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화 「명량」이 주는 사회적 함의(含意)와 명량해전

        제장명(Je Jang Myeo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4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2

        2014년에 일어난 사건 사고 중 우리 사회에 가장 큰 파장을 일으킨 사건은 세월호 침몰사건과 영화 ‘명량’의 돌풍일 것이다. 극명하게 대립되는 이 2가지 사건은 전자의 반향으로 후자가 크게 각광을 받았다는 면에서 여러 가지 의미를 담고 있다. 영화 ‘명량’은 가히 폭발적인 주목을 받았다. 이 영화로 인해 우리 사회는 다시 이순신을 그리워하며 외쳐 부르게 되었다. 이러한 스크린을 통한 이순신을 재조명하는 일은 이순신 선양에 가장 효과적이며 획기적인 계기가 된다는 점을 실감할 수 있었다. 그런데 문제는 관람자의 상당수가 실존 역사적 인물을 다룬 영화를 사실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먼저 영화 ‘명량’이 주는 사회적 함의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이어서 영화 ‘명량’과 실제 역사적 사실로서의 명량해전이 어떤 면에서 다른가를 집중 분석하였다. 그리고 영화 ‘명량’이 주는 핵심 교훈이 무엇인가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이순신이 우리에게 주는 최대의 메세지는 유비무환이다. 영화 ‘명량’은 우리에게 다시 한 번 이순신의 교훈을 제대로 배우고 실천하라는 메세지를 주었다고 생각한다. 특히 이번 영화 ‘명량’에서 잘못 구사된 이순신의 전술, 수군제도, 명량수로의 특징 등에 대해서 정확하게 살펴봄으로써 이순신의 전술과 리더십에 대해서 제대로 이해하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한편으로 이러한 대중성 있는 이순신 관련 영화를 자주 만들어 국민들에게 이순신을 제대로 알리는 노력을 기울여 나가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이순신이 주는 핵심 교훈은 400여 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우리가 수용할 부분이 많기 때문이다. The most waving issues in the public in 2014 might be the sink of the ferry, Sewolho and the movie, ‘Roaring Currents’. The two are as conflictual issues that due to the consideration of the previous the later was very spotlighted. Roaring Currents explosively had attention. The contemporary society and the public again happened to miss the nostalgia of Admiral, Yi Sun-Shin by having watched this movie. Filming Yi’s works could be an effective idea and a solution to praise him to the public. However, there is a quite misunderstanding on the movie that the majority of the watchers have a tendency taking the fictions to as historical facts. Therefore, this paper will look what the implication of ‘Roaring Currents’ to the society is. And then, this article will focus on to differentiate between ‘Roaring Currents’ as movie and the real battle of Sea Battle of Myeong Ryang. For the last words, it will memorize what the core lesson from ‘Roaring Currents’ tried to give the message to the public. The precious message that Admiral Yi Sun-Shin alarms us is ‘forearmed’. It is thought that this movie tries to give us the message of Yi’s words that Yi endured his days through the war battles. I hope this article could be a chance to understand Yi’s leadership, strategies and tactics, organization of Joseon navals, and the feature of the Myeong Ryang strait correctly which are all depicted wrong ways on the movie. On the other hand, it is hoped that pop movies such as ‘Roaring Currents’ would product many in the future to get the public eyes so that the people could remind what the Admiral Yi Sun-shin left the heritages to us. There still most messages from Yi are valuable today.

      • 임진왜란 시기 안위의 수군활동과 역사적 평가

        제장명(Je, Jang-myeo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20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2

