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대학 부속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귀분 ( Kwuy Bun Kim ),석소현 ( Sohyune R Sok )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06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2 No.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에서 연령이 31세 이상이 41명으로 42.3%를 차지하였는데 이는 Kim(1998)의 연구 에서 30세 이상이 44%를 차지한 것과 비슷한 결과라고 볼 수 있으며 Rhu(1996)의 연구에서 28.4%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이는 간호직 연령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전문직으로서의 발전에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보여진다. 최종학력은 전문 대학이 45.4%을 차지하였는데 이는 Kim(1998)연구에서 47.83%을 차지한 것과는 비슷한 결과였으나 Rhu(1996)의 연구에서 전문대학이 73.2%와 Park(1997)의 연구에서 66.7%를 차지한 것과 비교해 볼 때는 많이 감소되었다. 이 는 간호사들이 학사학위 취득기회나 대학원의 진학 기회가 넓어지고 있으며 일반간호사에게도 학사학위 이상을 필요로 하는 현대 간호교육과 실무의 영향이라고 사료된다. 이는 자기발전의 기회가 되며 전문직 발전에도 중요한 계기가 되므로 계속교육은 더욱 필요하다고 본다. 결혼상태에서는 미혼과 기혼이 거의 비슷하게 차지하고 있어 결혼이 간호직을 수행하는데 장애가 되지 않고 있으며 결혼후에도 계속적으로 간호직을 수행할 수 있어 전문직으로서 그 자리를 굳건히 하고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근무병동은 내, 외과병동이 59.8%으로 가장 많았는데 이는 Kim(1998)의 연구결과와 비슷하였으며 내, 외과 병동이 가장 큰 주요부서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근무경력은 10년 이하가 73.2%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서 10년 이후에는 간호직을 그만두는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승진의 기회가 적고 경력이 많아지면 퇴직을 하게되는 행정상의 결과라고 사료된다. 월급여은 300만원 미만이 67명으로 69.1%을 차지하였는데 이는 근무경력이 10년이하가 대부분(73.2%)을 차지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현 근무형태에 대한 만족도는 만족이상이 35.1%를 차지하여 Kim(1998)의 연구에서 41.94% 보다는 낮은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통이다가 거의 과반수(46.4%)를 차지하였는데 이는 Kim(1998)의 연구에서 47.57%와 비슷하였다. 이는 만족도가 정확히 구분되지않은 상태에서 현 근무형태에 연구대상자 스스로가 적응해가는 것으로 사료된다. 현근무부서에 대한 만족여부는 대부분(68.0%)이 만족하지 않고 있었는데, 이는 간호인사관리에서 간호사들을 근무부서에 배정할 때 간호사의 의사나 의견을 고려하지 않고 행정적으로 배정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직무만족 영역별 점수를 비교해 볼 때 전문적 위치, 대인관계, 자율성순으로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는데 이는 Kim(1998)의 연구에서 전문적 위치, 자율성, 대인관계 순으로 만족하고 있었던 것과 비슷한 결과였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Lym 등(2001)의 연구와 Rhu(1996)의 연구결과와도 유사하였다. 그리고 필수적 직무, 보수 및 승진, 행정 순으로 만족도가 낮았던 것은 Han과 Moon(1996)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본 연구결과 직무만족 정도의 평균점수는 2.95점으로 나타났는데 Whang, Jeoung과 Joung(1998)의 연구에서 평균점수 2.88점과 유사하였다. 연구결과를 분석해 보면, 전문적 위치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은 업무에 있어서 숙련된 지식과 기술이 요구되기 때문이며, 자신들이 행하는 간호행위에 전문성과 관련된 자신감과 확신의 결과라고 사료된다. 또한 보수 및 승진 과 행정 영역이 만족도가 가장 낮은것은 근무경력이 높아져도 보수와 승진의 폭이 크지 않고 변화가 없기 때문이며 간호사들이 행정에 참여하는 기회가 적고 직원복지가 제대로 되어있지 않으며 문제발생시 행정체계가 잘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직무만족 문항별 점수를 비교해 볼 때 전체 39문항중 만족도가 가장 높은 문항은 필수적 직무 영역의 ‘근무하는 동안에 대체로 시간이 빨리 간다고 생각한다’로 4.15점으로, 그 다음은 대인관계 영역의 ‘동료간호사들은 내가 바라는 만큼 친절하지도 사교적이지도 않다’로 4.05점으로, 전문적 위치영역의 ‘내가 하는 일은 중요하다는 점에 추호의 의심도 없다’ 로 4.01점순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Choi과 Kim(2000), Kim(1998), 그리고 Joo(2002)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이는 Herzberg(1977)의 만족요인으로 제시한 성취감, 안정감, 도전감, 책임감, 성장과 발전, 일 그자체의 성질을 반영해주는 항목의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전체39문항중 만족도가 가장 높은 문항이 필수적 직무 영역의 ‘근무하는 동안에 대체로 시간이 빨리 간다고 생각한다’ 문항인 것이 상이하였다. 이는 최근 병원평가로 인하여 직접간호 제공기회가 많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낮은 점수를 나타낸 문항은 필수적 직무 영역의 ‘환자와 접촉할 시간이 많다면 휠씬 더 좋은 간호를 할 수 있을 것임’이 2.08점으로 가장 낮았고 그다음으로는 행정영역의 ‘행정직 정책 결정과정에 간호사를 위해 참여할 기회 충분히 있다’가 2.11점으로 낮았다. 본 연구 결과중 특이한 것은 필수적 직무 영역의 ‘근무하는 동안에 대체로 시간이 빨리 간다고 생각한다’ 문항은 가장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동시에 같은 영역인 필수적 직무 영역의 ‘환자와 접촉할 시간이 많다면 휠씬 더좋은 간호를 할 수 있을 것임’은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이는 최근 병원평가로 인하여 직접간호 제공기회는 많아졌지만 직접간호제공시간은 매우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중 연령이 직무만족도와의 차이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연령이 더 많은 군이 적은 연령군보다 직무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것은 Kim(1998)과 Park(2002)의 연구에서 연령이 많은 간호사가 직무만족도가 높았다고 보고한 연구결과들과 동일하였다.