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새터민 여아의 외상(外傷) 및 문화적응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 한국적 포커싱아트 중심으로

        이민정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새터민 여아들의 한국적 포커싱아트의 경험을 통한 변화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외상(外傷) 및 문화적응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효과적인 포커싱아트 프로그램 개발 및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상 경험이 있고 한국에 정착하여 적응의 어려움을 보이는 새터민 여아 4명을 대상으로 주 2회, 90분 씩 총 10회기동안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종결 후 각 아동들이 체험한 구체적인 경험과 변화 과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혼합적 분석방법으로써 양적분석은 한국판 아동용 외상 후 증상 보고 척도(CROPS)와 문화적응 스트레스 척도(ASSIS)에 대해 SPSS 20.0을 이용한 대응표본 t-test를 수행하였으며, 프로그램을 통한 새터민 여아들의 변화과정에 대해 개인별 사전·사후 점수 비교와 질적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새터민 여아들의 외상(外傷)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후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질적분석 수행 결과 63개의 의미단위를 통해 15개의 주제, 5개의 주제묶음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주제묶음은 1)「외상과 마주한 후 긍정적정서 경험과 수용」, 2) 「자신에게 집중한 결과 자신감 상승」, 3) 「이슈와 건강한 거리두기 가능」, 4) 「그림을 통한 자신의 마음 표현」, 5) 「매체가 주는 자연스러움을 통한 감각느낌 표현」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적 포커싱아트를 경험한 새터민 여아들이 자신의 외상 경험과 관련한 답답하고 모호하게 느껴지는 감각느낌(felt sense)과 마주하게 됨으로써 자신의 감각느낌을 구체적이고 선명하게 표현해낼 수 있게 되었으며, 그 결과 카타르시스를 경험하게 되었고 이완과 해소가 일어나면서 부정적 정서가 긍정적 정서로 전환되는 체험을 하게 된 것이다. 또한 한국적 포커싱아트는 감각느낌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자신에게 집중하며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감각느낌을 있는 그대로 마주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도왔다. 이를 통해 새터민 여아들은 자신에 대한 확신을 갖게 되고 자신을 존중하는 태도를 가질 수 있게 되었으며, 감각느낌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한국적 포커싱아트를 통한 자기 확신은 자신이 경험한 이슈와 건강한 거리두기를 가능하게 하였고 이는 새터민 아동의 외상(外傷) 스트레스와 관련한 무서움, 두려움과 마주할 수 있게 되었으며, 무엇보다도 새로운 곳에 정착하면서 느낀 외로움, 그리움을 표현하면서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대한 부정적 정서를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적 포커싱아트의 시도가 새터민 아동의 외상(外傷) 및 문화적응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효과적인 치료 방법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며, 심리· 정서적 어려움을 호소하는 새터민 아동들이 건강하게 한국 문화 및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한국적 포커싱아트의 적용 가능성과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를 가진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를 통해 시사 하는 바를 논의 하였으며,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provides a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Saetomin experience with Korean-style Focusing-oriented art program in order to activate and establish similar programs effective for reducing trauma and acculturative stress in Saetomin female children. Four Saetomin female children who faced trauma and difficulty settling in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ten 90-minute sessions, and they were held twice weekly. Following the completion of the experimental program,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each child’s experience and process of changes. A combination of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tical methodologies was employed. For quantitative analysis, Korean version of Child Report of Post-traumatic Symptoms (CROPS) and Acculturation Stress (ASSIS) were measured by paired t-test using SPSS 20.0. With regards to the process of changes of Seatomin female children under the treatment, individual scor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re compared for a qualitative analysis. A qualitative analysis of participants’ experiences of the Korean-style of Focusing-oriented art program was also conducted. Fifteen themes and five theme clusters were derived from 63 meaning units. The theme clusters were (1) experience and acceptance of positive emotion after facing trauma, (2) increase in self-confidence by concentrating on oneself, (3) gain of healthy distance from issues, (4) expression of thoughts through drawing, and (5) expression of ‘felt sense’through medium. First, after undergoing the Korean-style of Focusing-oriented art program, Saetomin female children demonstrat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rauma and acculturative stress scores. Second, through Korean-style of Focusing-oriented arts, Saetomin female children came to face vague and unclear ‘felt sense’ associated with traumatic experiences and they were able to expressed their ‘felt sense’ clearly. As a result, they felt catharsis, relaxation, and release; emotion that was previously negative converted into one that was positive. Third, Korean-style of Focusing-oriented art program helped the participants concentrate on themselves as they searched for ‘felt sense’ and accept naturally arising ‘felt senses’ as they were. By doing so, they were able to develop self-confidence as well as self-respect. Through this compassionate acceptance of ‘felt sense,’ they acquired self-confidence which helped them feel less shy around new people they meet as they settled into the new environment, initiate conversations, and make more friends. Fourth, self-assurance through Korean-style focusing-oriented art enabled participants to gain healthy distance from the issues they faced or trauma they had suffered, which in turn helped them deal with traumatic stress and fears, and relieved negative feelings toward acculturative stress accumulated throughout the process of settling in a new land via expression of loneliness and yearn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terventions incorporating Korean-style Focusing-oriented art program can be effective in reducing trauma and acculturative stress, and possess applicability in terms of helping Saetomin children suffering from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to settle successfully into Korean culture and society. This study was significant in that it laid the groundwork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such programs in Korea, both in terms of their application and vitalization. Lastly,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oposed. Keywords: Saetomin (female)children, Korean-style Focusing-oriented art therapy, Traumatic stress, acculturative stress

