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관련학과 설립과정에 관한 연구 : 명지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박예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전문성을 갖춘 청소년지도자 양성과 청소년학의 기반조성을 위해 설립된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의 설립과정을 역사적 접근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의 설립과정에서 논의한 자료와 문서를 중심으로 사료를 수집했다. 특히 정부 및 국책연구기관에서 발행된 조사결과물이나 심의회 보고서, 대학 및 부설연구소등에서 발간된 논문 및 보고서와 자료를 중심으로 사료를 수집했다. 또 인터뷰 방법을 통해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 설립과 관련된 관계자들을 인터뷰하여 인터뷰 내용을 분석했다. 분석대상으로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를 선정한 것은 국내에서 최초로 설립된 청소년관련학과로 대표성을 가지고 있기에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를 선정했다.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의 설립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첫째,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 설립의 배경은 무엇인가?’ 둘째,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의 설립과정은 어떻게 되는가?’셋째, ‘전문성 있는 청소년지도자 양성을 위한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의 교육과정은 어떻게 되는가?’등 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 설립의 배경은 무엇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 설립의 정책적 토대가 된 한국청소년기본계획을 살펴봤다. 한국청소년기본계획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전문가와 각 행정부처, 시·도, 국민공청회를 통해 의견수렴을 하는 과정에서 전문성 있는 청소년지도자를 양성해야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에 전문성 있는 청소년지도자 양성과 청소년학의 기반 조성을 위해 청소년 관련학과를 대학에 설립해야한다는 내용이 한국청소년기본계획에 반영되었다. 둘째,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의 설립과정은 어떻게 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의 설립과정을 살펴보았다. 명지대학교의 오치선 교수가 ‘청소년지도학과 신설 계획’을 명지대학교와 교육부로 학과인가 신청서를 제출했다. 제출한 후 한국청소년학회 회장과 체육청소년부 장관이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의 필요성에 대한 의견을 교육부로 보냈다. 이에 교육부에서 ‘대학 25413-1041’의 인가번호로 인가했고 명지대학교 서울캠퍼스 인문대학에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가 신설 및 인가되었다. 하지만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라 학생정원에 대한 문제가 생겼는데 체육청소년부와 교육부의 협조로 91년 11월에 열린 수도권정비심의위원회에서 조건부 원안대로 가결함으로 학생정원을 확보했다. 셋째, ‘전문성 있는 청소년지도자 양성을 위한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의 교육과정은 어떻게 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의 교육과정을 살펴보았다. 먼저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의 커리큘럼은 92년 1월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의 커리큘럼에 대한 토론을 거쳐 만들었다. 이 토론에 참가한 인원을 살펴보면 정부 관계자와 국가연구시설, 청소년학계와 청소년 단체가 참여했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도 청소년지도자 양성방안과 교육과정을 마련하기 위해 연구를 1991년과 1992년 두 차례에 걸쳐 진행했다. 이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진행한 연구의 결과와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의 교육과정을 비교했을 때 교육과정의 내용과 구성이 유사한 것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전문성 있는 청소년지도자 양성과 청소년학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설립된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의 설립과정을 역사적 접근방법을 적용하여 살펴봤다. 본 연구를 통해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 설립과정과 교육과정을 만드는 과정에 체육청소년부와 명지대학교 그리고 청소년 관련 학계 및 전문가가 긴밀하게 협의하면서 진행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만들어진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의 교육과정의 과목들이 후에 국가공인자격인 청소년지도사 자격에 필요한 과목으로 지정되었기에 청소년학의 기반조성을 마련했음을 확인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the Department of Youth Guidance at Myongji University, established for the development of youth leaders with expertise and the foundation of youth studies, through a historical approach. In this study, fodder was collected based on the data and documents discussed during the establishment of the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t Myongji University. In particular, feed was collected mainly from research results, council reports, research papers published by governments and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papers and reports published by universities and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s. In addition, through the interview method, the interviewees were analyzed by interviewing the persons involv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t Myongji University . Myeongji University's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Department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analysis as it was the first established youth-related department in Korea. The research questions set to examine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the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t Myongji University are as follows: First, ' What is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t Myongji University? ' Second, ' What i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t Myongji University? ' Third, ' What is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t Myongji University to foster professional youth leaders? '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 What is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t Myongji University? In order to find out, we looked at the basic plans for youth in Korea, which became the policy found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t Myongji University. In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Korea Youth Basic Plan, it was suggested that experts and professional ministries should be nurtured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opinions through administrative ministries, municipalities , and public hearings. Therefore, it was reflected in the Korea Youth Basic Plan that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a department related to youth in universities in order to cultivate professional youth leaders and establish a foundation for youth studies. Second, ' What i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t Myongji University? In order to find out, I looked at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the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t Myongji University. The ohchiseon professor of Myongji University ' youth department map new plan , the application submitted an application to the Department of Myongji University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After submission, the President of the Korean Youth Society and the Minister of Physical Education and Youth sent opinions about the need for the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t Myongji University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 University 25413-1041 " Is he the authorized number of Myongji Myongji University in Seoul campus has been applied to the new school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department and the College of Humanities. However, according to the Seoul Metropolitan Area Readjustment Planning Act,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student quota. In cooperation with the Ministry of Education, Youth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Metropolitan Area Reorganization Deliberation Committee, held in November 91, secured the student capacity by passing the conditional proposal. Third, ' What is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t Myongji University to train professional youth leaders? In order to find out, I looked at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t Myongji University. First,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t Myongji University was created in January 92 after discussion on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t Myongji University. Looking at the number of people participating in this discussion, government officials, national research facilities, youth academia and youth groups participated.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also conducted two studies in 1991 and 1992 to prepare a youth leader training plan and curriculum . Therefore, when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ond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with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t Myongji University,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 and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were similar. This study examined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the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t Myongji University, which was established to cultivate professional youth leaders and lay the foundation for youth studies, by applying a historical approach.