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이 지각한 양육태도의 차이가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신자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이 지각한 양육태도간의 차이가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제주시에 소재한 N초등학교의 5학년 5학급, 6학년 4학급 남.여 학생 330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여 질문지를 통해 조사하였고, 성실히 응답한 319부의 질문지를 연구분석의 자료로 삼았다. 이에 대한 자료처리는 SPSS/PC 프로그램에 의해 전산처리를 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육태도에 대한 어머니와 아동의 지각간에는 차이가 있다. 즉, 수용-거부적 태도와 자율-통제적 태도에서 아동이 어머니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수용적이고 자율적으로 지각한다. 반면 비과잉-과잉적 태도에서는 어머니가 지각하는 것보다 아동이 과잉기대, 즉 성취압력을 더 받고 있다. 이것을 성별로 보면, 여아는 수용-거부적 태도에서 어머니보다 더 수용적으로 지각하고, 남아인 경우는 자율-통제적 태도에서 어머니보다 더 자율적으로 지각한다. 비과잉-과잉적 태도의 경우는 남아와 여아 모두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어머니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과잉기대를 받는 것으로 지각하고 있다. 또한, 이것을 어머니의 연령별로 보면 어머니의 연령에 관계없이 아동들은 어머니의 양육태도보다 자율성의 허용범위를 더 넓게 지각하고, 과잉기대를 더 받는 것으로 지각하고 있다. 둘째, 수용-거부적 태도에 대한 어머니와 아동의 지각이 불일치할 때 과잉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자율-통제적 태도에 대한 지각이 불일치할 때는 위축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비과잉-과잉적 태도에 대한 지각이 불일치할 때 위축행동과 과잉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이것을 성별로 보면, 수용-거부적 태도에 대한 어머니와 아동의 지각이 불일치할 때 남아는 위축행동, 과잉행동, 공격행동, 퇴행행동, 강박행동 모든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영향을 받으며, 여아인 경우는 수용-거부적 태도에 대한 어머니와 아동의 지각이 불일치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자율-통제적 태도에 대한 어머니와 아동의 지각이 불일치할 때 여아의 위축행동과 강박행동에 영향을 준다. 또, 비과잉-과잉적 태도에 대한 어머니와 아동의 지각이 불일치하면 여아의 경우에만 위축행동과 과잉행동, 공격행동에 영향을 준다. 이것을 어머니의 연령별로 보면, 수용-거부적 태도에 대한 어머니와 아동의 지각이 불일치할 때 40대 이상의 어머니를 가진 아동들이 과잉행동에 영향을 받고, 자율-통제적 태도에 대한 어머니와 아동의 지각이 불일치할 때는 40대 이상의 어머니를 가진 아동들이 위축행동에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비과잉-과잉적 태도에 대한 어머니와 아동의 지각이 불일치할 때 30대 이하의 어머니를 가진 아동들이 과잉행동과 공격행동에서 영향을 받는다. 셋째, 양육태도에 대한 어머니와 아동의 지각 차이와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과의 상관관계는 그 상관관계가 극히 낮아서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아동이 지각한양육태도간의 차이와 정서적 부적응 행동과는 상관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결론적으로 양육태도에 대한 어머니와 아동의 지각의 차이는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영향을 미치므로 양육태도에 대한 지각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 첫째,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녀의 발달에 대한 이해와 자녀와의 의사소통 능력의 발달을 돕는 부모교육의 강화 둘째, 아동과 부모가 함께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이를 투입하는 것이 교육적으로 필요함을 강력히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difference between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children's perception of it on children's emotional maladaptive behavior.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30 fifth graders and sixth graders and their mothers from N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Jeju. A survey was implemented with questionnaires. And the sincere response from 319 students and their mothers were selected for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PC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children' perception of it. Children perceived more receptive and autonomous than mothers' thought in receptive-refusal attitude and autonomous-control attitude. But, on the other hand, children were put under excessive expectation that is, achievement stress more than mothers' thought in non excessive-excessive attitude. By gender, girls perceive more receptive than mothers' thought in receptive-refusal attitude and boys perceive more autonomous than mothers' thought in autonomous-control attitude. By mothers' age, children perceived more autonomous and mothers' excessive expectation than mothers' parenting attitude regardless of mothers' age. Second, when there'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others' perception and their children's in receptive-refusal attitude, it had an effect on excessive behavior. And when there'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in autonomous-control attitude, it had an effect on withering behavior. And when there'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in non excessive-excessive attitude, it had an influence on withering behavior and excessive behavior. By gender, when there's a