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교육 새 패러다임 탐색

        박남기 ( Park Namgi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2

        코로나19로 인해 교육계가 커다란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이 연구는 코로나19 기간 동안에 축적된 자료를 토대로 교육이 나아가야 할 새 패러다임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먼저 언론 보도, 유관 기관의 설문조사 결과 등을 토대로 학교, 교사, 학부모, 학생, 그리고 지역사회를 포함한 민간교육기관 등의 역할과 대응 방향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어서 이번 온라인교육 대실험 과정에서 부각되고 있는 온라인학습 약자 문제를 별도로 분석하여 교육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온라인 학습 약자 문제는 교사 주도 하에 학교, 지역사회, 교육청, 학부모단체가 힘을 모아야 완화될 수 있다. 교사가 보다 적극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학생을 파악하고, 각각의 학생에 적합한 맞춤형 지원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외부의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또한 온라인교육 매체이면서 수단이 되고 있는 에듀테크의 가능성과 한계를 바탕으로 에듀테크가 나아가야 할 방향도 탐색하였다. 그 동안에는 인간 교사가 무능하여 학생들이 학습 동기를 상실하거나 잠을 자는 것으로 생각하며 신기술을 활용하면 해결될 것으로 기대했다. 그런데 온라인 학습을 시키려고 보니 에듀테크를 활용하더라도 그러한 학생들을 배움의 세계로 이끌려면 인간 교사가 곁에 있어야 함을 알게 되었다. 이 예가 보여주는 것처럼 에듀테크 기반 미래형 교육이 성공하려면 다양한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제반 분석을 토대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부합할 바람직한 교육 새 패러다임으로 스말로그교육을 제시하였다. 스말로그교육은 수업의 방향과 방법만이 아니라 한발 더 나아가 교육에 있어서 에듀테크와 인간교사의 관계, 에듀테크의 역할 등을 명확히 해주고, 인간 교사들의 불안감을 줄여주며, 나아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육자로서 갖춰야 할 역량이 무엇인지를 적시해 주는 역할을 할 것이다. The education community is experiencing a major change due to Covid-19. Prior to Covid-19, face-to-face education had only highlighted problems, and the possibility of remote online education had been overwhelmed. However, we are learning a lot from the sudden online education experiment. This study aims to explore a new paradigm for education based on the data accumulated during the Covid-19 period. For this study, the roles of schools, teachers, parents, students, and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including local communities, are analyzed based on media reports and survey results from related institutions to draw implications. Next, I analyzed the problem of shorthand online learning that had emerged in the course of this online education experiment to find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addition, based on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Edutech, which is both an online education medium and a means, we explore the direction that Edutech should go forward. Based on this analysis, ‘Smarlogue’ education is presented as a desirable educational paradigm for the post-corona era. Smalog education clearly presented the direction and method of the class. It will further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dutech and human teachers in education, reduce anxiety among human teachers, and specify what capabilities they should have as educators in the post-corona era.

      • KCI등재

        단행본에 드러난 미국 비교교육학 연구 특성 및 흐름 분석

        박남기(Park, Namgi) 한국비교교육학회 2016 比較敎育硏究 Vol.26 No.1

        본 연구는 비교교육학과 관련된 미국 단향본 분석을 통해 미국 비교교육학 연구의 특성과 그 흐름을 분석하고자한다. 아울러 이민자가 상당수를 차지하는 미국의 다문화적맥락에서 형성된 미국 비교교육학 분석을 통해 향후 한국의 비교교육학 연구에 있어 명확한 연구영역 정립 및 학문적 정체성을 구축하는데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Bray와 Thomas(1995).Alexiadou와 Brock(2013)등의 분류를 참고하여 재구성한 틀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본석 대상측면에 있어'누가, 어디에'는 미국 출판서 혹은 다국적 주요 출판사에서 발간한 단향본에 ,'무엇을'에 해당하는 부분은 학술검색엔진에서 찾은 단향본 가운데 비교교육에 적합한 단행본들을 일일이 검토하여 제시하였다. 둘쨰, 연구주제 및 영역 중심으로 보얐을 떄, 복합주제, 특징주제,비교고등교육, 국제교육, 발전교육 등 다양한 연구영역들은 다루고 있었다. 셋째, 특정학문분야의 활성화 여부를 가늠하는 중요한 척도인 대학에서의 정구과정 개설 여부에 있어 미국의 경우, 1899년에 이미 콜롬비아대학교 교육대학에 비교교육전공 과장이 최초로 설치되었다. 비교교육학 발전을 위해 우선적으로 대학원 비교교육전공 프로그램 개설이 요청되고, 이는 시대적 흐름에도 적절하고 개척할 분야가 많은 비굑교육 분야에 대해 향후 수요도 증가하리라 예상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stream of comparative education research in the United Ststes by reviewing a variety of books from the United States. In addition, for the future studies in Korea,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some implications to establish the academic identity in the field of Comparative Education Research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rend in the U. S. that comprised many immigrants in the multicultural context. The analysis demonstrates thes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nalysis 'who and where', we selected the books from the American publishers or multinational major publishing company. Referring to the framework of Thomas and Bray, this study attempted to search the academic book-forms that collected by the keyword of the "comparative education" or the "international education" through the search engines. Second, in the terms of specific field of topic, research areas are found as follows: regional study encompassing composite and specific topics, intern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education and higher education. Third, it is a very important measure to judge the developmental academic status whether opening the specific field of study at university. In the case of United States, in 1899, the indeoendent program of Comparative education was established in the Columbia Universitiy. This suggests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the academic program in universities in Korea in order for the academic development.