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Youth Department of Myeongji University, Myongji University, and academia and experts related to youth were closely consult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curriculum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Department of Myongji University. At this time , it was confirmed that the subjects of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at Myongji University were later designated as required courses for the qualification of a nationally qualified youth instructor. Keywords: Youth Studies, Historical Approach, Youth Leadership Development,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 대학 내 조직과 협력을 통한 대학기록관 활성화 방안 연구 : 명지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이민철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의 대학은 현대 사회에서 차지하는 존재감과 그동안의 성장에 비해, 체계적으로 스스로를 돌아보기는 어렵다. 대학기관에서 대학기록관 운영 및 대학기록관리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이 개정되고, 대학기록관의 수는 증가하였지만, 여전히 대학 구성원의 인식, 대학기록관의 역할 등 활성화 부분은 부족하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연구자는 대학기록관 자원의 특성과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분야와 산업간 협력을 통해 시너지를 추구하는 사례, 그리고 대학 관련 사회적 이슈에 따른 대학조직 개편의 필요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대학기록관과 대학 내 조직의 협력을 통한 대학기록관 활성화 연구가 필요하다 판단했다. 이에 연구 목적을 대학기록관과 대학 내 조직의 협력을 통한 대학기록관 활성화 방안 제시로 설정하고, 세부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이 설정했다. 첫째, 대학기록관과 대학 내 조직의 협력 사례 확인하고, 다양한 협력 가능성을 분석한다. 둘째, 대학기록관 활성화를 위한 업무 분야별 대학기록관과 대학 내 조직과의 협력 방안을 제시한다. 셋째, 대학기록관과 대학 내의 적절한 조직과의 협력 체계 구축 및 확장 서비스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대학기록관 관련 연구와 대학기록관과 대학 내 조직의 협력 사례, 복합문화공간 및 라키비움의 융합 사례를 분석했다. 대학기록관과 대학 내 조직의 협력 사례 분석에서는 대학기록관과 대학도서관, 대학박물관, 대학 본부, 총학생회, 총동문회, 학부 및 학과 등과의 협력 사례를 수집 분야, 전산화 분야, 공간 분야, 서비스 분야로 구분하여 분석했다. 이를 통해 대학기록관이 대학 내 조직과 각 분야에서 어떤 협력을 진행하며, 협력을 통해 어떤 효과를 거두고 있는지 파악하며 시사점을 도출했다. 복합문화공간 및 라키비움의 융합 사례 분석을 통해서는 융합된 기관은 어떤 공간 구성을 갖추며, 그 속에서 기록관은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 파악했다. 그리고 명지대학교 대학사료실 및 명지대학교 내 조직의 협력 사례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명지대학교 대학사료실과 대학 내 일부 조직과의 협력 가능성을 파악했다. 대학기록관 관련 연구와 협력 및 융합 사례 분석, 명지대학교 대학사료실의 협력 가능성 분석을 통해 도출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장점은 극대화하고, 아쉬운 점은 보완하는 명지대학교 대학사료실과 대학 내 조직의 협력 및 활성화 방안을 제안했다. 대학사료실 활성화를 위한 업무 분야별 협력 방안은 다음과 같다. 수집 분야에서는 규정에 자료 교류 및 협력을 명문화하고, 적극적으로 찾아가는 수집 활동을 진행해야 한다. 전산화 분야에서는 규정에 기록관리 관련 전산화 부분을 명문화하고, 전산화를 수행하며, 이용자의 온라인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 공간 분야에서는 대학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며, 상업 공간·휴식 공간·메이커스페이스 등을 포함하는 복합공간을 추구해야 한다. 서비스 분야에서는 대학도서관의 이용자 교육 및 비교과 프로그램이나 대학의 필수 이수 과목인 채플 등과 연계한 서비스를 기획해야 한다. 대학 내 조직별 협력 체계 구축 및 확장 서비스 방안으로는 대학도서관, 대학박물관, 총학생회, 총동문회, 대학 본부 등 대학조직에 대학사료실이 먼저 적극적으로 다가가고, 지원하며 관계를 형성해야 함을 강조했다. 그리고 나아가 해당 대학조직의 기존 프로그램, 행사, 기능 등을 활용·연계하는 확장 서비스 방안을 제안했다. 연구를 통해 제안한 내용은 명지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진행했기 때문에, 모든 대학기록관에 일괄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오늘날 다양한 협력이 이루어지며, 협력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부각되는 시점에서 대학기록관과 대학 내 조직의 다양한 협력 사례를 정리하고, 협력에 초점을 맞춰 개선방안 및 협력 방안, 확장 서비스 방안을 제안한 부분은 협력을 시도하는 기관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orean Universities are systematically unable to look back on themselves compared to their status in modern society and their growth so far. This is because there is a lack of awareness about the operation of university archives and management of university records. Although the Act on the Management of Public Records has been revised and the number of university archives has increased, there are still regrets in the activation part such as the perception of university members and the role of university archives is still insufficient. In this reality, the researcher comprehensively considers many things that includ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archives resources, cases of pursuing synergy through cooperation between various fields and industries in modern society, and the necessity of reorganizing the university’s internal organization reflecting social issues related to universities. As a result, the researcher decide that the study on ways to activate university archives is necessary.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a plan to invigorate the university archive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the university archives and organizations within the university. The detailed research goals are as follows. The first goal is to analyze possibilities of collaboration between the university archives and internal organizations of university by examining various cases. Second, it is to present a plan for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y archives and organizations within universities by business fields. Third, it is to propose a solution about establishing a cooperative system for university archives and organizations within universities and expanding the service. To achieve these goals, this study analyzes the research related to the University Archives, the case of cooperation between the University Archives and the organization within the university, and the complex cultural spaces. The analysis of cooperative cases, such as collaboration with university archive, university library, university museum, university headquarter and student council, is divided into collection, computerization, space, and service fields. Through this analysis, it is possible to figure out what kind of cooperation projects the University Archives is conducting with the university’s internal organization in each fields and what effect it is getting. Also, by analyzing the convergence case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and larchiveum,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fused institution and the role of the Archive are found out. In addition,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current status of cooperation in Myongji University's university archives and the case of collaboration in Myongji University’s internal organizations, the possibility of cooperation in the university is identified. Considering research related to university archives, analysis of cooperative cases, and the situation of Myongji University's university archives, it proposes ways to cooperate and revitalize the university archives and organizations in the university to maximize benefits and supplement disappointments. Cooperation plans for each business field to revitalize the university archives are as follows. In the field of collection, data exchange and cooperation should be stipulated in the regulations, and data collection activities should be actively carried out. In the area of computerization, the computerized part should be provided in the regulations and the online accessibility of users should be increased. In the field of space, university spaces should be efficiently utilized and complex spaces including commercial spaces, rest spaces, and makerspace should be pursued. In the service sector, services linked to user education in university libraries, a non-subject program or a required course at a university should be planned. As a way to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for each organization within universities, this study emphasized that university archives should actively approach, support, and form relationships with university’s internal organizations such as university library, university museum, student council, university headquarter. Furthermore, it suggested an extension service plan utilizing the existing programs, events, and functions of the university organization. Since the contents proposed in this study are conducted based on the case of Myongji University,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it to all university archives. However, further cooperation is taking place today, and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collaboration is highlighted. So,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a reference material to organize various cases of cooperation between the university archives and university’s internal organizations, and to propose improvement plans and expansion service solutions with a focus on cooperation.