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영역별 직무만족 차이검증에서 보수 및 승진 영역에서 연령은 20-30세 군과 31-40세군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평균점수를 비교해 볼때 가장 젊은 층이 보수 및 승진영역에 만족을 더 가졌고 그다음으로는 연령층에서 가장 많은 군이 그다음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간 연령군이 가장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장 젊은 층은 처음 시작하는 직장에 대한 의욕과 정열이 있고 가장 많은 연령군은 나이가 많은 상태에서도 일할 수 있다는 의욕과 감사로 인해서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사료되며 중간 연령군은 자신들의 의욕과 업적에 비해서 보수 및 승진의 기회가 없음을 느끼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현 근무형태 만족도에서는 매우 만족하는 군과 불만족군, 매우 불만족군과의 차이때문인것으로 나타났는데 매우 만족해하는 군이 보수 및 승진영역에서도 가장 높게 만족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Park(2002)의 연구결과와 동일하였다. 경제여건은 약간 넉넉하다고 생각하는 군이 보수 및 승진 영역에서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Kim(1998)의 연구결과에서 매우 넉넉하다고 한 군이 보수 및 승진 영역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가진 것과는 상이결과였다. 이상의 보수 및 승진영역에서 연구결과를 볼때 현 근무형태 만족도를 높힐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여 적용할 때 보수 및 승진에 대한 만족도도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필수적 영역에서는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가 그 외병동보다 필수적 직무에 대해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Kim(1998)의 연구결과 유사한 것으로써 이는환자의 생명과 보다 직결되는 직무를 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자율성 영역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이 하나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Kim(1998), Kim(2005) 그리고 Park(2002)의 연구에서 여러 특성이 자율성영역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것과는 상이한 결과였다. 전문적 위치영역에서는 현 근무형태 만족도에 대해서 매우 만족하는 군과 불만족군, 매우 불만족하는 군과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Kim(1998)과 Kim(2005)의 연구결과와 동일한 것이었다. 대인관계 영역에서는 연령이 가장 많은 군이, 월급여는 가장 많이 받고있는 군이 현 근무형태 만족도는 매우 만족해하는 군이 대인관계 영역에서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Park(2001)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연령이 더 높고 월급은 더 많이 받고 현 근무형태에 대해서 매우 만족해하는 간호사는 대인관계에서 더 만족해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행정영역에서도 현 근무 형태에 대해서 매우 만족해하는 군이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여러 가지 일반적인 특성과 직무관련 특성 중에서 현 근무형태에 대한 만족도가 직무만족도와 직무만족 영역별 만족도에 가장 폭넓게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현 근무형태에 대해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는 것이 최우선적으로 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전체 결과를 통하여 직무만족도가 낮은 직무영역의 만족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접간호제공기회가 많아짐과 동시에 그에 적절하게 직접간호제공시간도 많이 주어지도록 간호계획 및 간호수행방법을 구체적으로 강구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간호사의 행정 영역의 참여기회를 높이는 방안도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사의 직무만족은 전문성과 관련된 자신감과 확신을 가지고 고객만족을 위한 확대된 역할수행을 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으며 직무만족도를 높이기위해서는 현 근무형태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리라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cribe and analyze about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a university hospital for basic data to develop the professionals and improve productivities, effectiveness in nursing practice. Methods: Design was the descriptive survey study. Sample were 97 nurses in K university hospital, and convenient sampling was used. Measures were job satisfaction of nurse for job satisfaction tool modified by Kim, S.N.(1998) and developed by Slavitt(1978).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005 to June 2005, and analyzed using SPSS PC+12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was used fo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related to job. F-test, t-test, and x2 test were used for verification of differences. Results: 1. Scores in categories of job satisfaction were ranked for professional position(3.25), interpersonal relationship(3.19), autonomy(3.08), necessary job(2.88), payment and promotion(2.79), and administration(2.50) in order.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F=3.343, p=.040) and satisfaction for current job(F=10.331, p=.000) in differences of job satisfaction b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related to job. Conclusions: On the findings, authors suggest that more opportunities for direct nursing practice, appropriate time for the practice, and the intervention improving satisfaction for current job are needed to improve job satisfaction.

