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6학년생들의 과학자의 생활시간에 대한 인식

        장명덕,이명제 한국과학교육학회 200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4 No.6

        이 연구는 두 가지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1) 초등학생들이 작성한 평일과 일요일 과학자와 회사원의 하루 일과표의 비교를 통해 과학자의 생활시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2) 학생 및 교사의 과학자 및 과학자가 하는 일에 대한 이미지 조사 방법으로서 '과학자의 일과표 그리기(DASS: Drawing a Scientist's Schedule)'의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주시 소재 초등학교 1개 학급 6학년 30명(남:15명, 여:15명)이 본 연구에 참가하였다. 이들이 작성한 하루일과표와 이에 대한 면담을 통해 과학자와 회사원의 생활시간(필수, 의무 및 여가생활시간)을 비교ㆍ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회사원에 비해 과학자의 의무생활시간은 많고 필수생활시간이나 여가생활시간은 적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일요일에는 더욱 두드러진 양상을 보인다. 둘째, 학생들의 인식하고 있는 과학자와 회사원의 필수생활시간에 있어 차이는 수면시간의 차이에 의한 것이며, 과학자의 수면시간과 관련하여 학생들의 인식은 회사원에 비해 다양함을 보인다. 셋째, 학생들은 과학자가 회사원에 비해 의무생활시간 중 직업과 관련된 일을 하는데 사용하는 시간은 많으나, 가정관리와 관련된 일을 위한 시간은 적을 것이라고 인식하는 경향을 보인다. 넷째, 학생들이 생각하는 과학자의 여가생활시간은 회사원에 비해 적을 뿐 아니라 그 활동 유형에도 차이를 보인다. 다섯째, '과학자의 일과표 그리기(DASS: Drawing a Scientist's Schedule)'를 통해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과학자의 생활모습에 대한 다양한 정보 뿐 아니라 기존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DAST로는 분석하기 어려운 학생들의 과학자와 과학자가 하는 일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해냄으로써 새로운 접근방식으로서 그 가능성과 유용성을 보였다. This article aims to (a) investigate children's images of a scientist's life style by comparing children's drawings about a scientist's schedule with those about a company employee's schedule in a weekday and on Sunday; and (b) examine the usefulness of 'Drawing A Scientist's Schedule (DASS)' test as a new instrument of learners' conceptions of a scientist and his/her work. To do those, thirty sixth- grade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hildren, 15 boys and 15 girls, were selected from a classroom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ongju city. The children's drawings were analyzed in conjunction with individual interviews. The interviews facilitated the clarification of any ambiguous attributes of the drawings by questioning after their completion. Several significant conclusions can be drawn from this work: First, the children conceived that a scientist has more mandatory time, and less necessary and leisure time than does a company employee. Interestingly, many children thought that a scientist has similar life style on Sunday to that in a weekday, unlike a company employee. Second, in case of necessary time use in a weekday and on Sunday, the difference between a scientist and a company employee results from their sleeping time. Also, the children showed more various conceptions of a scientist's sleeping time than those of a company employee's sleeping time. Third, in case of mandatory time use, the children conceived that a scientist spends more time for his/her occupational work and less time for his/her housework activities than does a company employee. Fourth, the children's drawings showed that there is difference between a scientist's and a company employee's leisure time use and activities. Finally, the DASS test indicated its possibility and usefulness as an instrument for investigating learners' images on a scientist and his/her work. The instrument exhibited several distinctive children's conceptions that is difficult in identifying by using the DAST, a popular instrument.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현장학습 운영 능력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의 효과와 개선 방안

        장명덕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9 초등과학교육 Vol.3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s and the improvements of the ‘Science Field Trips’ Program which developed with the aim of fostering the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ility to manage science field trips. The participants were 13 senior students from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effectiveness in the science instruction aspect of the prospective teachers’ geological field trip as an experiential activity, the responses of the participants were children’s ‘scientific knowledge’(69.2%), ‘science related attitudes’(46.2%), and ‘science inquiry’(30.8%). Second,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the geological field trip in their management of science field trips aspects in the future, the responses of the participants were ‘teaching strategies’(92.3%), ‘plan implementation’(76.9%), ‘teacher’s science knowledge’(61.5%), ‘self-confidence’(38.5%), ‘enhancement of awareness of field trips’(23.1%), and ‘career guidance’(7.7%). Third, with regard to the effectiveness in the science instruction aspect of their activities of planning a science field trip in their future working districts, the responses of the participants were children’s ‘science knowledge’(38.5%), ‘science-related attitudes’(38.5%), and ‘science inquiry’(23.1%). Fourth, regarding the effectiveness in their management of science field trips aspects of the activities of planning a science field trip, the responses of the participants were ‘plan implementation’(92.3%), ‘the identification of science field trip sites’(84.6%), ‘teaching strategies’(76.9%), ‘administrative affairs’(69.2%), ‘teacher’s science knowledge’(30.8%), ‘enhancement of awareness of field trips’(23.1%), ‘career guidance’(15.4%), and ‘self-confidence’ (15.4%). The improvements plans of the program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is also described in this study.