      • 고지혈증의 한방적 의미와 유효생약 연구

        안혜란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39

        생활수준의 향상에 비례해서 고지혈증의 증가율도 높아지고 있다. 대표적 성인병인 고지혈증을 동양의학에서는 어떠한 개념으로 이해했고 치료했는지 조사했다. 용어와 기전이 다른 영역이므로 서양의학적인 의미와 개념으로 이해하고자 고지혈증이 원인인 질환을 치료하는 한방제제를 선택하여 證의 원인을 찾은 것이 어혈과 담음이다. 어혈과 담음은 고지혈증과 같은 의미라고 하기보다는 고지혈증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그만큼 어혈과 담음은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개념이다. 어쨌든 관상동맥질환을 유발하는 응고물이 어혈과 담음이 호결된 것이라는 의미를 알 수 있었다. 어혈과 담음을 치료하는 한약으로써 뇌경색이나 심근경색과 같은 관상동맥 질환 치료에 주로 쓰이는 혈부축어탕을 조사하여 혈청 지질 저하 효과를 확인하고 구성을 이루는 개별 생약 중 지질 저하 효능이 있는 생약을 찾아 조사했다. 혈부축어탕의 동물과 인체 실험에서 혈청 지질 중 Total cholesterol, Trglycerides, Low-density lipoprotein, Atherogenic index는 현저히 낮아지고 High-density lipoprotein은 증가되어 고지혈증으로 인한 동맥경화와 고혈압 예방과 치료 효과가 확인되었다. 다른 동물 실험에서도 간과 신장의 TC, TG의 감소가 확인되었다. 또한 혈소판 응집력을 감소시키고, 적혈구의 미세공 통과능력을 향상시켜 혈전생성을 억제시키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뇌출혈로 항응고제 사용이 불가능한 환자의 심부 정맥혈전증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합성약물에 비해 안전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개별 생약 중 지질저하 성분이 함유된 것을 찾아 연구 발표된 논문 들을 조사해 보았다. 매우 많은 생약들에 함유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후로도 계속되는 연구에 따라 더 많은 생약에서도 밝혀지리라 본다. 한방 치료가 안전하고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과학적인 서양의학에 비해 체계적인 연구 자료가 미흡한 상태이다. 앞으로 많은 연구 가능성이 있으며 또한 필요성을 느낀다.

      • 여성한부모의 양육죄책감이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

        남혜연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여성한부모의 양육죄책감이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관계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양육죄책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관계만족도가 매개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인천‧경기를 비롯하여 경남, 충남 등의 지역 단체에 소속된 여성한부모와 자녀를 대상으로 일대일 한 쌍으로 하여 총 140쌍에게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여성한부모에게는 양육죄책감과 자녀의 자아존중감 및 자녀와의 관계만족도를, 자녀에게는 자신이 지각한 자아존중감과 모와의 관계만족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분석방법은 연구가설에 따라 여성한부모가 평가한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자녀 스스로 지각한 자아존중감, 모-자녀가 각자 평가한 관계만족도에 대해 차이를 분석하였다. 여성한부모의 양육죄책감이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과 자녀의 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각각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양육죄책감과 관계만족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관계만족도가 매개하는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자녀의 지각과 모의 평가는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자녀가 지각하는 자아존중감과 모가 평가하는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자녀의 관계만족도와 모의 관계만족도는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넷째, 양육죄책감은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다섯째, 양육죄책감은 관계만족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여섯째, 양육죄책감과 관계만족도는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었으며, 관계만족도는 양육죄책감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하였다.

      • SPA 매장의 VMD가 제품평가 및 구매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정승아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39

