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6학년생들의 과학자의 생활시간에 대한 인식

        장명덕,이명제 한국과학교육학회 200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4 No.6

        이 연구는 두 가지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1) 초등학생들이 작성한 평일과 일요일 과학자와 회사원의 하루 일과표의 비교를 통해 과학자의 생활시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2) 학생 및 교사의 과학자 및 과학자가 하는 일에 대한 이미지 조사 방법으로서 '과학자의 일과표 그리기(DASS: Drawing a Scientist's Schedule)'의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주시 소재 초등학교 1개 학급 6학년 30명(남:15명, 여:15명)이 본 연구에 참가하였다. 이들이 작성한 하루일과표와 이에 대한 면담을 통해 과학자와 회사원의 생활시간(필수, 의무 및 여가생활시간)을 비교ㆍ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회사원에 비해 과학자의 의무생활시간은 많고 필수생활시간이나 여가생활시간은 적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일요일에는 더욱 두드러진 양상을 보인다. 둘째, 학생들의 인식하고 있는 과학자와 회사원의 필수생활시간에 있어 차이는 수면시간의 차이에 의한 것이며, 과학자의 수면시간과 관련하여 학생들의 인식은 회사원에 비해 다양함을 보인다. 셋째, 학생들은 과학자가 회사원에 비해 의무생활시간 중 직업과 관련된 일을 하는데 사용하는 시간은 많으나, 가정관리와 관련된 일을 위한 시간은 적을 것이라고 인식하는 경향을 보인다. 넷째, 학생들이 생각하는 과학자의 여가생활시간은 회사원에 비해 적을 뿐 아니라 그 활동 유형에도 차이를 보인다. 다섯째, '과학자의 일과표 그리기(DASS: Drawing a Scientist's Schedule)'를 통해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과학자의 생활모습에 대한 다양한 정보 뿐 아니라 기존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DAST로는 분석하기 어려운 학생들의 과학자와 과학자가 하는 일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해냄으로써 새로운 접근방식으로서 그 가능성과 유용성을 보였다. This article aims to (a) investigate children's images of a scientist's life style by comparing children's drawings about a scientist's schedule with those about a company employee's schedule in a weekday and on Sunday; and (b) examine the usefulness of 'Drawing A Scientist's Schedule (DASS)' test as a new instrument of learners' conceptions of a scientist and his/her work. To do those, thirty sixth- grade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hildren, 15 boys and 15 girls, were selected from a classroom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ongju city. The children's drawings were analyzed in conjunction with individual interviews. The interviews facilitated the clarification of any ambiguous attributes of the drawings by questioning after their completion. Several significant conclusions can be drawn from this work: First, the children conceived that a scientist has more mandatory time, and less necessary and leisure time than does a company employee. Interestingly, many children thought that a scientist has similar life style on Sunday to that in a weekday, unlike a company employee. Second, in case of necessary time use in a weekday and on Sunday, the difference between a scientist and a company employee results from their sleeping time. Also, the children showed more various conceptions of a scientist's sleeping time than those of a company employee's sleeping time. Third, in case of mandatory time use, the children conceived that a scientist spends more time for his/her occupational work and less time for his/her housework activities than does a company employee. Fourth, the children's drawings showed that there is difference between a scientist's and a company employee's leisure time use and activities. Finally, the DASS test indicated its possibility and usefulness as an instrument for investigating learners' images on a scientist and his/her work. The instrument exhibited several distinctive children's conceptions that is difficult in identifying by using the DAST, a popular instrument.

      • 영화 「명량」이 주는 사회적 함의(含意)와 명량해전

        제장명(Je Jang Myeo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4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2