      • Enhanced Cancer Vaccination by <i>In Situ</i> Nanomicelle-Generating Dissolving Microneedles

        Kim, Nak Won,Kim, Sun-Young,Lee, Jung Eun,Yin, Yue,Lee, Jong Han,Lim, Su Yeon,Kim, E Seul,Duong, Huu Thuy Trang,Kim, Hong Kee,Kim, Sohyun,Kim, Jung-Eun,Lee, Doo Sung,Kim, Jaeyoon,Lee, Min Sang,Lim, Yo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8 ACS NANO Vol.12 No.10

        <P>Efficient delivery of tumor antigens and immunostimulatory adjuvants into lymph nodes is crucial for the maturation and activation of antigen-presenting cells (APCs), which subsequently induce adaptive antitumor immunity. A dissolving microneedle (MN) has been considered as an attractive method for transcutaneous immunization due to its superior ability to deliver vaccines through the stratum corneum in a minimally invasive manner. However, because dissolving MNs are mostly prepared using water-soluble sugars or polymers for their rapid dissolution in intradermal fluid after administration, they are often difficult to formulate with poorly water-soluble vaccine components. Here, we develop amphiphilic triblock copolymer-based dissolving MNs <I>in situ</I> that generate nanomicelles (NMCs) upon their dissolution after cutaneous application, which facilitate the efficient encapsulation of poorly water-soluble Toll-like receptor 7/8 agonist (R848) and the delivery of hydrophilic antigens. The sizes of NMCs range from 30 to 40 nm, which is suitable for the efficient delivery of R848 and antigens to lymph nodes and promotion of cellular uptake by APCs, minimizing systemic exposure of the R848. Application of MNs containing tumor model antigen (OVA) and R848 to the skin of EG7-OVA tumor-bearing mice induced a significant level of antigen-specific humoral and cellular immunity, resulting in significant antitumor activity.</P> [FIG OMISSION]</BR>

      • KCI등재

        한방병원 입원환자 및 보호자의 의료서비스 만족도

        석소현 ( Sohyune R Sok ),김귀분 ( Kwuy Bun Kim )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06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2 No.1