      • KCI등재

        대통령의 내각운영 유형과 장관 임명 배경에 따른 교육부장관 리더십 사례 연구

        박남기(Park, Namgi),임수진(Lim, Sooji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8 敎育行政學硏究 Vol.36 No.3

        이 연구는 우리 교육을 이끌어가는 수장인 교육부장관의 리더십에 초점을 맞추어 대통령의 내각운영 유형과 임명 배경에 따른 교육부장관 리더십 사례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역대 교육부장관 5인과 전직 교육부 공무원 4인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집담회라는 직접면담을 수행하였고, 추가로 간접면담과 문헌 분석도 함께 진행하였다. 그 결과 제왕적 대통령제 하에서 교육부장관은 법적 권한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행사할 수 있는 권한은 임명 배경(실세형/전문가형)이나 대통령과의 관계, 대통령의 내각운영 유형(집권형/위임형)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대통령이 위임형 통치를 하고 교육부장관을 신뢰하는 경우에는 상당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다. 대통령과 청와대의 정치적 요구에도 불구하고 교육 수장인 교육부장관이 긴 호흡으로 교육과 국가의 미래를 밝혀가기 위해서, 그리고 교육의 정치적 중립이라는 헌법적 가치를 지키기 위해서 전문성을 기반으로 한 행정적 정치적 리더십의 균형감이 필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leadership of the education minister, who leads our education, to explore examples of leadership based on the background of appointment and the type of presidential leadership.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former education ministers and four public officials of MOE(Minister of Education), and indirect interviews with literature analysis show that under the imperial presidency, the education minister resembles an avatar of the president, who is in Blue House despite his legal authority. Although the legal status is higher than that of education superintendent, it has been confirmed that he has less power to exercise. Of course, it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f the president has a mandate and trusts the education minister. Despite the political demands of the president and Blue House, this characteristic is that the education minister, will keep the constitutional values of education and political neutrality of the nation through long breathing.

      • KCI등재

        저출산 시대 대응을 위한 초·중등교육 관련 이슈와 정책 방향 탐색

        박남기(Namgi Park)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1

        2030년경에나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었던 절대 인구 감소가 2019년 11월부터 시작되어 계속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차원에서는 지속적으로 저출산 기본계획안을 만들어 시행했었고 교육 분야에서도 관련 정책을 만들어 시행해 왔으나 저출산 사태가 지속되고 있다. 저출산 상황이 심각하지만 그동안 교육 분야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별로 이뤄지지 않았다. 이 논문은 향후 보다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정책이 수립·집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저출산 관련 교육정책 이슈 구조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체제공학과 복잡계 모형을 제시하고, 이 모형에 근거하여 기존 정책들이 효과를 보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하고, 나아가 새로운 정책 설계 접근 전략과 절차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저출산 관련 교육 이슈를 발굴하기 위해서는 저출산 즉, 미래 학생 수 감소에만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한 발 더 나아가 저출산 현상이 인구변화, 학생 특성 변화, 교육여건 변화, 사회 경제 문화에 미칠 영향 등을 함께 고려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제공학과 복잡계 관점에 따르면 저출산 관련 교육정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관련 체제 변화도 함께 추진되어야 한다. 정책을 설계할 때 최종 정책의 모습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참여자, 결정과정, 그리고 문화적 특성 등을 감안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olute population decline in Korea, which was expected to begin around 2030, are expected to begin in 2019. In order to cope with such a situation, the national level basic plans for low fertility have continuously been developed and implemented. The low birthrate is serious, but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education regarding this issue. This paper presents a ‘low-birth education policy issue structure’ for more systematic research. In addition, the paper proposed a system engineering and complex system model, analyzed the reasons why existing policies were ineffective based on this model, and suggested new policy design approach procedures and strategie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issue of low fertility is not only focused on low fertility, that is, reducing the number of students in the future, but also the effects of low fertility on population changes, student characteristics, educational conditions, and socio-economic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system engineering and the complex systems within, the change of the related systems must be promoted in order for the low birthrate-related elementary education policy to succeed. When designing a policy, it is important not only to look at the final policy, but also to consider the participants, the decision process, an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surrounding the issue.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의 정책과 방향 탐색

