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NACT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예비 기술교사의 과학기술의 사회적 책임감과 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 변화 탐색

        최유현(Choi, Yuhyun),고연주(Ko, Yeonjoo),홍영지(Hong, Youngji),이현주(Lee, Hyunju),황요한(Hwang, Yohan)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1 교과교육학연구 Vol.25 No.2

        이 연구는 ENACT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 기술교사의 팀 프로젝트 학습과정과 경험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ENACT 프로그램은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과 문제해결에 기반을 두고 만들어진 교육프로그램으로, 쟁점발견, 쟁점탐색, 미래 상황 예측, 과학·기술·공학적 쟁점해결, 사회적 실천의 5단계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 기술교사 48명을 대상으로 5주 간의 온라인 ENACT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해당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예비 교사의 과학기술에 대한 사회적 책무성 및 교수 활동 태도의 변화와 학습요인별 성찰 경험 등을 살펴보았다. 면담분석 결과, 예비 교사들은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을 과학·공학적으로 해결하고 사회적 실천을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책무성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였으며, 특히 본인을 포함한 모든 사회 구성원이 이에 관심을 가질 것을 촉구하였다. 또한 ENACT 프로그램을 수행한 것이 예비 교사 스스로에도 효과적이었을 뿐만 아니라, 교사로서 학생들에게도 의미있는 교육이 될 것이라 보았다. 특히 예비 교사들은 추상적인 아이디어를 구체적 방안으로 발전시키거나 기존과 다른 학습 방법으로 수행했다는 점, 평소 관심 있던 주제나 실생활과 연관된 주제를 선정하여 문제를 스스로 해결해보는 경험을 했다는 데 흥미를 느끼고 있었다. 이와 더불어, 프로그램의 진행 과정에서 단계별 관련 내용과 사례를 워크북에 담아두어 프로젝트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었으며, 과학기술과 관련된 지식의 증가를 비롯하여 다양한 영역에서 과학기술을 바라볼 기회를 얻었다고 보고하였다. 초기에는 갈등을 겪었지만 점차 팀이 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 하에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며, 프로젝트 결과물에 대한 창조적 자신감 또한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rvice technology teachers’ learning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the ENACT program. The ENACT program, designed by integrating socio-scientific issues education with scientific/engineering problem-solving processes, consisted of five steps: 1) Engage in SSIs, 2) Navigate SSIs, 3) Anticipate future consequences, 4) Conduct scientific and engineering practice, and 5) Take action. We implemented the program for 48 pre-service technology teachers over 5 weeks in online workspaces, and examined their views on social responsibility of science and engineering, attitudes toward the ENACT approaches, and their learning experiences.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began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ultivating social responsibility while exploring the nature of SSIs and generating ideas for taking action, and they even encouraged others to join the discussions on the issues. They highly valued their experiences in the ENACT program and believed that such programs will be also beneficial to students. Additionally, they enjoyed the process of elaborating abstract ideas into real solutions for the issues they encountered in their lives. They also mentioned that the online workspaces for the ENACT program supported their learning by guiding them in each step of the program. They believed that such process allowed them to broaden their perspectives on socioscientific issues despite the challenges and conflicts they experienced working with team members. They expressed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satisfaction after the project.

      • KCI등재

        실세계 및 타교과와의 통합적 학습 지도를 위한 실과 교육 자료 개발 연구 : 문제중심학습(PBL) 전략을 중심으로 Problem-Based Learning Approach

        최유현,나승일,김종우 한국기술교육학회 2003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3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the materials of practical arts subject for integrated instruction with real world and others subjects on the PBL(Problem-based learning) strategy.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evaluation research of experts, and qualitative experimental study based on the constructivism learning environment, PBL, Integrated curriculum the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tegration model classifies in PP type (integration model in subject ), PA type (integration model between subject), PE type (subject transcendence type integration model), PAC type(perfection integration model). 2. Standards for extrinsic value were proposed the practical knowledge, practical skills, practical attitude, and standards for extrinsic value were proposed thought (divergent thinking, logical thinking, etc), ability (troubleshooting, decision-making, communication, cooperation etc.), inclination (pride, self effect divination, self respect, self-control, diligence anger etc.) 3. Problem solving approach as learning strategy and Performance-based assessment as assessment strategy were proposed in this study. Integrated instruction design strategy based on problem-based learning pass through very complicated process by integrated curriculum, instruction design, assessment design. 4. Developed subjects in the study for Integrated Curriculum were 10 units. And the main finding of experimental study in the study was that developing evidences of cognitive attainments and affective attitude in integrated curriculum classroom lessons was found.