difference between them in receptive-refusal attitude, it had an effect on boys' all maladaptive behavior such as withering behavior, excessive behavior, aggressive behavior, and obsessive behavior and it had no effect on girls. And when there's a difference between them in autonomous-control attitude, it had an effect on girls' withering behavior and obsessive behavior. And when there's a difference between them in non excessive-excessive attitude, it had an influence on only girls' withering behavior, excessive behavior, and aggressive behavior. By mothers' age, when there's a difference between them in receptive-refusal attitude, it had an effect on excessive behavior of children who had mothers over 40 years old. When there's a difference between them in autonomous-control attitude, it had an influence on withering behavior of children who had mothers over 40 years old. And when there's a difference between them in non excessive-excessive behavior, it had an effect on excessive behavior and aggressive behavior of children who had mothers under 30 years old. Third, the discord of perception of mothers and their children on parenting attitude and children's maladaptive behavior had no interrelation, which means that there's no interrelation between the discord of perception of them and children's emotional maladaptive behavior. As a result,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perception on parenting attitude had an effect on children's emotional maladaptive behavior. The above mentioned findings suggest some actions should be taken in relation to the way of reducing the discord of perception of them on parenting attitude, First, it is necessary to teach mothers how to understand growth of their children and how to communicate with them.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programs which children and their parents could enjoy together and to implement them.

      • OCT용 근적외 광섬유 증폭기에 관한 연구

        김신자 목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mprovement of SNR and high power is important to improvement of image contrast in OCT. The PDF has the spectral gain band in 1.3 ㎛. It is the wavelength that has low absorption ratio in biological tissues. We investigated the amplification of PDF(Praseodymium-Doped Fiber) for OCT. Because the OCT system is required high SNR and output power for fast scan speed, has need of amplification. For this amplification, we explained several optical characteristics and numerical analysis of PDFA. We performed theoretical numerical analysis with the LD and PDF. Using LD has 1020 ㎚ wavelength, and PDF has 20 m length, Pr doped concentration of 1000ppm. Also we performed simulation of output power depend on PDF length and pump power by numerical analysis. In result, we obtained pump power absorption ratio depend on PDF length, density variation of uplevel N3 depend on pumping time, output power depend on pump power, and output power depend on PDF length. We obtained that output power is directly proportional to pump power and N3 density variation. Also, when the PDF length is longer than 15 m, output power saturation time is almost the same. When PDF has pump power of 0.5 W and length of 15 m, we obtained 28 ㎽ output power by the simulation. OCT에서 SNR 향상과 고출력화는 획득 영상의 contrast를 향상시키는데 있어 중요하다.또한 1.3 ㎛ 대역은 인체에서 흡수도가 낮은 파장 대역에 속한다.본 논문에서는 OCT를 위한 1.3㎛의 출력 파장을 갖는 PDF의 증폭실험을 수행하였다.이를 위해 PDFA의 광학적 특성과 수치 해석 그리고 몇 가지 증폭 특성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PDF 증폭을 위해 광섬유 증폭기 입력단을 꾸며서 광을 집약하였다.또한 집약된 광을 PDF로 증폭시켜 OCT에 알맞은 길이와 파워로 활용하기 위해 PDF의 길이와 파워에 관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시뮬레이션을 위해 길이 20m,Pr도핑 농도 1000ppm의 PDF와 1020nm의 LD 여기 광원으로 이용하여 PDF의 수치해석 모델을 정하였다.이를 바탕으로 PDF의 길이와 pumppower에 따른 outputpower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그 결과 Pr3+-dopedfiber(PDF)길이에 따른 pumppower의 흡수도와 시간 변화에 따른 상준위 N3의 밀도 변화,펌프 파워 대 출력 파워 및 fiber의 길이 대 출력 파워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얻었다.그래프를 통해서 펌프파워가 증가 할수록 출력 파워도 증가하며 상준위 N3의 밀도 포화도가 커지나 길이가 15m 이상이 되면 출력 포화 시간 면에서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이를 통하여 광 입력 파워는 0.5W 이상,길이는 15m 정도에서 최적화된 값을 얻었다.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입력 파워가 1㎽인 PDF에서 pump power가 0.5W이고,길이가 15m 일 때 약 28㎽의 출력파워를 얻었다.

