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음악 비평의 현실과 대안

        강혜진(Kang, Hye-jin) 한국음악문화학회 2013 한국음악문화연구 Vol.4 No.-

        음악은 동시대를 살아가는 사회의 구성원들이 함께 향유하는 예술이다. 따라서 사회의 분위기와 요구를 비판적인 시각으로 판단하여 음악 활동에 반영해 줄 음악 비평 활동이 반드시 필요하다. 비평은 사회적인 역할을 감당해야 하기 때문에 타인의 생각과 감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글’로 기록하여 남겨두는 과정이 꼭 필요하다. 현재의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은 다가오는 미래를 준비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따라서 한국음악 비평문이 실린 단행본과 한국음악 비평 관련 연구 결과물을 검토해봄으로써 현재 한국음악 비평이 처해있는 상황을 살펴보았다. 제1세대에서 제3세대에 이르기까지 학자 중심의 평자들에 의한 비평집이 꾸준히 출간되고 있으나, 2010년대에 들어서는 한국 음악 관계자가 발간한 비평집을 찾아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최근 3년 동안은 한국 음악 비평집의 발간이 없는 실정이다. 한국음악을 연구하고 연주하는 이가 이처럼 비평에 대해 무관심한데, 대중에게 한국음악을 사랑해달라고 외치는 소리만 곳곳에서 들리는 것 같은 현재의 이 아이러니한 현실에 대해 한국음악을 연구하고 연주하는 이들이 함께 책임 의식을 느껴야 할 것이다. 한국음악 비평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2000년대부터 시작되었으며 2010년 이후로는 현재까지 눈에 띄는 연구 결과물을 찾아보기 힘들다. 비평집이 기존 학자들에 의해 꾸준히 발간된 것에 비하면, 비평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 성과는 아직 아주 미흡하다 할 수 있겠다. 이는 한국음악학계 내에서 음악 비평의 학문적 가치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결과로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비평의 현실을 직시하고 필자가 내세운 대안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다양한 세대와 분야의 비평집을 꾸준히 발간해야 한다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한국음악 비평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현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음악을 공부하고 연주하고 작곡하는 이들이 비평에 관심을 갖고 비평집을 발간하고 비평 교육을 하는 시간들이 쌓여 현재 활동하고 있는 제3세대의 평론가들의 뒤를 이을 젊고 유능한 평론가가 많이 나타나길 기대해 본다. Music is the art that contemporary people enjoy together. Therefore, music criticism is necessary for reflection of social requirement. Criticism must affect another"s thoughts and feelings. And writing process is material to criticism. This study researched circumstances of the current korean music criticism by analyzing books and treatises on korean music criticism. Books on korean music criticism have constantly been published by reviewers and scholars. But since around 2010 Books on korean music criticism written by korean music expert are not published, during the past three years Books on korean music criticism are not published. Full-scale studies on korean music criticism is started in earnest on the year 2000, results of scholarly research in korean music criticism are very insufficient. We have to be realistic about circumstances of the current korean music criticism, I offer two solutions. One is steady publication of the various generations and branches, the other is systematic realization of the korean music criticism education. If these two solutions are realized well, a large number of young capable critics are emerged.