        2014년에 일어난 사건 사고 중 우리 사회에 가장 큰 파장을 일으킨 사건은 세월호 침몰사건과 영화 ‘명량’의 돌풍일 것이다. 극명하게 대립되는 이 2가지 사건은 전자의 반향으로 후자가 크게 각광을 받았다는 면에서 여러 가지 의미를 담고 있다. 영화 ‘명량’은 가히 폭발적인 주목을 받았다. 이 영화로 인해 우리 사회는 다시 이순신을 그리워하며 외쳐 부르게 되었다. 이러한 스크린을 통한 이순신을 재조명하는 일은 이순신 선양에 가장 효과적이며 획기적인 계기가 된다는 점을 실감할 수 있었다. 그런데 문제는 관람자의 상당수가 실존 역사적 인물을 다룬 영화를 사실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먼저 영화 ‘명량’이 주는 사회적 함의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이어서 영화 ‘명량’과 실제 역사적 사실로서의 명량해전이 어떤 면에서 다른가를 집중 분석하였다. 그리고 영화 ‘명량’이 주는 핵심 교훈이 무엇인가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이순신이 우리에게 주는 최대의 메세지는 유비무환이다. 영화 ‘명량’은 우리에게 다시 한 번 이순신의 교훈을 제대로 배우고 실천하라는 메세지를 주었다고 생각한다. 특히 이번 영화 ‘명량’에서 잘못 구사된 이순신의 전술, 수군제도, 명량수로의 특징 등에 대해서 정확하게 살펴봄으로써 이순신의 전술과 리더십에 대해서 제대로 이해하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한편으로 이러한 대중성 있는 이순신 관련 영화를 자주 만들어 국민들에게 이순신을 제대로 알리는 노력을 기울여 나가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이순신이 주는 핵심 교훈은 400여 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우리가 수용할 부분이 많기 때문이다. The most waving issues in the public in 2014 might be the sink of the ferry, Sewolho and the movie, ‘Roaring Currents’. The two are as conflictual issues that due to the consideration of the previous the later was very spotlighted. Roaring Currents explosively had attention. The contemporary society and the public again happened to miss the nostalgia of Admiral, Yi Sun-Shin by having watched this movie. Filming Yi’s works could be an effective idea and a solution to praise him to the public. However, there is a quite misunderstanding on the movie that the majority of the watchers have a tendency taking the fictions to as historical facts. Therefore, this paper will look what the implication of ‘Roaring Currents’ to the society is. And then, this article will focus on to differentiate between ‘Roaring Currents’ as movie and the real battle of Sea Battle of Myeong Ryang. For the last words, it will memorize what the core lesson from ‘Roaring Currents’ tried to give the message to the public. The precious message that Admiral Yi Sun-Shin alarms us is ‘forearmed’. It is thought that this movie tries to give us the message of Yi’s words that Yi endured his days through the war battles. I hope this article could be a chance to understand Yi’s leadership, strategies and tactics, organization of Joseon navals, and the feature of the Myeong Ryang strait correctly which are all depicted wrong ways on the movie. On the other hand, it is hoped that pop movies such as ‘Roaring Currents’ would product many in the future to get the public eyes so that the people could remind what the Admiral Yi Sun-shin left the heritages to us. There still most messages from Yi are valuable today.

      • 임진왜란 시기 전라좌수군의 전투구성원과 전투 수행

        제장명(Je Jang Myeo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4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1