      • KCI등재
      • 다중 차선에서의 차량 우선 처리를 위한 동적 중재 알고리즘

        장명덕,유세근,김용득,Jang, Myung-Deok,Yoo, Se-Keun,Kim, Yong-Deak 대한전자공학회 1999 電子工學會論文誌, S Vol.s36 No.7

        본 논문에서는 교통 정보의 수집, 처리를 위하여 다중 차선 상의 차량 및 노측 제어기간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차량 중재 방법들의 실시간 교통량 변화에 따른 통신 신뢰도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최적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적용하는 동적 중재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랜덤 지연 계수법 및 퍼시스트 기법에 의한 중재 방법을 분석의 대상으로 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해 제안된 알고리즘을 평가한 결과 정적인 방법에 비해 향상된 신뢰도를 얻을 수 있었다. 이 알고리즘은 트랜스폰더와 제어기간의 통신으로 이루어지는 여러 시스템에 응용 가능하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dynamic vehicle arbitration algorithm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a roadside control init on multilane environment. The suggested algorithm varies its parameter values according to the current vehicle arrival rate to get the maximum performance. To get the optimum parameter values, arbitration methods that use random delay counter and persist mechanism were taken into account and the performance of these methods with respect to the vehicle arrival rate was analyzed by computer simulation. After applying the optimum parameter values to suggested algorithm, it is shown that more enhanced reliability was acquired This algorithm could be applied to various systems which include the communication between a transponder and a control unit.

      • KCI등재

        교육에 대한 진화론적 관점이 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

        장명덕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6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literatures on the evolutionary perspective on education and to draw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This study addresses on several topics as follows: our common misunderstandings about the evolutionary perspective on education; children's inherent knowledge and abilities, their learning about the evolutionarily novel knowledge and abilities in school, their difficulties in academic learning, and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to cope with the difficulties; and the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from the evolutionary perspective. The evolutionary perspective on education has provided new insights how culturally importa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across generations in the past hunting-gathering societies and the modern societies, and how children's inherent motivational and behavioral dispositions affect their academic learning. In addition, the new perspective on education can be used to generate empirical hypotheses about children's science learning, and with the further research, could lead to useful implications and ultimately improve educational outcomes.

      • 계절 변화에 대한 초등학생의 선개념과 개념 변화 양상

        장명덕,정철,정진우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1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11 No.1

        이 연구는 계절 변화에 대한 초등학생의 선개념과 수업에서 나타나는 개념 변화 양상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인천광역시의 초등학교 5학년생 7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계절 변화에 대한 학생들의 선개념을 알아보기 위하여 그림과 글로 응답하도록 구성된 지필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동일한 검사 문항을 이용하여 각각 수업 중의 중간 검사, 수업 후의 사후 검사, 그리고 1주일 후 지연 검사를 통하여 학생들의 개념 변화 양상을 조사하였다. 응답 결과의 분석은 3명의 본 연구자들간에 의견의 일치를 보아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사전 검사에서 대안 개념을 가지고 있는 일부 학생들의 경우 수업 후 또 다른 대안 개념을 형성하며, 이들이 가지고 있는 게절 변화 개념은 안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나타났다. 또한 계절별 지구와 태양 사이의 공간 분포의 변화에서는 거리와 가열 효과가, 그리고 계절별 별자리의 변화에서는 지구의 자전 개념이 계절 변화에 대한 학생들의 올바른 개념 형성에 장애가 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conception and phases of children's conceptual change about season through an instruction on the concept.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seventy-eight fifth graders in two classrooms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Incheon city. Children's preconception was examined using a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drawing and literal explanation. The questionnaire also was used at the midterm-test, post-test, and one-week delayed-test. The results shows several findings as follows: some children (a) change their synthetic conceptions to form another synthetic conceptions through the instruction; (b) exhibit that their conceptions are unstable; and (c) are mainly influenced by distance and heating effect on the seasonal spatial distribution between the Earth and the Sun, and by the Earth's rotation on the seasonal change of constellations in acquiring the scientific concepts.