        전북 김제 출신으로 임진왜란 시기 수군 장수로 큰 활약을 한 안위장군은 그동안 세간에 잘 알려지지 않았다. 그것은 조선 수군이 가장 중요한 활약을 한 임진년(1592년)의 해전에 안위가 참전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안위도 다른 장수에 못지않은 전공을 이룬 인물로 평가된다. 난중일기에 이순신과 안위가 접축한 내용이 총 55회나 보일 정도로 이순신과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 안위는 1594년 거제현령 직을 수행하면서 당항포해전부터 전부장이라는 전투편제로 참가하여 활약하였다. 이후 장문포해전과 원균이 지휘한 칠천량해전에도 참가하였다. 이어서 백의종군에서 복직한 이순신이 지휘한 명량해전에서는 큰 공을 세웠으며, 이후 전라우수사로 진급한 후 노량해전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전투에 모두 참가한 역전의 용장이다. 안위는 당대 조정으로부터 명량해전의 수공자로 인정되었으며, 전후 논공행상 시 선무원종일등공신 중에서도 수위에 기록될 만큼 높게 평가된 인물이다. 조선후기에 들어서 청렴하지 못한 근무태도 때문에 탄핵을 받기도 했지만, 분명 역전의 용장으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안위의 활약상을 오늘날 드러내고 그의 업적을 선양할 필요가 있다. 안위를 선양하는 가장 기초적인 작업은 바로 그의 활동상을 드러내어 논문화한 후 일대기를 편찬하는 것이다. 그런 후 기존 인물들의 선양방법과 유사한 형태로 보다 진일보한 단계를 밟아나가는 것이 선양의 바람직한 방법일 것이다. Admiral Ann Wi was born in Gimje, Jeonbuk and he played a great part as a naval commander during the Imjin War. Nevertheless, he has not been well known to the public. It’s because he did not participate in the naval battles in 1592 when the Joseon naval forces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 However, he was as great as other commanders and distinguished himself in war. Admiral Yi’s War Diary, Nanjung Ilgi shows that Ann Wi and Yi Sun-shin contacted each other 55 times, which indicates they had a close relationship. He was the local official, Geoje Hyeonryeong in 1594 and participated in Danghangpo Battle as Jeonbujang(前部將) in a military unit organization and played an active part in the battle. Later, he participated in Jangmunpo Battle and the Battle of Chilchonryang, which was led by Won Gyun. He then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Battle of Myeongryang led by Yi Sun-sin, who was reinstated in his former post after fighting as an enlisted soldier. After being promoted to the commander of the Right Jeolla Naval District, he participated in all of the important battles and won come-from-behind victories including the Battle of Noryang. His exploit of Myeongryang Battle was recognized by the royal court and he was awarded rewards according to his merits. He was highly regarded enough to be ranked in the top of the Seonmu Wonjong Ildeung Gongsin(宣武原從一等功臣). Although he was impeached for his corrupt attitude in work in the late Joseon period, he was absolutely honoured as a brave vetera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eal his performance and exalt his achievements. The most basic way of enhancement is to uncover his activities in research papers and compile his biography. After that, it would be desirable to take a more advanced step and enhance his achievements in a similar manner to the way the existing figures were enhanced.

      • 조선후기 청산도 진린도독비의 건립과 역사적 의미

        제장명(Je, Jang-myeo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21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5

        전남 완도군에 속한 청산도에 이순신과 진린의 관계가 매우 돈독했다는 내용을 담은 비가 설치되어 있었다는 기록을 확인하고서부터 이곳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동안 관련 문헌 내용에 대한 주해(註解)의 오류 때문에 그동안 청산도 진린 도독비는 중국의 청산도에 있는 걸로 인식되었다. 그런데 조선 후기 숙종 대에 청산진이 설치될 때 청산도에도 조명 수군이 주둔했다는 기록을 확인하고부터 이에 대한 관심이 새롭게 집중되고 있다. 이 글은 이런 관점에서 비록 진린도독비가 현존하지 않지만,『충무공가승』과 『이충무공전서』등 문헌자료에 남아 있는 점을 토대로 진린도독비가 완도군 청산도에 위치했었다는 사실적 근거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임진왜란 시기연합작전을 펼친 이순신과 진린의 관계를 정리해 보고, 당시 청산도가 수군진이 설치될 정도로 주목을 받은 이유와 청산도에 진린도독비가 건립된 경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일부지만 청산도 진린도독비의 내용을 분석해 보고 그것이 주는 역사적 의미는 무엇인가에 대해 정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청산도 진린도독비는 1681년부터 1715년 사이에 건립되었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었고, 청산도 수군진을 설치할 때 기념시설로 세웠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그 위치는 청산도 수군진의 선소가 위치한 곳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요컨대, 청산도가 조명 수군이 주둔했던 장소라는 사실과 이후 수군진이 설치되어 조선의 서남해역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한 곳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완도가 기존 고금도 외에 임진왜란 시기 조명 수군의 활동장소로서의 높은 위상을 떨치는 또 하나의 장소로 청산도가 있었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청산도의 진린도독비는 향후 한중 관계가 개선될 때 상호 역사적 사실을 확인하는 교류의 장이 될 수 있다는 사실도 기대된다. Since a monument was found with inscriptions that described Admirals Yi Sun Sin (Joseon) and Jin Rin s (Chinese) strong relationship, people have become interested in the monument located on Cheongsan Island (Joseon). It was wrongly reported that the monument had been found somewhere in Cheongsan (China). However, since it was identified that Joseon and Ming s allied navys were stationed there and this has been the focus of attention as to its location, when the Cheongsan (Joseon) naval fortress was constructed (during the late Sukjong King s period), attention has newly been focused on the island. I have uncovered factual evidence of the historical monument existing on the island. It was based on the records in manuscripts Chungmugong gasung (忠武公家 乘) Joseon, 1715, and Yichungmugong jeonseo(李忠武公 全書) Joseon, 1795. From these manuscripts, I have reviewed the relationship and military cooperation between the two admiral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1592) of Joseon and studied the strategic importance and the reason for building such a fortress including Jin s monument location. It was assumed that the monument was located on the Cheongsan island rather than in China. Compiled from the historical records of my study, it was inferred that the monument was built between 1681 and 1715 and possibly left there when the fortress was constructed as a memorial for future generations. The location is supposed to be at the shipyard, which would support the island case.

