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 내 학생 관련 기록물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명지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공민은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대학 내 학생 관련 기록물은 대학의 기능적 측면, 사회적 측면, 개인적 측면에서 중요성을 가진다. 대학 기능적 측면에서 학생 관련 기록물은 기록물이 생산된 시점에서의 각 구성원들의 주관적인 모습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고 이는 행정기록물의 한계점을 보충하는 기제가 되며, 연구적 활용성을 가진다. 사회적 측면에서 학생 관련 기록은 새로운 관점에서 당대의 사회적 역사 및 문화를 기록할 수 있다. 더불어 사회적으로 창의적 자원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개인적 측면에서 학생 기록은 지적 활동의 산물이며 학창 시절 기록으로써 부분적인 생애사적 기록이 될 수 있다. 하지만 학생 기록물이 가지는 중요성이 큼에도 불구하고 학생 기록물은 서로 다른 주체가 생산해 내는 기록의 양이 방대하며, 분산되어 있고, 체계적인 관리가 어려워, 여러 연구가 수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대학의 실행 측면에서 부진한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학의 ‛학생 관련 기록물'의 수집·관리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대학 내 학생 관련 기록물의 체계적 수집을 통한 기록의 보존 및 효용성 제고를 위해, 학생 관련 기록물의 특성과 종류에 대해 살펴보고, 현재 국내외 대학의 관리 사례를 바탕으로 수집·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대학 내 학생 관련 기록물이 가지는 의미와 특성을 분석하고, 국내·외 대학 사례를 분석하여 명지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 학생 관련 기록물의 관리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 기록을 행정 기록과 교육 기록, 학생 활동 기록의 세 가지 기록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보았다. 이 중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수집·관리 및 서비스가 비교적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행정 기록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기록 영역을 ‛학생 관련 기록물'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학생 관련 기록물'을 ‛교육 기록', 교육 기반의 프로그램을 통해 산출될 수 있는 ‛학생 창작 및 연구 기록', 교육 외 ‛학생 활동 기록'으로 구분하였다. 세 가지 영역별로 사례를 살펴보고 명지대학교의 현황에 적합한 영역별 관리 방안과 종합적 관리 방안을 제안하였다. 학생 관련 기록물의 관리현황을 전반적으로 살펴본 결과, 다양한 학생 관련 기록물에 가치를 부여하고 체계적으로 기록을 수집·관리하는 경우는 매우 적었다. 본 연구에서는 명지대학교의 생산 현황에 따른 제안을 하였지만, 이는 대부분 일반 대학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들은 대학 내 학생 기록이 갖는 가치와 의미를 파악하여 관리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학생 관련 기록물을 대학 기록의 범주 안에 명확히 포함시키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대학 기록관 및 도서관의 수집 정책을 성문화 시키는 것이 학생 관련 기록물 관리의 바탕이 되어야 할 것이며, 디지털 형식의 기록 수집, 기관 협력과 디지털 리포지터리의 설치 등의 방안을 통해 학생 관련 기록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ent records in university are important for the three aspects of university – functional, social and personal. In the functional aspect of the university, the student records help to identify the subjective aspects of each member at the time of production of the records, which complements the limitations of administrative records and has research utility. From a social aspect, the student records can record the social history and culture of the present from a new perspective. In addition, it plays a role as a creative resource in society. Lastly, on the personal aspect, student records are the product of intellectual activity and can be part of life history records. However, the student records are very large and distributed in quantities produced by different subjects. Therefore, despite the great importance of the student records, many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but remain at a sluggish stage in terms of university performance.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d the management method of the student related records in university. In other words, in order to preserve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by collecting student related records in university,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student related records were examined and the management plan was suggested based on the management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s of the student related records in the university and to analyze the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to present the management method of the student related records centered on Myongji University cases. In this study, the student records consisted of three areas : administrative record, education record, and student activity record. Among these, the record area except for the area of administrative records in which the research is continuously performed was defined as 'student related record'. And 'Records related to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education record', 'student creation and research record', and 'student activity record'. This study investigate three areas suggesting a few comprehensive management plan for the Myongji University.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management of student related records, very few cases of valuing various student-related records and systematically collecting and managing records. In this study, the proposal was made according to the production status of Myongji University, this can be applied to general universities as well. Universities need to understand the value and meaning of student records in university, to empathize with the need for management, and to ensure that student related records are clearly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university records. In addition, codification of collection policies of university archives and libraries should be the basis of managing student related records. The collection of digital records, institutional collaboration and the installation of digital repositories will be an effective way to systematically manage student related records.