        박남기(Park Namgi) 한국리터러시학회 2011 리터러시 연구 Vol.- No.3

        이 논문은 우리나라 대학 교양교육이 당면한 과제를 밝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탐색하되 궁극적으로는 글쓰기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글에서는 먼저 우리나라 대학 교양교육의 당면과제와 그 극복방안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대학 글쓰기 교육의 정책 방향을 탐색해보았다. 당면과제는 대학 교육과정 개편 주체의 한계, 대학 교양 담당교수, 대학 신입생 수 감소와 교양교육 위기, 그리고 대학 교양교육 내용 문제 등의 네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대학 ‘교양’교육으로서의 대학 글쓰기 교육 방향을 탐색했는데 이를 위해서는 먼저 교양교육의 도구적 가치(유용성)의 의미를 재해석하였다. 이어서 글쓰기 교육의 효과성 차원에서 교육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finding out challenges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and suggesting policies to overcome those challenges. This research categorizes the challenges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as resistance from faculty members who have power to revise liberal arts education curriculum, lecturers’ quality and motivation problem, crisis of liberal arts education caused by students’ requests and decreasing demand, and contents of liberal arts. This study also suggests the policy directions of writing education as one of liberal arts education. Finally, it suggests the ways to improv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in university.

      • KCI등재후보

        교원 교육 기관 평가의 발전 방향

        박남기 한국초등교육학회 2002 초등교육연구 Vol.15 No.2

        대학 기관 평가 및 프로그램 평가를 강화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이다. 우리 나라에서도 그 동안 교원교육 기관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 왔다. 교원 교육 기관에 대한 평가는 향후 교원 교육 기관의 모습을 결정하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 연구는 향후 우리 나라 교원 교육 기관 평가 제도가 어떻게 변해야 하는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우선 우리 나라 교원교육기관 평가제도가 도입되는 과정과 평가제도 추진 과정과 실시 내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세계 여러 나라 대학 기관 평가 제도와 프로그램 평가 제도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우리 나라 교원 교육 기관 평가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외국의 사례는 현지 외국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분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 향후 발전 방향으로 교원교육기관 평가 목적과 초점이 결과 평가, 강의 질 제고, 교원 교육 기관 경영 진단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 등이 제시되었다. 그리고 교원 교육 기관 평가 제도 및 조직의 발전 방향도 제시되었다. 이 연구에 제시된 교원 교육 기관 평가 발전 방향이 향후 논의의 기초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Strict institutional and program evaluation system of higher education is the current international trend. Korean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programs have been evaluated since 1988. In 1977, the evaluation center was transferred from KCUE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to the MOE (Ministry of Education) and KEDI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During the process, the conflicts between KCUE and MOE were exhibited and the conflicts weakened the effects of the evaluation.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the desirable system for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evaluation. The desirable system is suggest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Korean teacher education program evaluation system and 10 countries' institutional and program evaluation system. Data from ten countries were collected by residence of each countri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valuation should focus on the results of the education and teaching quality. It also suggests that the evaluation should act as consultant rather than adviser. The system and organization of the evaluation are also recommended. Finally, recommendations are also provided to assist in effectiveness of the evaluation.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교육정보부 교사 업무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박병진,박남기 한국초등교육학회 2002 초등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정보부 교사들의 업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업무와 관련된 문제점과 최선의 대안이 무엇인지를 밝혀낼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의 결과, 지금까지 막연하게 알려져 왔던 초등학교 교육정보부 교사들의 과중한 업무 실태가 밝혀지고, 그로 인한 수업 결손이 아주 심각한 상황임이 밝혀지게 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초등학교 교육정보부 교사들은 교육정보화사업에는 대체로 공감하나, 교사의 업무 경감과 관련해서는 매우 부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교육정보부 교사의 업무는 크게 7자지로 분류되며, 자신의 희망보다는 지시에 의해 맡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초등학교 교육정보부 교사는 연간 170시간의 초과 근무를 하고 연간 89시간의 수업 결손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업무의 경감 대책으로는 ① 학교정보 업무 전담 전문 인력 배치, ② 학교정보화 지원 체제 구축, ③ 실무 능력을 갖춘 전산보조원 배치, ④ 교육정보부 교사에 대한 특별 수당 지급 등 7 가지 방안이 제시되었다. Information technology system brings a sweeping change to the elementary school. The system has been expected to be of great help to elementary teachers. But many complaints have been filed by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the system. On the process of building an information system in elementary schools, the Korean government has supplied only information technology facilities - such as computer, server, etc. - and required school teachers to maintain the system. Most of them are homeroom teachers who have little or no such technical experience. It has become frequent that they have to interrupt while teaching, and leave the classroom to help other teachers fix technical or maintenance problems. This study analyzes the work load of teachers and the difficulties caused by the applic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addition, it examines possible solutions to the problem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oes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with teachers who manage the system. Furthermore, it takes into account the complaints and opinions of teachers posted in MO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home page. The questionnaire included items such as the amount of teaching loss, and suggestions to solve problems, were based on the interview and internet data provided by teachers who were managing of school information technology system.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only to the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elementary school information technology system in Gwangju area. For this reason, this study's results are limited to the opinion of them only. If we compare the opinion between the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the system and those who do not, we may have a more widespread, objective outc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