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alysis of KAP1 expression patterns and human endogenous retrovirus Env proteins in ovarian cancer

        Kyung‑Yoon Jeon,Eun‑Ji Ko,Young Lim Oh,Hongbae Kim,Wan Kyu Eo,김아리,Han Gyu Sun,Meesun Ock,Ki Hyung Kim,Hee‑Jae Cha 한국유전학회 2020 Genes & Genomics Vol.42 No.10

        Background Human endogenous retroviruses (HERVs) constitute around 8% of the human genome and have important role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including cancers.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HERV envelope (Env) proteins are highly expressed in cancer tissues and co-related with cancer progression. KAP1 has been reported to play a key role in regulating retrotransposons, including HERV-K, through epigenetic silencing. Objective The relationship between KAP-1 and HERV Envs expressions was analyzed only in tumor cell lines and has not yet been studied in cancer tissu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xpression patterns and relationship between KAP1 and HERV Env proteins in ovarian cancer tissues. Method The expression patterns of KAP-1 and HERV Env proteins, including HERV-K and HERV-R, were analyzed in ovarian cancer tissue microarrays that contained 80 surgical specimens, including normal ovary and malignant ovarian cancers. Results The expression of HERV-R Env and KAP1 proteins is signifcantly higher in ovarian cancer compared with normal ovary tissues. However, the expression of HERV-K Env did not change signifcantly in cancer tissues. The expression patterns of HERV-K Env and HERV-R Env signifcantly increased in early stages of cancer and KAP1 expression was higher in certain stage and types of cancers. However, the expression of HERV-K Env, HERV-R Env, and KAP1 did not change in diferent age group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pression of KAP1 and HERV-Env, including HERV-K and HERV-R, was not signifcantly correlated.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cant correlation between the expression of KAP1 and HERV Env proteins in ovarian cancer tissues, unlike studies with cell lines in vitro.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ctual expression of HERV Env proteins in ovarian cancer tissues may be regulated through various complex factors as well as KAP1.

      •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의 간이식 후 상담 및 교육

        전경옥 ( Jeon Kyung Ock ) 대한간학회 2018 춘·추계 학술대회 (KASL) Vol.2018 No.1

        성인에서 간이식의 주된 적응증은 B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간경변증이며 그 외 C형간염 바이러스로 인한 간경변, 간세포암, 알코올 의존성 간경변 등이 있다. 그 중 B형 바이러스성 간경변이 가장 많은 원인 질환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 들어 알코올 의존성 간경변으로 인한 간이식이 증가하고 있음을 여러 보고들에 의해 알 수 있다. 하지만 알코올 의존성 간경변의 간이식에 있어 뇌사장기의 경우 공공성의 문제, 수혜자의 수술 전 단주 기간 등 여러가지 면에서 논란의 여지를 갖고 있는 측면이 있다. 알코올 의존이나 남용으로 인한 정신질환은 우리나라 정신장애 중 불안장애 다음으로 높은 유병율을 갖고 있다. 2001년부터 정신질환 유병율에 대한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기는 하지만 간이식 환자들의 원인질환 분류에 있어 알코올 의존성 간질환으로 간이식을 시행하는 환자는 증가 추세에 있다. KONOS 연보에 따르면 알코올성 간질환으로 간이식을 시행한 환자는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각각 9.88%, 12.6%, 14.8%, 16.8%, 19.5% 로 점점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알코올성 간질환으로 간이식을 시행하는 환자가 증가할수록 간이식 후 재 음주의 방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재 음주로 인한 이식장기 소실 등의 문제들이 대두되고 있다. 실제로 보고된 연구에 의하면 알코올 사용 5.6건/100명/년, 과음이나 폭음 2.6건/100명/년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3 5년동안 약 3-40%의 간이식 환자가 음주를 한다는 보고도 있으며 정신질환성 알코올 의존자의 비율도 약 10-15%에 이른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러한 결과들을 볼 때 간이식 후 재음주 방지를 위한 교육과 모니터링은 이식장기 소실 예방을 위해 간이식 후 환자 관리의 중요한 부분이라 할 것이다. 간이식 후 재음주에 대한 모니터링과 교육, 상담 등은 수술 후 환자와 간이식 팀뿐만 아니라 가족까지 포함한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교육이나 상담이 이루어져야 한다. 여러 연구에서 알코올 의존환자 가족의 공동의존에 대해 보고하고 있는데 즉, 알코올 의존 환자의 경우 그 가족들 또한 알코올 의존 환자와의 지속적인 관계 속에서 건강하지 못한 삶의 방식을 유지시켜나가는데 이를 공동의존이라 한다. 공동의존이 생긴 환자 가족들은 인지와 정서 기능이 알코올 의존 환자를 중심으로 구조화되어 있기 때문에 환자가 이식을 받은 후 익숙해져 있던 역할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면서 목표를 상실했다는 생각이 들고 공허감을 느끼게 된다고 한다. 이 때문에 환자의 재음주에 대해 방관할 수 있는 성향이 있다고 하는 연구들이 보고된 바 있다. 또한, 2013년 보고에 의하면 알코올 의존환자의 수술 전 단주 프로그램보다 간이식 후 단주 프로그램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음주 재발율을 낮추었다는 보고도 있는데 교육의 강도는 영향을 크게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러 연 구를 통해 알코올 의존성 간질환으로 간이식을 시행한 환자들을 위해 수술 후 재음주 예방을 위해 간이식팀, 가족, 환자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한 적극적인 재활치료가 필요하며 이에 대한 체계적인 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한 시점임을 알 수 있다. 지속 적인 음주 모니터링과 함께 알코올 의존 환자의 재활치료인 동기 강화치료, 인지행동치료, 자조집단을 통한12단계 치료, 개인 상담 치료, 가족 상담 치료가 시행될 수 있어야 하며 이에 대한 재정적인(보험수가) 문제와 환자들을 참여시키는 방법에 대한 논의가 우선 해결되어야 된다고 사료된다. 이를 통해 알코올 의존성 간질환으로 간이식을 시행한 환자들의 graft survival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SCIEKCI등재