        최근 소비환경을 보면 소비패턴의 다양화와 개성화가 급진전됨에 따라 고가품 선호와 가격파괴라는 양극화 현상이 진행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무엇보다도 제품에서 최상의 품질과 최저의 가격, 혁신적인 제품디자인과 제품의 사용가능성 등 기대가치를 상승시켜주기를 요구하고 있으며, 동시에 자신이 선호하지 않는 제품과 브랜드는 최대한 빨리 바꾸고자 하는 성향도 가지게 되었다. 세계적으로 위축된 경제상황과 전체적 불안감으로 소비자들은 제한된 소비지출범위 안에서 소비욕구를 충족시켜야 하기 때문에 밸류패션(Value Fashion; Value for Money)에 대한 관심은 더욱 증가하게 된 것이다. 즉, 소비자의 가치를 상승시켜주면서 빠르게 변하는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대응책으로 패스트패션(Fast Fashion)이란 방식이 등장하였고, 소비자 선호의 증가는 SPA시스템에 대한 기업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 도입되어 있는 SPA브랜드들을 대상으로 SPA브랜드 매장의 VMD에 대한 소비자 평가와 이에 따른 제품평가 및 구매 선호도의 영향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SPA브랜드의 유형별에 따른 소비자의 VMD 평가와 제품평가의 차이점을 비교해 보았으며, 소비자의 쇼핑성향에 따른 VMD 평가와 제품평가, 그리고 구매 선호도의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실증적 연구를 위해 사용될 상표의 선정을 돕기 위해 전문가 자문과 패션 유통 관련 2차 자료를 검색하여 국내에서 유통되는 10개의 SPA 브랜드를 선정한 후, SPA 브랜드의 주 고객 연령층인 20대~40대 여성을 대상으로 자기 기입식 설문작성을 하도록 유도하여 유효 데이터만을 추출해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SPA브랜드의 VMD 평가에 대한 요인 분석결과 ‘공간구성 및 정보성’, ‘연출 및 유행성’, ‘전반적인 매장분위기’의 3가지 요인이 추출되었다. 둘째, SPA브랜드의 제품평가에 대한 요인 분석결과 ‘감성적 제품평가’, ‘기능적 제품평가’의 2가지 요인이 추출되었다. 셋째, SPA브랜드 매장의 VMD 평가와 제품평가와의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VMD 평가 하위구성차원 모두는 제품평가 하위구성차원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SPA브랜드의 VMD 평가와 제품평가가 구매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VMD 평가 하위구성차원 모두는 제품평가 하위구성차원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며, 제품평가 하위구성차원 역시 모두 구매 선호도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VMD 평가 하위구성 차원 중 ‘공간구성 및 정보성’은 구매 선호도로의 직접경로 뿐 아니라 제품평가 하위구성차원을 매개로 하는 간접경로도 관찰되었다. 다섯째, SPA브랜드 유형별 VMD 평가와 제품평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VMD 평가 하위구성 차원 중 ‘연출 및 유행성’과 제품평가 하위구성차원 중 ‘감성적 요인’만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여섯째, SPA브랜드 유형별 소비자의 구매행동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트렌디형 SPA매장 방문그룹과 베이직형 SPA매장 방문그룹 모두는 의류제품을 구매하기 위한 매장방문 목적이 가장 높았고, 구매 아이템에 있어서는 단품류의 구매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트렌디형 SPA매장 방문그룹의 경우에는 의류제품구매의 실용적 쇼핑동기 성향 외에도 최신유행스타일과 윈도우 쇼핑을 목적으로 하는 쾌락적 쇼핑동기 성향 또한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SPA브랜드의 의복쇼핑 성향을 요인 분석한 결과 ‘계획구매’, ‘고관여쇼핑’, ‘편의적 상표의존’, ‘주변의식 유행동조’로 4개의 요인으로 요인화 되었다. 요인화된 4개의 요인을 K-평균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합리적 쇼핑고관여’, ‘편의적 상표의존’, ‘유행동조’, ‘유행지향’으로 4개의 소비자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여덟째, 의복쇼핑 성향에 따라 유형화된 소비자의 VMD 평가와 제품평가 및 구매 선호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합리적 쇼핑 고관여’집단의 경우 VMD 평가의 하위구성차원, 제품평가의 하위구성차원, 구매선호도의 모든 요인에 대한 높은 평가점수를 주고 있는 반면 ‘유행동조 집단’은 모든 요인에 대해 낮은 평가점수를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SPA브랜드를 구매하는 합리적 쇼핑 고관여 집단은 의복 구매시 합리적 가격대의 계획구매를 하지만, 매장의 연출성이나 유행성, 그리고 제품의 감성적 평가요인인 의복의 스타일, 유행, 개성, 타인의 반응 등에도 많은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증적 연구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을 간략히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VMD 평가를 구성하는 하위차원들은 제품평가의 각 차원에 모두 영향을 주며, 제품 평가의 각 차원은 모두 구매 선호도에 영향을 준다. 특히 주목할 부분은 VMD 평가차원 중 공간구성 및 정보성 요인은 구매선호도로의 직접경로뿐 아니라 제품평가의 두 가지 차원인 감성적 제품평가와 기능적 제품평가를 매개로 한 간접경로가 모두 관찰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매장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게 부각되는 SPA 브랜드의 경우 매장의 공간구성 및 상품에 의한 정보전달만으로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을 With the recent consumption environment, it is easily found that the phenomenon of polarization, so-called preference for high-priced articles and price mechanism destruction, has progressed steadily due to the rapid advancement of diversification and individualization in the consumption pattern. Consumers demand the increase of expectancy values such as the maximum quality and minimum price of products and the innovative designs and utility possibility of products most of all, having a tendency to change products and brands they don't prefer as soon as possible at the same time. Since consumers should meet their consumption desire within a limited range of consumption expenditure due to the worldwide worsening economy and overall anxiety, they have become more interested in Value Fashion (Value for Money). In other words, a method called Fast Fashion has emerged as a solution to meeting the rapidly-changing needs of consumers, while increasing the value of consumers, and the increase of consumers' preference can be interpreted to arouse companies' interest in the SPA system.