      •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 교수-학습 지향 패러다임과 그 전략

        최유현 仁川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2002 과학교육논총 Vol.14 No.-

        이 연구에서는 실과교육의 성격, 제7차 실과 교육과정, 구성주의 학습 환경에서 함의하고 있는 기본 지향점을 추출하고, 그 바탕 위에서 실과 교수-학습 지향 패러다임을 논의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의 방법은 문헌을 고찰하는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 실과교육의 교육 방법적 지향점은 창조성, 실천성, 협동성에 둘 수 있으며, 그 전략의 접근은 창조성에 바탕을 둔 '문제해결 중심 접근(problem-oriented approach)', 실천성에 바탕을 둔 '체험 중심 접근(hands on-oriented approach), 더불어 과제를 수행하는 '협동 중심 접근(cooperation oriented approach)으로 전략화 하였다. 또한 실과 교육의 평가 활동은 과정 지향 평가(process-oriented assessment)가 그 중심에 있어야 한다. 학습과 평가를 통합한 수행중심의 학습 및 평가가 전체 교수-학습의 지향의 기본 전제로 자리잡아야 할 것이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실과 교수-학습 지향의 패러다임은 교수-학습 패러다임을 교수-학습 자료변인, 교수-학습 지향변인(과정 변인), 교수-학습 지원 변인으로 설정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propose the paradigm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develop the strategy for implementing of 7th Elementary Practical Arts Curriculum. The study was carried out the reviewing literatures. As result of the reviewing literatures were as follow. The paradigms for implementing of 7th elementary Practical Arts curriculum were based on the creativity, the practice, and the cooperation. The strategy for creativity was proposed based on the problem-oriented approach, the strategy for practice was proposed based on the hands on-oriented approach, and the strategy for cooperation was proposed based on the cooperation learning oriented approach. Also the strategy for assessment was proposed based on the process oriented performance assessment through the integrated learning and assessment.

      • KCI등재후보

        팀 프로젝트 중심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그램 개발

        이경화(Lee, Kyung Hwa),최유현(Choi, Yuhyun),황선욱(Hwang, Sunuk)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1 창의력교육연구 Vol.11 No.2

        이 연구는 미래사회에 주역이 될 초, 중, 고등학교 학생들의 창의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정규교육과정에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실용적인“팀 프로젝트 중심의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라 창의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개념을 정의하고, 타당한 창의적 문제해결 교육모형과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초, 중, 고등학교 교육을 통해 양성해야 할 창의성 및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정규수업에 팀 프로젝트 활동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창의적 문제해결 교육과정 모형에 기반을 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팀 프로젝트 중심의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그램』개발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교육과정에서는 팀 프로젝트 단위를 세 영역, 즉 사회문제해결의 학문융합 프로젝트, 수리과학 문제해결의 교과통합 프로젝트, 발명문제해결의 팀 미션 프로젝트로 구분하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정규교육과정 및 다양한 영역에서 체계적으로 창의적 체험활동을 지원할 수 있도록 고려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ystematic and practical program, that is creative problem solving program based on team project for promoting the creativity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students who were from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objective, firstly to defined the concept of creativity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then developed the proper and valid model and program. The program was consisted of three parts of domain, namely convergence of studies project for social problem solving, integration of subject for math/science problem solving project and team mission project for invention problem solving. This creative problem solving program as team project will support and use the experience program of regular school curriculum or diverse fields.

      • KCI등재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이공계 대학생의 인식 탐색

        고연주(Ko, Yeonjoo),심성옥(Shim, Sungok Serena),황요한(Hwang, Yohan),최유현(Choi, Yuhyun),옥승용(Ok, Seung-Yong),남창훈(Nam, Chang-Hoon),이현주(Lee, Hyunju) 한국공학교육학회 2022 공학교육연구 Vol.25 No.2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views of STEM college students on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scientists and engineers. A total of 660 students in STEM majors at several Korean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e study. We assessed social responsibility among college students in STEM majors using the VSRoSE scale, which taps into eight different domains of social responsibility: Concern for human welfare and safety (HUMAN), Concern for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ENVIR), Consideration of societal risks and consequences (CONSEQ), Consideration of societal risks and consequences (CONSEQ), Consideration of societal needs and demands (NEEDS), Pursuit of the common good (COMGOOD), Civic engagement and services (CIVIC),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COMMU), and Participation in policy decision-making (POLICY). Group differences in social responsibility by gender, majors, and years in school were examined. Mean scores in HUMAN, ENVIR, and CONSEQ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in NEEDS, COMGOOD, CIVIC, COMMU, and POLICY. Cluster analysis identified five different groups with similar patterns of social responsibility scores. In addition to two groups with overall high and low scores across all eight factors of VSRoSE, three additional groups with different combinations of high and low scores in different factors were identifi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with low social responsibility are not homogeneous and these heterogeneous sub-groups of students will need tailored interventions highlighting different factors of social responsibility that they lack. Pedagogical implications of social responsibility for education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