      • 광복 직후 이순신 선양과 표준 영정의 봉안

        제장명(Jang-Myeong Je)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22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7

        어느 국가나 영웅을 기리는 행위를 통해 국민통합을 이루고 자 한다. 영웅 선양사업은 정권의 체제유지와 긴밀한 연관을 갖고, 국민들의 의식과 정서에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상당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한국 역사상 가장 존경받는 영웅으로 이순신 장군을 손꼽는데는 이견이 없다. 이순신은 임진왜란 이후 우리나라 역사에서 꾸준히 기억되어 왔으며, 오늘날 우리나라 최고의 영웅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일제로부터 광복한 직후 이승만 정권 시기를 중심으로 이순신 선양사업은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 정리해 보았다. 특히 당시는 광복 직후의 혼란기였고, 6·25전쟁이 있었던 국가 위기 상황이었다. 어느 때보다 국민 통합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이순신은 통치에 가장 유용한 수단으로 기능하였다. 이승만 정권의 이순신 선양 배경에는 반일과 반공이라는 두 가지 이데올로기가 있었다. 이 논리를 뒷받침하기 위해 이순신 기념활동의 제도화가 다방면으로 추진되었다. 특히 충무공기념사업회가 조직되어 이순신 선양활동을 활발히 전개해 나갔다. 이승만도 직접 이순신 전적지를 참배하고 각종 기념식과 동상 제막식 등에 참석하였다. 충무공기념사업회가 주관하는 각종 선양활동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이순신 상(像)도 새롭게 형성되었고, 나아가 오늘날 표준 영정도 이 시기에 이루어졌다. 요컨대, 이순신이라는 역사적 영웅에 대한 선양활동은 국가체제 유지에 가장 유용한 수단으로 기능하면서 국민 통합을 이루는 데 핵심적 기능을 수행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Any country seeks to achieve national unity through acts of honoring heroes. The hero promotion project is closely related to the maintenance of the regime and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onsciousness and emotions of the people. There is no doubt that Admiral Yi Sun-sin is the most respected hero in Korean history. Yi Sun-sin has been steadily remembered in Korea's history sinc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is recognized as Korea's best hero today. This paper summarized how the Yi Sun-sin promotion project has been carried out, focusing on the Rhee Seung-man regime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In particular, at that time, it was a period of confusion right after liberation, and it was a national crisis situation where there was the Korean War. At a time when national unity was more required than ever, Yi Sun-sin served as the most useful means of governance. There were two ideologies behind the Rhee Seungman regime's promotion of Yi Sun-sin: anti-Japanese and anti-communist. To support this logic, institutionalization of Yi Sun-sin's commemorative activities was promoted in various ways. In particular, the Chungmu Gong Memorial Association was organized to actively promote Yi Sun-sin. Rhee Seungman also visited Yi Sun-sin's battlefield and attended various ceremonies and statue unveiling ceremonies. In the process of promoting various enhancement activities organized by the Chungmu Gong Memorial Association, Yi Sun-sin's statue was newly formed, and furthermore, today's standard portrait was also made during this period. In short,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motion activities of Yi Sun-sin, a historical hero, performed a key function in achieving national unity while functioning as the most useful means for maintaining the national system.

      • 임진왜란 시기 전라좌수군의 전투구성원과 전투 수행

        제장명(Je Jang Myeo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4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1