        성별에서 여자(64.0%)가 남자(36.0%)보다 더 많아 여자비율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보호자가 여성이 많음을 알수 있었다. 연령에서 51세이상이 72.0%로 대부분을 차지한 것은 연구대상자가 50세이상의 연령군에서 더 잘 발생하는 뇌졸중을 주로 다루는 한방병원에 입원한 환자 및 보호자이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직업은 성별과 연관되어 주부32.0%)가 가장 많은 것으로 보여진다. 거주지는 서울, 경기가 대부분(84.0%)을 차지한 것은 본 연구에서 설문한 대상 한방병원이 서울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입원기간은 16일 이상이 절반을 차지하였는데 이는 한방병원이 주로 뇌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하고 간호하기 때문에 그특성상 기인된 것으로 사료된다. 한방병원 이용동기에 대한 연구결과는 Kang(2004)의 연구에서 진료수준이 높아서가 50.7%로 가장 높게 나타난 것과 그다음으로 가족, 친구, 친지의 권유가 41.2%로 나타난 것과 유사하였다. 또한 Park(2000)의 연구결과에서 한방병원의 명성 및 신뢰성이 가장 높은 점수로 보고된 것과 유사하였으며, Kim(2002), Kim(1996)의 연구결과와도 비슷하였다. 병원서비스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의사 친절과 설명, 그리고 간호사의 배려라고 답한 대상자가 40명으로 80.0%를 차지하여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것을 볼 때 의료진의 진료서비스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같은 연구결과는 Kang(2004)와 Park(1996)의 연구결 과와 동일하였다. 재이용 의사와 타인에게 권유하겠느냐는 질문에 대한 답들이 90%이상 이용하고 권유하겠다고 답한 것은 본연구의 한방병원에 대한 연구대상자들의 선호함과 신뢰함을 알 수 있었다.한방병원 의료서비스에 대한 영역별 점수를 비교, 분석해보면 의료진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우리나라 최고의 한의과대학을 가진 한방병원이기 때문에 그에 대한 신뢰도가 높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한방병원의 환경 및 시설서비스는 행정서비스와 함께 평균이하의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최근 병원 평가로 인해 많이 개선되었을 것으로 보임에도 불구하고 낮게 나타났으며 행정서비스는 원무과 직원의 친절이 부족하고 이용방법에 대한 안내 구비가 미흡하고 그리고 무엇보다도 진료비가 너무 비싸다고 생각하여 낮은 만족도를 나타낸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Kang(2004)와 Kim, D. A.(2001)의 연구에서 의료서비스에 대한 각 요수별 만족도중에서 의사의 신중한 진찰 및 성실한 응답과 간호사의 인간적인 관심 및심리적 지지등이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의시설과 진료비용에 대한 만족도는 낮은 만족지수로 측정된 연구결과들과 일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서 원무과 직원의 친철에 대한 서비스 교육이 더욱 필요하고 이용방법에 대한 안내를 더욱 구체적으로 많이 구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한방 진료비가 너무 비싸서 그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은데 이는 한약의 제한된 의료보험 수가 적용과 비수가 항목으로 인하여 너무 비싼 것이 원인으로 보여지므로 앞으로 정부차원에서 제도적으로 보완책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환경 및 시설서비스에서는 주차시설이 안좋고 주차장 이용료가 비싸다고 생각하여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나타났는데 이는 주차요금이 입원, 퇴원시에만 3시간 무료이며 외래진료시에도 3시간만 무료이고 그외 면회객에게는 혜택을 주고 있지 않아 많은 불편을 겪고 있는 것을 보여진다. 그러므로 보호자 1인에게만 이라도 할인요금을 책정하는 등의 제도적인 서비스 보완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방병원 품질 기대도, 병원이용 후 품질정도, 전반적 만족도, 병원이용후 충족도를 살펴보면 한방병원 품질에 대한 기대도가 평균이상으로 높았다가 한방병원 이용 후에는 더 높은 것을 볼 수 있으며 이용 후 충족도는 품질 기대도보다 더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품질에 대해서 기대를 하고 이용하고 이용 후에도 그 품질정도에 대해서 더 높게 만족을 하지만 이용후에 자신의 충족도에는 이용전 품질 기대도보다 더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품질에 대한 기대와 이용후 그 품질에 대한 만족도는 높지만 자신 본인에게 주는 충족감은 상대적으로 적게 느끼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므로 환자 및 보호자들 본인 자신에게 보다 충족감을 크게 갖도록 하기위해서는 그 병원품질을 환자 및 보호자 본인에게 집중적으로 활용 및 적용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진료와 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한의사와 간호사의 기술과 전문성에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한방병원의 의료진 실력에 대한 선호함과 신뢰함과 동시에 인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관련 특성에 따른 한방병원 의료서비스 및 영역별 서비스 점수에 대한 차이검증을 분석해 보면, 연구대상자의 학력이 낮을수록 의료서비스의 만족도가 높았으며 타인에게 이 한방병원을 권유하겠다는 대상자가 의료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평균점수가 권유하지 않겠다는 대상자보다 더 높았다. 