      • 중국시장에서 한류스타 광고모델의 영향력에 대한 연구

        공민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39

        1990년 대 부터 중국에서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한국의 댄스, 음악, 드라마 등 대중문화 상품들이 크게 유행되었다. 이 당시 한 중 양국이 수교한 지는 얼마 되지 않았지만 수많은 한국기업들이 중국에 진출했기 때문에 중국인들은 한국의 대중문화 상품에 대한 관심을 높여 ‘한류’를 일으키는 데 크게 일조했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한류스타를 기용한 광고는 광고의 맥락에 따라 모델에 대한 평가, 소비자의 구매의도에서 차이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후속 연구를 통해서 실질적으로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도록 더욱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 패밀리 레스토랑의 판매촉진유형별 선호도와 충성도에 관한 연구

        공민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23

        사회의 발달과 더불어 우리의 생활수준도 향상되었고 그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생활수준의 변화로 집에서 먹는 형태의 식생활 문화가 외식문화로 변화되면서 이미 우리 생활에 정착되었다. 이에 따라 외식업 역시 꾸준히 성장을 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현재 포화상태에 이르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현상으로 패밀리 레스토랑은 다양한 판매촉진유형을 이용하여 신규고객을 확보하고, 기존고객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패밀리 레스토랑에서 시행하는 판매촉진 현황을 파악하고, 고객의 인구통계적 특성과 이용형태에 따른 판매촉진유형의 선호도를 분석한다. 선호되어진 판매촉진유형이 고객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 궁극적으로 판매촉진유형을 적극 사용하여 고객의 방문횟수를 증가시키고 1회 지불 비용을 높이는 것을 유도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실증연구 방법을 병행하여 조사하였으며, 연구의 모형에서 설정된 가설검증을 하기 위하여 실증연구를 위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국내 패밀리 레스토랑을 이용한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조사된 실증자료는 데이터 코딩을 거쳐 통계패키지 SPSS Window(version17.0)을 이용하여 설문지결과에 대하여 빈도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T-test, 다중회귀분석을 실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패밀리 레스토랑의 판매촉진유형중 가격이 할인된 세트메뉴와 제휴카드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나며, 그중에서도 제휴카드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판매촉진유형중 대다수가 쿠폰을 선호한도고 나타나 있지만, 따로 챙겨 다녀야 하는 쿠폰 보다는 항상 휴대하는 제휴카드가 사용의 편리함으로 더 선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판매촉진유형 선호도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가격이 할인된 세트메뉴가 재방문의도에 대해 가장 영향력이 크다고 나타나며, 구전의도에서는 제휴카드가 영향력이 가장 크다고 나타났다. 따라서, 패밀리 레스토랑의 판매촉진유형 선호도는 고객의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판매촉진의 주된 목적이 단기간의 즉각적인 매출증대에 있다고 하면 판매촉진에 의한 고객만족, 재방문의도, 구전의도는 판매촉진 목적달성에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할 것이다. 선호도나 재방문의도, 구전의도는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판매촉진의 효과는 아니지만, 패밀리 레스토랑 이용 시 경험하는 판매촉진유형에 따라 이용 후 실제 구매행동에서 변화가 일어난다는 측면에서 관심을 끈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판매촉진유형을 고려해서 구성한다면, 보다 효율적인 판매촉진의 마케팅 전략에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되어진다.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society, the living standards of people have been improved and subsequently, a variety of change has occurred. In particular, change in living standards brought about the change of dining culture from eating at home to eating out, and this culture has been settled in people's life. Accordingly, restaurant business continued to grow.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is business is already saturated. Due to this phenomenon, family restaurants have secured new customers by using various types of sales promotion and endeavored to keep their existing customers simultaneously.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resent conditions of sales promotion, implemented in family restaurants and analyzed the preference of sales promotion type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ustomers and using styles. It examined whether preferred sales promotion types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s and tried to increase the frequencies of customer visit and raise pay costs per time by actively using sales promotion types. To attain the end of this research, I used both documentary research and empirical study, made a structuralized questionnaire for empirical study in order to verify hypothesis set in model research, and conducted survey for consumers who enjoyed family restaurants in Korea. To analyze collected data from the survey, statistics package SPSS Window(version17.0), I made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result of questionnaire. To summarize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The preference of discounted set menu and associated card appeared to be high in the sales promotion types of family restaurant. In particular, associated card accounted for the large weight. Contrary to existing studies indicating that most people preferred coupons in sales promotion types, it was revealed that associated card, which is convenient to use, is more preferred to coupons which should be separately prepared.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preference in sales promotion types on loyalty.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discounted set menu in price has the biggest effect on the intention of re-visit, and the effect of associated card was the greatest in the word of mouth intention. Therefore, it was revealed that preference in the sales promotion types of family restaurant has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loyalty. If the main purpose of sales promotion is to increase immediate sales, customer satisfaction, intention to revisit by sales promo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and word of mouth intention will occupy the significant weight in attaining the purpose of sales promotion. Preference, intention to revisit, and word of mouth intention are not the effect of direct promotion in sales, but these factors attract the concern in the aspect that change in the real purchase behavior occurs after using according to sales promotion types. If future study includes diverse forms of sales promotion types, it will be helpful to the marketing strategy for more effective sales promotion.