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consumers' evaluation of VMD of SPA brands and the effect relation between their evaluation of products and purchasing preference by focusing on SPA brands introduced into Korea. In addition, it compared the difference between consumers' VMD evaluation and product evalu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SPA brands, while comparing the difference among VMD evaluation, product evaluation and purchasing preference according to consumers' shopping tendencies. After selecting 10 SPA brands distributed in Korea by making inquiries with experts and searching for the second data related to the fashion distribution to help select brands used for an empirical study, this study extracted only valid data by inducing women in their twenties to forties, the main age customer groups of SPA brands, to fill out the self-entry typed questionnaire. The finding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analyzing factors for the VMD evaluation of SPA brands, three kinds of factors were extracted, such as 'the space layout and information factor', 'display and trend factor' and 'store atmosphere factor'.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factors for the product evaluation of SPA brands, two kinds of factors were extracted, such as 'emotional product evaluation' and 'functional product evaluation'. Thirdly,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effect relation between the VMD evaluation and product evaluation of SPA brand stores, it was found that all the sub-composition dimensions of VMD evaluation had effect on all the sub-composition dimensions of product evaluation. Fourth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VMD evaluation and the product evaluation of SPA brands on the purchasing preference, all the sub-composition dimensions of VMD evaluation had effect on all the sub-composition dimensions of product evaluation, and sub-composition dimensions of product evaluation had effect on the purchasing preference as well. Moreover, out of the sub-composition dimensions of VMD evaluation, 'the space layout and information factor' was observed not only as a direct course to the purchasing preference, but as an indirect course mediating the sub-composition dimensions of product evaluation. Fifth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VMD evaluation and the product evalu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SPA brands, it was found that only 'display and trend factor' out of the sub-composition dimensions of VMD evaluation and 'emotional factor' out of the sub-composition dimensions of product evalu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Sixthly,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 of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type of SPA brands, both the trendy-typed SPA store visiting group and basic-typed SPA store visiting group mostly visited stores on the purpose of purchasing cloth products, and it was found that both the groups purchased single articles as for purchasing items. However, in the case of trendy-typed SPA store visiting group, they also showed a high tendency of pleasure-seeking shopping motive on the purpose of the latest fashion style and window shopping in addition to a tendency of practical shopping motive in purchasing cloth products. Seven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factors for the cloth shopping tendency of SPA brands, four kinds of factors were factorized, such as 'planned purchasing', 'shopping oriented group', 'convenience brand-dependent group' and 'marginal-consciousness fashion conformed group'. Then, as a result of carrying out K-Means Clustering with those four factorized factors, the subjects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consumer groups, such as 'reasonable shopping oriented group', 'convenience brand-dependent group', 'fashion conformed group' and 'fashion oriented group'. Eighthly,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between consumers' VMD evaluation and product evaluation, patterned according to the cloth shopping tendency, and their purchasing preference, while the 'reasonable shopping oriented group' was affected most by the sub-composition dimensions of VMD evaluation, the sub-composition dimensions of product evaluation and all the factors of purchasing preference, 'fashion conformed group' was affected least by all the factors. The 'reasonable shopping oriented group ' purchased clothes within a reasonable price range as planned, but it was found that they were affected most by emotional evaluation factors of products, such as clothes styles, fashion, individuality and other people's reaction. Implications drawn through an empirical study can be briefly arranged as follows: Sub-dimensions composing the VMD evaluation all have effect on each dimension of the product evaluation, and each dimension of the product evaluation has effect on the purchasing preference. Especially, what is noticeable is tha