이 결과는 Kang(2004)와 Kim(2002)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교육수준이 낮은 대상자가 단순하고 진료에 잘 순응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교육수준은 의료서비스의 하부영역인 진료서비스, 행정서비스, 그리고 환경 및 시설서비스 모두에서도 그만족도에 대한 차이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도 교육수준이 낮은 대상자가 그 만족도가 더 높은 것을 볼 수 있었다. 거주지에서 강원도와 충정도가 오히려 한방병원이 소재하는 서울과 경기도보다 진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더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Kang(2004)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그 지역의 성품과 소박한 마음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선택한 동기는 진료수준이 높아서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타인의 권유에 의해서 온 대상자보다 진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Kim, J. M.(2001)과 Lee(2003)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한방병원의 고객을 많이 유치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진료수준이 높아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의료진들은 그들의 진료수준을 높이기위해서 더욱 열심히 진료기술과 전문성을 계속적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으며 그를 위해서 병원에서는 제도적으로 행정상의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cribe and analyze about the satisfaction of medical service of patients and family in an Oriental hospital. Methods: Design was the descriptive survey study. Sample was 50 patients and guardians in K Oriental hospital, and convenient sampling was used. Measure was the satisfaction tool of medical service developed by Kang(2004).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2005 to July 2005, and analyzed using SPSS PC+12 program. Findings: Thirty-two(64.0%) of all subjects were female and 18(36.9%) subjects were male. Score of medical service in Oriental hospital was mean 3.70. Scores in categories of the satisfaction were ranked for medical treatment(4.12), administration service (3.58), and environment and facilities service(3.41) in order. Expectancy for quality, quality after use, general satisfaction, and sufficiency after use in Oriental hospital were 7.34, 7.56, and 7.20, and they were above the aver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 and “I will recommend this oriental hospital to other patients” in differences of medical service b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related to job. Conclusions: On the findings, we suggest that the team for oriental medical service should endeavor for development of professionals and techniques in oriental medical treatment. Simultaneously, institutional administrative resources are persistently needed for supporting of oriental medical team.