      • 민주시민교육 연구시범학교 교육내용 분석 사례 연구

        김신자 홍익대학교 교육경영관리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민주시민의 자질 향상을 위하여 실시되고 있는 민주시민교육 연구시범학교의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교육적 접근 방법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앞으로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교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민주시민교육의 접근 방식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둘째, 학교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민주시민교육의 구성 요소별 특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셋째, 학교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민주시민교육 연구시범 주제별 특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연구 방법으로는 1997년이래로 전국의 초 · 중 · 고등학교에서 실시한 민주시민교육 연구시범학교 연구보고서를 무작위로 20편 표본 수집하였다. 가장 최근의 자료를 채택하려고 하였으며, 지역적으로나 각급 학교별로 편중되지 않고 균등하게 채택하려고 하였다. 수집 방법은 인터넷 사이트에서 자료 검색을 하거나 도서관을 활용하였다.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민주시민교육의 현주소를 알아보려면 연구시법학교를 방문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방법일 것이다. 연구시범학교야말로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교육 과정과 교육 방법 및 아이디어의 총집결체가 아니겠는가? 본 연구는 민주시민교육의 대표성을 띈 연구시범학교들의 실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시범학교를 참관하거나 방문하면 더욱 좋겠지만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인 제약으로 인하여 연구보고서의 내용을 분석하는 데 국한하였다. 분석틀은 민주주의 접근 방식과 민주시민교육 구성 요소, 연구시범학교들의 연구 주제별 분석으로 정하였다. 민주주의 접근 방식은 가치관 , 의사결정 , 참여 , 생활방식 영역이 있다. 민주시민교육 구성 요소는 가치관 영역의 구성 요소로서 민주주의의 기본 가치인 자유와 평등, 인간존중에 대한 요소를 포함한다. 의사결정 영역에는 민주적인 회의 절차나 선거 방법 및 절차를 다룬 민주적 절차와 합리적 의사결정 방법으로서 다수결과 합의의 내용을 담고 있다. 참여영역은 주인 의식과 선거 방법을 다룬다. 생활방식 영역에는 준법질서와 기본생활습관 및 예절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민주시민교육 연구시범학교 연구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민주주의 접근 방식 및 구성 요소별 · 연구 주제별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민주주의 접근 방식을 보면 가치관 영역과 의사결정 영역, 참여 영역 그리고 생활방식 영역 중에서 가치관 영역을 강조하여 지도한 학교는 22%이다. 의사결정 영역을 강조한 학교는 32.5%이고, 생활방식에 중점을 두어 지도한 학교는 40%, 참여 영역은 5%로 72.5%의 학교가 생활방식과 의사결정 영역에 주안점을 두고 지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민주시민교육의 구성 요소별 특징을 보면 다음과 같다. 민주시민교육 구성 요소 중 가치관 영역은 자유와 평등 그리고 인간존중에 관한 것으로 100%의 학교가 인간존중에 주안점을 두어 지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결정 영역에 있어서는 민주적 절차가 13.3%, 다수결이 11.1%, 합의가 8.8%로 의사결정 방법이나 절차에 대한 지도에 주안점을 두고 지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생활방식 영역에 있어서는 33.3%로 가장 우세한 비율을 보인 준법질서 요소가 있으며 참여가 4.4%, 생활예절이 2.2%로 초 · 중 · 고등학교의 민주시민 교육은 준법질서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이를 통하여 민주적 생활 태도 및 민주시민의 자질을 함양하고자 한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연구시범학교의 연구 주제별 분석을 보면 특별활동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두 번째로는 체험활동이다. 연구시범 20개 학교 중 65%에 해당되는 13개교가 특별활동을 통한 접근 방법을 시도하였고 5개 학교(25%)가 체험활동에 해당된다. 위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민주시민교육의 가치관 영역에서 자유와 평등 그리고 인간존중 요소 중 100%의 학교가 인간 존중에 치중하고 있다. 학생들에게 자유권과 평등권에 대한 이해 및 지식을 가르치고, 제도적으로는 교육활동에 있어서 다양성을 인정하고 변화와 개방을 수용해야 한다. 둘째, 의사결정 영역에서 민주적 회의 절차나 선거 절차 및 방법의 지도가 40%, 다수결 의사결정이 33%, 소수의견도 존중하는 합의 의사결정이 26.7%로 민주적 절차에 의한 다수결 의사결정이 73%에 해당된다. 소수의 의견도 무시하지 않고 존중하며 합일점을 찾아 win-win할 수 있는 문제 해결력과 협상력이 좀 더 깊이 있게 다뤄져야 한다. 셋째, 생활방식 영역에서 준법질서가 33.3%, 참여는 4.4%, 생활예절은 2.2%로 준법질서에 치중되어 있다. 아이들과 학부모들의 성숙한 민주 시민 상을 구현하여 학교 운영 및 교육 활동에 대한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공동체 의식을 일깨워야 한다. 넷째, 민주시민교육 연구 주제의 90%가 특별활동과 체험학습에 집중되어 있다. 그런데 체험학습은 특별활동의 행사활동과 관련을 맺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결국 현행 민주시민교육은 특별활동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특별활동 외에도 교과시간을 통하여 민주주의에 대한 지식과 기능 및 이해에 대한 체계적인 지도와 실천적인 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what are the approaches o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of model schools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further, is intended to serve as a resource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is objective was accomplished by considering following questions: 1. What approaches have been implemented at schools as to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2. What are characteristics of constituents in a field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mplemented at schools? 