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스펠 가창 표현 중 Call & Response에 대한 연구 : Kurt Carr Singers의 음악을 중심으로

        장근희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실용음악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3727

        노동요와 토속음악으로 시작했던 흑인들의 음악적 표현은 영가, 가스펠, 블루스, 로큰롤, 펑키, 재즈, 힙합 등 현존하는 모든 대중음악에 모태가 되 었다. 그런 의미에서 흑인음악사에 대한 연구는 계속 이루어져야 하고 그 만큼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흑인음악에 대한 다양한 시각에서부터 시 작한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그들의 가창 표현 중 Call & Response에 대 한 정리는 찾아 볼 수 없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흑인음악의 태동 과 특징에 대해 서술하고 가스펠의 가창 표현 중 그들의 공동체적 의식이 만들어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Call & Response에 대해 조명해 보았 다. 본 연구에서는 흑인음악 가창의 표현 중 한 특징인 Call & Response에 대한 세 가지 분류를 제시하였다. 첫째, 멜로디로 구성된 Call & Response를 ‘Melody Call’과 ‘Melody Response’ 라고 명명하였고, 둘째, 외치는 형식을 ‘Shout Call’이라고 명명하고 ‘Shout Call’과 ‘Melody Response’의 구조에 대해 제시하였고, 셋째, 보컬과 악기의 조합, 악기와 악기간의 조합을 ‘Melody Call’과 ‘Instrument Response’라고 명명하여 분류하였다. 미국의 가스펠그룹인 Kurt Carr Singers의 음악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The expressions of traditional music and work song have become a root of popular music, such as spirituals, gospel, blues, Jazz and Hiphop. In that sense, research of black music is worth to be continued. There has been a variety of views and which caused many cases of research on black music, but none of them have been able to find answers to Call & Response. In this dissertation, I explored the feature of black music. I also illuminated the expression of a singing technique: Call & Response which is generaged by their community spirit. I categorized the technique, Call & Response into 3 parts. The First part is about how Melody consists of the Call & Response and I named it ‘Melody Call’ and ‘Melody Response’. The Second part is called ‘Shout Call’ and I suggest structure of ‘Shout Call’ and ‘Melody Response’. In Third part, I classified combination of musical instruments and voice. I also named the part as ‘Melody call and Instrument response.’ The categorization of each chapter were based on the song of Kurt Carr Singers who are a Gospel group.

      • 대중음악에 적용된 보컬 즉흥연주 기법 연구 : 자작곡 ‘Woooh’를 중심으로

        김진주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실용음악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3727

        2017년 11월 현재, 빌보드 차트에서는 재즈 카테고리를 찾아볼 수 없다. 더 이상 대중음악으로 인정되지 않음을 시사한다. 재즈음악의 가장 큰 특징으로 여겨지는 즉흥연주 역시 재즈의 이미지에 따라 낯설고 어려운 것으로 느껴지는 것이 현실이다. 즉흥연주가 대중음악을 연주하는 보컬리스트에게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지만 다양한 장르와 편곡 형태로 발전하고 있는 현대 대중음악의 흐름에 따라, 즉흥연주를 활용함으로써 보컬리스트의 가치 향상과 독창성을 가져올 수 있다. 본 논문은 보컬 즉흥연주의 특징에 대한 이해 및 대중음악에 적용된 사례 분석에 중점을 두고 작성되었다. 즉흥연주 표현 기법인 멜로딕 엠벨리쉬먼트와 아티큘레이션, 의미없는 음절들로 이루어진 스캣 실라블스, 비화성음을 기준으로 예시 곡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를 자작곡 ‘Woooh’에 적용해 봄으로써 보컬 즉흥연주라는 특정 모티브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연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장르에 적용하여 새로운 형태와 느낌의 곡을 창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s of November, 2017, We can't find the jazz category on the billboard charts. It can be said that jazz music is no longer recognized as popular music. The improvisation,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biggest feature of jazz music, is also felt to be unfamiliar and difficult according to the image of jazz. Modern popular music is developing into various genres and arrangements, with this trend, new arrangements and distinctive personality of artist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This paper focuses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vocal improvisation and the case analysis applied to popular music. The example songs were analyzed based on the Scat Syllables, Non-Chord Tone and Articulation with Melodic Embellishment, a kind of improvisational expression technique. I applied it to my own song ‘Woooh’ and analyzed how the specific motive of vocal improvisation can be utilized. Based on this, I would like to propose an effective method for applying various genres to create new forms and feelings.