      • 역사ㆍ문화적 맥락과 연계한 대금 지도 방안 연구

        전구슬(Jun, goo-sul) 한국음악문화학회 2015 한국음악문화연구 Vol.6 No.-

        악기는 음악을 연주하기 위한 표현의 도구를 넘어서서 다양한 음악 문화와 사회적 가치를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당시 사회의 모습을 비롯하여 음악 문화의 형성과 전승을 악기를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역사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음악의 역할 및 가치를 폭넓게 이해하고 내면화할 것을 제시하고 있으며, 음악사에 대한 학습은 악곡, 인물, 사회 문화적 배경 및 음악사의 전체적인 흐름 등을 다룸으로써 폭넓은 이해와 안목을 갖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대금(大笒)은 일찍이 신라의 대악(大樂) 연주에 편성됨으로써 천 년이 넘는 장구한 역사의 전승 기반을 마련했고, 우리 문화의 전승 내력과 무형의 사상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대금을 통해서 우리 음악 문화의 특징을 통합적으로 지도할 수 있다. 그래서 한 때 신적(神笛)으로 불리기도 한 대금을 역사 문화적 맥락과 연계하여 지도하기 위해 대금의 역사적 맥락 사회적 기능 음악적 측면을 중심으로 지도 내용을 연구하고 주제 중심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역사문화적 맥락과 연계한 대금 지도를 위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적 맥락에서는 대금의 시대별 도상자료를 통해 대금의 역사성을 이해하고, 삼죽의 형성과 음악 문화 속에서 대금의 음악적 역할을 이해하며, 조선후기 산조음악의 발달로 인한 산조대금의 탄생을 정악대금과의 비교를 통해 살펴볼 수 있도록 내용을 전개하였다. 둘째, 사회적 기능에서는 만파식적 설화를 통해서 대금의 호국적 기능을 이해하고, 남해안 별신굿에서 청신악과 송신악의 대금 독주와 무구(巫具)로서의 대금을 통해 대금의 주술적 기능을 이해하며, 정약대 이야기를 통해 수양적 도구로서의 대금의 역할을 살펴볼 수 있도록 내용을 전개하였다. 셋째, 음악적 측면에서는 대금 청공에서 울리는 독특한 청울림 소리를 중심으로 대금의 음색을 이해하고, 청성자진 한잎과 대금산조를 통해 대금의 음악적 표현과 특징을 이해하며, 김계선과 박종기를 통해 대금 명인을 살펴볼 수 있도록 내용을 전개하였다. 위 내용에 대한 대금 지도 방안으로는 대금 지도 내용을 실제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대주제 중심 지도방안과 소주제 중심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대주제 중심 지도방안은 하나의 대주제를 중심으로 대주제에 포함된 소주제를 통합하여 지도하는 방안으로 대단원은 ‘대금을 통한 음악 문화의 이해’로 설정하였다. 소주제 중심 지도방안은 소주제의 내용 중에서 서로 연관된 내용들을 묶어서 새로운 주제를 선정하고 지도하는 방안으로 ‘대금의 정통성과 특징’, ‘선비들의 인격 수양과 대금 명인’, ‘산조대금의 탄생과 산조 명인’, ‘음악 문화 속의 대금과 상징성’을 주제로 제시하여 지도방안을 연구하였다. 대금은 천년이 넘는 역사 속에서 나라의 평화를 유지하고 신적(神笛)으로 취급되어 우리 음악 문화에 중심에 있었다. 현재에도 많은 사람들이 인격 수양의 한 방법으로 대금을 연주하고 있는 만큼, 본 연구로 인해 우리 악기가 역사와 문화 속에서 의미하는 바를 올바로 인식하고 앞으로 바람직한 음악 문화를 만들어 가는데 있어서 대금의 음악적 사회적 역할을 기대하는 바이다.