      • 뮤지컬의 기독교 문화사역 활용방안 연구 : 명지대학교 공연 채플을 중심으로

        김신자 명지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기독교 대학 문화사역으로서 뮤지컬 공연 채플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독교 대학의 설립이념은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교육과 연구를 시행하는 것이다. 기독교 대학은 이러한 설립이념을 구현하기 위해 채플, 교과, 프로그램, 학생활동 등을 제공한다. 그중에서 채플은 기독교 대학의 사역 중 가장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그러나 현재 채플은 학습자들의 반감과 여론 악화 등의 어려움에 봉착해있다. 기독교 대학은 채플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 연구는 채플에 대한 문화사역 접근의 일환으로서 뮤지컬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고, 그 활용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뮤지컬에 관한 연구 분야에서 뮤지컬 공연 채플에 관한 관심은 거의 발견하기 어렵다. 뮤지컬에 관한 종래의 연구 문헌들은 그 주제에 따라 다섯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첫째는 뮤지컬 대본에 관한 연구 문헌들이다. 둘째는 연출, 연기, 음악, 미술 등 뮤지컬의 각 요소를 연구한 문헌들이다. 셋째는 공연된 뮤지컬 작품을 분석하고 평가한 연구 문헌들이다. 넷째는 뮤지컬 제작과 마케팅에 관한 연구 문헌들이다. 다섯째는 뮤지컬을 타 학문과의 관련성 속에서 논의한 학제적 연구 문헌들이다. 뮤지컬 공연 채플에 관한 연구는 뮤지컬과 기독교 사역이 연관된다는 점에서 학제적인 연구에 해당한다. 그러나 뮤지컬에 관한 학제적인 연구 영역에서도 뮤지컬 공연 채플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독교 대학의 뮤지컬 공연 채플을 위한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기독교 대학의 문화사역은 청년기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대학의 문화사역은 청년기 학습자의 심리적·문화적 특성에 적합해야 한다. 그들의 심리적·문화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문화사역이 대학생들에게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대학교 문화사역을 통해 신앙을 확신하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교 문화사역을 통해 전인적인 성장을 할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대학교 문화사역을 통해 자아정체성 형성을 위한 자원들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넷째, 대학교 문화사역을 통해 건전한 청년 문화를 형성하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다섯째, 대학교 문화사역을 통해 정서적 감동과 치유의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기독교 대학의 뮤지컬 공연 채플을 위한 방안을 ‘FAITH’라는 두문자를 통해 제시한다. 여기에 포함된 알파벳들은 뮤지컬 공연 채플의 가능성인 동시에 중시해야 할 방안을 나타낸다. 첫째, 뮤지컬 공연 채플은 청년기의 학습자가 개별적인 신앙을 형성하도록 돕는다(Faith: 신앙). 둘째, 뮤지컬 공연 채플은 종합예술로서 학습자의 전인을 자극하여 소통한다(Art: 예술). 셋째, 뮤지컬 공연 채플은 인간 삶의 이야기를 통해 학습자의 자아정체성 형성을 돕는다(Identity: 정체성). 넷째, 뮤지컬 공연 채플은 문화 트랜드를 주도하는 공연예술로서 기독교 청년의 문화 형성과 전파를 위한 도구가 된다(Trend: 경향). 다섯째, 뮤지컬 공연 채플은 정서적 감동을 통해 치유의 기회를 제공한다(Healing: 치유).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이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공연 채플의 뮤지컬 작품 〈개떡〉과 〈가스펠〉을 중점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했다. 〈개떡〉은 기독교적 세계관을 간접적으로 전달하고〈가스펠〉은 직접적인 방식으로 기독교 세계관을 전한다. 본 연구는‘FAITH’를 중심으로 학생설문 내용을 반영하여 두 작품을 분석하고 평가했다. 뮤지컬 수용자 설문조사 결과는 문화사역으로써 뮤지컬의 효과가 공연 채플의 목적‘FAITH’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첫째로 뮤지컬은 기독교 세계관의 메시지 전달 효과에 개떡은 23.5%, 가스펠은 37.4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뮤지컬은 종합예술로서 개떡은 40.4%, 가스펠은 45.7%로 전인을 자극하며 교육적 활용의 가치를 지닌다고 답하였다. 셋째, 뮤지컬은 인간 삶의 내러티브 구조로서 개떡은 17.8%, 가스펠은 16.7%로 다른 요소에 비하여 낮지만, 여전히 삶의 의미와 방향에 대한 관점을 형성한다는 것에 유의한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넷째, 뮤지컬은 문화 트랜드를 주도하는 공연예술로서 개떡 17.8가 기독교 문화의 형성과 전파를 위한 도구가 된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으나 가스펠은 0.0으로 미미한 결과를 가져왔다. 다섯째, 뮤지컬은 정서적 감동을 제공함으로써 개떡은 20%, 가스펠은 27%가 치유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를 통하여 뮤지컬 공연 채플이 기독교 대학 문화사역의 방안으로 적절하고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use of musical performance as a tool for cultural ministry. One important mission of Christian universities is to educate students with a Christian worldview. Chapel services are central in accomplishing this objective, yet, they are often met with opposition from the students and media. Thus, this study suggests musicals as one way of revitalizing chapel service from a cultural ministry approach. Not much research has been done on performance chapels in the field of musical studies. The existing literature on musicals can be categorized under the following five themes: (a) studies on musical scripts, (b) different elements of musicals such as directing, acting, music, and art, (c) critiques of musicals, (d) the creation and marketing of musicals, and lastly, (e)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musicals. The current study applies to the last interdisciplinary theme as it examines the use of musicals in Christian ministry. Musicals have not yet been researched from a ministry-related perspective; this study thereby seeks to contribute along this line. Cultural ministry needs to reflect the psychological and cultural traits of its target. Cultural ministry for university students should, then, addres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it needs to help students strengthen their faith. Second, it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to grow as a whole person. Third, it needs to supply resources that help students develop their identities. Fourth, cultural ministry should lead to the establishment of a healthy youth culture. Fifth, it should offer events wherein students can heal and become inspired. Musicals is one platform through which all of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realized. Thus, it can be an effective ministry tool for university students. The present study shows through the acronym ‘FAITH,’ how musicals can be used during performance chapel. ‘F’ stands for ‘Faith,’ meaning that musicals can help students develop their individual faith. ‘A’ stands for ‘Art’ in that musicals are form of art that stimulates the growth of a whole person. ‘I’ stands for ‘Identity.’ Musicals, by acting out the story of human, can help the students’ develop their own identities. ‘T’ stands for ‘Trend’ as musicals can be a tool for directing the trend of Christian youth culture. Lastly, ‘H’ stands for ‘Healing.’ Musicals is where people can be healed and be inspired. Based on this framework, this study focuses on two musicals — ‘Gyettuk’ and ‘Gospel’ — that were performed during the chapel services at Myongi University. Gyettuk is a musical that portrays Christian worldview from a rather indirect approach while Gospel delivers it in a more direct wa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fter these performances and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musical’s effect on the students’ perceptions.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two musicals had a positive effect alongside the objectives of ‘FAITH.’ First, 23.5%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Gyettuk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Christian worldview, while 37.4% reported positively for Gospel. When asked whether each musical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as a whole person, 40.4% reported positively for Gyettuk and 45.7% for Gospel. Only 17.8% and 16.7% answered positively for the effect of Gyettuk and Gospel on their identity, but they noted that the musicals were useful in defining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their life. Whereas 17.8% responded that Gyettuk is a useful tool for promoting Christian culture, the response rate dropped to 0% for Gospel. Gyettuk was perceived as inspiring by 20%, and 27% reported that Gospel was a healing experience. These findings provide evidence that using musicals during performance chapel can be effective for university students.