3. What are characteristics of principals in model schools o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e study, twenty documents o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for model schools implemented in elementary schools, junior-high schools, and high schools since 1997 were randomly sampled. There was on effort to collect the latest documents with evenly split from each school by areas. The ways data collected were through Internet and school library. What is the most effect way to find out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 bound is to visit model schools. As a Model school is an aggregate of curriculum, system and idea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is study is limited to analysis model schools, which are representativ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e ground of analysis was composed of democratic approaches, constituent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analyses of principals in model schools. Democratic approaches were directed toward value aspects, decision making aspects, participation aspects, and life style aspects. Component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divided into value aspects, decision making aspects, and life style aspects. Constituent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component of value aspects, contain liberty, equality, and respecting man's life and dignity, which are basic principles of democracy. Decision making aspects contain decision by majority which deals with democratic process, such as democratic ways of voting and election. Participation aspects deal with hostship and way of voting. Life style aspects encompass the rules of the law, basic civic life rules, and courtesy. After analysing the document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model schools, the characteristics of democratic approaches, constituents, and principal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re as followed: First of all, as for democratic approaches which contain value aspects, decision making aspects, participation aspects, and life style aspects, 22% of schools focused on value aspects, 32.5% of schools on decision making aspects, 40% of schools on life style aspects, and 5% of schools on participation aspects. This statistics shows that 72.5% of schools directed students focusing on life style aspects and decision making aspects. Secondly, the followings are constituent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s. Value aspects among constituent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deal with liberty, equality, and respecting man's life and dignity. 100% of schools focused on respecting man's life and dignity. For decision making aspects 13.3% of schools on democratic process, 11.1% on decision by majority, and 8.8% on agreement. This results in most schools focused on decision making or democratic process. For life style aspects lawabiding order, 33.3%, is the most dominant components, 4.4% of participation, and 2.2 % of basic civic life rules and courtesy. This results conclude that lawabiding order is the most emphasized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they endeavor to cultivate democratic way of life and democratic disposition through this. Thirdly, extra school activity was the highest percentage among principal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experience activity was the second highest. Among model schools 65% of schools, which are 13 schools employed extra school activity and 25% of schools, 5 schools, employed experience activity. Some suggestions took into consideration throughout the result of analyses. 