        This research is on the man-power and the battle flows to clear out the main role toward victories of the Left Navy Jella-Province Forces which did the most crucial role during the Imjin War. This research mainly focused on the statues of the troops which means each solider’s work position and social statue which had not been handled importantly on previous studies. Also, I have thoroughly mentioned the strategies on the battle procedures and how the army system went on. Naval troops were from various social statues and they did their own role which was taken. First, the people in middle level, Jin-Moo(鎭撫) was a lower level of than military officers, however, they could be considered as a official class. Gap-Sa (甲士)was to be a kind of work soldiers in the early of Joseon period, and it start diminishing in public compensations by the dynasty in the later 16th century, and they were ask to participate to the battles in deteriorations of the social reputation. The very practical cause of the victories of the naval forces could be resulted due to the modest statue of the society. The lowest figures were the vanguard of the victories. The regular soldiers were in the Army troops and took the roles on the battles along breaking down the Jin-Gwan system. Another army group, Bo-In (保人)was not to be infiltrated to the battles, but in cases to figure out the battles temporarily, they were ask to take roles in the battles by the government systematically. Toh-Byeong(土兵) did a role to protect the sea shores in Southern Provinces as Japanese troops were about to invading the areas. The members of Toh-Byeong, Poh-Jak (鮑作)people were the lowest group even among the naval troops. The Poh-Jak people’s main role on the battles was to guide the sea route and they lead the practical use of the ships by driving tiny warships skillfully since they were kin on reading the sea ways. When the enemy appeared, they could immediately inform to the naval garrison. It helped the rapid process of preparing the battle of the garrisons. Of course, they fought and faced against the enemies as well. The Slavery statues, No-Bi, was out of the military services. The kinds of No-Bi (奴婢) group were Gwan-No(官奴), who belonged to the offices, Sa-No(私奴), who belonged to personnels, and the other Sa-No(寺奴) were the assets of temples, and all did their role which as much as they could do for the country by facing the battles. The modest figures of people were broadly positioned for the battles, mainly as gunners(砲手), shooters of bows(射夫), and rowers(格軍). Miscellaneously, monk groups and captives and surrendered Japanese soldier groups were ready for backing up the man-power. Naval Forces during the war kindly used the military strategy orders, 『O-wee Jin-bop』 『五衛陣法』and 『Je Seong Bang Ryak』 『制勝方略』for the battle formations. It can be seriously found those two formations were activated departmentally on the Secound Danghang-Poh Sea Battle on March of 1594. Pan-ok Seon, a house on the deck warship and Geobuk Seon, Turtle warship were dramatically developed and many gunpowder weapons such the cannons were settled into the warships, and troops showed various tactics. Spreading out the intended battle pictures according to the formations and implemented was to the progressive attack the commender ship of the enemy and the accuracy of the cannons were the core of the Joseon Naval Troops strategies. The formation, Je Seong Bang Ryak was cleary worked to the Joseon’s Naval Forces and the naval troops could repel the enemy. The allied forces of the three provinces leading by Left Jella Naval Forces could cut off the enemy’s advancing toward the west. 본고에서는 임진왜란 수군 승리의 주역인 전라좌수군의 승리요인을 밝히기 위한 한 방법으로 전투구성원과 전투수행 과정에 대해 알아보았다. 특히 기존 연구에서 소홀히 다룬 전투구성원에는 어떤 신분과 직임을 가진 군사들이 활동하였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아울러 전투 수행 절차에 대해서는 어떤 전술을 구사하였으며, 방어체제는 어떻게 유지되었는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수군의 경우 다양한 신분계층이 참여하여 각자의 임무를 분담하여 수행하였다. 임진왜란을 맞이하여 정규군 외에 잡색군(雜色軍)들도 동원되어 전투에 참여하였다. 먼저 중간 계층의 경우 진무(鎭撫)는 군관보다는 아래 계층이지만, 한 분야에 전문성을 가진 간부 계층으로 간주할 수 있다. 갑사(甲士)는 조선 전기 직업군인의 일종이었지만, 16세기 후반에 들어 명예나 국가의 물질적 배려는 없어지는 등 위상이 저하된 상태로 참전하였다. 승리의 실질적인 주역은 하위 계층이었다. 육군의 주 구성원인 정병(正兵)이 참여하고 있다는 것은 육군과 수군의 독자성을 부여했던 진관체제가 와해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보인(保人)은 실제 전투에는 참가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었지만, 군사력의 확보 차원에서 유사시 보인의 참전을 제도적으로 보장하고 있었다. 토병(土兵)의 경우도 왜구들의 침입이 예상됨에 따라 남방지역에도 배치된 이후 연해 방어에 일조를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포작(鮑作)은 수군 하부 계층의 주 구성원이었음을 알 수 있다. 전투 현장에서 포작인들의 역할은 해로 사정에 밝아서 적선을 수색하거나 토벌할 때 수로 안내 역할, 소규모 전선을 잘 부리기 때문에 배의 운용에도 기여를 했으며, 적 출현 사실을 원해에서 알아내어 수군 진영에 신속하게 전달해주는 역할, 실제 전투에 참전하여 싸웠다는 점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노비(奴婢)들의 경우 일반적으로 군역을 지지 않았지만 임진왜란이라는 대규모의 전란을 맞이하여 관노(官奴)ㆍ사노(私奴)ㆍ사노(寺奴)를 망라하여 모두 참전하고 있었다. 이들 하위계층은 당시 전선의 편제에 고르게 보직된 가운데 주로 포수(砲手), 사부(射夫), 격군(格軍))의 임무를 수행하였다. 이밖에 전선의 편제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손실된 수군 구성원들의 충원 방안으로 항왜(降倭)와 승도(僧徒)도 수군에 동원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당시 수군은 실제 전투 시 주로 『五衛陣法』과 『制勝方略』의 분군법을 활용하여 전투편제를 형성한 가운데 전투를 수행하였다. 특히 1594년 3월에 있었던 제2차 당항포해전에서는 오위진법과 제승방략제의 세분화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판옥선과 귀선이 개발되고 다양한 화포가 전선에 장착된 임진왜란 중에는 수군 전술 또한 다양한 형태로 구사되었다. 적 지휘선에 대한 집중 공격과 화포의 명중률 제고를 위한 진형을 형성하는 것은 당시 수군 전술의 핵심이었다. 이런 가운데 제승방략제의 분군법에 기초한 수군의 방어체제는 효과를 보면서 일본군을 물리치는 데 기여할 수 있었다. 즉 겨우 전력을 구비한 전라도 수군이 경상도에 부방(赴防)하는 방식으로 수군이 운용되었다. 특히 전라좌수군이 주축이 되어 3도의 수군이 연합하여 일본군의 해상 서진을 차단하였다.