      • MBTI 성격유형과 포커싱적 태도의 관계 : 대학생을 중심으로

        강보람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MBTI 성격유형의 차이를 살펴보고, MBTI 선호지표와 태도지표, 심리기능이 포커싱적 태도와 어떠한 관계를 나타내는지 알아보았다. MBTI 성격검사와 포커싱적 태도검사를 설문지로 사용하였으며, 서울 및 경기도 소재 대학교의 대학생이 응답한 총 40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버전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교차분석, 중다회귀분석, One-way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대학생활 만족도에 따른 MBTI 성격유형의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MBTI 선호지표는 포커싱적 태도 ‘알아차리기’, ‘여유 갖기’, ‘표현하기’, ‘되새겨보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향형(E)은 ‘알아차리기’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감각형(S)과 판단형(J)은 ‘여유 갖기’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사고형(T)는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향형(E)과 사고형(T), 판단형(J)은 ‘표현하기’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외향형(E)과 감각형(S)은 ‘되새겨보기’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MBTI 태도지표에 따른 포커싱적 태도는 ‘표현하기’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외향적판단형(EJ)과 외향적인식형(EP)이 내향적인식형(IP)보다 표현하기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MBTI 심리기능에 따른 포커싱적 태도는 ‘여유 갖기’, ‘표현하기’, ‘되새겨보기’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감각감정형(SF)이 포커싱적 태도가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MBTI personality typ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and to examine how MBTI preference, attitude and psychological function index are related with focusing manners. MBTI personality test and focusing manners test were used as the questionnaire. A total of 401 responses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used for the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chi-square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4.0 version. The results analyzed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in college lif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MBTI personality type. Second, the MBTI preference index has a significant effect on 'noticing', 'having a sense of relaxation', 'expressing', and 'reflecting' of focusing manners. The type E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noticing', and the type S and the type J had negative effects on 'having a sense of relaxation’. Type T had a positive effect on 'having a sense of relaxation'. Type E, T and J had positive effects on the 'expressing' and the type E and S had negative effects on ‘reflecting’, significantly. Third, focusing manners according to MBTI attitude index showed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expressing'. Type EJ and EP were higher than type IP. Fourth, focusing manners according to MBTI psychological function showed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having a sense of relaxation', 'expressing', and 'reflecting'. Overall, type SF was lower in focusing manner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갑상선기능항진증 치료에 있어서 양,한방 투약사례 연구

        김선회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39

        최근에 갑상선기능항진증은 흔히 접할 수 있는 질환이다. 산업화와 공해, 식생활 방식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인체 면역기능에 영향을 주게 되었고 그로 인하여 자가 면역 질환이 많이 발생하게 되었다. 갑상선기능항진증도 자가 면역질환인 Graves’ Disease가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그 치료법이 만족스럽지 못하다. 본 사례는 질병이 발생하면 자연에서 어긋났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한방원리에 입각하여 자연의 순리에 따르는 방법으로 한약과 처방약인 양약을 병용 투약하여 치유한 내용이다. 갑상선기능항진증의 치료에 있어서 병원에서는 일정기간 동안 양약을 투약하여 검사수치가 정상범위에 도달하지 않으면 방사선치료를 권장하고 방사선치료로 인하여 갑상선기능저하증이 되면 평생 갑상선기능저하증 약을 복용해야하는 악순환이 이어진다. 즉 서양의학은 방사선치료로 갑상선기능항진증을 인위적으로 치료하고는 있지만 정상기능을 회복 지속적 유지하는 단계까지는 오르지 못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사례는 2년 반에 걸친 투약으로 갑상선기능이 회복되어 정상상태가 되었기에 갑상선기능항진증이 발병했을 때 방사선요법으로 접근하는 것 외에 방사성기능을 한약투약으로 회복하는 한 예를 들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가 다양한 한약투약 적용 연구에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Hyperthyroidism has recently become a common disease that can be found in certain age groups. Rapid industrialization, various environmental pollutants, and changes in eating habits may be the main contributing factors that have led to an increase in thyroid diseases, and a subsequent attack on the immune system. Another common form and cause of hyperthyroidism, is known as Graves’ disease. For some patients, certain treatment methods haven't been suitable. This study is based on an oriental medicinal treatment approach that is used when there is a disruption in the rhythm of the body, which has been the known cause for this disease. Through the administration of oriental medicine, an anti-thyroid drug, and a beta-blocker, as of now, a cure has been found. In general, the methods of treating hyperthyroidism has entailed an endocrinologist prescribing drugs and doing blood work every three months or so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se prescribed drugs. If the result is not satisfactory, the result is not satisfactory, the doctor sometimes recommends radioisotope therapy. If radioisotope does not cure hyperthyroidism, the patient is required to take prescribed drugs for his or her lifetime in order to control hypothyroidism. In other words, hyperthyroidism may have cured by the western medicine using radioisotope treatment but it is not a natural way and sufficient therapy to maintain a normal function of thyroid. This thesis introduces the two and a half years of administering a combination of medicine, resulting in a full recovery from hyperthyroidism. Radioisotope therapy is not the only solution to cure hyperthyroidism. There are many oriental medicinal treatment methods surfacing nowadays to substitute the radiation therapy. This report will encourage further study and advancement of new oriental medicinal treatment methods.