        This research is on the man-power and the battle flows to clear out the main role toward victories of the Left Navy Jella-Province Forces which did the most crucial role during the Imjin War. This research mainly focused on the statues of the troops which means each solider’s work position and social statue which had not been handled importantly on previous studies. Also, I have thoroughly mentioned the strategies on the battle procedures and how the army system went on. Naval troops were from various social statues and they did their own role which was taken. First, the people in middle level, Jin-Moo(鎭撫) was a lower level of than military officers, however, they could be considered as a official class. Gap-Sa (甲士)was to be a kind of work soldiers in the early of Joseon period, and it start diminishing in public compensations by the dynasty in the later 16th century, and they were ask to participate to the battles in deteriorations of the social reputation. The very practical cause of the victories of the naval forces could be resulted due to the modest statue of the society. The lowest figures were the vanguard of the victories. The regular soldiers were in the Army troops and took the roles on the battles along breaking down the Jin-Gwan system. Another army group, Bo-In (保人)was not to be infiltrated to the battles, but in cases to figure out the battles temporarily, they were ask to take roles in the battles by the government systematically. Toh-Byeong(土兵) did a role to protect the sea shores in Southern Provinces as Japanese troops were about to invading the areas. The members of Toh-Byeong, Poh-Jak (鮑作)people were the lowest group even among the naval troops. The Poh-Jak people’s main role on the battles was to guide the sea route and they lead the practical use of the ships by driving tiny warships skillfully since they were kin on reading the sea ways. When the enemy appeared, they could immediately inform to the naval garrison. It helped the rapid process of preparing the battle of the garrisons. Of course, they fought and faced against the enemies as well. The Slavery statues, No-Bi, was out of the military services. The kinds of No-Bi (奴婢) group were Gwan-No(官奴), who belonged to the offices, Sa-No(私奴), who belonged to personnels, and the other Sa-No(寺奴) were the assets of temples, and all did their role which as much as they could do for the country by facing the battles. The modest figures of people were broadly positioned for the battles, mainly as gunners(砲手), shooters of bows(射夫), and rowers(格軍). Miscellaneously, monk groups and captives and surrendered Japanese soldier groups were ready for backing up the man-power. Naval Forces during the war kindly used the military strategy orders, 『O-wee Jin-bop』 『五衛陣法』and 『Je Seong Bang Ryak』 『制勝方略』for the battle formations. It can be seriously found those two formations were activated departmentally on the Secound Danghang-Poh Sea Battle on March of 1594. Pan-ok Seon, a house on the deck warship and Geobuk Seon, Turtle warship were dramatically developed and many gunpowder weapons such the cannons were settled into the warships, and troops showed various tactics. Spreading out the intended battle pictures according to the formations and implemented was to the progressive attack the commender ship of the enemy and the accuracy of the cannons were the core of the Joseon Naval Troops strategies. The formation, Je Seong Bang Ryak was cleary worked to the Joseon’s Naval Forces and the naval troops could repel the enemy. The allied forces of the three provinces leading by Left Jella Naval Forces could cut off the enemy’s advancing toward the west. 본고에서는 임진왜란 수군 승리의 주역인 전라좌수군의 승리요인을 밝히기 위한 한 방법으로 전투구성원과 전투수행 과정에 대해 알아보았다. 특히 기존 연구에서 소홀히 다룬 전투구성원에는 어떤 신분과 직임을 가진 군사들이 활동하였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아울러 전투 수행 절차에 대해서는 어떤 전술을 구사하였으며, 방어체제는 어떻게 유지되었는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수군의 경우 다양한 신분계층이 참여하여 각자의 임무를 분담하여 수행하였다. 임진왜란을 맞이하여 정규군 외에 잡색군(雜色軍)들도 동원되어 전투에 참여하였다. 먼저 중간 계층의 경우 진무(鎭撫)는 군관보다는 아래 계층이지만, 한 분야에 전문성을 가진 간부 계층으로 간주할 수 있다. 갑사(甲士)는 조선 전기 직업군인의 일종이었지만, 16세기 후반에 들어 명예나 국가의 물질적 배려는 없어지는 등 위상이 저하된 상태로 참전하였다. 승리의 실질적인 주역은 하위 계층이었다. 육군의 주 구성원인 정병(正兵)이 참여하고 있다는 것은 육군과 수군의 독자성을 부여했던 진관체제가 와해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보인(保人)은 실제 전투에는 참가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었지만, 군사력의 확보 차원에서 유사시 보인의 참전을 제도적으로 보장하고 있었다. 토병(土兵)의 경우도 왜구들의 침입이 예상됨에 따라 남방지역에도 배치된 이후 연해 방어에 일조를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포작(鮑作)은 수군 하부 계층의 주 구성원이었음을 알 수 있다. 전투 현장에서 포작인들의 역할은 해로 사정에 밝아서 적선을 수색하거나 토벌할 때 수로 안내 역할, 소규모 전선을 잘 부리기 때문에 배의 운용에도 기여를 했으며, 적 출현 사실을 원해에서 알아내어 수군 진영에 신속하게 전달해주는 역할, 실제 전투에 참전하여 싸웠다는 점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노비(奴婢)들의 경우 일반적으로 군역을 지지 않았지만 임진왜란이라는 대규모의 전란을 맞이하여 관노(官奴)ㆍ사노(私奴)ㆍ사노(寺奴)를 망라하여 모두 참전하고 있었다. 이들 하위계층은 당시 전선의 편제에 고르게 보직된 가운데 주로 포수(砲手), 사부(射夫), 격군(格軍))의 임무를 수행하였다. 이밖에 전선의 편제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손실된 수군 구성원들의 충원 방안으로 항왜(降倭)와 승도(僧徒)도 수군에 동원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당시 수군은 실제 전투 시 주로 『五衛陣法』과 『制勝方略』의 분군법을 활용하여 전투편제를 형성한 가운데 전투를 수행하였다. 특히 1594년 3월에 있었던 제2차 당항포해전에서는 오위진법과 제승방략제의 세분화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판옥선과 귀선이 개발되고 다양한 화포가 전선에 장착된 임진왜란 중에는 수군 전술 또한 다양한 형태로 구사되었다. 적 지휘선에 대한 집중 공격과 화포의 명중률 제고를 위한 진형을 형성하는 것은 당시 수군 전술의 핵심이었다. 이런 가운데 제승방략제의 분군법에 기초한 수군의 방어체제는 효과를 보면서 일본군을 물리치는 데 기여할 수 있었다. 즉 겨우 전력을 구비한 전라도 수군이 경상도에 부방(赴防)하는 방식으로 수군이 운용되었다. 특히 전라좌수군이 주축이 되어 3도의 수군이 연합하여 일본군의 해상 서진을 차단하였다.