      • 이순신과 경상좌수사 이운룡

        제장명(Jang-Myeong Je)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23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8

        임진왜란 시기 수군 활동에 있어서 이순신을 도운 주변 인물들의 활동도 전쟁 극복에 큰 기여를 하였다. 본고에서는 임진왜란 시기 경상좌수사를 역임하여 전쟁 극복에 힘쓴 이운룡(李雲龍)의 활동상을 이순신과의 관계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운룡은 임진왜란 시기 경상우수사 휘하 옥포 만호, 웅천 현감을 거쳐 경상좌수사로서 수군활동을 수행하였다. 좌수사 이순신과 잦은 접촉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다가 이순신과 최초로 접촉을 한 시점은『난중일기』의 기록을 볼 때 1594년 1월 20일이었다. 이때는 이운룡이 웅천 현감이었을 때다. 이순신과 이운룡이 접촉을 했지만 초기에는 거의 단순한 만남 위주였다. 그러다가 날이 갈수록 이순신과 접촉 빈도가 잦아들면서 함께 활도 쏘고 식사와 놀이도 함께 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중요한 업무와 전투 참전도 이루어졌다. 이러한 접촉 기록이『난중일기』에 보면 모두 51회이다. 이후 경상좌수사로 부임한 이운룡은 한산도와 경상좌도 사이에 일본군의 점령지가 가로막혀 있어서 직접 접촉이 불가능했다. 따라서 통제사 이순신의 지침에 따르는 것이 아니라 경상좌도의 전쟁 상황에 맞춰 명군 지휘부와 도원수 및 도체찰사 등의 지시에 따라 활동해야 했다. 그는 소수의 전력으로나마 제1, 2차 도산성 전투에서 나름의 활약을 하였다. 요컨대 이순신과 이운룡은 소속은 달랐지만 임진왜란 초기부터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해전 승리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리고 한산도에 통제영 행영을 설치하면서부터 둘 사이가 밀접해 짐에 따라 상호 인간관계가 돈독해 진 것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이순신은 이운룡의 능력과 인품을 인정하여 경상좌수사로 천거함에 따라 이운룡이 큰 활약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During the Imjin War(1592~1598), the activities of the surrounding figures who helped Yi Sun-sin also contributed greatly to overcoming the war. In this paper, we looked at Lee Un-ryong's activities in terms of his relationship with Yi Sun-sin, who worked as a Gyeongsangjwasusa(慶尙左水使) during the Imjin War(1592~1598). During the Imjin War(1592~1598), Lee Un-ryong served as a naval officer as a commander of the Gyeongsang-Jwasusa(慶尙左水使) through Okpo Manho(玉浦萬戶) and Ungcheon hyungam (熊川縣監). Lee Woon-ryong was born in 1563 and is 18 years younger than Yi Sun-sin. In the early days of Imjin War(1592~1598), he was a key subordinate of Gyeongsang-Wususa(慶尙右水使) Won Gyun, As a result, in the early days, he did not show frequent contact with Jeolla-Jwasusa(全羅左水使) Yi Sun-sin. Then, the first contact with Yi Sun-sin was on January 20, 1594, when looking at the records of “Nanjung Ilgi.” This was when Lee Un-ryong was the Ungcheon hyungam. Yi Sun-sin and Lee Un-ryong made contact, but in the beginning, they were mostly simple meetings. Then, as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Yi Sun-shin decreases as the days go by, you can see him shooting arrows, eating and playing together. And important work and combat participation were also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Nanjung Ilgi, these contact records are 51 times in total. Lee Un-ryong, who was later appointed as Gyeongsang-Jwasusa, was unable to contact directly because the Japanese military's occupied area was blocked between Hansando Island and Gyeongsang-jwado (慶尙左道). Therefore, it was not necessary to follow the guidelines of controller Yi Sun-sin, but to operate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Myeonggun command, the head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and the conductor in accordance with the war situation in Gyeongsangjwa-do. He played his own role in the first and second battles of Dosan-Fortress(島山城), even with a small number of troops. In short, Yi Sun-sin and Lee Un-ryong had different affiliations, but contact was made from the beginning of the Imjin War, contributing greatly to the victory of the naval battle. In addition, it is understood that the mutual human relationship has become stronger as the two have become closer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control management center on Hansan-Island(閑山島). In addition, Yi Sun-sin recognized Lee Un-ryong's ability and personality and recommended him as a Gyeongsangjwasusa, allowing Lee Un-ryong to play a great role.