      • 대학 내 학생 관련 기록물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명지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공민은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87

        대학 내 학생 관련 기록물은 대학의 기능적 측면, 사회적 측면, 개인적 측면에서 중요성을 가진다. 대학 기능적 측면에서 학생 관련 기록물은 기록물이 생산된 시점에서의 각 구성원들의 주관적인 모습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고 이는 행정기록물의 한계점을 보충하는 기제가 되며, 연구적 활용성을 가진다. 사회적 측면에서 학생 관련 기록은 새로운 관점에서 당대의 사회적 역사 및 문화를 기록할 수 있다. 더불어 사회적으로 창의적 자원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개인적 측면에서 학생 기록은 지적 활동의 산물이며 학창 시절 기록으로써 부분적인 생애사적 기록이 될 수 있다. 하지만 학생 기록물이 가지는 중요성이 큼에도 불구하고 학생 기록물은 서로 다른 주체가 생산해 내는 기록의 양이 방대하며, 분산되어 있고, 체계적인 관리가 어려워, 여러 연구가 수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대학의 실행 측면에서 부진한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학의 ‛학생 관련 기록물'의 수집·관리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대학 내 학생 관련 기록물의 체계적 수집을 통한 기록의 보존 및 효용성 제고를 위해, 학생 관련 기록물의 특성과 종류에 대해 살펴보고, 현재 국내외 대학의 관리 사례를 바탕으로 수집·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대학 내 학생 관련 기록물이 가지는 의미와 특성을 분석하고, 국내·외 대학 사례를 분석하여 명지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 학생 관련 기록물의 관리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 기록을 행정 기록과 교육 기록, 학생 활동 기록의 세 가지 기록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보았다. 이 중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수집·관리 및 서비스가 비교적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행정 기록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기록 영역을 ‛학생 관련 기록물'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학생 관련 기록물'을 ‛교육 기록', 교육 기반의 프로그램을 통해 산출될 수 있는 ‛학생 창작 및 연구 기록', 교육 외 ‛학생 활동 기록'으로 구분하였다. 세 가지 영역별로 사례를 살펴보고 명지대학교의 현황에 적합한 영역별 관리 방안과 종합적 관리 방안을 제안하였다. 학생 관련 기록물의 관리현황을 전반적으로 살펴본 결과, 다양한 학생 관련 기록물에 가치를 부여하고 체계적으로 기록을 수집·관리하는 경우는 매우 적었다. 본 연구에서는 명지대학교의 생산 현황에 따른 제안을 하였지만, 이는 대부분 일반 대학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들은 대학 내 학생 기록이 갖는 가치와 의미를 파악하여 관리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학생 관련 기록물을 대학 기록의 범주 안에 명확히 포함시키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대학 기록관 및 도서관의 수집 정책을 성문화 시키는 것이 학생 관련 기록물 관리의 바탕이 되어야 할 것이며, 디지털 형식의 기록 수집, 기관 협력과 디지털 리포지터리의 설치 등의 방안을 통해 학생 관련 기록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ent records in university are important for the three aspects of university – functional, social and personal. In the functional aspect of the university, the student records help to identify the subjective aspects of each member at the time of production of the records, which complements the limitations of administrative records and has research utility. From a social aspect, the student records can record the social history and culture of the present from a new perspective. In addition, it plays a role as a creative resource in society. Lastly, on the personal aspect, student records are the product of intellectual activity and can be part of life history records. However, the student records are very large and distributed in quantities produced by different subjects. Therefore, despite the great importance of the student records, many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but remain at a sluggish stage in terms of university performance.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d the management method of the student related records in university. In other words, in order to preserve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by collecting student related records in university,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student related records were examined and the management plan was suggested based on the management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s of the student related records in the university and to analyze the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to present the management method of the student related records centered on Myongji University cases. In this study, the student records consisted of three areas : administrative record, education record, and student activity record. Among these, the record area except for the area of administrative records in which the research is continuously performed was defined as 'student related record'. And 'Records related to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education record', 'student creation and research record', and 'student activity record'. This study investigate three areas suggesting a few comprehensive management plan for the Myongji University.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management of student related records, very few cases of valuing various student-related records and systematically collecting and managing records. In this study, the proposal was made according to the production status of Myongji University, this can be applied to general universities as well. Universities need to understand the value and meaning of student records in university, to empathize with the need for management, and to ensure that student related records are clearly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university records. In addition, codification of collection policies of university archives and libraries should be the basis of managing student related records. The collection of digital records, institutional collaboration and the installation of digital repositories will be an effective way to systematically manage student related records.