      • 남창 가곡의 해금 반주선율 연구

        김소현(Kim, Sohyun) 한국음악문화학회 2018 한국음악문화연구 Vol.12 No.-

        본고는 남창가곡 해금 반주선율의 변화를 연구한 것으로 아악부에서 악보가 발행된 이후 현재까지의 악보를 비교하여 변화를 살펴보고, 실제 음악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음원을 함께 살펴보았다. 이로써 1928년의 음원부터 아악부의 악보 발행 이후를 거쳐 현재까지 이르는 약 90년간에 걸친 가곡의 해금 반주선율의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아악부보와 현행보 5종을 비교하여 선율에서 변화된 부분을 찾아본 결과, 아악부보 이후로 골격선율은 크게 변화되지 않았으나 일부에서 짧은 선율이 추가되기도 하고, 경과음이나 장식음이 추가되어 선율이 화려하게 변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제 음악이 악보대로 연주되었는지를 비교해보기 위해 김천흥과 박덕인의 가곡 반주 음원을 노래선율과 함께 동시대의 악보를 통해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가곡의 반주선율은 악보가 생기기 전에는 수성반주로 이루어졌으나 아악부원 양성소에서 악보를 통한 교육이 이루어진 이후 그 선율이 고정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변화는 박덕인 가락(1928)-김천흥 가락(1968)-아악부보-국악고보-김천흥 가락(1986)-정악해금보(김천흥 감수)의 순이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가곡의 반주선율은 악보가 생기기 전에는 수성반주로 이루어졌으나 아악부의 악보화 이후 그 선율이 고정화 되어왔고, 현행으로 오며 아악부의 선율에 표현이나 장식음이 추가되어 점차적으로 변화되어 현재의 반주선율이 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래의 반주선율인 수성가락은 연주자에 따라 독창적인 선율이 연주되고 붙임새가 화려한 것이 특징이나 아악부보 제작 시 그 선율이 급격히 단순하게 변화되었다. 현행에 이르며 장식음이나 일부 선율의 추가로 선율이 화려하게 변화하였으나 선율이 크게 달라진 것은 아니라 수성가락에 비하면 단조로운 선율로 악보상의 기보를 통해 골격 선율을 꾸며 주도록 변화하였다는 것이다. 악보의 선율이 고정화된 이후로 더 이상 수성가락으로는 반주되지 않아 가곡 반주시 독창적인 선율을 찾아보기는 어렵지만, 악보화 과정을 통해 반주선율이 잘 보존되어 현재까지 전해질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 본고의 최종 결과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the Haegeum accompaniment melody of the Nam-chang Gagok by comparing the change of music since it was published by the department of A-ak and we examined the sound source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music. We examined about 90 years of Haegum accompaniment melody change of Gagok from the sound source of 1928 to the present since music published by the department of A-ak. By comparing music with the department of A-ak and five types of the modern music, the study has found that there was no change in the structured melody since the music was published by the department of A-ak but there was some addition to short melody and also, the passing note and the ornamental sound were added to the melody, which we could see they made the change of the melody more splendid. Furthremore, in order to compare the actual played music, we tried to compare the accompaniment sounds source of Gagok of Cheonheung, Kim and Dukin, Park with song melodies and contemporary music. As a result, the accompaniment melody of Gagok was composed of Soo-seong melody before music was published but it was found that the melody was standardized after the music was taught at the department of A-Ak. The changes are in the order of melody by Dukin, Park (1928)-melody by Cheon-heung, Kim (1968)-music by the department of A-ak-music by the department of Gukak Go-melody by Cheon-heung, Kim (1986)-music of Jeongak Haegeum (the supervision of Cheon-heung, Kim). As a result, the accompaniment melody of Gagok was composed of Soo-seong melody accompaniment before music was published, but the melody was standardized after the music was taught at the department of A-ak and the expression or the ornamental sound was added to its change gradually and passed down to the present. The origin accompaniment melody was composed of Sooseong melody and unique melody was played by each player and the rhythm was splendid but when the department of A-ak published the music, its melody became simplified and it has passed down to the present. At the present moment, we have ornamental sounds and few melodies were added, which it enabled the abundant and splendid change of melody. However, this is not a big change in the melody but it is a monotonous melody compared to the Soo-seong melody. Soo-seong melody is no longer played after the melody of music is standardized, that we are no longer to find the unique melody played, but after the process of making a score, the accompaniment melody is well preserved and it has passed down to the present.

      •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atisfaction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and Resilience

        Sohyun Jang(Sohyun Jang),Minjin Kim(Minjin Kim) The Pacific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Ass 2024 Asia-Pacific journal of research in early childhoo Vol.18 No.1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and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A survey was conducted on 409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orea,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R 4.2.0 and the R version of PROCESSmacro 4.3.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teacher 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Second, teacher efficacy ha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Third, resilience had a buffering moderating effect on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 on teacher efficacy. Lastly,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showed conditional effects depending on resilience.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support the resil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s a part of their professionalism to connect the healthy professional lif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the healthy growth of children.