      • 사용자의 음악청취이력 분석과 내용기반 필터링을 이용한 음악추천기법

        공민 숭실대학교 소프트웨어특성화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23

        디지털 음원 시장이 큰 성장을 이루고 있는 추세이다. 스트리밍 음악 서비스에선 추천기능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지만 국내 음악 추천 서비스의 정확도가 높지 않아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이 좋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사용자의 음악청취이력을 분석해서 사용자의 음악적 성향을 파악하고 사용자의 음악적 성향과 유사한 음악을 추천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크게 데이터 수집, 음악 장르 추출, 음악 파일 변환, 음악 특성 추출, 기계학습의 5단계 과정을 거쳐서 진행된다. 데이터의 수집은 국내 음악 서비스 사업자 1위 업체인 ‘멜론’의 TOP 100 순위의 음악을 대상으로 2013년 12월부터 2015년 3월까지의 순위곡을 MP3파일 형태로 수집하였다. 수집한 MP3파일의 메타 데이터에서 장르를 추출한 다음, MP3파일을 WAV파일로 변환한다. 음악의 특성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음파에서 세 가지의 수치화된 속성을 추출하는 음파 분석 기법을 사용하였다. 기계학습단계에서는 다양한 분류기법을 이용하여 성능을 측정하였다. 기법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455개의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셋으로, 130개의 데이터를 검증데이터셋으로 사용하였으며, 실험결과 SVM 분류알고리즘으로 평균 0.819의 값과 0.838의 값, 0.811의 를 나타내었다. 이는 데이터 마이닝 기법들을 활용한 기존의 음악 추천 연구들과 비교해보았을 때 상대적으로 발전된 결과로 보여진다. Recently, Digital music market has significant growth. In music streaming service, music recommendation plays a key role, but Korean user’s recognition about Korea's music service is not high because the service’s recommendation accuracy is not good. Hence, this thesis suggests technique that recommend musics that similar to user’s musical propensity analyzing user’s music listening history for understanding user’s musical propensity. This technique proceeds through five-step process; data collection, music genre extraction, decode MP3 to WAV, music feature extraction and machine learning. Collection of data was collected from TOP 100 chart in ‘Melon’, No.1 music service provider in Korea, from December 2013 to March 2015. Extracting genre from meta-data of collected MP3, then collected MP3 files are converted into WAV files. In stage of music feature extraction, we extract music factors what can be get using STFT’s Spectral Rolloff, ZCR, Spectral Flux. In stage of machine learning, we produce prediction model in a variety of classification techniques. To measure the performance of recommendation technique, 455 data were used for training dataset and 130 data were used for validation dataset. The experimental result showed that average of is 0.819 and average of is 0.838, average of is 0.811 with SVM classification algorithm. This result can be seen as enhanced result compared with conventional researches about music recommendation utilizing data mining techniques.

      • 가변 블록길이를 갖는 적응형 리드솔로몬 코덱의 구현

        공민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823

        본 논문에서는 임의의 메시지 길이 k뿐 아니라 임의의 블록 길이 n를 갖는 RS 부호의 부호/복호할 수 있는 적응형 RS 코덱을 구현한다. 구현된 적응형 RS 코덱은 임의의 길이를 갖는 단축형 RS 부호의 복호 전에 영들을 추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단축형 RS 부호에 특히 유리하다. 또한 이들 RS 부호의 오류정정 능력 t 값을 매 부호어 블록마다 실시간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응답 채널이 유용한 경우 채널의 시변 잡음레벨에 적응적으로 오류 정정 능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부호기의 설계에 있어 갈로아 필드 곱셈기 뱅크를 각각 고정형 곱셈기 및 변수형 곱셈기로 설계하고, 각각의 곱셈기를 적용한 부호기 설계를 비교하여 효율적인 적응형 RS 부호기를 제안한다. 구현된 복호기 구조는 수정 유클리드 알고리즘에 기반한 3단계 파이프라인 처리를 수행한다: (1) 신드롬 계산 (2) MEA 블록 (3) 에러크기 계산. 각 단계는 가변 길이의 RS 복호에 적합한 구조를 갖도록 설계된다. 수정 유클리드 알고리즘(MEA) 블록의 새로운 구조를 제시한다. MEA 블록은 연산 셀의 배속의 전용 클럭 기법(overclocking)을 적용하여 간단한 하드웨어로써 처리 속도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최대 오류정정능력이 10인 GF(28) 상의 적응형 RS 부호를 VHDL로 설계하고, FPGA에 성공적으로 합성하였다. In this paper, an adaptive RS codec is designed, which can encode/decode RS codes of any block length n as well as any message length k. This unique feature is favorable for a shortened RS code of any block length since it eliminates the need to insert zeros before decoding a shortened RS code. Furthermore, the value of error correcting capability t can be changed in real time at every codeword block. Thus, when a return channel is available, the error correcting capability can be adaptively altered according to channel state. In designing the encoder, the Galois field multiplier bank is implemented with fixed multipliers and with variable multipliers, respectively. By comparing both schemes, each employing fixed multipliers and variable multipliers respectively, the efficient architecture for an adaptive RS encoder is chosen. An adaptive RS decoder performs 3-step pipelined processing : (1) syndrome calculation (2) MEA block (3) error magnitude calculation. Each step is designed to form a structure suitable for decoding a RS code with varying block length. A new architecture is proposed for a MEA block in step (2). To maintain the throughput rate with less circuitry, the MEA block uses not only recursive technique but also an overclocking technique. The adaptive RS codec over GF(2^(8)) with the maximal error correcting capability of 10 has been designed in VHDL, and successfully synthesized in a FPGA.