      • 20세기 발간된 도서 산성화에 대한 조사연구 : 명지대학교 도서관 장서를 중심으로

        주미연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소장 도서의 보존관리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명지대학교 소장 도서(1901-2000년) 559권을 대상으로 산성도 측정, 열화도 평가, 백색도 측정, 주사전자현미경(SEM) 촬영을 하여 연도별(10년 단위)·국가별(국내도서·미국도서·프랑스도서·일본도서·중국도서)로 도서의 보존상태를 조사하였다. 산성도 측정결과 명지대학교 소장 도서의 81.4%가 pH 5.4 이하로 산성화 되었으며, 1980년대 이전의 도서(86.6%)들이 대부분 pH 6.0 이하를 나타내고 있어 보존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열화도 평가 결과 명지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된 도서는 대체로 1921-1930년에 발행된 도서의 열화도(1.15)가 가장 심하였고, 1960년(2.17)을 전후해서 열화도 평점이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열화도는 명지대학교 소장 도서의 84.1%가 보존 관리 및 보존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변색도는 명지대학교 소장 도서의 65.3%가 황변화 한 것으로 나타났다. 백색도 측정 결과 대체로 장기 보관될수록 백색도가 낮았으며, 특히 1921-1930년대 백색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1980년 이후의 자료일수록 백색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주사전자현미경(SEM) 촬영 결과 훼손된 종이의 섬유조직에서는 표면침식과 잔주름이 많이 나타났으며, 비틀림으로 인한 섬유형태의 변형이 관찰되는 반면 훼손이 되지 않은 종이의 섬유조직에서는 훼손된 종이에서 나타나는 현상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명지대학교 도서관에서 조사된 도서의 보존상태는 국내외 기록보존기관에서 주로 접할 수 있는 기록물의 훼손 유형과 비슷하였으며 가장 큰 열화원인은 산성용지로 된 도서의 산성화와 보관 중에 생기는 자연적인 산성화로 밝혀졌다. 이는 산성지의 계속적인 증가와 명지대학교 도서관의 보존환경 관리가 시스템 미비로 도서의 산성화를 더욱 촉진시키는 것으로 생각되므로 도서관에서는 도서의 보존을 위해서 외부의 온습도 변화, 대기오염, 외부 충격 등을 예방해주는 보존환경 유지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향후 관리비용 절감과 미래의 자료보존을 위해서 중성지의 사용도 제안하고자 한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of books in university libraries, this study measured the acidity, degradation and whiteness of 559 books (1901-2000) in the library of Myongji University, took scanning electronic microscope (SEM) photographs and examined the preservation condition of books by age (10 year unit) and by country (Korea, USA, France, Japan and China). According to the result of measuring acidity, 81.4% of books in the library of Myongji University were acidified below pH 5.4 and most (86.6%) of books before 1980 were below pH 6.0. This suggests that it is urgent to take an action for proper preserv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measuring degradation, among books in the library of Myongji University, those published between 1921~1930 were degraded most severely (1.15) and the mean score of degrad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in books published after 1960 (2.17). The result on degradation suggests that 84.1% of books in the library of Myongji University need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treatment. As for discoloration, 65.3% of books in the library of Myongji University appeared be yellowed. The result of measuring whiteness showed that whiteness was low in old books and particularly those in the 1920s and 1930s and was high in books published after 1980s. According to SEM photographs, fibrous tissue of damaged paper had surface erosion and a large number of fine wrinkles, and the fiber was deformed by twist. On the contrary, such phenomena were hardly observed in fibrous tissue of undamaged paper. In conclusion, the preservation condition of books investigated in the library of Myongji University was similar to the pattern of damage in documentary literature kept in domestic and overseas archives and the biggest reasons for degradation were acidification of books made of acidic paper and natural acidification. As it is expected that the acidification of books will be accelerated by the continuous increase of acidic paper and the inadequate preservation system in the library of Myongji University, it is important to maintain preservation environment that protect books from change in outside temperature and humidity, air pollution, external impact, etc. Lastly, this study suggests the use of neutral paper to reduce the cost of maintenance and to preserve literature in the future.