      • 시대의 흐름과 매체의 변화에 따른 음악 청취자의 심리변화와 대중음악 구성의 변화

        조범준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실용음악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3727

        음악을 한다는 것, 뮤지션이 된다는 것은 매우 특별한 일이었다. 90년대 까지만 해도 고가의 샘플러가 없으면 대중음악을 작곡하기 힘들었고, 수백만 원이 호가 하는 기타를 구비 하는 일도 보통 일은 아니었다. 하지만 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이 모든 것들은 작은 컴퓨터 안에 담겨지게 되었고, 심지어 넓고 좋은 녹음실의 환경 또한 작은 작업실 안에서 표현할 수 있는 세상이 되었다. 이러한 편의성은 더 많은 사람들이 쉽고 편하게 창작의 영역에 접근할 수 있게 하였고, 최근 유럽에서는 모두가 아티스트인 시대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아티스트의 경계가 많이 허물어졌다. 우리는 이러한 사건들과 지난 기록 등을 통해 앞으로 변화되고 발전할 미디어의 속도에 더욱 합리적이고 탄력적으로 대응하여 음악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해야 할 것이다. 음악 산업은 단순히 유형의 생산품을 사고 파는 일이 아니라, 감정을 나누는 일이기 때문에 마케팅과 산업적인 측면에서 창작 당사자들의 윤리의식이 많이 요구되고 내제되어 있는 편이다. 하지만 이 또한 산업이기 때문에 창작자들의 정확하고 탄력적인 대응이 미비하다면, 앞으로 생산 의지는 더욱 위축되고, 산업 자체가 매우 위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했을 때 아티스트들은 생산자의 입장에서 생각할 수 있어야 하며, 소비자의 패턴을 정확하게 알고 분석할 필요가 있겠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대중음악의 흐름을 파악하고, 매체의 발달에 따른 청취자의 취향과 동향을 분석하여 앞으로 창작자의 방향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It was a very special thing to be a musician and to play music. Until the nineties, composing popular music was not ordinary job without expensive samplers. Moreover, it was uncommon to have guitars that cost millions of dollars. However,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the sampled sounds of musical instrument have been stored into a personal computer. This technical change also brought about revolution of studio recording, which means that large equipment and complicated machines are no longer necessary. This convenience has stimulated creative ideas of musicians. And recently in Europe, the boundaries of artists have collapsed to such an extent as to say that everyone is saying that they are artists. These events and past records will be utilized to contribution of musicians who should prepare rational and flexible reaction to rapidly developed industry of music. Musicians sh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music industry by responding more rationally and flexibly to the speed of the technology which will change and develop in the future. The music industry is not just about buying and selling products, but also sharing emotions, the ethics of creators are highly demanded and endorsed in terms of marketing and industry. However, if this is still an industry and if the accurate and resilient response of the creators are insufficient, the will of production will be further shrunk and the industry itself will be greatly diminished. In this point of view, artists need to be able to think in terms of producers . In addition, they also should accurately understand and analyze consumer pattern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media, I tried to collect the popular tendency of music, and analyzed the audience's taste and trends and supplied ideas to approve skills of creators. In this dissertation, I investigated the flow of popular music and analyzed how the taste and trend were affected by development of media. As a result, this research proposes the direction of the creators and how they should reply to spectators.

      • 블랙 가스펠 건반연주 연구 : 드래인과 도로시를 중심으로

        장영은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실용음악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3727

        오늘날 블랙 가스펠은 다양한 음악 장르중 하나로 자리 잡았고 그 특유의 스타일을 배우려는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흑인들의 연주는 다른 이들이 따라 할 수 없는 깊은 감정이 담겨 있을 뿐 아니라 그들만의 독특한 연주법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블랙 가스펠 음악을 역사적, 음악적으로 접근해 연구함으로 흑인 음악의 이해를 돕고 블랙 가스펠 연주의 기본을 익히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블랙 가스펠의 역사와 배경을 시대의 순서에 따라 서술하고, 흑인영가, 노동가, 블루스 등 중요한 장르의 음악적 특징과 흑인 인권운동과 같은 역사적인 사건이 주는 영향과 변화에 대해 연구한다. 다음으로 블랙 가스펠 음악의 특징을 장르별로 기술한다. 이 장르들에는 랙타임, 부기우기, 배렬 하우스 등의 재즈 역사 속에 중요한 음악적 특징을 갖는 음악들이 포함되고 이들과 블랙 가스펠 음악과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한다. 끝으로 블랙 가스펠에 가장 중요한 두 명의 연주자 아리조나 드래인과 토마스 도로시의 음악을 분석함으로 가장 보편적이고 대중적인 블랙 가스펠의 피아노 테크닉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연구한다. 두 연주자들의 음악적 특징이 오늘날 블랙 가스펠에 어떻게 접목되어 사용되고 있는지 제시 딕슨의 대표곡인 “God be with you”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Today, Black Gospel has become one of many musical genres and there is now a higher demand in learning its unique style. The pianistic style of the Black people not only contains deep emotions which no other can imitate, but it also has its unique techniques. This study takes a historical and a musical approach to understanding and learning the basic techniques of playing the Black Gospel. It first lays out the history and the background of the Black Gospel in chronological order. Then, it studies the musical character of each major genres, such as the Negro Spirituals, Work songs, and the Blues, and the effects of historical events, like the African-American civil rights movement, and the changes they brought to these genres. Furthermore, it lays out the features of the Black Gospel by genre. These genres include, Ragtime, Boogie Woogie, Barrel House, which have its unique character in the history of jazz music, and they are studied in accordance to the Black Gospel music. Lastly, the study analyzes the two most prominent figures in the Black Gospel, Arizona Dranes and Thomas Dorsey, and identify the general and popular piano techniques used in the Black Gospel. How these techniques are applied in today’s Black Gospel will be studied through Jessy Dixon’s “God Be With You,”