      • 임진왜란 시기 이순신의 해전술(海戰術)과 귀선(龜船)의 역할

        제장명(Je, Jang Myeo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07 이순신연구논총 Vol.- No.9

        임진왜란 시기 이순신 연구의 핵심은 그가 수행한 해전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데 기존 해전연구의 경향은 당시의 전선과 무기체계의 발전에 따라 다양해진 전술적 측면 에서의 분석이 아니라 이순신 자신의 탁월한 리더십과 전략전술 및 충성심이 충일한 군인정신 등을 위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객관적인 연구 성과 도출이 미흡하였다. 본고에서는 이순신 해전승리의 요체라 할 수 있는 그의 해전술에 대해 주목해 보았다. 따라서 전선과 무기체계의 발전을 근간으로 하여 개발 적용한 이순신의 해전술에 관해 살펴보 면서 당시 전라좌수군만이 보유한 귀선의 역할을 드러내 보았다. 이순신이 구사한 해전술은 매우 다양하고 독특한 형태를 보였다. 그중에서도 핵심은 바로 일본군의 등선을 거부하면서 아군의 장점인 화포의 명중률을 높이는 방향으로 전술이 구사 되었다. 그러한 전술적 특징 중에서 우리의 주목을 끈 것은 바로 귀선을 이용한 전술이었 다. 당시의 귀선은 판옥선이라는 선박제도의 우수성과 대형화포의 전선탑재로 인한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었던 전선이었다. 귀선은 선체의 장갑화로 인해 격군과 사부가 보호된 가운데 적선 가까이 접근이 가능하였다. 그리고 적선에 근접한 가운데 화포를 발사함으로써 명중률이 매우 높았다. 이러한 활약을 보인 귀선은 전라좌수영에서 처음 건조되어 전라좌수군이 중점적으로 활용 하였다. 다시 말해 임진왜란 시기 귀선을 이용한 전술은 전라좌수군만이 구사할 수 있었던 독특한 전술이었다. 그리고 한산대첩 때에는 수군승리의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여 임진왜란 극복의 동력으로 작용하였다. Studies on Yi Sunshin during Imjinwaeran must center on his naval battles. However, conventional studies on his naval battles were mostly about his excellent leadership, strategies and tactics, and faithful military spirit, rather than analyses of various strategies with the development of war ships and arms at the time. Consequently, objective study results were insufficient. This study focused on his naval tactics which are the secret to his victories in naval battles. While reviewing the naval battle tactics of Yi Sunshin which were based on the development of war ships and arms, this study revealed the role of the turtleship that only the Cheonra left navy possessed at the time. The naval tactics of Yi Sinshin were various and unique. The core of his tactics was to reject the climbing into the ship by the Japanese forces while improving the accuracy rate of the firearms which was the strength of our forces. What is noticeable about his tactics was the use of turtleships. Turtleship at the time was a war ship that could maximize the excellence of the ship system called Panokseon and the advantage of loading large firearms in a war ship. Turtleships could approach close to the opponent ships because the mariner and marksman were protected by the armor plate of the ship. Furthermore, their accuracy rate was very high because they fired the firearms while close to the opponent ships. These turtleships were first constructed by the Cheonra left station navy and used actively by the Cheonra left navy. In other words, the use of turtleships during Imjinwaeran was a unique tactic of the Cheonra left navy. During Hansan daecheop, the turtleships played the core role in the victory of the Choseon navy and acted as the driving force for overcoming the Imjinwaeran.