      • 대학 총학생회 자치활동의 설명책임성을 위한 기록관리 방안 연구 : 명지대학교 총학생회를 중심으로

        이유빈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87

        A university is an organization charged with publicity and has accountability to the community for the operating process. Students account for a majority of members in a university. In universities, numerous creatures are pouring out every year and university students are major producers of these records. However, roles and functions of university students producing enormous amount of records as main agents of universities and focused concentration on produced records have not been made yet. It is reality that from the archival point of view, the importance of produced records of which main agents are university students has been relatively underestimated. In this background, this study attempted approach in archival point of view on records produced by university students, main agents. There are various types of records that university students produce such as records produced in the process of research and teaching as well as records produced in the process of various autonomy activities like clubs, students' associations. This study especially focused on university student autonomyactivity process and placed emphasis on accountability securing measures on autonomy activity process of university students. To secure accountability of activities, records management should be based. Therefore, as a way to ensure accountability of unversity students autonomy activity, we tried to present records management systematization and records utilization measures. For this, a student body, a university student autonomy organization was analyzed and a student body of Myongji University Humanities Campus was selected as a specific target. First, to identify records management status, activities and organization and functions of the student body, we conducted an interview with the president of the student body. Through this, we analyzed the activities of the university student body and examined the necessity of accountability accordingly. Also, we deriv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records to be produced at each stage by analyzing the organization and functions of the student body of Myongji University. Like this, after deriving the types of production records according to the necessity, organization and functions of accountability and activities of the student body, we analyzed records management status of the present student body. First, to identify the general process status of activities of the student body, we analyzed activity process by stage of the student body of Myongji University. And we analyzed records management method of the student body and responsibility principal and conducted real condition analysis. Through this analysis, we presented the measures to ensure accountability of a university student body in three categories such as systematization of records management process, establishment of records management infrastructure, accountability guarantee measures. This study discussed accountability on society by analyzing activities and functions of a student body, targeting a student body, an autonomy organiz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as a measure to secure accountability ofa student body, we proposed a model for records management environment settlement. But in terms that a student body is an organization operated in one year basis, there is a limit that records management environment is hard to settle. This study pointedout this limit and was to provide clues when more active researches were carried out in the field of student records management in the future through presentation of student body records management model. Also, it is expected that the analysis results derived from this research will have significance in terms of school history arrangement and conservation. 대학은 공공성을 띤 기관으로서 그 운영 과정상 사회에 대한 설명책임성(accountability)을 가진다. 대학을 이루는 구성원 중 다수를 차지하는 것이 바로 학생이다. 대학에서는 매년 수많은 연구 창작물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데, 대학생은 이러한 기록물의 주요 생산자이다. 그러나 대학의 주체로서 매년 방대한 기록물을 생산해내고 있으면서도 대학생의 역할과 기능, 생산 기록물에 대한 집중적인 조명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처럼 기록학적 관점에서 대학생이 주체가 되어 생산된 기록물에 대한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어 왔던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대학생이 주체가 되어 생산한 기록에 대한 기록학적 관점에서의 접근을 시도하였다. 대학생이 생산하는 기록에는 연구 및 수업 과정에서 생산되는 기록뿐만 아니라 동아리, 학생회 등 각종 자치활동 과정에서 생산되는 기록 등 다양한 유형의 기록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대학생 자치활동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대학생의 자치활동 과정에 대한 설명책임성 확보 방안에 중점을 두었다. 활동의 설명책임성 확보를 위해서는 기록관리가 기초되어야 한다. 따라서 대학생 자치활동의 설명책임성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서 기록관리 체계화 및 기록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자치 조직인 대학 총학생회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대상으로는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총학생회를 선정하였다. 우선 총학생회의 활동과 조직 및 기능, 기록관리 현황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총학생회장과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 총학생회의 활동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설명책임성의 필요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명지대학교 총학생회의 조직과 기능을 분석하여 각 단계에서 생산되어야 하는 기록의 종류와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처럼 총학생회의 활동과 설명책임성의 필요성, 조직 및 기능에 따른 생산 기록물의 유형을 도출한 후, 현재 총학생회의 기록관리 현황을 분석하였다. 먼저 총학생회 활동의 일반 프로세스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명지대학교 총학생회의 단계별 활동 프로세스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총학생회 기록관리 방법과 책임 주체를 분석하고 실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대학 총학생회의 설명책임성 확보를 위한 방안을 기록관리 과정 체계화, 기록관리 인프라 확립, 기록 활용을 통한 설명책임성 확보 방안의 세 가지 범주에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 자치 조직인 총학생회를 대상으로, 총학생회의 활동과 기능을 분석하여 사회에 대한 설명책임성을 논하였다. 그리고 총학생회의 설명책임성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서 기록관리 환경 정착에 대한 모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총학생회는 1년 단위로 운영되는 조직이라는 점에서 기록관리 환경이 정착되기 힘든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지적하고, 총학생회 기록관리 모형 제시를 통해 차후 학생기록관리 분야에서 보다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질 때 단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교 사(史) 정리와 보전 차원에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 결과가 의의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 교육대학원 제도 개선방안 모색 : 명지대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 전공을 중심으로

        이하나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87

        교사가 되고자 하는 사람이 많은 현재 교육대학원의 인기는 높을 수밖에 없다. 교육대학원은 교원의 자질과 전문성을 지속적으로 계발시키고자 설치된 특수목적 대학원이기에 현직교사에 대한 연수 기능은 물론 대학원 수준에서의 교사양성 교육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교육대학원의 상황에서 각 대학원에선 시행되고 있는 그 제도가 문제점이 없는지 살펴보고 점검해 보고 문제점을 개선하고 발전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너무나 방대하기에 다 살펴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구체적으로 참여관찰 조사 방법론을 원용하여, 필자가 경험한 바 있는 명지대학 일반사회과의 교육시스템 현황을 중심으로 조사하고 점검해보고, 명지대 교육대학원의 현황과 일반적인 교육대학원의 현황도 살펴봄으로서 문제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아울러 피교육생들에게서 제기되는 문제점이 있다면 그것은 교육대학원 제도 시스템 자체에서 연유하는 것인지 혹은 명지대 내에서의 적용상의 문제인지를 규명할 필요도 있다. 문제에 대한 규명은 원인과 함께 해결 방안 제시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다른 전공과 비교했을 때 일반사회전공은 인기가 매우 낮은 편에 속한다. 타전공과 비교했을 때 공부해야 하는 전공분야가 많고 그럼에도 과목당 취업경쟁률은 높다. 게다가 주요과목이 아니기에 중요성도 타 주요과목에 비해 떨어지기에 인기가 낮고 그러다보니 교육대학원 내에서 일반사회전공의 중요도는 떨어지고 학생들의 지원도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이런 상황에서 일반사회전공이 나아가야 할 길은 어디에 있는지 더욱 발전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하는지 찾을 필요가 있고 그 결과로 일반사회전공도 다른 주요과목전공과 같은 주목도와 관심을 받을 수 있게 되리라 본다. 아울러 이 연구는 명지교육대학원 일반사회전공이란 작은 범위를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기에 이 한 가지 연구만으로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을 평가한다던지 교육대학원을 평가한다던지 하거나 일반화하기는 어렵고 미흡하다. 그러나 이런 연구를 계속적으로 수행하고 지속적으로 수정하고 보완한다면 일반사회전공이 발전하고 명지대학이 발전하고 나아가 교육대학원까지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 기대하며 교육대학원에 대한 일반적 이해를 한 후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와 일반사회전공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현재 2007년도까지 전국 소재 교육대학원의 설치학교는 국공립과 사립 모두를 포함하여 134개 대학이며 그 중 총45개 대학(공립 1, 국립 15, 사립 29)에 일반사회교육전공과정이 설치되어 있다.(중앙대의 일반사회 및 윤리교육전공은 제외시켰다) 그 중 사립 대학원 중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의 최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연구해 보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교육대학원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제도를 개선하기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사회교육 전공의 교과과정이 실 수요자인 학생중심으로 재편성되어야 한다. 둘째, 다양한 수요자의 특성이 반영된 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학위취득요건이 대학원생들의 요구가 반영되어 융통성 있게 운영되어야 한다. 넷째,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일반사회전공의 경우에 필요한 것으로 논문지도 과목이 개설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의 경우에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 도서관 이용과 관련하여 대출권수 확대와 대출기간의 연장과 열람실의 확충이다. 여섯째, 전임교수의 확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일곱째, 박사학위 과정을 설치하는 것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교육대학원생 스스로 보다 나은 교육환경을 만들어 가야 한다.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교육대학원의 설립 배경 및 설치 현황과 교육대학원의 이념과 기능 그리고 양적 성장과 교과과정 운영의 방향과 교육대학원의 문제점 등을 자료로 제공하고 개선해야 할 사항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조사대상의 중심이 특정 대학의 특정 전공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고 대부분 이차 자료만을 활용하고 필자의 개별적 경험에만 의존한 자료도 있어 객관성이 떨어질 수 있기에 교육대학원 제도 개선책을 위한 자료로 활용되기엔 많은 보완을 요구한다. 본 필자는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앞으로는 다양한 대학원을 대상으로 각 대학원의 일반사회교육과정을 비교 분석 연구하고 나아가 교육대학원 모든 전공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우리나라 교육대학원뿐만 아니라 좀 더 전문화 된 외국 교육대학원의 분석과 비교 연구 등의 후속 연구가 계속 필요하다고 보며 이를 통한 교육대학원의 바람직한 교육과정 정립과 제도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후속 연구를 기약하는 수밖에 없음을 기록으로 남겨둔다.