      • 과학관에서 전시구조와 관람행태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국립과천과학관 전시변경 전·후를 중심으로

        공민 호서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1823

        박물관 전시공간은 다른 공간과는 달리 ‘고정’되어 있는 공간 속에서 ‘고정’되어 있는 전시물을 ‘이동’하면서 직접적이고 연속적인 시각적 접촉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전시물에 대한 선택과 그에 따른 지식의 습득은 ‘관람객이 전시공간을 움직여 나아갈 때’이라는 전제조건 하에서 경험적으로 인지된다. 이처럼 관람객의 움직임은 그들이 획득하는 지식과 정보의 종류와 양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고, 그렇기에 이에 앞선 전시공간과 전시물의 인지가 더욱 중요하다. 다만 과학관(Science Museum)에서는 ‘감상’이 주요 전시목적으로 작용되는 인문계 뮤지엄과는 달리 물적 증거뿐만 아니라 물질적 자료가 존재할 수 없는 각종 현상・원리・응용 등의 내용을 바탕으로 설명적 요소가 부각된다는 점에서 전시구성에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전시구성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함과 과학과 기술의 발전에 발맞춰 유동적인 전시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오픈형 평면구조(Open Plan)로 계획되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기 발표된 과학관 관련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크게 물리적인 공간구조와 관람행태와의 상관성을 분석한 연구와, 관람객의 인지공학적 관점에서 전시물의 속성과 관람행태와 관계성을 분석한 연구로 나뉜다. 전시시나리오, 전시연출, 동선의 특성 등 과학관에서 영향력이 있는 요소들과 관람행태와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들이 몇몇 이루어지긴 하였으나, 실의 구획 없이 오픈형 전시공간으로 구성된 과학관에서 ‘공간구조’ 분석 시 일반적으로 공간구조분석에 많이 사용되는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의 활용이 어렵다는 점과, ‘공간구조’ 와 ‘전시물 유형 및 레이아웃’, 양자가 ‘관람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적 연구는 아직까지 미진한 상태이다. 또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이 형태나 규모면에서 상이한 대상관을 비교분석하고 있기 때문에 동일평가기준에서 전시환경과 관람행태간의 상관성에 대한 신뢰성 높은 해석이 어렵다는 한계점을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전시변경 전․후를 중심으로 위상학적 측면과 시각적 측면에서 공간분석의 주요 분석인자를 바탕으로 공간구조의 유형을 분류하고, 둘째 공간구조유형을 따라서 전시물 유형 및 레이아웃을 파악하여 전시구조와 관람행태 간의 상관분석을 통해 얻어지는 결과를 고찰하고, 셋째 이를 기반으로 과학관 전시공간의 계획단계 및 기존 시설의 전시개선 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지침 사항들을 제시하는 데에 주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분석대상 과학관의 설정은 실제적 조사가 가능한 국내 초대형시설 가운데 오픈형 전시공간의 구성과 다양한 전시매체가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최근 전시개선이 이루어지며 다양한 관람행태의 조사와 분석이 가능한 국립과천과학관을 선정하였다. 연구 목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동일한 건축공간을 기반으로 전시변경 전과 후를 비교한다면 보다 신뢰성 있는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전시변경 전은 2015년 7월을 기점으로 전시변경 후는 2018년 7월을 기점으로 하여 ‘(전) 기초과학관’, ‘(후) 기초과학관’ ‘(전) 첨단기술관1’, ‘(현) 미래상상SF관’, ‘(현) 첨단기술관2’, ‘(현) 첨단기술관’, ‘(현) 자연사관’, ‘(현) 자연사관’의 총 8개 전시관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공간구조의 분석방법으로는 위상학적 측면을 통한 공간분석과 시각적 측면을 고려한 공간분석 두 가지의 방식을 취하였다. 먼저, 위상학적 공간분석에서는 오픈형 공간으로 구성된 과학관에 기존의 공간구조분석 방법인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의 볼록공간(Convex Space) 분석이 어렵기 때문에 전시물의 인지관점에서 공간을 분할하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의 특성을 통한 공간분할을 시도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공간조직연결도(Justified Graph)를 작성하여 위상학적 측면에서 공간의 깊이와 관계, 접근성을 살펴보고자 ‘경로자율도’와 ‘접근자율도’를 산출하였다. 두 번째로, 시각적 특성을 고려한 공간구조 분석에 있어서는 터너(Turner)와 펜(Penn)에 의해 개발된 가시성그래프분석(Visibility Graph Analysis)를 통하여 ‘연결도’, ‘가시통합도’의 분석지표를 통해 시각적 측면에서 개방도와 접근성을 분석하였다. 전시공간에 있어서 주요 요소인 전시물의 유형 분류는 관람 시 전시물과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졌는지의 유무와 감각수용기를 단독으로 사용하였는지 복합적으로 사용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과학관 전시매체의 유형을 분류한 이샛별(2015)의 기준을 따랐다. 조사대상은 본 연구 대상관이 과학관이며 타 박물관에 비하여 가족단위 관람객의 방문이 많다는 점을 고려하여 초등학생(8세∼13세)자녀 1인과 부모로 구성된 가족단위 관람객으로 한정하였다. 관람행태 조사는 2인 1조의 조사팀이 가족단위 관람객을 과학관 입구부터 퇴장할 때까지의 경로를 추적하여 평면도 위에 이동궤적을 표기하는 동선추적조사(Itinerary Tracking)와 전시매체 앞에 정지하는 지점 및 체류시간, 기타 행태 등을 그 궤적 위에 표기하는 시간재기(Time Tracking) 및 행동관찰조사(Observation Method of Behavior)를 실시하여 전시변경 전·후로 총 25개 가족단위 관람객을 조사하였다. 관람객의 추적조사 후 구체적인 관람행태의 분석 기준으로는 본 연구의 목적과 범위에 있어 유효하다고 판단되는 ‘관심력’, ‘집중력’, ‘관심도’, ‘집중도’의 네 가지 관람행태 분석인자를 설정하였다. 한편 공간구조의 유형분류는 공간구조의 분석인자인 위상학적 측면에서 ‘경로자율도’와 ‘접근자율도’, 시각적 측면에서 ‘연결도’, ‘가시통합도’ 네 가지 지표를 기반으로, ‘다변량분석(Multivariate Analysis)’을 통해 공간구조의 유형을 접근성과 개방성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이렇게 파악한 공간구조 전시매체의 유형 및 레이아웃과 관람행태와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과학관 전시공간의 계획단계와 전시개선 시 전시매체의 기획 및 전시매체의 레이아웃 계획을 중심으로 계획 요건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사안을 도출하기 위해 공간구조를 분석하고 전시물 유형 및 배치를 파악하여 관람객의 행태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오픈형 과학관에서 공간구조의 분석을 위하여 전시물 분류를 이론과 분석대상관의 현황을 감안하여 벽부전시물, 시선차단 아일랜드전시물, 시선통과 아일랜드전시물, 천장전시물 총 4가지로 분류하고 이들의 형태, 규모, 시야범위를 고려한 전시면 설정을 바탕으로 관람위치(근거리관람, 원거리관람)를 설정한 후, 이를 기반으로 공간을 분할하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 분할방식을제시하고 분석대상관에 적용하여 그 실효성을 입증하였다. 둘째, 선행연구들이 형태나 규모면에서 서로 상이한 대상관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기인되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감안하여 동일평가기준에서 적용하고자 국립과천과학관을 대상으로 각 전시관의 전시변경 전·후 총 8개의 전시관을 비교하여 분석한 것이 실효성 높은 분석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셋째, 위상학적 접근성과 시각적 개방성을 기준으로 ‘접근이 매우 높고 개방성이 낮은 A유형, ‘접근이 낮고 개방성이 낮은 B유형, ‘접근성이 낮고 개방성이 높은 C유형, ‘접근성이 높고 개방성이 매우 높은 D유형 분류할 수 있었다. 