      • 리메이크 스타일에 따른 한·일 대중음악 비교분석 연구 : J-Pop Nakashima Mika 곡을 중심으로

        이은영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실용음악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3727

        본 논문은 리메이크 스타일에 따른 한, 일 양국의 대중음악 성향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리메이크는 기존에 발표 되었던 곡을 또 다른 스타일로 재해석 하는 것으로 수많은 아티스트들에 의해 시도 되고 있는 형태의 대중음악이다. 이러한 리메이크 현상은 국적을 초월하여 나타나기도 한다.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 한, 일 양국의 경우 특정 곡을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지, 그러한 표현양상으로 볼 수 있는 대중음악의 성향은 어떠한 것인지 연구하였다. 내용의 중심이 되는 곡은 일본에서 발매된 원곡과 대한민국에서 발매된 리메이크 곡으로 각 국의 대중음악 성향에 대한 구체적인 결과 도출을 위해 다양한 연구방법들을 제시하고 있다. 원곡과 리메이크 곡의 비교분석으로 곡의 형식이나 악기 구성의 유사점, 가사표현의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리메이크 스타일을 통해 양 국의 대중음악 성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로 일본 대중음악을 리메이크 하는 데에 있어 다양한 방향이 제시되길 바라며, 한, 일 대중음악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지속되길 바란다. This study covers a subject on the popular music trends of Korea and Japan according to the style of remake. The remake is a method of producing popular music that is being attempted by many artists by reinterpreting a previously released song in another style. This remake creation method also transcends the nationality of the original song. This study explores how Korean and Japanese countries with different cultures are expressing specific songs and what are the trends of popular music that can be seen as such expressions. The main song which is used in the study is the original song released in Japan first and the remake song re-released later in Korea, and presents various research methods for the concrete result of the popular music tendency of both countries. The comparison of the original and remake songs revealed the differences in the form of the songs, the similarities in composition of musical instruments, and the differences in the expression of the lyrics. And the tendencies of both countries' popular music were comprehended with the remake styl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various methods for the remake of J-Pop and hopefully continue the diverse research on the popular music in both Korea and Japan.

      • Shuffle과 Swing Groove의 비교분석 연구 : Steely Dan의 “Babylon Sisters"와 Thelonious Monk의 “Blue Monk"의 분석을 통해

        박은찬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실용음악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3711