      • 교육 서비스의 고객만족 전략에 관한 연구 - 명지대학교 기업인재개발원을 중심으로 -

        조민관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는 명지대학교 기업인재개발원이 기업의 재직자와 채용 예정자를 위탁받아 실시하는 교육훈련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는 고객이 요구하는 서비스의 품질에 대해 분석하고,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략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고객만족과 교육 서비스에 대해 이론적 연구를 하고 QFD 방법론을 이용하여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2014년 2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명지대학교 기업인재개발원에서 교육훈련을 수료한 47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을 통하여 실증 연구를 진행하였다. 설문을 통해 고객의 요구사항을 수집하고, 수집된 고객의 요구사항을 서비스 제공을 위한 요구품질로 변환하고 구분하였다. 그리고 명지대학교 기업인재개발원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교육 서비스 전략을 수립하였다. QFD 방법론을 이용하여, 수립된 전략과 고객의 요구품질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명지대학교 기업인재개발원에서 제공해야할 교육 서비스 전략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객의 요구사항, 선행연구와 명지대학교 기업인재개발원 직원들의 의견을 반영한 교육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여러 가지 전략을 수립할 수 있었고, 수립된 전략들 중에 우선적으로 제공해야할 전략의 방향을 잡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훈련기관이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기업 재직자의 역량을 키우는 것에 기여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intended to analyze service quality demanded by customers whom educational service is provided for the subject, educational training enterprise manpower development center of Myongji University is left in charge of workers and recruitment planned people of enterprise and draw a strategy to provide good-quality service. Through the precedent studies, theoretical study was conducted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service and positiv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QFD methodology. Through the survey conducted for 473 people completing in enterprise manpower development center of Myeongji University from Feb. 01, 2014 to Oct. 31, a posi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survey, demands of customers were collected and collected demands of customers were changed and divided into inquired quality for service provision. And, educational service strategies that enterprise manpower development center of Myeongji University intends to provide were collected. Correlations between collected strategies established by QFD methodology and quality demanded by customers were analyzed and finally, educational service strategies enterprise manpower development center of Myeongji University should provide were drawn. Results of this research could establish several strategies for provision of educational service reflecting customers' demands, precedent studies and opinion of employees of enterprise manpower development center of Myeongji University and among the established strategies, decide the direction of strategy which must be firstly provided.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for edu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provision of good-quality educational service and contribution to cultivation of enterprise workers' capabilities.

      • 기록정보서비스를 위한 메신저 기반의 챗봇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 명지대학교 대학사료실을 중심으로

        이창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87

        기록 관리는 기록을 선별하고 수집하여 보존하는 것에서 이를 이용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지만 여전히 기록관의 존재를 인지하지 못하는 잠재적 이용자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록관과 이용자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기록정보서비스 챗봇을 개발하였으며, 구체적인 개발 절차와 방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적용 대상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사료실을 선정하고 이용자 요구 및 질의 분석을 진행하였고 챗봇 개발을 위한 논리적 구조 설계를 제안하였다. 이어 IBM Watson Conversation과 카카오톡 메신저를 통해 챗봇을 구축한 뒤, 시험 실행(Pilot run) 과정을 통해 기록정보서비스 챗봇이 이용자와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록정보서비스 챗봇 개발 과정의 경험을 바탕으로, 챗봇 도입, 챗봇의 수준 결정, 이용자 요구 분석, 챗봇 구축을 위한 도구 선정, 대화식 상호작용을 위한 구문 설정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기록정보서비스 챗봇 개발을 위한 논리적 구조 설계와 기록관 챗봇 구축의 시사점에 대한 논의는 기록연구사가 기록정보서비스 챗봇을 개발하여 기록관에 적용하는 것에 대한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이해를 도울 것으로 기대된다. Records management is evolving from collecting and preserving records and archives to utilizing them, but there are still many potential users who are not aware of the existence of records centers and archives. Therefore, this study has developed a record information service Chatbot that support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records centers and archives, and it examined the specific development procedures and methods. In this study, we chose the Archives of Myongji University for the application of the Chatbot, analyzed user requests and questions, and proposed a logical structure design for Chatbot development. After building the Chatbot based on IBM Watson Conversation and KakaoTalk Messenger, we were able to find how the record information service Chatbot interacted with the user through a pilot run process. Also,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developing information service Chatbot, the implication on the introduction of the Chatbot, the determination of the level of the Chatbot, the analysis of the user requests, the selection of the tool for the Chatbot, and the syntax setting for the interactive interaction were suggested. It is expected that the discussions about the logical structure design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service Chatbot presented in this study and the implications of the construction of the Chatbot will help the archivists to understand the practical and detailed understanding of applying the information service Chatbot to the archives.