        Clinical factors affecting progression-free survival with crizotinib in ALK-positive non-small cell lung cancer

        ( Chan-young Ock ),( Shin-hye Yoo ),( Bhumsuk Keam ),( Miso Kim ),( Tae Min Kim ),( Yoon Kyung Jeon ),( Dong-wan Kim ),( Doo Hyun Chung ),( Dae Seog Heo ) 대한내과학회 2019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Vol.34 No.5

        Background/Aims: Although crizotinib is standard chemotherapy for advanced anaplastic lymphoma kinase (ALK)-positive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clinical factors affecting progression-free survival (PFS) have not been repor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linical factors affecting PFS of crizotinib and develop a prognostic model for advanced ALK-positive NSCLC. Methods: Clinicopathologic features of patients enrolled in PROFILE 1001, 1005, 1007, and 1014 (training cohort) were reviewed. We conducted multivariate Cox analysis for PFS and overall survival (OS) in the training cohort (n = 159) and generated a proportional hazards model based on significant clinicopathologic factors, and then validated the model in an independent validation cohort (n = 40). Results: In the training cohort, the objective response rate was 81.5%. Median PFS and OS from the start of crizotinib were 12.4 and 31.3 months, respectively. Multivariate Cox analysis showed poor performance status, number of metastatic organs (≥ 3), and no response to crizotinib independently associated shorter PFS. Based on a score derived from these three factors, median PFS and OS of patients with one or two factors were significantly shorter compared to those without these factors (median PFS, 22.4 months vs. 10.5 months vs. 6.5 months; median OS, not reached vs. 29.1 months vs. 11.8 months, respectively; p < 0.001 for each group). This model also had validated in an independent validation cohort. Conclusions: Performance status, number of metastatic organs, and response to crizotinib affected PFS of crizotinib in ALK-positive NSCLC. Based on these factors, we developed a simple and useful prediction model for PFS.

      • KCI등재

        가령에 따른 인체 치은조직내 Superoxide Dismutase 와 Catalase의 활성도 변화

        김병옥,윤인한,박병기,전창길,한경윤 朝鮮大學校 口腔生物學硏究所 2000 口腔生物學硏究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tivities of the antioxidants such as superoxide dismutase(SOD) and catalase in the human gingival tissue according to the ag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flammation, and sex. For this study, a total of 36 patients ranged in age from 12 to 66 years(average: 41.9 years, 22 males, 14 females) was involved. Gingival tissues were surgically obtained from marginal gingiva and maxillary tuberosity during periodontal surgery and extraction. Total protein concentration was measured by Bradford method. Western blot was performed for the activity of SOD and catalase in the gingival tissue, and the band density was measured by densitometer.

      • Fluoroquinolone resistance among Mycobacterium tuberculosis isolates in South Korea: a multicenter study

        ( Hye Sung Ock ),( Jeong Ha Mok ),( Bo Hyoung Kang ),( Hang Jae Jang ),( Tae Hun Lee ),( Hyun Kyung Lee ),( Yu Ji Cho ),( Doosoo Jeon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7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4 No.-