      • Ovarian reserve as a predicting factor for successful pregnancy after adenomyomectomy

        ( Sohyun Kim ),( Seyeon Won ),( Ji Young Hwang ),( Nara Lee ),( Miseon Kim ),( Mikyoung Kim ),( Mi-la Kim ),( Bo Sung Yun ),( Seok Ju Seong ),( Yong Wook Ju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20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대회 Vol.106 No.-

        Objective: To compile the fertility outcomes of adenomyomectomy and to evaluate which demographic factors predict a successful pregnancy in patients who have undergone adenomyomectomy.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patient data between January 2017 and April 2020. Possible causes for infertility were excluded by hysterosalpingography, blood tests, karyotyping, hormonal assay, and semen analysis before the surgery. Candidates were selected for surgery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1) patients aged ≤45 years, 2) patients who consented to proceed with the surgery after being informed about the possibility of recurrence of the disease and operative blood loss, and 3) patients desiring pregnancy in the future. Patients were followed up monthly for 3 months. The subsequent follow-ups were conducted every 3-6 months. Patients who wanted to get pregnant could try for pregnancy 3 months after the surgery. We defined pregnancy success as the presence of fetal heartbeat at 6-7 weeks of gestation. The number of pregnancy trials was defined as the number of embryos transferred. Results: Forty-thre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pregnancy failure group (n=28) and the pregnancy success group (n=15). The age of patients was higher (39.0 [32.046.0] vs. 37.0 [33.042.0] years, P=0.006) and the level of anti-Mllerian hormone (AMH) (0.54 [0.018.54] vs. 2.91 [0.347.92] ng/mL, P=0.002) was lower in the pregnancy failure group than in the pregnancy success group. The operative time was longer (220.0 [68.0440.0] vs. 175.0 [65.0305.0] minutes, P=0.048) and the estimated blood loss was higher (750 [1002500] vs. 500 [502000] ml, P=0.016) in the pregnancy failure group than in the pregnancy success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body mass index, symptoms, cancer antigen 125, preoperative uterine volume, and type of adenomyosis.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age and AMH were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s for successful pregnancy. Conclusion: Ovarian reserve (age and AMH) and disease severity might be predictive factors for successful pregnancy in patients who have undergone adenomyomectomy. Adenomyomectomy should be positively considered for women desiring pregnancy and having appropriate ovarian reserve. This information will be beneficial for patients and clinicians before the decision about adenomyomectomy. Larger prospective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our findings.

      • SCISCIESCOPUS
      • KCI등재후보

        A Study on the Regulation of Clean Beauty Cosmetic Related Recognition and Consumer Responsibility Related Percep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tion MZ's Environmental Awareness and Clean Beauty Cosmetic Repurchase Behavior

        Sohyun Lee(Sohyun Lee),Eunsook Kim(Eunsook Kim) J-INSTITUTE 2022 Regulations Vol.7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underst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awareness level, clean beauty cosmetics awareness, and repurchase behavior among Generation MZ, and investigate the regulating effect of consumer responsibility perception. Recently, as the consumers' interest in environmental protection has grown, it was intended to help the development of new products of clean beauty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smetics market, which is emerging as a new trend, thereby providing the basic data to consumers and fans of future marketing strategies. Method: For the subject of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use the SPSS 25.0, AMOS 22.0 program for 523 copies of online questionnaires in Seoul, Gyeonggi, Incheon areas and non-metropolitan area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 for Generation MZ who have purchased clean beauty cosmetics at least once and analyzed them.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to secu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and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The regulating effect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path analysis, and a multi-group comparative path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regulating effect.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erformed, the level of environmental awareness had a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ption of clean beauty cosmetics( =.492, p<.001) and intention to repurchase( =.086, p<.05), while the clean beauty cosmetic perception also had a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epurchase be-havior and intention( =.651, p<.001). That is, the higher the level of environmental awareness, the higher the level of awareness and repurchase behavior for clean beauty cosmetics. In particular, the level of environmental awareness was found to be a factor that can increase the intention to repurchase by raising the level of aware-ness of clean beauty cosmetic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turned out that the higher the environmental awareness level, the higher the level of awareness of clean beauty cosmetics or the level of repurchase behavior. It is meaningful for identifying the preferences of Generation MZ in the clean beauty cosmetics market, which has been gradually expanding since COVID-19, and presenting products and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according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