      • 유아의 기질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부모역할만족도의 매개효과

        최종희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간의 영향을 비롯하여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가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며 5∼7세의 자녀가 있는 어머니 326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유아의 기질은 개정판 기질차원 검사(DOTS-R: Windle & Lerner, The Revised Dimensions of Temperament Survey, 1986)를 재구성한 서주현(2009)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부모역할만족도는 현온강과 조복희(1994)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김현미(2004)가 개정한 부모 양육스트레스 척도(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PSI/SF)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변인들 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단순회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기질의 적응성이 낮고 활동성이 높을수록 부모의 고통으로 인한 양육스트레스가 높았으며, 유아의 기질의 적응성이 낮고 활동성이 높으며 규칙성이 낮을수록 부모-자녀간 역기능적 상호작용으로 인한 양육스트레스가 높았다. 그리고 유아의 기질의 적응성이 낮고 활동성이 높을수록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로 인한 양육스트레스가 높았다. 둘째,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 중 일반적 만족도, 배우자 지지, 부모역할갈등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부모의 고통으로 인한 양육스트레스가 낮았다. 그리고 부모자녀관계, 부모역할갈등, 자녀의 지지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부모-자녀간 역기능적 상호작용으로 인한 양육스트레스가 낮았다. 또한 부모역할갈등, 자녀의 지지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로 인한 양육스트레스가 낮았다. 셋째, 유아의 기질의 적응성과 규칙성이 높을수록 부모역할에 대한 일반적 만족도가 높았으며 유아의 기질의 적응성이 높고 활동성이 낮으며 규칙성이 높을수록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유아의 기질의 적응성이 높을수록 배우자 지지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유아의 기질의 적응성이 높고 활동성이 낮을수록 부모역할갈등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그리고 유아의 기질의 적응성이 높고 활동성이 낮으며 규칙성이 높을수록 자녀의 지지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넷째,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 중 일반적 만족도와 부모자녀관계는 유아의 적응적 기질과 부모의 고통 간의 관계에서 각각 부분 매개가 나타났고, 부모자녀관계와 부모역할갈등은 유아의 활발한 기질과 부모의 고통 간의 관계에서 각각 완전 매개가 나타났으며 부모역할갈등은 유아의 적응적 기질과 부모의 고통 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가 나타났다. 그리고 부모자녀관계와 부모역할갈등은 유아의 활발한 기질과 부모- 자녀간 역기능적 상호작용과의 관계에서 각각 부분 매개가 나타났으며 부모자녀관계는 유아의 규칙적 기질과 부모-자녀간 역기능적 상호작용과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가 나타났다. 또한 부모자녀관계와 부모역할갈등은 유아의 활발한 기질과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 간의 관계에서 각각 부분 매개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발견함으로써, 부모역할만족도가 양육스트레스를 예측하는데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의 기질에 대한 이해도를 넓히고, 부모역할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모교육과 상담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between children’s temperament, parental role satisfaction of mothers,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role satisfaction of mothers on children’s temperament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To this end, this study collected data by conducting questionnaire method on 326 mothers of 5~7 year old children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do. A scale of Suh, Joo Hyeon(2009) that reorganized The Revised Dimensions of Temperament Survey(DOTS-R: Windle&Lerner, 1986) was used for children’s temperament. A scale of Hyeon, On Gang and Jo, Bok Hee(1994) was used for parental role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PSI/SF) revised by Kim, Hyeon Mi was used for mother’s parenting stress.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calculated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variables, and conducted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enting stress due to parent’s pain was higher when children had low adaptability and high activity, and parenting stress by dysfunctional interaction between mother and children was higher when adaptability of children’s temperament was low and regularity was low. Also, parenting stress by difficult temperament of children was higher when children had low adaptability and high activity. Secondly, it was identified that parenting stress by pain of mothers was low when general satisfaction, spouse support, and parental role conflict were higher among parental role satisfaction of mothers. Parenting stress by dysfunctional interaction between mother and children was lower when satisfaction for parent-child relationship, parental role conflict, and children’s support was higher. Also, parenting stress by difficult temperament of children was lower when satisfaction for parental role conflict and children’s support was higher. Thirdly, it was identified that general satisfaction for parental role was higher when adaptability and regularity of children’s temperament were higher, and satisfaction for parent-child relationship was higher when adaptability of children’s temperament was higher, activity was lower, and regularity was higher. Also, satisfaction for spouse support was high when adaptability of children’s temperament was higher, and satisfaction for parental role conflict was higher when adaptability of children’s temperament was higher and activity was lower. Also, satisfaction for children’s support was higher when adaptability of children’s temperament was higher, activity was lower, and regularity was higher. Fourthly, among parental role satisfaction of mothers, general satisfaction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each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in a relationship between adaptive temperament of children and parent’s pain,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parental role conflict each showed full mediating effect in a relationship between active temperament of children and parents’ pain, and parental role conflict showed full mediating effect in a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daptive temperament and parents’ pain. Also,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parental role conflict each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in active temperament of children and dysfunctional interac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showed full mediating effect in a relationship between regular temperament of children and dysfunctional interac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Also,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parental role conflict each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in a relationship between active temperament and difficult temperament of children. Through this study, it was identified that children’s temperament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of mothers make significant effect on parenting stress of mothers. Also, by discovering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role satisfaction of mothers in a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temperament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it was verified that parental role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predicting the parenting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preliminary data for parent education and counseling that can increase understanding on children’s temperament and improve parental role satisfaction.