넷째, 관람순로를 고려하여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방문한 전시관을 ‘초반관람’으로 마지막으로 방문한 전시관과 마지막에서 두 번째 방문한 전시관을 ‘후반관람’으로 구분하여 이에 대한 관람행태를 종합적으로 A유형, B유형, C유형, D유형에 따라 관람행태를 살펴본 결과, 모든 유형에서 ‘초반관람’과 ‘후반관람’에 있어서 전시매체에 대한 관심도가 다르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전시매체 유형에 따라서 초반관람과 후반관람에 대한 집중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공간구조 유형과 관람행태와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유형별로 구분되어진 각각의 전시관에 대하여 관심도 상위 20%이상, 관심도 하위 20%이하, 집중도 상위 20%이상, 집중도 하위 20%이하, 관심도 및 집중도 상위 20%이상, 관심도 및 집중도 하위 20%이하로 구분하여 공간구조 유형별 관심도 및 집중도를 파악한 결과 A유형(접근성이 높고 개방성이 낮음)과 C유형(접근성이 낮고 개방성이 높은 경우)은 초반관람과 중반관람 영역의 경우 관심도 및 집중도는 높으나 후반관람 영역으로 갈수록 관심도 및 집중도가 떨어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B유형(접근성이 낮고 개방성이 낮음)의 경우 전반적으로 관심도 및 집중도가 낮았으며 특정 영역에서만 관심도 및 집중도가 높게 나타났다. D유형(접근성이 높고 개방성이 높음)의 경우 B유형과 대조적으로 초반관람 영역부터 후반관람 영역까지 관심도 및 집중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중반관람 영역의 경우 관람행태의 높고 낮음의 분포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위상학적 측면과 시각적 측면에서 공간구조가 A유형과 C유형에 속할 경우, 후반관람 영역으로 갈수록 관심도 및 집중도가 낮아지므로 이를 감안하여 전시구조를 D유형으로 변경하거나, 이를 개선하기 어렵다면 후반관람영역의 전시매체를 조작형(Am), 몸 움직임(Bm)이 활용되는 전시매체를 배치한다. 이로 인하여 관람의 대기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주변에 여유 공간의 확보와 이들 전시매체를 시선통과 아일랜드전시물로 구성하고 천장을 활용한 전시물의 배치를 통하여 시각적 개방성을 높여 관람의 지속성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전시매체를 조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B유형의 경우 관람객의 시선여부를 확보해주는 것이 안정된 관람의 지속성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시선통과 아일랜드전시물과 천장을 이용한 대형전시물, 바닥을 활용한 전시물을 배치하는 것이 효율적인 방편이라 사료된다. 또한 관람초입부와 중반관람영역에 완충공간을 계획하여 전시영역의 전시내용 및 개요설명과 종합정리를 통하여 전시를 구성하는 방식이 관람객의 행동양식을 급격하게 전환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시매체의 구성을 관람초반부터 후반까지 감각수용기가 단독 활용되는 전시물 가운데 관심도가 높은 전시매체 중 Hands off 전시물 실증적 전시매체(DV1, DV2, DV3)와 설명적 전시매체인 패널(DV5), Hand on전시물 조작형(Am)과 몸 움직임이 활용되는 전시매체(Bm)를 다양하게 배치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D유형의 경우 ‘통상관람형 공간’과 중반관람영역에 ‘심화관람형 공간’을 구분하여 ‘통상관람형 공간’에서는 시선통과 아일랜드전시물로 구성된 실증적 전시매체(DV1, DV2)와 조작형(Am), 패널(DV5)의 전시매체를 중심으로 기획하되 ‘심화관람이 요구되는 공간’에서는 시선차단 아일랜드 전시물 및 벽부전시물로 구성되어 청각이 함께 활용되는 2D영상(DVA3), 감각수용기가 복합적으로 활용되는 핸즈 온(Hands on) 전시매체를 중심으로 전시공간을 계획할 필요성이 있다. The exhibition space in museums, unlike other spaces, in that interaction with the ‘fixed’ exhibited items that are in ‘fixed’ space happens via direct and ongoing visual contact while on the ‘move’. In other words, selection of an exhibited item and acquisition of related knowledge happen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visitor is moving through the exhibition space’. As the movement of visitors is an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s the amount and typ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acquired by the visitors, the importance of exhibition space and awareness of the exhibition items are amplified. However, in a science museum, unlike in museums that focus on the humanities, explanatory elements about various phenomena, principle and applications are also important in addition to the tangible evidence. This leads to a different style of exhibition composition. To provide a more dynamic exhibition environment in step with progress in science and technology, open plan is often considered. Preceding studies published in Korea on science museums show that the studies can be categorized into two – studies that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hysical space and visitor behavior, and studies that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raits of the exhibited items and exhibitor behavior, from a cognitive engineering perspective. While there have been studi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influential factors in science museums such as the exhibition scenario, production of the exhibi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itor’s route and the visitor’s behavior. But given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Space Syntax which is often used for spatial structural analysis to an open space museum where rooms have not been divided, there have not been much progress in analytical studies on how both ‘spatial structure’ and ‘the type of exhibited items and their layout’ affect the ‘visitor’s behavior’. In addition, since most preceding studies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across museums that are different in terms of form or size, they are limited in conducting a reliable interpret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exhibition