      • 절이도해전 관련 몇 가지 문제들

        제장명(Je, Jang-myeo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7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8

        최근 들어 임진왜란 시기 해전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절이도해전에 대한 연구는 소략하다. 그것은 절이도해전에 관한 사료가 명확하지 않은 것이 가장 큰 이유였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절이도해전의 경과에 대해서 관련 사료들을 분석하여 정리하고자 하였다. 임진왜란 시기 명 수군은 전쟁의 막바지인 1598년에 들어서 사로 병진작전을 추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파병되었다. 도독 진린이 이끈 명 수군이 무술년 7월에 고금도 조선 수군 진영에 도착한 후 처음으로 벌어진 해전이 바로 절이도해전이다. 절이도해전에 대해서는 사료가 이분화되어 있어서 몇 가지 요소별로 해전 경과를 구성해 보았다. 이를테면 전투일자가 언제인가, 전투장소는 어디인가, 이순신은 전투에 직접 참가하였는가, 명 수군 도독의 전투 참가 여부, 전과는 어느 정도인가 등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다. 필자가 분석한 결과 절이도해전은 2가지 사료를 모두 수용할 수밖에 없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하나는 전투일자가 7월 19일로 볼 수 있고, 전투장소는 절이도 앞바다이며, 이순신이 직접 지휘하여 적선 50여 척을 분멸시킨 것으로 보았다. 다른 하나는 전투일자가 7월 24 일로 이 해전에서 이순신은 참가하지 않았으며 녹도만호 송여종이 8척을 이끌고 적선 11척을 맞아 6척을 나포하고 적 수급 70급을 벤 것으로 볼 수 있다. 2가지 중 어느 것을 채택해도 틀린 것은 아니다. 어쨌든 절이도해전에서의 승리는 명량해전 이후 고하도와 고금도에서 수군 재건 노력 결과를 시험한 무대였는데, 수군 재건에 성과가 있었음을 확인하는 장이 되었다. 아울러 명 수군에게 조선 수군의 우수성을 각인시킨 의미 있는 해전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연합작전을 잘 추진하여 이어서 벌어진 예교성 수륙합공전과 노량해전에서 수로군이 제 몫을 다할 수 있었다. Remarkable research papers have been results on the Imjin-War recently, however, the researches on the Sea Battle of Jeol-ee-do are not much satisfactory. The reason that the regretable reseaches are produced is due to the vague historical records. Here by, I would like to summarise the historical records by analyzing the process of the Naval Battle of Jeol-ee-do holding the view of the vague records. During the Imjin-War Ming’s naval forces were landed at the last time of the battles on 1598 for the strategies of Sa-ro-Byeung-Jin(the four-track operations). It was Jeol-ee-do battle that was the first battle when the Ming’s naval forces had arrived at the camp of Naval forces of Joseon leading by the general Jin Rin. The process of the battle is analysed each part since the historical records on the battle is different each from the records. The analysis are for instance, the date of the battle, the place of the battle, and had Admiral Yi ruled it, how about the Ming’s general also participated, how successful of the battle, so on. As long as I have found on the research, it has to compromise of the two records as well handling the battle of Jeal-ee-do island. The one date of the battle could be on the 19th of July and and battle-field is the front sea of the island, Jeal-ee-do. Admiral Yi lead the battle and fired more than 50 enemy vessels. The other record says that the date of the battle is 24th of July and Yi was not for the battle, and Song, yo jong who is leading the Nok-do lsland prepared the 8 ships to face the enemy with 11 ships, and 6 ships are seized and killed the 70 enemy troops. Either of the record is admitted. The meaning of the battle of Jeol-ee-do island was to test how the Joseon’s naval forces reinforced at Go-geum-do island and Go-ha-do island after the Myeongryang sea battle and the battle was successfully showed the work of Joseon’s naval forces was building fine. Also, the superb abilities of Joseon’s naval forces are shown to the Ming’s naval forces from this battle. This could make building the allied forces cooperative and as they face the battle of Ye-gyo-seong fortress battle and Noryang Sea Battle, they could role what they had to do.