      • 한국십진자료분류법(KDC) 제5판 한국음악(국악) 분류체계 개선안 연구

        오진호(Oh Jin-Ho) 한국음악문화학회 2011 한국음악문화연구 Vol.2 No.-

        KDC는 우리나라의 표준분류표로서 현재 국내의 모든 공공도서관은 물론 대학도서관에서도 DDC와 병행하여 분류업무에 많이 적용하고 있다. KDC의 체계는 DDC의 주류를 그대로 따르기도 하였으나, 우리의 실정에 맞는 한국표준분류표라는 관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현재 한국도서관협회는 KDC를 계속 수정 보완하여 2009년 제5판으로 개정하였다. 이중 음악은 670에 배정되어 있고 한국음악과 동양음악은 679 하나의 세목에 배정되어 대부분의 요목이 서양음악 그 중에서도 클래식음악 중심이다. 이는 다른 한국학분야와 조기성면에서 문제가 있으며, 음악자료의 양과 질에서도 불균형하다고 생각된다. 한국음악의 자료는 양과 질에서 팽창을 하고 있는데 비해, 자료의 분류법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분류체계는 학문의 변화와 발전에 의해 늘 새롭게 개정되고 있다. 대표적인 분류법인 DDC도 평균 5년에 한 번씩 발행 인쇄되고 있는 것은 학문의 지식과 정보가 홍수처럼 생산되고, 그 매개체 또한 인터넷을 이용하여 확장하는 속도가 엄청나기 때문이다. KDC의 한국음악 항목도 이런 변화에 맞추어 지속적으로 개정되어야 하며 문헌 분류뿐아니라 CD, MD, 영상자료도 분류할 수 있도록 확장성을 갖추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국립국악원 같은 기관에서 관심을 가지고 노력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분류법에 영향을 미치는 한국음악학의 학문분류에 대해서 검토해보고, 국립문화재연구소의 전통음악자료분류법, DDC 제22판, 중국도서관도서분류법, KDC 제5판의 음악분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현재 쓰이고 있는 KDC 제5판의 한국음악 분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개선할 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dealistic scheme for the classification of Korean music. The ideal classification of Korean music should cover as much knowledge and materials of Korean music as possible. In other to this, the research examined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the concept of music classification and the type of Korean musicology with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the music classification. Second, The thesis analyzed Korean Traditional Music Material Classification of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NRIGH), Dewey Decimal Classification(DDC), Library of China Classification,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KDC) and it raised several points. That is, DOC and NDC follow a classification of the center of the Western music. Library of China Classification has a home country-centered classification contained Sinocentrism excessively. Then classification schedules for Korean music including 679 Korean music of KDC were selected, and their expansion aspects and the problems were analyzed. The conditions an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n ideal classification schedule of Korean music were sought reanalyzing the problems found in these existing classification schedule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a new classification schedule of Korean music was proposed.

      • 한국 교회음악의 새로운 분류체계 제시

        윤나리(Yoon Na-ree) 한국음악문화학회 2010 한국음악문화연구 Vol.1 No.-