      •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이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존감 안정성의 매개효과

        박유란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이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살펴보고 정서조절곤란과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자존감 안정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고양시에 소재한 6개 중학교와 서울시에 소재한 2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여학생 438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서조절의 어려움을 측정하기 위해 조용래(2007)가 한국판으로 번안한 정서조절곤란 척도(K-DERS)를 사용하였다. 또한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오경자, 이혜련, 홍강의, 하은혜(2011)가 우리나라 청소년을 대상으로 표준화한 청소년의 자기행동평가 척도(K-YSR)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청소년의 자존감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 장재원과 신희천(2011)이 개발한 자존감 안정성 척도(SSES)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변인의 신뢰도를 산출하기 위해 내적합치도 Cronbach α 값을 산출하였고 변인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변인 간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절차에 따라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1982)이 제시한 검증 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과 자존감 안정성,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과의 상관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자존감 안정성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자존감 안정성과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정서조절곤란과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정서조절곤란의 하위요인에서 정서에 대한 주의/자각 부족은 내재화 문제행동과의 관계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이 자존감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곤란이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 안정성이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정서조절곤란의 하위요인인 충동통제곤란, 정서에 대한 주의/자각 부족, 정서적 명료성 부족, 정서에 대한 비수용성, 정서조절 전략 접근 제한이 자존감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정서조절곤란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명료성 부족과 정서조절 전략 접근 제한은 내재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나타냈고, 충동통제곤란과 정서적 명료성 부족은 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매개변인인 자존감 안정성은 내재화 문제행동, 외현화 문제행동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존감 안정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정서조절곤란의 하위요인인 정서조절 전략 접근 제한과 정서적 명료성 부족이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존감 안정성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충동통제곤란과 정서적 명료성 부족이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존감 안정성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정서조절이 어려운 청소년이라도 자존감이 안정적이면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을 나타낼 가능성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과 자존감 안정성이 청소년의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요인임을 확인했으며, 이 두 요인이 청소년의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의 예방과 감소에 중요한 요인임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자존감이 변화가 가능하고 성장 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청소년의 자존감을 안정적으로 유지,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과 상담의 개입 방향을 제공하여, 청소년이 미래의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고, 성인기까지 이어질 수 있는 폭력이나 범죄, 반사회적 행동 등의 청소년기 문제행동이 성인기까지 이어지지 않도록 증상을 감소시키고 미리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on both ‘Internalizedproblem & Exteralizedproblem’, and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Stability of Self-Esteem’ on the correlation between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internaliedproblem & extermalizedproblem. The collection of information was gathered through self-reporting survey which was presented to 438 Junior Highschool students, both male and female from six schools in Goyang City and two schools in Secoul City for examination purposes. This study applied the ‘Korea-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K-DERS) by Cho(2007) in order to measure the difficulties in regulating emotion and standardized ‘Korean Youth Self-Report’ (K-YSR) by Lee, Hong, and Ha(2011) to measure the problembehavior of youth. For the measure of stability of self-esteem, the ‘Stability of Self-Esteem Scale’ (SSES) by Jang and Shin(2011) was used. For the data analysis, researcher(s) produced the Cronbach alpha to generate the variable validity and used correlation analysis by Pearson in order to examine correlation among variables. Th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s among variables, and mediating effects analysis was applied according to procedure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Researcher(s) applied the sobel test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s. There were three conclusions derived from this study. Firstly, in the correlation between stability of self-esteem, and internaliedproblem & extermalizedproblem, the correlation between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stability of self-esteem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the correlation between stability of self-esteem and internaliedproblem & extermalizedproblem showed negative correlation, and correlation between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internaliedproblem & extermalizedproblem showed positive correlation. 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naliedproblem and the deficiency of caution and self-awareness which is a sub-factor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was not proved. Secondly, after examining the effects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on the stability of self-esteem, the effects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on the internaliedproblem & extermalizedproblem, and the effects of the stability of self-esteem on the internaliedproblem & extermalizedproblem, researcher(s) found out that the impulse-control disorder, the deficiency of caution and self-awareness, the deficiency of clarified emotion, the non-receptivity to the emotion, and limitation to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which are sub-factors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can be influential to the stability of self-esteem. Additionally, it was also found that the stability of self-esteem which is a mediating variable has effects on both internaliedproblem & extermalizedproblem. Thirdly, in the effects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of youth on the problem behavior, after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s researcher(s) derived conclusion that proves the limitation to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d deficiency of clarified emotion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the stability of self-esteem on internalizedproblem, while the impulse-control disorder and deficiency of clarified emotion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the stability of self-esteem on externaliedproblem. This result means that there is low possibility showing Internalizedproblem & Externaliedproblem even if youth has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but Self-Esteem is stable. Therefore, this study is useful to identify the effect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Stability of Self-Esteem of youth on both ‘Internalizedproblem & Exteralizedproblem’ and both are important factor to reduce and prevent Internalizedproblem & Exteralizedproblem of teenager. This study expects that youth will develop a good member of society and to prevent and reduce violence, crime and antisocial behavior further by so doing counsel and programing to improve Stability of Self-Esteem of youth with realizing to change Self-Esteem and developing.