      • 충의공(忠毅公) 정기룡(鄭起龍)의 리더십

        제장명(Je Jang Myeo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5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4

        임진왜란을 극복한 인물 중에 가장 큰 공을 세운 인물로 흔히 바다에서는 이순신을, 육지에서는 정기룡을 꼽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 정기룡은 임진왜란이 발발한 순간부터 끝날 때까지 일본군을 물리치는 데 혼신의 노력을 다한 무장이다. 이러한 정기룡의 리더십은 당대의 명장 이순신의 경우와 유사한 면이 많다. 따라서 정기룡의 리더십을 보다 입체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부분적으로 이순신의 리더십과 비교해서 살펴보았다. 정기룡의 리더십 형성과정을 살펴보면 그는 어릴 때부터 무인으로서의 기질과 능력을 타고난 가운데 가풍(家風)의 영향으로 충효사상에도 투철하였다. 그리고 성장과정에서 전쟁놀이를 통해 무인의 꿈을 키워나가면서 활쏘기와 말타기 등의 무예의 기본 종목을 터득하였다. 와중에 부친과 형의 죽음을 접하면서 불굴의 정신력을 발휘한 면도 그의 리더로서의 능력 함양에 기여하였다고 본다. 이렇게 성장과정에서 터득한 그의 지휘통솔능력은 전쟁을 맞아 십분 발휘되었다. 그는 임진왜란 초기 거창현의 신창 전투를 시작으로 수많은 전투에 참가하여 한 번도 패하지 않은 큰 업적을 남겼다. 그의 전투사례와 행적을 살펴볼 때 그의 리더십 특성은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는 뛰어난 전기(戰技)로 선봉에서 솔선수범하였다는 점, 둘째는 부하와 백성을 지극히 사랑하였다는 점, 셋째는 명군과 화합하여 효율적인 연합작전을 수행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리더십은 당대의 최고 명장이라 부르는 이순신의 리더십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서로 유사한 점도 확인할 수 있다. 임진왜란 때 많은 전공을 세운 정기룡의 리더십에 대해 당대와 후대의 많은 인물들이 높게 평가하였다. 특히 당대 명군 지휘부에서는 선조임금에게 몇 차례나 강조하면서 정기룡의 리더십을 극찬하였다. 당대의 명재상이었던 류성룡 또한 정기룡의 리더십을 매우 높게 평가하였다. 조선 후기에도 조선 조정에서는 그의 임진왜란 때 전공을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Among the many generals who overcame Imjinwaeran, Yi Sun-sin is commonly regarded as a sea-hero and Jeong Gi-ryong is regarded by the majority of people to be the best general on land. He committed himself, body and soul, to fighting against the Japanese from the outbreak of war to the end. The leadership of Jeong Gi-ryong is similar to that of Yi Sun-sin, the greatest commander of the age. Therefore, I partially compared the leadership of Jeong Gi-ryong with that of Yi Sun-sin so as to reveal Jeong’s leadership in a multidirectional aspect. If you look at the formation process of his leadership, he was endowed with a military spirit and ability in his earliest days and his thoughts of loyalty and filial piety had become strong since his childhood thanks to his family tradition. As he grew up, he dreamed of becoming a soldier by playing war games and acquiring military arts and skills such as archery and horsemanship. His indomitable spirit shown during his father’s and brother’s funerals contributed in developing his ability as a leader. The leadership acquired during his growth was demonstrated in the war. He participated in many battles starting with the Sinchang battle in Geochang. He had never lost any battles and had achieved the defeat of the enemies. According to his battle cases and achievements, the characteristics of his leadership can be distinguished in three categories. First, he took the initiative and set an example by spearheading an attack. Second, he loved his men and the people deeply. Third, he led the effective combined operations with Ming Army. These features show us the similarity to the leadership of Yi Sun-sin, the greatest commander of the age. The leadership of Jeong Gi-ryong who distinguished himself in war has been highly appreciated by the contemporaries and posterity. Especially, the command group of the Ming Army spoke highly of his leadership to King Seonjo several times. Yu Seong-ryong, a great scholar-official of the Joseon Dynasty, also praised Jeong’s leadership highly. The Dynasty of late Joseon recognized his military merit during Imjinwaeran as well.