        한국음악의 교회음악으로의 사용을 위해 교회음악의 개념과 교회음악의 종류와 그 특징을 알아볼 필요성이 있다. 한국교회음악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교회음악의 용어의 사용이 모호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교회음악에서 사용되는 음악용어의 개념을 정리하여 새로운 분류체계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한국에 기독교가 들어오게 된 계기를 시작으로 대부분의 한국교회음악은 외부선교사들에 의해 들여온 외국음악을 기본으로 발전하게 되고 이후 대중음악의 발전과 더불어 발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시간의 흐름을 기준으로 한국교회음악에 영향을 준 요인을 알 수 있고 한국음악의 새로운 분류체계를 제시함에 있어 그 기준을 마련할 수 있다. 또 한국교회음악은 종교음악이라는 특성에 따라 가사에 담긴 내용이 중요하다. 따라서 가사가 대상으로하는 사람이 하나님이냐, 사람이냐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즉, 한국교회음악의 새로운 분류체계는 ‘가사내용의 대상’과 ‘시대에 따른 음악적 특징’을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Christian Music is a big part of Korean popular music growth. Moreover, with the advent of CCM(Contemporary Christian Music) in church, christian music and popular music have much in common, not a separate one. Before 1892, when me unique Korean christian music was produced, chan mi gae was used which made of American hymns. The compilation standard was different ar me moment until 『Unites Hymns』in 1983 and 『21C New Hymns』in 2006 had been made. But they insist that they have to compile Hymns should include musical feature of Korea. The 『21C New Hymns』compiled in 2006 has 128 pieces composed by Koreans of all 625 pieces, which means that they have continuously tried for Christian music to be naturalized. Moreover, the various music genre have been used such as Pop, Rock, Black Gospel, with the advent of the concept CCM. Recently, Musics featuring Korean and considering popularity starred to appear by Nam Gung Ryun, Shin Nal Sae, Ko Joo Hee, Mum Chae Suk, etc. I think that Korean Music that matches our emotion will lead the CCM in the future. The musical terms used so far have been variously used in Gospel Song, Gospel hymns, Hymns, CCM. However those terms were being used without rules and unity, so I arranged various musical concepts and classified the Korean christian music. First classification is 【Hymns】, 【Gospel Song】 of the Korean Christian Music as an object of music, for example, 【Hymns】's object is God and 【Gospel Song】's object is the human. I classified the music according to the time. Because me music has been reflected by the times, so second classification is done by time. 【Hymns】 is divided into 'Traditional Hymns' and 'Modern Hymns'. 'Traditional Hymns' is the music which has the same form of 『Hymns』made by the Councils of Korean Hymns. The music introduced after 1963 when the Gospel Song appeared can be referred to Modern Hymns. 【Gospel Song】 is divided into 'Traditional Gospel' and 'Modern Gospel'. Its standard is Choi Duck shin's Album 〈The Name〉 in 1985 and before the album is called 'Traditional Gospel' and after that 'Modern Gospel'. 'CCM' can be classified as 'Modern Gospel' section, and it can be classified to 'Modern Hymns', particularly when the object of 'CCM's text is God.

