인할 수 있다. 함진재 소장 고려대장경 인경본은 1963년 4월부터 1968년 9월까지 인출한 13질 가운데 1질이다. 동아대학교 소장 고려대장경 인경본의 가치는 고려대장경판이 갖는 본래의 가치와 인경과정과 방식에서 비롯된 가치 두 측면에서 엿볼 수 있다. 고려대장경은 현존하는 대장경판 가운데 최고의 정확한 대장경이다. 함진재 소장의 고려대장경 인경본에는 인경 당시의 각수 자료가 상당 부분 원형대로 인경되어 있어 원천자료를 보다 풍부하게 제공하고 있다. 특히 이들 각수 자료 가운데는 그들의 출신성분이나 발원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도 있어 고려대장경의 역사·문화적 실체와 성격을 보다 명확하게 밝힐 수 있었다. There are many ancient books in the Hamjinjae(函珍齋) of Dong-A University. The volume of books is 22,170 books of 5,750 kinds. These ancient books have collected by Jeong Jae-Hwan, the founder of Dong-A University. These books are classified in the form of Siku Quanshu(四庫全書). The volume of Gyung-Bu(經部) is 2,312 books of 556 kinds, Sa-Bu(史部) is 7,331 books of 1,175 kinds, Ja-Bu(子部) is 8,118 books of 2,014 kinds, Jip-Bu(集部) is 4,409 books of 2,005 kinds. 『Goryosa(高麗史)』 is essential data for the study of the Goryeo period and is a precious cultural heritage of ours. There are 80 editions of 『Goryosa』 home and abroad these days. But most of them are missing volumes and only 5 complete sets of works exist including one owned by Dong-A University (hereinafter the DAU 『Goryosa』). The DAU 『Goryosa』 printed from woodblocks is compiled into 75 volumes, combining some of Ji(志) and Yeoljeon(列傳) into a book in one volume or a book in three volumes. The DAU 『Goryosa』 is the same book as one in 85 volumes owned by Gyujangkak(奎章閣), Seoul National University. It is confirmed that quite a few misprints and omitted words are found in 『Goryosa』 printed from woodblocks. This resulted from the fact that missing and omitted words had been increased in the process of publication from the first edition to Eulhae letter edition and to final carving edition in woodblocks. However quite a few misprints and omitted words there are found in 『Goryosa』 printed from woodblocks, they limit to only a small number among 800 thousand words in all. The 『Tripitaka Koreana(高麗大臧經)』 wooden printing blocks have been recognized as a priceless Korean cultural heritage since the 13th century. They represent the advanced level of Buddhist studies at that time and its printing technology. The 『Tripitaka Koreana』 also reflect the universal cultural values of 13th century East Asia. This study analyzed into the source-value of the 『Tripitaka Koreana』 in the Hamjinjae(函珍齋) of Dong-A University. This Tripitaka Koreana was printed from 1963 to 1968. This Tripitaka Koreana has been printed in a circular pattern, providing a rich source of data.

      • KCI등재

        고려 무인집권기 정안(鄭晏)의 정치 활동과 불교

        김광철 ( Gwang-cheol Kim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6 石堂論叢 Vol.0 No.65

        고려후기 정안의 가계는 지속적으로 관료가 배출되고 재상급 인물 이 등장하게 되면서 문벌적 지위에 가까운 세력기반을 갖추고 있었다. 철원최씨, 정안임씨 등과 통혼권을 형성하고, 당시 최씨정권의 집정과 혼인관계를 맺음으로써 정치적, 경제적 기반을 강화할 수 있었다. 정안은 과거로 출사하여 진주목 지방관, 국자좨주, 지문하성사 등 고위직 벼슬을 지냈다. 그러나 고종 38년 5월 당시 무인집정 최항에 의해 살해되기까지 벼슬 길에 있었던 기간은 10년이 채 되지 않으며, 상당 기간 낙향하여 활동하였다. 낙향 시기 정안의 불교 활동은 괄목할만했다. 진각국사 慧諶과 교류 하면서 불교 신앙을 고양시켰고, 이를 바탕으로 사찰을 창건하거나 중수했으며, 법회를 개최하여 지역 불교의 활성화를 꾀하였다. 대장경 판각 사업에 맞춰 사재를 털어 상당량의 대장경을 간행한 것은 그의 불교 활동의 정점을 보여준 것이라 할 수 있다. 정안이 낙향하여 불교 활동을 벌인 공간과 관련하여 당시 행정구역으로서 남해현을 지목해 왔다. 그러나 정안은 그의 본관지인 하동군을 주 활동 공간으로 삼고 점차 진주 등 그 인근 지역으로 넓히고 있었던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describe the Jeong An’s political activities and the activities of the Buddhist in regime Choi(崔) time. In addition, we reviewed with respect to Namhae(南海) known as the area where Jeong An activities. Family of Jeong An was continuously discharged bureaucracy, his family had the position as noble family in the late Goryeo Dynasty. Moreover, by marriage relationship with Choi regime it could strengthen the political and economic foundation of the family. Jeong An became official by passing the state examination and served as senior officials from local officials to the central bureaucracy. But he was in the period crest road has not been less than 10 years, his political road was not smooth. After retiring, Jeong An was hard for Buddhist activities. Through interchange with Hyesim(慧諶), he was intensifying his Buddhist beliefs. Based on this, he built the temple and was repaired, and held a memorial service was seeking to enable the local Buddhists. According to the Tripitaka published in the country, he published a significant amount of Tripitaka to spend personal property, it may be said showed the height of his Buddhist activities. People are thought that Jeong An were Buddhist activities in Namhaehyeon(南海縣). But Jeong An was active around the Hadong(河東) County area, increasingly enlarged with neighboring Namhaehyeon and Gonmyeonghyeon(昆明縣).

      • SCOPUSKCI등재

        성장변수가 3C-SiC(111) 박막의 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서영훈,김광철,남기석,김동근,이병택,서은경,이형재,Seo, Yeong-Hun,Kim, Gwang-Cheol,Nam, Gi-Seok,Kim, Dong-Geun,Lee, Byeong-Taek,Seo, Eun-Gyeong,Lee, Hyeong-Jae 한국재료학회 1997 한국재료학회지 Vol.7 No.8

        P-type Si(111)기판 위에 3C-SiC박막 성장시 TMS(tetramethylsilane)유량, 반응온도, 반응압력, 가스공급방법등 다양한 성장변수에 따른 박막의 결정성변화를 연구하였다. 증착된 막은 모두 (111)방향성만을 나타내었고, free Si, C의 존재는 관찰할 수 없었다. TMS 유량 0.5 sccm에서, 1100-120$0^{\circ}C$의 반응온도에서 , 반응압력 12-50Torr 조건에서 비록 dislocation과 twin등이 발결되었으나 단결정 3C-SiC 박막을 성장시킬 수 있었으며, 박막의 결정성은 기판에 흡착된 Si-종과 C-종이migration할 수 있는 시간과 에너지에 크게 영향 받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SiC/Si계면에서 carbonization공정에서 관찰되는 것으로 알려진 void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void의 발생은 기체공급방법을 달리함으로서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