      • 조선후기 청산도 진린도독비의 건립과 역사적 의미

        제장명(Je, Jang-myeo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21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5

        전남 완도군에 속한 청산도에 이순신과 진린의 관계가 매우 돈독했다는 내용을 담은 비가 설치되어 있었다는 기록을 확인하고서부터 이곳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동안 관련 문헌 내용에 대한 주해(註解)의 오류 때문에 그동안 청산도 진린 도독비는 중국의 청산도에 있는 걸로 인식되었다. 그런데 조선 후기 숙종 대에 청산진이 설치될 때 청산도에도 조명 수군이 주둔했다는 기록을 확인하고부터 이에 대한 관심이 새롭게 집중되고 있다. 이 글은 이런 관점에서 비록 진린도독비가 현존하지 않지만,『충무공가승』과 『이충무공전서』등 문헌자료에 남아 있는 점을 토대로 진린도독비가 완도군 청산도에 위치했었다는 사실적 근거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임진왜란 시기연합작전을 펼친 이순신과 진린의 관계를 정리해 보고, 당시 청산도가 수군진이 설치될 정도로 주목을 받은 이유와 청산도에 진린도독비가 건립된 경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일부지만 청산도 진린도독비의 내용을 분석해 보고 그것이 주는 역사적 의미는 무엇인가에 대해 정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청산도 진린도독비는 1681년부터 1715년 사이에 건립되었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었고, 청산도 수군진을 설치할 때 기념시설로 세웠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그 위치는 청산도 수군진의 선소가 위치한 곳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요컨대, 청산도가 조명 수군이 주둔했던 장소라는 사실과 이후 수군진이 설치되어 조선의 서남해역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한 곳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완도가 기존 고금도 외에 임진왜란 시기 조명 수군의 활동장소로서의 높은 위상을 떨치는 또 하나의 장소로 청산도가 있었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청산도의 진린도독비는 향후 한중 관계가 개선될 때 상호 역사적 사실을 확인하는 교류의 장이 될 수 있다는 사실도 기대된다. Since a monument was found with inscriptions that described Admirals Yi Sun Sin (Joseon) and Jin Rin s (Chinese) strong relationship, people have become interested in the monument located on Cheongsan Island (Joseon). It was wrongly reported that the monument had been found somewhere in Cheongsan (China). However, since it was identified that Joseon and Ming s allied navys were stationed there and this has been the focus of attention as to its location, when the Cheongsan (Joseon) naval fortress was constructed (during the late Sukjong King s period), attention has newly been focused on the island. I have uncovered factual evidence of the historical monument existing on the island. It was based on the records in manuscripts Chungmugong gasung (忠武公家 乘) Joseon, 1715, and Yichungmugong jeonseo(李忠武公 全書) Joseon, 1795. From these manuscripts, I have reviewed the relationship and military cooperation between the two admiral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1592) of Joseon and studied the strategic importance and the reason for building such a fortress including Jin s monument location. It was assumed that the monument was located on the Cheongsan island rather than in China. Compiled from the historical records of my study, it was inferred that the monument was built between 1681 and 1715 and possibly left there when the fortress was constructed as a memorial for future generations. The location is supposed to be at the shipyard, which would support the island case.