      • 동북아시아 상고시대 음악문화에 관한 연구

        박효빈(Park, Hyo-bean) 한국음악문화학회 2013 한국음악문화연구 Vol.4 No.-

        본 논문은 상고시대 동북아시아에서 한민족의 것으로 보이는 음악고고학 자료와 문헌기록 사료를 정리하고 특징을 비교해봄으로써, 우리 민족의 음악문화 시원과 상고시대 음악 역사 서술의 근거를 찾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현재까지의 한국음악사 서술에 있어서 상고시대 음악문화부분은 잘 다루어지지 않았고 구체적이지 않기 때문에 이 연구의 필요성은 부각된다. 또한 한반도에 국한하여 상고시대 음악문화를 바라보지 않고, 동북아시아라는 넓은 범위에서 음악문화를 분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겠다. 이는 우리 민족의 생성과 이동에 대한 현재 인류학??고고학??사학계의 중심적인 의견을 반영한 것으로, 역사학적 흐름에서 음악문화를 분석하려고 시도하였다. 동북아시아 세 지역 요하, 산동, 발해 및 만주 한반도 지역의 상고시대 음악문화는 발생 시기는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각 지역마다 샤머니즘의 성격의 음악문화가 형성되었다. 이들 지역 중 가장 빠른 음악문화를 보이는 곳은 요하 지역이었다. 요하지역의 홍산문화와 하가점하층문화에서 보이는 북방계 음악문화적 특징이 남하하여 산동으로, 그리고 만주 및 한반도로 전래되었을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북방에서 산동지역으로, 한반도유역으로 전래된 음악문화는 제각각 고유의 음악문화로 발전하였다. 산동지역의 동이 일부 부족과 상나라 민족은 제의를 바탕으로 하는 높은 수준의 음악문화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문헌 속 삼황오제에 대한 음악문화 기록과, 산동 동이의 높은 음악성에 대한 기록 그리고 은허 유적의 석경이 여러 점 발굴된 것이 증명하였다. 게다가 하가점하층문화에서 출토된 석경이 가장 이른 시기의 것으로 고증되었는데, 이는 장성 이북지역의 음악문화가 산동지역으로 남하하였음을 시사한다. 한편 요하유역의 신석기 문화인 홍산문화의 곰토템 사상, 하늘을 숭배하는 제사유적을 통하여 한반도의 음악문화와 유사한 점을 찾을 수 있었다. 그러나 요하지역에서 한반도로 전래된 음악문화의 경유와 그 과정에 대해서는 현재로서는 의문점으로 남겨둘 수밖에 없다. 지역 특성상 척박한 환경인 점과 지배층의 음악만이 기록되고 남는 점에서 사라졌을 가능성이 크지만, 앞으로 발해 만주 지역의 음악고고학적 자료 발굴과 상고 음악문화 연구가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요하유역에서 전래된 북방계통 음악문화는 산동지역에서는 주나라 대까지 산동 인근 작은 족속들이 그 명맥을 유지하였으나 이후 화하계열의 음악 문화에 습합되었고, 발해 및 만주, 한반도 지역에서의 음악문화는 후대 삼국시대 각각의 음악문화에 영향을 주어 발전시켰을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origin of Korean music culture and the historic ground in reporting music history in ancient ages. In doing so, this study investigated and compared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culture from musical archeological specimens and historic records about Northeast Asia in ancient ages. The study on music culture in ancient ages has been rarely conducted. In addition, existing studies did not show systemic and detailed research results.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overcoming these limitations of existing studies. Moreover, This study examined music culture in much larger area, Northeast Asia, instead of smaller area, the Korean Peninsula. This research range of this study reflected the mainstream of anthropology, archeology, and history academies. Accordingly, this study made an attempt to analyze music culture based on historic stream. The music culture in Northeast Asia in ancient ages show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Each onset period of music culture in ancient ages was different from three areas, Yoha, Sandong, and Bahae/anju in Northeast Asia. But, three areas commonly developed shamanistic music culture. Yoha, especially, showed the most early development of music culture among three areas. Northern music cultural features in Yoha area included Hongsan culture and Xiajia underworld culture. We may assume that these features moved South and influenced music culture of Sandong, and Maju/Korean Peninsula. And then, each music developed its own music culture. Both Dongeu tribe and Sang ethnic group in Sandong area showed outstanding music culture based on memorial services for ancestors. The records about three emperors five emperors, the records about excellent music culture in Dongeu, and some chime stones xcavated from Yin Ruins remains proved outstanding music culture in Sandong. Also, chime stones in Xiajia underworld culture was proved as the most early historic evidence. It means that music culture of Jangsung area moved south, Sandong area. Bear-Totemism of Neolithic culture, one feature of Hongsan culture, and remains of ancestral rites to worship heaven showed similarity in music culture in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the trajectory and process of movement in music culture from Yoha area to the Korean Peninsula leave rooms for questions. Because of the local characteristics, barren environment, the historic records could have many limitations. That is, the leaving records could be very rare. Also, leaving records could show some restricted information on ruling classes. Accordingly, music archeological records about Balhae/Manju area should be actively excavated. Furthermore, much more future studies on music culture in ancient ages should be continually conducted. This study may guess that northern music culture moved from Yoha area had been kept its tradition to Ju country times by small tribes in Sandong area. Since then, it had eclectic collaboration with chinese music culture. Music culture in Balhae/Manju, and the Korean Peninsula could have an influence on music culture in the eras of Three States.