environments and visitors’ behavior using the same criteria. In this study, first, the type of spatial structures is categorized from the perspective of topology and visuals, with a focus on the before and after the change in the exhibition. Second, by understanding the types of exhibited items and layouts,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the exhibition structure and visitors’ behavior. Third, the study seeks to present guidelines that can be practically applied to improving existing exhibitions or planning new science exhibitions. The National Gwacheon Science Museum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as it is an ultra-large facility in Korea where an actual survey can be conducted, has an open exhibition space, showcases various media and has recently undergone an exhibition improvement, making it possible to investigate and analyze visitors’ behaviors. As noted in the study objectives, if the before and after the exhibition change in the same architectural space can be compared, a more reliable study result would be gained. The ‘before’ was set as July, 2015 and the ‘after’ was set as July, 2018. A total of eight exhibition halls were analyzed as follows: the (former) Basic Science Museum, the (after) Basic Science Museum, the (after) Basic Science Museum, the (former) High-technology Hall 1, the (current) Future Imagination SF Hall, the (current) High-technology Hall 2, the (current) High Technology Hall, the (current) Natural History Hall and the (current) Natural History Hall were analyzed. In terms of spatial structure analysis methods, spatial analysis from the topological perspective and spatial analysis considering the visual aspects were applied. First, in the topological spatial analysis, since it is difficult to apply Space Syntax or Convex Space analysis to a science museum that has been configured as an open space, a spatial segmentation using the Voronoi Diagram that segments space from the cognitive perspective of the exhibited item was applied. Then a Justified Graph was charted, and the ‘degree of autonomy in route selection’ and ‘the degree of autonomy in access’ were calculated in order to review the association with the depth of the space and accessibility from a topological perspective. Second, in spatial structural analysis that considers visual characteristics, the Visibility Graph Analysis developed by Turner and Penn was applied to analyze openness and accessibility from a visual point of view by using ‘connectiveness’ and ‘the degree of visual integration’. Exhibited items were categorized depending on the criteria by Saet-Byeol Lee (2015) specifically based on whether there is direct contact between the visitor and the object or whether sensory receptors were used in combination or alone. Given that the study is about a science museum and has a lot of family visitors compared to other museums, subjects were limited to visitors that came in a family unit of parents with one elementary school child (age 8-13). The route taken by a family visitor from the moment they enter the science museum until they leave was traced for itinerary tracking. Time tracking was also done to trace where visitors lingered and for how long. The observation method of behavior was used to survey a total of 25 family unit visitors before and after the change to the exhibition. Four visitor behavior analysis factors were set – interest capture, concentration capture, interest degree of the visitor and concentration degree of the visitor. Meanwhile, spatial structure was categorized based on accessibility and openness, through a multivariate analysis using four indices – the degree of route autonomy and the degree of access autonomy from a topological perspective, and connectivity and the degree of visual integration from a visual perspective. The type of spatial structure and layout, and their correlation with visitors’ behaviors was then analyz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measures that can be practically applied, with a focus on the planning stages of science museums, the planning of exhibition media and their layout when improving the museum. In doing so, the spatial structure was analyzed, the type and location of exhibited items were reviewed and their correlation with the visitors was analyze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for spatial structural analysis, the exhibited items were categorized into a total of four types – wall exhibition items, gaze-blocking island exhibition items, see-through island exhibition items and ceiling exhibition items. The categorization was done based on theory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museum