1. Regarding value aspects, every school (100%) in the study focused on respecting man's life and dignity. Students should be directed on freedom right and equity right and systematically,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take diversity by transforming and opening. 2. With regard to decision making aspects, 40% of democratic council process or the way of voting, 33% of decision making by majority, and 26.7% of agreement were seen in the study. In other words, the way of decision making by majority (73%) was dominant. Agreement process without neglecting minority needs to be considered comprehensively. Moreover, problem solving ability and negotiating ability needs to be considered as well. 3. In life style aspects 33.3% of lawabiding order, 4.4% of participation, and 2.2% of basic civic life rules and courtesy. As lawabiding order is given special emphasis,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put stress on expanding participation opportunities and convincing of awareness of public good. Students and parents should feel free to participate in school administering and curricular activities. 4. 90% of principals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ere focused on extra school activity and experience activity. However, when we consider that experience activity is attached to extra school activity, it is not exaggeration that the principal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s applied to only extra school activ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ducate students throughout the regular classes along with special school activity class.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combine knowledge about democracy, systematic directing about democratic function and understanding, and practical education.

      • 시각자료를 활용한 음악감상 지도에 관한 연구

        김신자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개념 중심의 감상보다는 아동의 실생활과 관련된 전체적인 감상활동을 위주로 한다. 또한 아동의 느낌을 발표하는 활동과 함께 감상에 있어 비판적인 자세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음악감상의 목적이 음악을 들려주는데 그치지 않고 아동 스스로 들으려는 의욕을 자극하고 감상교육의 본질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시각자료를 활용한 음악감상지도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감상 수업의 내용적 면에 있어 좀더 댜양한 부제재곡도 제시하여 아동들이 감상할 때 느끼고 생각해야 할 음악적 흐름을 시각자료 즉 통합적인 그림악보를 적용함으로써 적극적인 감상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둔다. 첫째, 감상 수업의 이론적 배격을 통해 시각자료를 활용한 지도방법에 관한 이론 고찰을 하였다. 둘째, 감상지도에 있어 교재 분석을 통해 곡의 특징과 감상 관점을 제시하였다. 셋째, 시각자료를 통한 감상지도 단계를 수립하여 학습에 적용해 보았다. 넷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 감상학습효과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지를 수행평가를 통해 분석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사전에 다음과 같은 시각자료의 감상지도법을 구안해 보았다. 첫째로 효율적인 감상지도를 위한 준비단계로 제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5학년의 음악 교육과정 내용체계에 따라 이해영역을 중심으로 시각자료를 정리하였다. 둘째, 시각자료의 단계적 적용을 통해 악곡의 특징을 설명하고 학습해야 할 내용을 중심으로 주요 개념과 감상 관점을 진술하고 그림악보를 활용한 감상지도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5학년 2개반 84명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음악의 개념이해, 음악감상능력, 태도면의 세 가지 측면에서, 6개월의 시차를 두고, 통계처리 프로그램 SPSS10.0 program을 사용하여 Paired t-test로 알아 본 결과 세 영역 모두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음을 알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시각자료를 활용한 감상지도법을 통해 음악의 흐름을 한 눈에 보여주는 그림악보는 감상곡의 지적인 요소의 이해, 음악적 정서 함양에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아동 중심적인 감상활동을 제시하였기에 음악에 대한 개념 이해력의 향상, 감상능력의 증진, 감상 태도 면에 향상이 되었음을 알았다. 본 연구의 실제 활용을 위해서는 교사의 인식변화 및 수업 방법 개선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교사는 바람직한 음악적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스스로 미적 경험을 해 봄으로써 음악적 잠재성을 기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시각자료를 이용하여 악곡 전체의 구조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다양한 지도 방법이 필요하겠다. 