      • 해금의 由來에 관한 圖像 考察

        이현정(Lee, Hyun-jeong) 한국음악문화학회 2015 한국음악문화연구 Vol.7 No.-

        해금(奚琴)은 한국음악에서 대표적인 찰현악기이다. 정악과 민속악 그리고 창작 음악 등 모든 분야에서 사용되며 한국음악에서 중요한 악기중 하나로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자연히 해금과 그 음악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고 연구가 이루어 졌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해금이 언제 어떻게 유입되었는지에 관한 시점이 문헌마다 다르며 유입의 정확한 시점의 사료가 분명치 않고 구체적인 관련의 음악문화사적 연구가 없는 것은 사실이다. 그리고 시대의 흐름에 따라 악기형태의 변화는 없었는지의 의문이 본 연구의 중심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기존의 한국계 해금의 유입에 대한 학자들의 주장을 정리하고 관련 도상자료를 근거로 하여 해금의 유입설과 해금문화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어떤 형태로 변화하였는지 그리고 우리나라 주변의 동양음악권의 음악문화를 살펴보면서 해금과 비슷한 유형의 악기들이 사용되고 있었는지 또 그 지역 즉 아시아지역에서 어떻게 쓰였으며 우리는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 악기의 변화는 없었는지를 살펴보겠다. 악기와 음악의 역사는 민족의 발자취를 아는데 중요하다 하겠다. 따라서 관련 도상자료나 문헌을 통해 악기의 전래된 시대와 과정 그리고 변화를 살피는 것의 연구로서 이 연구는 우리의 역사와 전통을 충분히 익히고 이해함과 더불어 전통음악의 보존과 계승은 물론 새로운 음악문화 발전에도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The Hae-geum is a representative rubbed string instrument in Korean music. It is used in all fields such as court music, folk music, and creative music. It is established as one of important music instruments in Korea. For this reason, the researcher came to be naturally interested in the Hae-geum and the music. So, the study was realized. But, the time when the Hae-geum was introduced is different per literature. It is true that historical sources of a correct point of time of the introduction are not clear and there are no researches specifically related to cultural history of music. And, the key of the study starts from a doubt that whether there were changes in the shape of the music instrument or not as time goes on. Therefore, in this paper, suggestions of scholars about the introduction of the existing Hae-geum were arranged. And, based on related iconographic materials, while examining opinions of the introduction, cultural changes of the Hae-geum in what forms according to flows of time, and music culture of Oriental music areas surrounding Korea, other matters were searched for, such as whether musical instruments similar to the Hae-geum are being used or not, how they were used in the areas, namely, Asian areas, and what influence we received from them, and whether there were changes of the musical instruments or not. History of musical instruments and music is important in knowing the traces of ethnic people. Hence, through the relevant iconographic materials or literature, the study is to examine the time and course that the instrument was introduced and the changes after the introduction. It is thought that the study can be an important material in learning and understanding Korean history and tradition sufficiently and besides, development of new music culture as well as preservation and succession of traditional music.