      • KCI등재
      • KCI등재

        초등 3~4학년군 국정 및 검정 과학 교사용지도서의 과학적 태도 분석: ‘지구와 우주’ 영역을 중심으로

        장명덕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2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cientific attitude and its components in the general remarks and in the particulars of one government-designated and seven authorized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er’s guides for the 3rd~4th grades which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2015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future development of teacher’s guid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ir general remarks, five of eight teacher’s guides (62.5%) give a very brief explanation on the components of scientific attitude, and the remaining three teacher’s guides give a relatively detailed explanation on the components but they lack practical information on teaching and assessing of the components; Second, in the case of unit objective in the four units of the area of ‘Earth and Universe’, five of eight teacher’s guides (62.5%) contain 3~4 components among ‘curiosity’, ‘cooperation’, ‘objectivity’, ‘critical mindedness’, or ‘respect for evidence’, and one of the remaining three teacher’s guides contains only the component of ‘curiosity’, another guide doesn't have any component, and the other guide doesn't have unit objective itself; Third, in the case of unit assessment, only one of eight teacher’s guide (12.5%) has independent unit assessment, includes several components of scientific attitude in the unit assessment, and is broadly consistent between the components of scientific attitude in unit objective and in unit assessment; Fourth, in case of lesson objective, three teacher’s guide (37.5%) contain 3~4 components among ‘curiosity’, ‘cooperation’, ‘objectivity’ and ‘critical mindedness’, and the remaining five teacher’s guide (62.5%) include only ‘curiosity’; Fifth, in the case of lesson assessment, among eight teacher’s guides, five (62.5%) evaluate 3~4 components of scientific attitudes, two (25.0%) evaluate only ‘curiosity’ and ‘cooperation’, and one (12.5%) does not evaluate anything.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3~4학년군 국정 및 검정 지도서 8종의 총론그리고 각론의 지구와 우주 영역 4개 단원의 단원 목표, 단원 평가, 차시 목표 및 차시 평가에서 다루어진과학적 태도의 행동 요소 분석을 통해 향후 지도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으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대상 지도서 8종 중 5 종(62.5%)이 총론에서 과학적 태도와 행동 요소에 대해 매우 간략하게 설명하고 있고 이에 대해 비교적 자세하게 설명한 지도서 3종도 이에 대한 지도 및 평가를 위한 실제적인 정보는 미흡한 편이다; 둘째, 지도서각론 4개 단원의 단원 목표의 경우 지도서 5종(62.5%) 은 호기심, 협동심, 객관성, 비판성, 증거의 존중 중3~4가지 행동 요소를 포함하고 있고 그 나머지 지도서3종(37.5%)은 행동 요소로 호기심만 포함하고 있거나태도에 대한 내용 없이 지식과 탐구만을 포함하고 있거나 단원 목표 항목 자체가 없다; 셋째, 분석 대상 지도서 8종 중 1종(12.5%)만이 단원 평가에 해당하는 독자적인 항목을 포함하고 있고, 그 내용으로 과학적 태도의 행동 요소도 포함하고 있는데, 이 행동 요소는 단원 목표에서의 과학적 태도의 행동 요소와도 대체로일치하는 편이다; 넷째, 차시 목표의 경우, 지도서 3종(37.5%)에는 호기심, 협동심, 객관성 및 비판성 중 3~4 개의 행동 요소가 반영되어 있고 나머지 5종(62.5%)에는 호기심만 포함되어 있다; 다섯째, 차시 평가의 경우, 지도서 8종 중 5종(62.5%)에서 3~4가지 과학적 태도의 행동 요소가 평가되고 있고, 2종(25.0%)에는 호기심과 협동심 두 가지 행동 요소만 평가되고 있으며, 1 종(12.5%)에는 전혀 평가되고 있지 않다.

      • 초등학생의 읽기 능력과 과학 탐구 능력 및 과학 성취도와의 관계

        장명덕,정철,정진우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99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 능력이 과학 탐구 능력 및 과학 성취도와 어느 정도의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최근 30년간 실험실 활동과 탐구 능력은 상당한 관심을 받으며 강조된 반면, 읽기 활동과 읽기 능력(또는 독해 능력)은 과학교육분야에서 소홀히 취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글을 읽는다는 것은 단순히 글자를 해독하는 과정이 아니라 다양한 요소들이 개입되는 사고의 과정이라는 인식 하에 읽기는 최근 일부 과학교육학자들에 의해 꾸준히 연구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 중 흥미로운 것은 읽기 능력과 탐구 능력 요소들간의 유사성에 대한 찬ㆍ반 논의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천광역시의 초등학교 5학년 115명을 대상으로 읽기 능력, 탐구 능력 및 과학 성취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이 세 요소는 유의미한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문제해결 활동으로써 과학과 관련된 글에 대한 읽기 활동을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생들에게 탐구 능력 요소들을 연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과학 지식의 습득이라는 과학교육의 중요한 두 가지 목표 달성에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y how much elementary students' reading ability has relations with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ce achievement. Generally laboratory activity and science process skills have been emphasized, on the other hand, reading activity and reading ability have been neglected by science educators for nearly 30 years. But reading a text is not simply a process of decoding printed symbols; it is a process of thinking involved manifold factors. Under this recognition, some science educators have steadily researched into reading. The interesting thing out of them is pros and cons about correspondence between science process skills and reading skills. Therefor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reading ability,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ce achievement, grade 5 students (N=115) Were selected from one elementary school in Inchon and then they were required to respond to tests (which assess reading abilities,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ce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ppeared to indicate that reading ability has significant relations with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ce achievement. Probably, the proper using of scientific written materials, as problem-solving activity, will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hat they can practice science process skills and obtain the scientific knowled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