        본 논문에서는 셔플과 스윙 그루브의 재해석을 위하여 이 두 리듬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는 대표적인 두 곡을 선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그 명확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셔플은 정확한 3연음에서 가운데 노트를 제거한 리듬이다. 스윙리듬은 두개의 계속되는 8분 음표를 스윙으로 연주할 때 두 번째 음표보다 첫 번째 음표를 길게 연주하여 스윙 느낌을 표현한다. 이 때 첫 번째와 두 번때 음표의 비를 수학적으로 활용하여 표시하면 Swing Ratio라고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 비율이 연주자마다 미세하게 모두 다르다는 것이다. 이 비율이 많은 차이를 보일수록, 다른 말로 표현하면 16th note에 가까울수록 스윙감은 타이트(tight)한 느낌을 주고, 반면에 비율이 작은 차이를 보일수록, 즉 triplet에 가까울수록 루스(loose)한 느낌을 준다. 그렇기 때문에 음표로 표현할 수 없는 바운스의 느낌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스윙에서는 4분음표(quarter note)를 강조하게 되고 바운스로 표현되어지는 연속된 두 8분음표의 짧은 8분음표와 그 다음 4분음표 사이의 간격이 항상 일정하게 나타날 때 좋은 스윙감을 가졌다고 표현하는 것이다. 이처럼 셔플은 정확한 Triplet을 표현하지만 스윙은 4분음표에 기반하여 일정한 바운스 간격을 표현하는 리듬인 것이다. 결국 셔플과 스윙은 완전히 다른 그루브인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차이를 각 리듬의 대표적인 드러머인 Bernard Perdie 와 Jimmy Cobb 의 대표곡인 "Babylon Sisters"와 "Blue Monk"를 가지고 비교분석하여 좀 더 알기 쉽게 구분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표는 그동안 잘못 해석되어온 셔플과 스윙의 의미를 명확히 구분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 결과를 통하여 음악인들이 두 그루브의 의미를 정확히 알고 접근한다면 연주와 작, 편곡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셔플, 스윙 In this study, two representative songs were selected for the reinterpretation of the shuffle groove and swing groov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m was analyzed based on the two selected songs. Shuffle is a rhythm that removes the middle notes from the triplet. The swing rhythm represents a sense of swinging when you play two consecutive eighth notes on a song by lengthening the first note and playing the second note briefly. In this case, the ratio of the first note to the second note can be expressed as a swing ratio by using a mathematical concept. A point to be noted here is that this ratio varies slightly from player to player. The more this difference appears, in other words, the more closely the 16th note is, the tighter the feeling of the swing. On the other hand, the smaller the ratio, the closer it is to the triplet, and the looser the feeling. This creates a sense of bounce that cannot be expressed in musical notes. For this reason, the swing emphasizes the quarter note and utilizes a groove in which the spacing between the short eighth notes of two consecutive eighth notes are expressed in bounce, followed by the quarter note which is always constantly spaced. So, it can be expressed as a good sense of swing. Thus, while shuffle describes an accurate triplet, a swing is based on the quarter note, and it is important to have a constant bounce interval. Ultimately the shuffle groove and the swing groove are completely different rhythms.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se differences by comparing "Bernard Perdie-Babylon Sisters" and "Jimmy Cobb-Blue Monk" which are representative drummers' songs of each groove rhythm.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learly distinguish the meaning of shuffle from swing that have been misinterpreted especially associated with the rhythm definition. Therefore, this study would help musicians to know the meaning of the two grooves accurately; it will be very helpful for playing, composing, and arranging songs in the future. Shuffle, Swing

      • 발성법에 따른 배음 변화 연구

        장원준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실용음악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3711

        필자는 선천적으로 목소리를 잘 조절하는 사람이든 또 그 반대의 경우의 사람이든 발성법을 주제로 토론할 때 통일되지 않은 언어 표현의 영향으로 소통이 원활하지 않음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토론 과정 중 잘못된 정보의 전달을 피하고자 보다 객관적인 정보 전달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해결 방안으로 호흡과 발성 그리고 성구와 공명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또한, 필자의 발성을 녹음해 소리 시각화 분석기(Spectrum Analyzer)를 통하여 음향학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발성법의 변화는 각 배음의 다이내믹의 변화를 주었고, 이러한 변화가 음색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다양한 발성이론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이 연구의 조사에 따르면, 발성과 성구 선택에 따라 배음은 대부분 같았지만 각 배음마다 음량의 차이가 있었다. 필자는 이를 이용해 자신의 음색을 시각화시켜 훈련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배음은 악기의 음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그리고 연주자마다 연주력이 다르기 때문에 악기가 같아도 각 배음의 음량은 같지 않다. 이렇듯 사람들은 항상 다른 소리를 듣는데 그것을 다르다고 느끼고도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한다. 배음이 미세하게 다른 소리가 발생할 때 인간의 청력은 훈련을 통하여 그것을 구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훈련을 위해 배음의 미세한 차이를 시각화시켜 훈련에 적용하면 효과적인 훈련을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그 훈련 방법을 제시한다. I have experienced that communication is not smooth due to the uneven expression of language when discussing the topic of vocalization, whether it is the person who controls the voice naturally or the person who is the opposite. In order to avoid the communication of erroneous materials during the discussion process, I decided to process the research about communicating systems. As a solution, I have recapitulated the concepts of breathing and vocalization, voice range and resonance. In addition, my voice was recorded and analyzed acoustically through a Spectrum Analyz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hange of the vocalization method gave the change of the loudness of each harmonic, and the effect of this change on the timbre was studied by using various vocalization theory. It is investigated that most of the harmonics were the same depending on the vocalization and voice range,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volume between each harmonic. I utilized the research to visualize and train your voice timbre. Harmonic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determines the timbre of musical instruments.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performer’s ability or style, the loudness of each harmonic is not the same even if the musical instrument is the same. Human is able to hear the difference and feel that they are different, but they do not know exact causes. However, it is possible to improve ear capability to distinguish loudness of harmonics. This research provides you analysis of visualization of harmonics to support effective exercise for your ear training and vocalization methods.