that was analyzed. After setting the viewing location (close viewing vs. distance viewing) based on the item’s form, size and scope of view, the Voronoi Diagram segmentation method was presented and applied to the science museum to prove its efficacy. Second, in order to apply the same evaluation criteria to different science museums, thereby overcoming the issues in preceding studies where museums of different forms or size were compared, the National Gwacheon Science Museum was used for analysis. A total of eight of its halls before and after the exhibition change were analyzed. Third, by applying the criteria of topological accessibility and visual openness, A type was defined as ‘high accessibility, low openness’, B type as ‘low accessibility and low openness’, C type as ‘low accessibility and low openness’, and D type as ‘high accessibility and very high openness’. Fourth, taking into account the viewing itinerary, the first or second halls were defined as ‘initial viewing stage’, while the last two halls were defined as ‘later viewing stage’. The viewing behavior was then categorized into Type A, Type B, Type C and Type D. In all types, the degree of interest did not differ between the ‘initial viewing stage’ and the ‘later viewing stage’. Depending on the exhibition media type, the degree of concentration differed between the ‘initial viewing stage’ and the ‘later viewing stage’. Fifth, in order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atial structure type and visitors’ behavior, each hall’s degree of interest and concentration was identified. They were marked to see if the degree of interest was top 20% or bottom 20%, the degree of concentration was top 20% or bottom 20%, whether both the degrees of interest and concentration were above 20% or below 20%. The review showed that Type A (high accessibility and low openness) and Type C (low accessibility and high openness) had high degrees of interest and concentration for initial viewing and mid-term viewing, but as visitors came closer to later viewing, the degrees of interest and concentration fell. Type B (low accessibility, low openness) had an overall lower degree for both interest and concentration. Their degrees of interest and concentration were high in only certain areas. Type D (high accessibility and high openness) was in contrast with Type B, with the degrees of both interest and concentration recording high from the initial viewing to the later viewing. For mid-term viewing, high and low behavior levels were found. Based on the above results, if, from a topological perspective or visual perspective the spatial space falls into Type A or Type C, the degrees of interest and concentration fall lower towards the end of the viewing experience. As such, by taking into this account, the exhibition structure should be changed to Type D, or if that is not possible, the exhibited items towards the end should be ones that can be manipulated by the visitors (Am) or with body movements (Bm). Since this may lead to long wait times for the visitors, there should be enough space nearby. These exhibition items should also be configured as see-through island exhibited items or ceiling exhibited items to increase visual openness so that the exhibition can be kept engaging. For Type B, to ensure the continuity of stable viewing, enough gaze should be allowed for the visitors. This means there should be see-through island exhibition items, large-scale ceiling exhibited items or items using the floor. That would bring more efficiency. In addition, a buffer zone should be planned for around the entry point and the mid-term viewing area where an explanation and overview are given about the overall exhibit. This would also ease the sudden change in visitors’ viewing behavior. Of the exhibited items that use a single sensory receptor from the early stages to the later stages, hands-off exhibit items with empirical exhibition media (DV1, DV2, DV3), panels which are explanatory exhibition media (DV5), and hands-on ittems, manipulating arms and Bms that use body movements would also have to be variously incorporated. For Type D, ‘general viewing space’ and ‘in-depth viewing space’ should be segregated so that in the general space the focus can be on see-through island exhibited items making up empirical presentation medium (DV1, DV2) manipulation media (Am) and panel (DV5) would be the focus, but in the ‘space that requires in-depth viewing and appreciation’, gaze-blocking island exhibited items and wall exhibited items should be placed, along with 2D videos that use audio (DVA3) and hands-on exhibition medium that uses multiple sensory receptors.