나아가 아동들이 깊이 있는 감상활동을 위해서 효과적인 감상지도 방법을 생활 속으로 확산시켜 내면화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연구가 이어지길 바란다. In the 7th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music, general appreciating activities related with children's actual life was the first consideration, rather than conception-centered one. Critical attitude is required in the appreciation, along with presentation of children's feeling in the appreciation class. Therefore, came to realize that studies on the teaching how to appreciate music by use of visual material are required for appreciating activities related with actual life, stimulating children's initiative motivation to listen to music, not just giving them music.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more various music and find out an active teaching method, for which visual material, that is consolidated picture music books, was applied to help understand intellectual factor and its effect on children in the appreciation class was verified.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matters were examined; First, a theory about teaching method by use of visual material was considered through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class. Second. special characteristics and viewpoint of appreciation were suggerted through analysis on teaching materials. Third, established teaching stages by use of visual material and applied it to the class. Forth, analyzed whether there is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ing effect betweem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through achievement evaluation. In order to carry out the above matters effectively, I worked out a teaching method for appreciation by use of visual material beforehand as follows; First, I arranged visual material, centering around understanding domain according to the 5th grader's music curriculum suggested in the 7th curriculum as a preparatory stage to effective appreciation teaching. Second, I expressed the flow of melody visually by applying the visual material by stages so that they could easily understand the form, structure of the tune and intellectual understanding of the level of high grader's stage. For this study, I selected 42, one class of 5th graders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san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one class 42 students as a comparative group, and then divided their learning result into 3 domains, 'appreciating ability of music', 'understanding about conception of appreciation of music' and 'appreciating attitude of music' after 6 months' learning. And then I found out if there w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with Paired t-test by use of SPSS10.0 program, as a result of which I confirm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all the three domains, compared with the comparative group. So, in this study, we can make the children easily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form of the music with picture music books that show the flow of the music at first sight through appreciation teaching method by use of visual material and I realized that it could be helpful to development of appreciating attitude of music, appreciating ability of music and understanding about conception of appreciation of music as children-centered appreciating activities were suggested. We have to make more positive efforts to improve the teaching method and change teachers' recognition to make good use of this study. Teachers should let the students participate in and experience music esthetically themselves so that they could foster musical potentiality. We should study various teaching methods so that the students could recognize the whole structure of the melody at a sight by use of visual material as well. Further to this, I hope that a teaching method by use of effective visual material could be examined in the school field for children's deep appreciating activities and that a method with which music could be spreaded into life and internalized could be examined more specifically.