      • 조선시대 백의종군 사례와 이순신의 백의종군

        제장명(Je, Jang-myeo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1 이순신연구논총 Vol.- No.15

        백의종군은 이순신의 대명사로 쓰여지고 있는 용어 중 하나이다. 그런데 이 용어가 정확하게 어떤 의미인지는 모른 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심지어 백의종군 중일 때 이순신의 신분을 졸병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한편으로 이순신의 행적을 닮겠다는 의미로 백의종군을 자청하여 조직의 말단으로 돌아가 사심 없이 근무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내기도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결과 백의종군은 조선시대 관료에게 주어진 형벌의 일종이었다. 다시 말해 관작(官爵)과 보직 없이 충군(充軍)하는 것을 의미하였다. 조선시대 백의종군 사례를 살펴보면 주로 임진왜란 시기에 백의종군을 당한 경우가 많이 발견된다. 즉 전쟁이 일어났을 때 해당지역의 지휘관이나 행정조직의 책임자가 적을 제대로 막지 못했거나 패한 경우, 싸우지 않고 도망한 경우, 또는 다른 군대를 구원하지 않았을 경우에서 비롯되었다. 다시 말해 이러한 행위를 초래한 자에게는 중한 형벌을 내려야 함이 마땅하였지만, 나라가 존망의 위기 상황에서 인재가 부족한 현실을 감안해야 했다. 따라서 이들에게 공을 세우도록 하여 전쟁을 극복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자는 취지에서 중한 형벌 대신 부과한 제도가 바로 백의종군이다. 이순신의 백의종군도 이러한 사례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순신의 첫 번째 백의종 군은 녹둔도전투에서 패전한 결과로 중형을 선고 받을 뻔 했지만, 북쪽 변방의 혼란과 유능한 장수가 부족한 상황이 고려되어 백의종군으로 감형된 것이다. 두 번째 백의종군은 임금의 오판에 따라 사형에 처하게 된 위기상황에서 정유재란기의 전황이 무겁게 흘러감에 따라 명장에게 중형을 선고할 수 없다는 인식 하에 백의종군으로 감형되었던 것이다. 이순신이 백의종군 중일 때 신분은 결코 하위 군졸에 해당되는 것이 아니었다. 이순신이첫 번째 백의종군 때는 ‘우화열장(右火烈將)’이라는 상위의 전투 편제로 시전부락 전투에 참가하여 전공을 세웠다. 두 번째 백의종군 때에는 전쟁지휘부의 군사자문 역할을 하거나 둔전을 경영하는 한편, 수군 상황에 대한 지속적인 파악 활동을 하였다. 이렇게 볼 때 이순신이 백의종군 중일 때는 결코 하급 군졸의 신분이 아니라 보직과 관작만 없었을 뿐 하는 일은 전 관직 때의 신분과 다를 바 없을 정도의 중요한 임무를 맡아서 했던 것이다. 특히 두 번째 백의종군 중일 때 이순신은 수군 상황 파악에 조금도 게을리 하지 않았다. 그러한 자세를 견지한 결과 수군통제사로 복직되었을 때 이미 수군 현황이 파악된 상태에서 수군재건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었고, 나아가 명량해전의 큰 승리도 이룰 수 있었다. Mentioning on the great commender, Yi Sun-sin, Downfall to the Humble in a war which can be half of his, always comes with. However, it is regretful that the word, Downfall to the Humble in a war is in use unconsciously. A person who adopts the word, Downfall to the Humble in a war does not know the meaning at all in addition. Even it is in use to substitute of Yi s state during Downfall to the Humble in the war to a private. Some show their wills volunteering as Downfall to the Humble to be back to the very first position at work while abandoning his/her current rich state not to be sophisticated meanwhile. According to my research on this, I have found out that Downfall to the Humble in wars is one of punishments to bureaucrats during Joseon era. In other words, he had to be in service with neither governmental nor appointed positions and work for the loyalty to his sovereign. There are the cases of Downfall to the Humble in the Joseon dynasty, and are found during the Imjin war mostly. Downfall to the Humble in a war originated from as a war occurred, if a commender and a person who is an administration service in charge failed to do his duty against the enemy, and also if he did not cooperate our army allied in time. In other words, he who had caused those acts had to get a stern punishment, however, it should be considered the situation that the country at a critical juncture is in the matter of life and death, furthermore, the human resources who could cough at the battles were in an absolute insufficiency. So, Downfall to the Humble was a system for those who had committed those serious accusations, and showed them a way to come over the war by distinguishing at battles. Yi Sun-sin s first Downfall to the Humble was resulted from the failure of the Nokdundo battle, and he was about to be punished for serious sins, however, there were much insufficiency of compensable generals at the border of northern states, henceforth, Yi was on Downfall to the Humble. The second Downfall to the Humble of Yi s was due to King Sonjo s impetuous judgment. There was a serious accusation punishable by death awaiting, however, the critical juncture of JeongyuJaeran (the second Imjin War) saved such a great commander not to have a stern punishment so that Yi was left where he was and had Downfall to the Humble.Yi Sun-sin s social state during Downfall to the Humble had never been in a private. He achieved an excellent exploit as the head of the van at a formation (WoohwaYeoljang, 右火烈將) at a mere farming village on his Downfall to the Humble period. During his second Downfall to the Humble in the war, he cultivated the farms for garrisons and did an army advisory on the one hand he continued seizing what the Joseon navy was doing on. Observing all those, while being in a Downfall to the Humble, he had never been any private but also had any social state at all, however, the works he was doing were exactly as important as what he had been doing previously. Notably, Yi Sun-sin was very much keen on what the navy force are going on during his second Downfall to the Humble. Keeping a keen sight for the navy force, reinforcing the navy force was successful afterwards since he was reinstated to Joseon s Supreme Naval Commander, and also could have a glorious victory at MyongNyang naval battle.