      • 경상도 음악 음조직의 특징

        최헌(Choi, Heon) 한국음악문화학회 2019 한국음악문화연구 Vol.13 No.-

        경상도는 강원도나 함경도에 비해 깊지는 않지만 전라도나 경기도 지역에 비하면 산악지대가 주를 이루고 있고, 그러면서도 산과 산 사이를 흐르는 낙동강과 그 지류들이 골골마다 좁은 평야지대를 이루고 있어 산악과 평야의 특성이 혼합된 지형이라 할 수 있다. 또 역사적으로는 비교적 평야가 넓은 경상도의 서남쪽의 가야지역과 산악이 더 많은 경상도 동북지역의 신라지역이 각기 다른 문화권을 형성하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경상도는 김해 진주 중심의 서남쪽과 경주 안동 상주 중심의 동북지역으로 그 문화권을 나눌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음악문화의 차이점도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경상도 음악문화는 이러한 지리적, 역사적 배경에서 그 특성을 형성해 왔다. 경상도의 지역적 특색을 보여주는 음악은 결국 민요를 중심으로 무속음악 등 토속적인 기층 민속음악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현상일 수 밖에 없다. 이러한 경상도 기층음악을 중심으로 살펴본 경상도 음악의 특징은 음고조직, 음장조직, 음색조직, 구조 특징으로 구분해볼 수 있다. 음고조직은 메나리토리적 특색이면서도 강원도와는 구분되는 음정의 특징을 보여준다. 음장조직, 즉 박자와 장단의 특색으로는 3+2+3의 불균등 8박자가 여러 민요나 무속음악에 보이는 특색을 보여주고 있다. 음색조직은 여타 지역이나 장르의 곡들과 같이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특히 판소리 등에서 경상도 음악 스타일의 음색을 노랑목, 메나리목이라하여 구분한 것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경상도 선율의 구조적 특징이라 하면, 전체적으로 하행구조가 중심을 이루고 있고, re-do-la-do의 반복선율이 장식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이 특징이라 하겠다. 그러나 경상도의 지역 음악문화 특징을 규명하기 위한 심층적인 연구가 타 지역에 비해 그리 많지 않기 때문에 경상도의 음악문화의 특징을 명확하고 세밀하게 설명하기는 쉽지 않다. 앞으로 좀 더 많은 심층적인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Gyeongsang Province is not as deep as Gangwon Province or Hamkyong Province, but the mountainous region is mainly located in comparison to Jeolla Province or Gyeonggi Province, while the Nakdong River and its tributaries, which flow between the mountains and the mountains, form a narrow plain area, making it a mixed landscape of mountain and plain characteristics. Also historically, the Gaya region in the southwestern part of Gyeongsang Province, which has a relatively wide plain, and the Silla region in the northeastern part of Gyeongsang Province, where there are more mountains, are forming different cultures. In this regard, Gyeongsang Province can be divided into the southwestern part of Jinju, Gimhae, and the northeastern part of Sangju, Andong, Gyeongju, and the resulting differences in music culture. Gyeongsang-do music culture has shaped its characteristics from this geographical and historical background. Music that show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Gyeongsang-do is inevitably a phenomenon that centers on folk music, such as shamanistic music, and folk music. The characteristics of Gyeongsang-do"s music, which are based on the base music of Gyeongsang-do, can be distinguished by the sound structure, the sound structure, the sound structure, and the sound structure. The phoneme structure is a "menoristic" feature, but also a "negative" characteristic that distinguishes it from Gangwon Provi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scene, or beat and rhythm, show the characteristics of many folk songs or shamanic music with an imbalance of 3+2+3. The sound system has not been studied in depth, such as songs from other regions or genres, especially Pansori, which distinguishes the sounds of Gyeongsang-do"s music style from yellow to manari. Finally,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Gyeongsang-do melody are that it is generally low-happy and central, and the repetitive melody of re-do-la-do is used decoratively. However, it is not easy to explain clearly and in detail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culture in Gyeongsang Province, as there are not many in-depth studies to identify the local music and culture characteristics of Gyeongsang Province compared to other regions. There will be more in-depth research going forward.

      • 다문화시대 한국민요와 K-Pop

        최헌(Choi, Heon) 한국음악문화학회 2014 한국음악문화연구 Vol.5 No.-

        이제 한국은 여러 문화가 함께 공존하는 사회로 살아가고 있는 만큼 많은 사회적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한국의 민요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요한 요소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은 K-POP이 한국의 민요에 비해 더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민요가 가지고 있는 많은 요인들은 다문화 시대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우리는 다문화가족들에게 한국의 민요를 더욱더 많이 제공해야 하고 그러한 과정을 거침으로써 다문화 가족들이 한국사회에서 자연스럽게 동화될 것이다. 본 글은 다문화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민요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하는 문제를 생각해 볼 것이다.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기보다는 다문화사회 민요의 역할을 찾기 위한 한국 민요의 상황을 검토해보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Now Korea get into the multiple culture society. So many social problems have occurred. The Korean folksong is a social significant factor for solving that problems. But todays the koreanfolksong do not influence in Korean society, because it is exhaustion of its vitality. Todays the K-Pop is very powerful rather than the Koreanfolksongs. But the Koreanfolksong have many factors to solve the social multiple cultural problems in korea. More needs to be done. We must provide opportunity to contact the Korean folksons to the members of Korean multiple cultural society. It make the Korean multiple cultural socirty harmonious. We must study the korean folksong. In order to grow in influence of Korean folksongs, the scientific research on korean folksongs is very important, and it give a vitality of korean folksongs in the multiple culture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