      • 인턴십 지원자의 기계학습기반 취업예측 모델개발 : 명지대학교 사례

        김현수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71

        명지대학교 산학인재개발원 IPP(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센터에서는 3~4학년 학생들이 4~6개월 실습기간을 통해 채용무관 형 및 채용연계 형으로 지원하는 IPP 인턴십과, 1년동안 실습 기간을 통해 채용연계 형으로 지원하는 일학습병행 인턴십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인턴십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학생들의 취업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취업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여기서는 기계학습 기반으로 학생 데이터, 자기소개서 및 기업규모 데이터를 통합하여 대기업 및 중견기업이상 취업 여부를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데이터 수집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IPP(장기현장실습)에 지원한 학생들 데이터와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일학습병행에 지원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데이터수집 방법은 학생들이 지원한 회사에 대해 전문교수와 상담을 통해서 작성한 이력서와 자기소개서를 중심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부족한 데이터 부분은 설문조사와 전화인터뷰를 통해 보완하였다. 데이터 수집 및 정제를 통해 IPP 경험자 219명, 일학습병행 경험자 154명, 두 인턴십을 지원했으나 탈락했거나 인턴십을 경험하지 못한 자 135명 등 총 508명의 데이터를 취업모델개발에 사용하였다. 평가모델은 기계학습 모델 중 기업규모에 따른 합격률 예측이 용이한 로지스틱 회귀모형, 랜덤포레스트, Light GBM(Gradient Boosting Model)과 자기소개서 텍스트 분석이 가능한 Word2Vec 모델, BERT(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rom Transformers) 모델을 통합하여 사용하였다. 모델의 독립변수는 선행 논문조사와 IPP 및 일학습병행을 통해 채택한 데이터로 성별, 전공계열, 전공일치, 입학유형, 평균학점, 교환학생, 공학인증, 어학점수, 비교과활동, IPP, 일학습병행, 인턴십 경험 무, 전공활동, 자격증&수상, 해외연수 등 15개 독립변수와 Word2Vec 모델(200차원)과 BERT(Bidire- 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rom Transformers) 모델(768차원)을 사용해 자기소개서를 백터로 변환한 독립변수로 구성된다. 종속변수는 취업기업의 유형으로서 대기업, 중견기업이상, 미취업으로 구분한다. 이 변수를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모형, 랜덤포레스트, Light GBM, Word2Vec, BERT 모델을 사용해 대기업합격 및 중견기업이상 합격 정확도와 F1_Weighted를 평가, 분석과 검증으로 취업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모델 개발을 위해 데이터 중 70%,는 학습데이터로, 30%는 테스터 데이터로 사용하였으며, 샘플링방법은 원 데이터, 언더샘플링, 오버샘플링, SMOTE(Synthetic Minority Over-sampling Technique), ADASYN (Adaptive Synthetic Sampling) 방법을 적용했다. 취업예측 모델에 자기소개서를 포함했을 경우, 대기업 합격, 중견기업이상 합격 정확도에서 F1_Weighted 평균 정확도가 각각 82.24%, 73.23%로서 자기소개서를 포함하지 않았을 때보다 정확도가 5.23%, 2.72% 개선되었다. 또한 44명의 새로운 데이터를 이용하여 예측성능 평가를 한 결과, 대기업 합격, 중견기업이상 합격 정확도에서 F1_Weighted 평균 정확도가 각각 70.69%, 74.55%로 나타났으며 취업예측 모델이 잘 개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에 추가적으로 보완해야 할 부분으로, 학생들의 면접교육 항목, 기업들의 면접항목 및 면접결과 대한 내용들이 포함될 것으로 판단된다. 면접은 특히 회사마다 직무에 맞게 진행하기 때문에 심도 있는 연구와 면접 사례 개발이 필요하다. 현재 2차 년도 사업기간이 2022년 1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3년 기간 동안 진행되고 있으며 이 기간 동안에 위에서 서술한바와 같이 면접에 대한 관련 데이터를 확보하여 정확도가 우수한 취업예측 모델을 만들어 나갈 예정이다. Myongji University Industry-University Human Resources Development Center IPP (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Center offers IPP internships and IPP internships that 3rd and 4th grade students apply through 4 to 6 months of practical training, regardless of employment or employment-related, We are running a work-learning parallel internship program that supports recruitment through a one-year internship period. In this study, an employment prediction model was developed to identify the employability of students who apply for these internship programs. Here, a model was developed to predict whether or not to be employed in large and medium-sized companies by integrating student data, self-introductions, and company size data based on machine learning. Data collection collected data from students who applied for IPP (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from 2017 to 2021 and data applied for work-study parallelism from 2018 to 2021. As for the data collection method, data were collected centered on resumes and self-introductions written by the students in consultation with a professional professor for the company to which they applied, and the missing data part was supplemented through surveys and telephone interviews. Through data collection and refinement, a total of 508 data including 219 people with IPP experience, 154 people with work-study experience, and 135 people who applied for two internships but failed or did not experience an internship were used to develop the employment model. The evaluation model is used the machine learning model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mpany.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random forest, and light GBM (Gradient Boosting Model), which are easy to predict the pass rate, and the Word2Vec model and BERT (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rom Transformers) model that can analyze the text of the self-introduction were integrated and used.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e model is data adopted through prior thesis research, IPP and work-study parallel. 15 independent variables are gender, major, match of major, admission type, average grade point average, exchange student, engineering certification, language credit, extracurricular activity, IPP, work-study parallelism, no internship experience, major activity, certificate & award, and overseas training. To use Word2Vec model (200-dimensional) and BERT (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rom Transformers) model (768-dimensional), self introduction is composed of independent variables converted into vectors.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type of employed company, and it is divided into large company, medium-sized company and higher, and unemployed. Using this variable, logistic regression model, random forest, light GBM model, Word2Vec and BERT, a job prediction model was developed by evaluating, analyzing, and verifying the accuracy and F1_Weighted of passing large companies and medium-sized companies. For model development, 70% of the data was used as training data and 30% as test data. As for the sampling method, raw data, undersampling, oversampling, SMOTE (Synthetic Minority Over-sampling Technique), and ASYN (Adaptive Synthetic Sampling) methods were applied. When self-introduction is included in the employment prediction model, the average accuracy of F1_Weighted is 82.24% and 73.23% in the accuracy of passing large companies and medium-sized companies, respectively, and the accuracy is improved by 5.23% and 2.72% compared to when the self-introduction letter is not includ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predictive performance using new data of 44 people, the average F1_Weighted accuracy was 70.69% and 74.55% in the accuracy of passing large companies and medium-sized companies or higher, respectively,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employment prediction model was well developed. As a part to be supplemented in the future, it is judged that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training items for students, the interview items of companies and the interview results will be included. In-depth research and development of interview cases are necessary because interviews are conducted especially for each company. Currently, the second year of the project is being conducted for three years from January 2022 to December 2024. During this period, as described above, we plan to create a high-accuracy job prediction model by securing relevant data about the inter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