      • 정유재란 시기 사천성 전투의 경과와 의미

        제장명(Je, Jang-myeo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20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3

        임진왜란 초기부터 전략적 요충지였던 사천은 거북선이 첫 출전한 사천해전으로 유명한 곳이다. 사천의 전략적 중요성은 정유재란 시기에도 변하지 않아 일본군은 칠천량해전 이후 이곳을 경유하여 전라도를 공략하였으며, 그 후 사천에 왜성을 쌓아서 전쟁이 끝날 때까지 장기주둔하였다. 이러한 일본군이 주둔한 사천 왜성에 대한 공격전이 1598년 하반기에 있었다. 사천왜성은 1598년 조명연합군의 사로병진(四路竝進) 작전 시 중로군(中路軍)의 공격목표였고, 이 전투의 결과는 같은 기간에 있었던 다른 지역에서의 전투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런데 명나라 장수 동일원(董一元)이 지휘한 명군과 조선의 정기룡이 지휘한 조선군이 연합하여 싸운 이 전투가 패배한 전투이기에 중요성에 비해 연구가 많지 않았다. 그리고 연구 내용 역시 소략한 면이 있었다. 본고에서는 사천성 전투에 국한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상세한 전투 경과를 살펴보면서 전투의 진행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 전투가 당시 전황에 미친 영향과 의미가 무엇인지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정유재란 당시 사천성 전투를 드러내고 교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전투 결과 중로군의 패전 원인은 주장(主將) 동일원의 전술구사 능력의 부재 때문이며, 중로군의 패배는 당시 사로병진작전을 수행하던 동로군과 서로군에게 후퇴의 빌미를 제공하였다. 아울러 당시 왜성 공략이 어려운 점을 재확인해 준 사례였다. 일본은 시마즈 요시히로가 지휘한 사천성 전투에서 승리한 사실을 드러내기 위해 일제강점기에 현창사업을 진행하였으며, 오늘날 사천 선진리성에서 그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 Sacheon is a well-known location not only for the first combat of the Turtle Ships but also had been one of the strategic points since the beginning of the Imjin War. The strategic value of Sacheon had not changed even in the Jungyou War period. The Japanese forces moved into Jeonra Province through this point after Chilcheon-ryang naval war and they have constructed a fortress for long-term occupation of the area until the war had ended. There was the battle of Sacheon, a fortress occupied by the Japanese in late 1598. Sacheon fortress was one of the main targets of attack as it wa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path of attack for the Joseon-Ming allied forces. The outcome of this battle had significant impact on battles raging in other areas in the same time period. Although Ming’s General Dong Il-won and Korean troops commanded by Jeong Gi-ryong from Joseon had joined forces, they were defeated. Unfortunately, despite the significance, there are no in-depth studies and analysis of this battle. This study is a detailed analysis exclusive to The Battle of Sacheon Fortress. It is aimed to aid the understanding of this particular battle in a sequential progression, the effect and meaning it had on the war itself. Thusly, it will offer a chance for more exposure to the Battle of Sacheon Fortress and discuss the lessons from the conflict. Preliminary analysis shows that the main cause of this defeat was the allied commander Dong Il-won’s lacking ability for strategic deployment, which provided excuses for a retreat on both east and west flanks of the allied forces while carrying out the 4-ray movement military maneuver. Also, it was a clear case which demonstrated the difficulties of seizing Japanese style castl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Japanese excavated the Sacheon area in order to commemorate their victory in the battle of Sacheon Fortress. It is still exhibited in The Seonjinri-seong€ Fortress in Sache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