      • 방정식의 역사와 스토리텔링 기법을 이용한 일차방정식 수업 지도 방안에 관한 연구

        공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23

        본 논문은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수학1에서 다루는 ‘일차방정식’에 관하여 학습자들이 쉽게 이해하여 재미있게 공부하면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방정식의 수업 지도 방안을 제시하고자, 스토리텔링 기법을 수학교육에 적용함으로써 이야기나 활동으로 흥미 있는 수업을 재구성하고자 한다. 현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방정식과 관련된 스토리텔링 활용 소재들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수업 지도 설계의 목표에 맞춰 방정식의 수업 지도 설계과정을 구성하여 수업지도안을 개발한다.

      •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호텔디자인 계획 : 한국전통요소를 중심으로

        공민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23

        현재 우리나라의 중소형호텔은 이미지를 인지할 수 있게 정립 되어 있지 않으며, 고객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호텔의 운영이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또한 다양화 된 고객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의 부족으로 독특한 시설과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점차 늘어나는 외국인 관광객을 외국계 프랜차이즈 호텔로 빼앗기고 있는 실정이다. 현 실정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차별화된 호텔 디자인 즉, 한국적 아이덴티티가 적용된 공간 디자인과 테마를 통한 특화가 필요 하며 이를 통하여 기존 이용자의 흡수와 새로운 수요 창출을 도모해야 한다. 본 논문은 한국전통요소를 중심으로 호텔 디자인을 계획 한다. 계획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계획의 배경과 목적 그리고 계획의 범위와 방법을 서술하고 제2장에서는 한국적 미학 표현 특성을 분석하면서 한국의 전통문화와 한국적 미학의 의미와 요소들을 서술, 분석함으로 본 연구의 디자인적 개념을 정리한다. 제3장에서는 호텔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해본다. 제4장에서는 한국 전통요소를 적용한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고 외국인들이 한국 전통 문화를 접하는 우리 문화의 복합적인 장소로서의 호텔디자인을 전개해 나간다. 제5장에서는 계획의 내용을 종합하여 의의와 결론을 제시한다. 이상의 연구를 토대로 한국 전통 요소를 적용한 호텔 디자인 계획을 제시함으로서 일본의 ‘료칸’과 같은 외국인 방문객의 문화체험 욕구를 충족시키는 한국전통적 호텔을 계획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Middle & small hotels in Korea today are hard to recognize their own images, and their administration is still short to reflect various desires & features of our customers. And current services & facilities are also insufficient enough due to lack of efforts to accommodate various customers' needs. As a result, many foreign tourists are heading for franchised hotel that was established & administrated by overseas foundation. To overcome like this current situation, we need a differentiated hotel design with unique space & themes where represent Korean identity, through which we are able to accomodate regular visitors creating new demands. This paper is to suggest a hotel design that reflects traditional elements of Korea. Process of plan is as follows; In chapter 1, I explained background, purpose, extent & method of overall plan. In chapter 2, I analysed what is the unique feature of Korean aesthetic with special reference to traditional culture and its elements, from which I applied them into my design concept. In chapter 3, I made a theoretical survey about hotel in general. In chapter 4, I set a design direction that reflects Korean traditional elements, on which I tries to expand detailed hotel design as a co-existing place of various cultures where foreign visitors can be soaked in Korean atmosphere. In final chapter 5, I came up with an significance & conclusion summing up all the contents that I have mentioned. Finally, based on researches in this treatise, I intend to give a clue to design 'A Traditional Hotel of Korea' by giving some proposals reflecting Korean traditional elements that embraces all the foreigners' desire to experience Korean uniqueness comparing to Ryokan hotel in Jap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