      • 생활차 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김신자 목포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alife education on children’s self-esteem and sociality based on their experiences in real life. With this research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set up to develop the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daily tealife and to analyze the effects. First, what are the constituents of the educational program for ‘Tealife’? Second, how does tealife education affect children’s self-esteem? Third, how does tealife education affect children’s sociality? For this research we have educated ‘Tealife’ to 12 year old children from Seoul. One group of 9 children with General tea cup(typical tea cup), one group of 9 children with daily cups(any flasks used for drinking tea daily, such as tumblr, mug, thermos).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16 times with two experimental group of total 18 children and one control group of 9 children. For the theoretical study of daily tealife, the study was based on old literature and tea poems about  tea lovers and children’s tea ceremony. Having daily tealife was part of fostering for tea lovers from Silla period Hwarang, Koryo and Joseon period, tea ceremony aloud people to have natural communicative communication and not held by any forms or formality. Also traditional tealife created an environment for children to practice tea ceremony independently with their own will. In any environment, children will have proactive tea ceremony by oneselfs which will eventually help them to improve their value on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This means that daily tealife will improve childrens’s self-esteem and sociality, and it has great value on today’s education for humanistic education. This research is based on daily tealife culture out of traditional lifestyle. Also the research was developed to form the educational program for ‘ Tealife’ that will improve the value of children’s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for today's children. Choe Bo-ga and Jeoun Gwi-yeon(1993)’s research on self-esteem measurement was supplemented and revised to measure self-esteem. Park Geum-og(1988)’s literature on social skill was supplemented and revised to measure sociality. Results were collected from two experimental groups and one control group, each group was tested with one pretest and three post tests, the results were able to poin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Data from the research were analyzed by SPSS WIN 23.0. The results and discussion based on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data was collected from literatures and preliminary research related to daily tealife for compositions of the educational program for ‘Tealife’. Based on the results, the purpose, goal, teaching & 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of the daily tealife’s educational program were composed and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children's education specialist and tea cultural education specialist. Based on the confirmed components, the content of the study and the practice method were envisaged, the ‘Tealife’ educational program was confirmed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and corrections. Second, the effect of tealife on children’s self-esteem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on experimental group than control group. Third, the effect of tealife on children’s sociality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on experimental group than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ealife education for the children showed value of the right personality by the improvement of the self-esteem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showed the ability to do right in social life by improving the sociality. In addi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suggesting a continuous ‘Tealife’ lifestyle strategy that can be utilized in real life. 본 연구는 실제 생활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하는 생활차 교육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생활차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분석하고자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생활차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둘째, 생활차 교육 프로그램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셋째, 생활차 교육 프로그램은 아동의 사회성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이를 위해 S시 소재의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생활차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일반다기(전형적인 다기) 집단 9명과 생활다기(텀블러, 컵, 보온병 등 차 생활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생활용기) 집단 9명인 2개의 실험집단 18명 그리고 1개의 통제집단 9명을 배정하여 16회 동안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생활차의 이론적 연구를 위하여 옛 시대 茶人, 茶童의 생활차를 문헌과 茶詩를 통해 전통 생활차의 근거를 밝혀보았다. 신라시대의 화랑, 고려, 조선시대의 차인들은 생활차를 통해 수양생활을 하였고 타인과는 형식과 격식에 얽매이지 않고 사람 중심의 자연스러운 소통을 나누었다. 그리고 이러한 전통 생활차 환경은 다동이 주체적 의지를 갖고 생활차를 실천하도록 하였으며 어떠한 환경에서든 다동 스스로 능동적인 생활차 활동을 가짐으로써 자아에 대한 가치와 사회적 능력이 강화되었을 것이다. 이는 아동들의 자아존중감, 사회성을 높일 수 있는 현대 인성교육 과정의 교육적 가치를 지니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전통 생활 속에서 나타난 생활차 문화를 바탕으로 아동이 자아에 대한 가치를 높이고 사회적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내용의 생활차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아존중감의 측정도구는 최보가와 전귀연(1993)이 연구 개발한 자존감 척도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사회성 측정도구는 박금옥(1988)이 개발한 사회적 능력 문항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을 이용하여 2개의 실험집단과 1개의 통제집단에서 1회의 사전검사, 3회의 사후검사 결과를 통하여 집단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토대로 연구의 결과와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차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을 위하여 생활차 활동과 관련된 문헌과 선행연구를 수집하였다. 이를 토대로 생활차 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목표, 교수-학습방법, 평가를 구성하고 아동교육 전문가와 차문화 교육 전문가의 내용타당도를 거쳐 확정하였다. 확정된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학습내용과 실습방법을 구상하였으며, 예비연구 및 수정을 거쳐 생활차 교육 프로그램을 선정하였다. 둘째, 생활차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들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통제집단보다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셋째, 생활차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들의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통제집단보다 사회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연구결과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생활차 교육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 향상으로 바른 인성의 가치를 나타내고, 사회성의 향상으로 스스로 올바른 사회생활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었다. 더불어 본 연구는 실제 생활 속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속적인 생활차 전략을 제안하였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