      • KCI등재
      • 이순신을 도운 경상우수영ㆍ충청수영 사람들

        제장명(Je, Jang Myeo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5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3

        임진왜란 시기 해전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순신과 함께 해전을 수행한 각 도의 수군 활동에 대한 연구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동안 상대적으로 참전규모가 작아서 등한시 되었던 경상우수군과 충청수군의 활동에 대해서도 드러내는 것이 이순신의 수군활동을 제대로 파악하는 방안이 될 것이다. 본고에서는 시간의 흐름 순서에 따라 경상우수군과 충청수군의 활약상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각 수영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 장수들이 이순신과 어떤 관계를 가지면서 해전을 수행했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임진왜란 초기 경상우수군과 전라좌수군은 상호 협조체제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졌다. 원균이 지휘한 경상우수군이 전력 규모는 매우 약했지만 나름의 활동을 통해 조선 수군의 전승(戰勝)에 기여할 수 있었다. 그것은 주로 경상도 지역의 정보 제공과 전투에서 선봉장 역할 수행을 통해 이루어졌다. 경상우수군의 대표적인 인물로 이운룡은 첫 전투부터 참전하였으며, 이순신과 오랫동안 함께 하였고 여러 가지 작전에 참여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영남도 임진왜란 초기에 이순신과 많은 접촉을 하면서 각별한 정을 나누는 관계로 발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제만춘의 경우에는 일본의 도요토미를 측근에서 살펴본 인물로 고급 정보를 제공하여 이순신의 정세 판단에 큰 기여를 한 인물로 드러났다. 한편으로 충청수군은 한산도에 와서 부원하는 전선이 매우 적어서 전력에 큰 보탬이 되지는 않았다. 따라서 충청수군은 지휘관들의 능력이 이순신의 수군 운용에 도움을 주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를테면 이미 조방장으로서 이순신을 보좌했던 정걸이 충청수사로서 다시 인연을 맺으면서 그가 50년 무관 생활에서 쌓은 전문지식과 다양한 경험들은 이순신의 작전구사에 큰 힘이 되었을 것으로 볼 수 있다. 구사직은 이순신과 무과 동기로서 든든한 위안이 되었을 것이고, 임진왜란 전부터 이순신과 절친한 관계를 유지해 온 선거이가 한산도 진중에서 함께 함으로써 이순신에게 큰 위안이 되었을 것이다. 한산도 진영에서 오랫동안 활동한 충청우후 원유남도 이순신의 수군 운용에 적극적인 참여를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주요 지휘관들의 세밀한 행적은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지만, 이순신 해전 승리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을 것으로 확신한다. To understand the naval battles precisely during the Imjin War,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naval activities of each province which participated in the battles along with Yi Sunsin. There has been little attention to the activities of Gyeongsang Right Navy and Chungcheong Navy due to relatively small scale of their participation. Investigating their roles, however, can be a good way to understand Yi Sunsin’s naval acitivies accurately. The role played by Gyeongsang Right Navy and Chungcheong Navy is chronicled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Yi Sunsin and the commanders who played an essential role in each camp during the naval battles is also investigated. The mutual coordination between Gyeongsang Right Navy and Chungcheong Navy was made naturally in the early years of Imjin War. Although the military strength of Gyeongsang Right Navy commanded by General Won Gyun was weak, it contributed to a complete victory in its way. It offered the information about Gyeongsang area and was in the vanguard of the battles. Yi Unryong, a representative general of Gyeongsang Right Navy, engaged in the first battle, and planned a lot of strategies with Yi Sunsin for a long time. Yi Youngnam also had a lot of contact with Yi Sunsin and developed friendly relationship with him in the early years of Imjin War. Je Manchun spied on Toyotomi Hideyoshi closely in Japan and conveyed high-level information to Yi Sunsin. Yi Sunsin was able to judge the situation owing to his contribution. Meanwhile, Chungcheong Navy wasn’t able to do much to help the battle because it had few battleships to send to Hansando. So, it is generally appreciated that the commanders’ abilities were helpful for Yi Sunsin’s military operations. Among them was Jeong Geol, the former aid of Yi Sunsin, who had a special bond with Yi Sunsin as a naval commander of Chungcheong. His expertise and diverse experience as a military officer of 50 years served Yi Sunsin’s military operations. Gu Sajik who took the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at the same time might be a reliable and comforting friend to Yi Sunsin. Seon Geoi who had been a close friend earlier than Imjin War also became a comfort to Yi Sunsin by staying in Hansando camp. It is verified that Won Yunam, Chungcheong Wuhu, who fought for a long time in Hansando camp actively participated in military operations. Even though the exact achievements of these commanders are not shown prominently, their efforts must have been key foundations of Yi Sunsin’s victories in the naval battles.