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최성실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보육교사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체계적으로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 소재의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 286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가 제작한 삶의 질 평가척도(WHOQOL-BREF)를 각 언어권에서 표준화할 때 따르도록 한 지침에 따라 민성길, 이창일, 김광일, 서신영, 김동기(2000)가 표준화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서 Clark(1980)의 ‘교사 직무스트레스 요인’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신혜영(2004)이 제작한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는 박지원(1985)이 개발한 측정도구에 기초하여 심순애(2007)가 보육교사에 맞게 수정한 사회적 지지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자료분석을 위하여, 변인들 간의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중다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 간의 관계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보육교사가 직무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보육교사의 삶의 질은 낮게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 간의 관계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보육교사가 원장, 동료, 가족으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는다고 인식할수록 교사의 삶의 질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보육교사의 삶의 질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삶의 질은 낮게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보육교사가 동료와의 관계와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보육교사의 생활환경 영역과 신체적 건강 영역에서의 삶의 질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는 보육교사의 삶의 질에 정적 영향을 주어서, 보육교사가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는다고 인식할수록 보육교사의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보면 보육교사가 원장과 가족으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는다고 인식할수록, 교사의 전반적인 삶의 질 영역, 신체적 건강 영역, 심리적 건강 영역, 사회적 관계 영역에서의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세부적으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보육교사의 전반적인 삶의 질 영역, 사회적 관계 영역, 생활환경 영역에서의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동료와 가족의 사회적 지지는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원장의 지도력 및 행정적 지원 부족, 동료와의 관계 스트레스와 관련된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사회적 관계 영역, 전반적인 삶의 질 영역에서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동료의 사회적 지지가 완충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원장의 지도력 및 행정적 지원 부족, 업무과부하, 학부모와의 관계 스트레스와 관련된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사회적 관계 영역, 생활환경 영역에서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가족의 사회적 지지는 완충효과를 나타냈다. 보육교사들은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상황에서 동료교사 및 가족의 지지를 활용하여 개인의 삶의 질을 보호하였다. 결과적으로 보육교사의 대인관계에서 받는 사회적 지지는 교사의 삶의 질을 높여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즉, 보육교사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사회적 지지가 중요하기 때문에 원장과 보육교사 대상의 교육에서 서로 간 사회적 지지의 자원이 될 수 있게 교육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가족들의 사회적 지지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삶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므로 가족관계에서 받는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보육교사의 가족관계를 증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교육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observe an effect of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being recognized by child care teachers on their quality of life. For this objective, questionnaire data was collected by targeting 286 child care teachers working at child care centers located at Seoul and Gyeonggi region. In this study, in order to measure quality of life of child care teachers, a measurement tool (Min, Sung-Gil, et al., 2000) that standardized a quality of life evaluation scale (WHOQOL-BREF) manufactured by WHO to be matched with our reality was used. In order to measure job stress of the teachers, measurement tool for 'job stress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Shin, Hye-Young, 2004) was used. In order to measur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child care teachers, social support measurement tool of Shim, Soon-Ae (2007) was used. In order to analyze data for research questio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of variables was estimat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When summarizing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 relation between job stress, social support of child care teachers and their quality of life, as negative correlation was represented, the more child care teachers receive job stress, their quality of life was represented to be low. In addition, as a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of child care teachers and their quality of lif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the more it was recognized that child care teachers receive sufficient social support from head of center, colleagues and family, their quality of life was represented to be high. Seco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exerted a negative effect on their quality of life and the more job stress was high, quality of life was represented to be low. In detail, the more job stress is increased in a relation of child care teachers with colleagues and school parents, their quality of life in living environment area and physical health area was represented to be low. Third, as social support recognized by child care teachers exerted a positive effect on their quality of life, the more child care teachers recognize that they receive more social support, their quality of life was represented to be high. In detail, the more child care teachers recognize that they receive more social support from head of center and family, quality of life in areas of general quality of life, physical health, psychological health and social relation was represented to be high. Fourth, in a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child care teachers, social support showed moderating effect. In detail, in a relation between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and their quality of life in areas of general quality of life, social relation, living environment, social support of colleagues and family showed a moderating effect. In exerting a negative effect of job stress relevant to leadership of center head, lack of administrative support, relational stress with colleagues on quality of life of child care teachers in areas of social relation, general quality of life, social support of colleagues showed a buffering effect. In addition, in a relation of exerting a negative effect of job stress relevant to center head leadership, lack of administrative support, business overload, relation stress with school parents on quality of life of child care teachers in areas of social relation, living environment, social support of family showed a buffering effect. Under the situation of high job stress, child care teachers protected individual quality of life by utilizing support of colleagues and family. Resultantly, it implies that social support received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by child care teachers increases their quality of life. In other words, as social support is important for increasing quality of life of child care teachers, it is required to perform an education for both center head and child care teachers so that they would become a mutual source of social support. In addition, as social support of family is an important factor of reducing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and increasing their quality of life, a program and education that emphasiz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being received in family relationship and may improve family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