      • Jacob Collier의 화성진행을 통한 Negative Harmony의 연구

        이현영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실용음악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3711

        대중음악은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다. 더 이상 쉬운 노래만이 듣기 좋은 노래라고 하는 시대는 지나갔으며, 작/편 곡가들은 언제나 새로운 창작 물을 내놓기 위해 부단히 공부하며 노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Jacob Collier라는 아티스트를 통하여 이제 막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한 Negative Harmony라는 이론을 발굴해내고 그것을 널리 알리는 것에 목적이 있다. 아직 국내외를 통틀어 Negative Harmony를 다루고 있는 서적이 없고, 지금까지 선행연구된 사례 또한 전혀 없었기 때문에 더욱 흥미가 생겨났으며, 인터넷상에 퍼져있는 자료들과 Youtube에 있는 인 터뷰 영상들을 기반으로 연구를 했다. 그래도 궁금증이 풀리지 않는 부 분은 한국에서 Negative Harmony를 처음으로 알려주신 분께도 질문하 였고, 일본에서 Negative Harmony를 연구하고 있는 피아니스트를 소개 받아서 도움을 요청하며 연구에 몰두했다. 그 결과 Negative Harmony 는 기존의 화성학보다는 상위 개념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작곡의 단계 보다는 편곡의 단계에서 주로 사용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 를 통하여 Negative Harmony가 대중적으로 더 많은 사람들에게 접근 이 용이한 이론이 되기를 희망한다. Popular music is continuously evolving. The era of easy listening music is gone. Now, song writers and arrangers are putting enormous effort to create new and different creatio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troduce, brand new theory, called ‘Negative Harmony’, which is introduced by the artist, Jacob Collier. I got fascinated by this topic since it was not possible to find any book or study on ‘Negative Harmony.’ So my study is based on information on internet and interview videos on YouTube. Further questions were answered by Korean pioneer who introduced ‘Negative Harmony’ and Japanese pianist who was studying on this topic. As a result, I found ‘Negative Harmony’ was considered as a super ordinate concept and used in the arrangement stage than songwriting stage. With my study, I strongly believe ‘Negative Harmony’ will become more popular theory which has easy access for everyone.

      • 크리스마스 캐럴의 특징과 작곡법에 관한 연구 : 자작곡 '12월의 왈츠'를 중심으로

        오승우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실용음악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3711

        크리스마스는 종교적 측면을 넘어서 이웃사랑, 자선, 어린이들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적 축제가 되었다. 일반적인 휴일을 넘어 대부분의 국가에서 크리스마스는 모두가 함께 축하하는 즐거운 날이다. 그런 크리스마스 분위기를 느끼는데 가장 큰 요소는 바로 거리에 울려퍼지는 크리스마스 캐럴이다. 크리스마스 캐럴은 징글벨, 눈, 산타클로스 등의 내용이 들어간 가사와 밝은 음색의 악기들을 주로 사용하여 크리스마스 특유의 밝고 따뜻하며 즐거운 분위기를 만들어 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캐럴의 특성을 가사 표현, 음색, 멜로디, 악기 사용 기법 등의 요소들로 세분화하여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다양한 장르를 대표하는 캐럴들을 몇 가지 선별하여 음악적으로 어떤 기법을 사용하여 캐럴 특유의 분위기를 형성했는지에 대해 분석한다. 이렇게 연구한 캐럴의 특성을 바탕으로 자작곡을 창작하고, 자작곡을 중심으로 크리스마스 캐럴을 창작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Christmas has become a social celebration centered on neighboring love, charity and children, beyond the religious aspect. In most countries, Christmas is a joyous day for everyone to celebrate together, not just a typical holiday. The biggest factor in feeling such a Christmas atmosphere is the Christmas carol from the street. Christmas carols include jingle bells, snow, Santa Claus and other lyrics and bright tone instruments to create a bright, warm and pleasant atmosphere unique to Christmas. In this study, I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carols in detail by dividing them into elements such as lyrics expression, tone, melody, and musical instrument technique, and select some carols that represent various genres. By using some musical techniques, It is analyzed whether it formed atmosphere. Through my study, I wrote my own composition and present a method to create Christmas carols based on my own compos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