      • 3대 해전을 통해 본 이순신 전략과 리더십 (Admiral Yi s strategy and leadership in the three great victorious naval warfares)

        제장명(Je Jang Myeo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07 이순신연구논총 Vol.- No.8

        임진왜란 시기 전란극복의 한 축을 담당했던 조선수군이 수행한 해전은 크고 작은 해전을 망라하여 총 47회의 전투가 벌어졌다. 이중 이순신이 참전한 해전은 총 43회였다. 이와 같이 많은 해전이 있었지만, 그중 가장 그 규모와 전황에 미친 영향이 큰 해전은 한산도해전 · 명량해전 · 노량해전이었다. 따라서 이들 대표적인 해전에 대해 분석하는 것은 곧 임진왜란 해전 전체를 살펴보는 것과 같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고에서는 이들 3대 해전의 전황과 의미를 살펴본후 이 해전들에서 조선수군이 승리한 요인을 정리해 보았다. 그 결과 해전 승리요인으로 첫째, 전선과 무기체계의 우수성이 가장 기본적인 요인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컨대 조선의 판옥선은 일본의 안택선에 비해 튼튼하였고, 사정거리가 일본 측에 비해 5배 이상의 대형화포를 장착하여 사용한 점은 해전승리의 근간이 되었 다. 그리고 한산도해전의 경우에는 거북선의 활약도 두드러진 면이 있었다. 둘째, 주 지휘관인 이순신의 적절한 전략전술구사도 해전승리의 큰 요인이 되었음을 알수 있었다. 예컨대 이순신은 항상 정보수집체계를 효율적으로 가동하여 작전에 반영하였고, 적절한 기동과 진의 형성으로 당시 정확도가 낮은 화포의 명중률을 제고시켰다. 그리고 당시 적선을 침몰시키는 유일한 수단이랄 수 있는 화공전을 매우 체계적으로 수행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이순신의 전황에 부합한 리더십의 발휘도 승리에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이순신은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하여 세력구성요소간의 협조체제를 완벽히 구축하였고, 그 대상자들은 이순신의 인품과 능력을 인정하여 이에 적극적으로 협조하였다[소통疏通의 리더십]. 아울러 명량해전에서는 이순신 자신이 죽기를 각오하고 싸우면 산다는 병법원리를 솔선하여 실천하 였고[필사즉생必死則生의 리더십]. 노량해전에서는 몸을 바치면서도 전황을 걱정하였고, 이순신이 전사한 후에도 유훈을 받들어 전투를 승리로 이끌게 하였다[연구유훈捐軀遺訓의 리더십]. 요컨대 조선수군이 임진왜란 3대 해전에서 승리한 것은 수군 지휘관 이순신이 우수한 전선과 무기체계를 잘 활용하면서 적절한 전략전술을 구사하는 동시에 전황에 부합한 리더십을 발휘했기 때문이었다. The navy of Chosun dynasty, which took an active part in Japanese invasion, carried out 47 times of naval warfare. and Admiral Yi participated 43 times. Among these naval wafares, there were three warfares which had influenced on the war situation, Hansando, Myungryang, and Noryang naval warfare. So It is very important to analyze these warfares. In this point of view, this report tries to analyze the war situation and meaning of these 3 warfare, then find out critical factors of Chosun s victory. Critical factors of Chosun s victory are, the first, superiority of battleships and arms. for example, Chosun s Panoks대n was much stronger than Japanese Adake, and the range of canon was longer by 5 times. and in Hansando naval warfare, Turtleship contribute to Chosun s victory very much. The second factor is Admiral Yi s appropriate strategy. for example, Admiral Yi used information gathering system and made the best use of this system. and he improved the accuracy rate of canon, by suitable maneuvering of fleet, carried out the attacking with fire, that was only one way to sink Japanese battleships. The third factor is Admiral Yi s leadership correspond to the war situation. Admiral Yi set a perfect coporation system through communication among his subordinates, and received much recognition from his subordinates. And in Myungryang, he was resigned to death, In Noryang, he concerned the war situation, it could lead his men to win after his death. As a brief, the reason of Chosun s navy s victory in these 3 naval warfare, is that Admiral Yi made good use of excellent battleship and arms, appropriate strategy and tatics, and leadership correspond to the war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