        Background: Fluoroquinolone (FQ) is a core drug used to treat multidrug-resistant tuberculosis (MDR-TB). The concern has been raised that the widespread use of FQ in the community will result in increased FQ resistance rates in Mycobacterium tuberculosis (MTB).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cent prevalence and trend of FQ resistance among MTB isolates in South Korea.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drug susceptibility testing results of culture-confirmed MTB isolates collected from 2010 to 2014 at 7 tertiary hospitals in South Korea. Resistance to FQs were assessed by the absolute concentration method using Lowenstein-Jensen medium. Results: A total of 5,599 cases were included; 4,927 (88.0%) were new cases, and 672 (12.0%) were previously treated cases. The resistance rate to any FQ was 0.8% (43/5221) in non-MDR-TB patients, as compared to 26.2% (99/378) in MDR-TB pati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trend of FQ resistance among both non-MDR-TB and MDR-TB patients. Among 43 non-MDR-TB patients with FQ resistance, 38 (88.4%) had isolates with FQ monoresistance and none of them were previously received FQ as an anti-TB drug. FQ-monoresistant TB was found at all seven hospitals as well as during the entire study periods.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FQ resistance is low in non-MDR-TB patients, but the presence of FQ-monoresistant TB may be a warning on the widespread use of FQ in the community.

      • KCI등재

        경기도 일부 노인요양시설의 영양사 유무에 따른 영양관리 현황

        윤미옥 ( Mi Ock Yoon ),문현경 ( Hyun Kyung Moon ),전주영 ( Ju Young Jeon ),손정민 ( Cheong Min Sohn ) 대한영양사협회 2013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Vol.19 No.4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노인요양시설의 영양사 유무에 따른 영양관리 현황을 조사해 보았다. 2011년 1월 5일∼2011년 1월 21일까지 경기도에 위치한 법인 83개 요양시설 영양사를 대상으로 우편설문을 실시하였고, 이 중 회수된 34개 요양시설의 설문지 결과로 요양시설 이용 노인의 영양관리 현황 조사를 하였다. 회수된 34개의 설문지를 이용, 요양시설 이용 노인의 등급과 시설의 영양사 유무, 식단작성 여부와 식사관리 현황 등을 조사하였으며, 34개 요양시설에 입소한 일부 노인 163명 중 신장과 체중의 측정치 기록이 안 된 대상을 제외한 149명을 대상으로 MNA(Mini Nutritional Assessment)를 통해 간이영양판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MAN 결과가 어떤 인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기 위해 영양불량위험인자(risk factor of malnutrition)와 질환 보유 정도와 MNA score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대상자 구성을 살펴보면, 영양사가 있는 군 70.6%, 영양사가 없는 군 29.4%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34개 요양시설 중 응답자의 64.7%는 영양사였으며, 40대가 41.2%로 가장 많았다. 영양사가 있는 군의 연령은 40대>30대 순으로 많은 반면, 영양사가 없는 군은 40대>50대 순으로 나타났다. 경력은 1∼3년이 29.4%로 가장 많았다. 자격증(면허) 소지도 영양사>사회복지사>요양보호사 순으로 나타났다. 2. 영양사 유무에 따른 식단 관리 및 영양상담 관리를 보면, 영양사가 있는 군은 영양사가 식단을 100% 작성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영양사가 없는 군은 사무국장,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 조리원 등이 식단 작성 70%, 다른 시설의 영양사가 작성한 식단 받음 20%, 외부와 협약해서 받는 식단 10%로 나타났다(P<0.001). 치료 식단을 별도로 작성하는지에 대해서는 영양사가 있는 군은 45.8%가 치료식단을 제공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영양상담 및 영양관리를 하고 있는지에 대한 결과를 보면, 영양사가 있는 군은 70.8%, 영양사가 없는 군도 70.0% 영양상담 및 영양관리를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두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으나, 영양사가 없는 군의 경우 대부분 영양사가 아닌 다른 직종의 비전문인이 영양 상담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들의 질병과 식사요법 실시 여부를 보면, 뇌졸중(중풍)을 앓고 있는 대상자는 36명(24.2%)으로 이 중에 3명(8.3%)이 식사 요법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장질환의 경우는 16명(10.7%) 중에 1명(6.3%), 고혈압의 경우는 88명(59.1%) 중에 27명(30.7%), 당뇨병의 경우는 35명(23.5%) 중에 11명(31.4%)으로 나타났다. 위장장애를 앓고 있는 경우는 16명(10.7%) 중에 1명(6.3%)이 식사요법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사 유무에 따라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두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은 반면, 식사요법 실시 여부에서는 고혈압과 당뇨병 식사 요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4. 영양사 유무에 따른 요양시설 노인의 MNA 항목별 점수를 보면, 지난 3개월 동안 체중감소, 신체 이동 능력, 식사 상태에서 유의적인 차이(P<0.05)가 있었다. MNA 결과에 따라 영양불량 판정에 사용되는 항목과의 상관관계는 체질량지수, 상완 둘레, 장딴지둘레, 최근 식욕감소/치아문제/소화 장애 등의 문제점, 3개월 동안 1∼3 kg 정도의 체중감소정도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P<0.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영양판정 결과, 영양불량 5.4%, 영양불량 위험상태 36.9%, 영양상태 양호 57.7%로 나타났다. 영양사 유무에 따른 영양판정 결과를 보면 영양사가 있는 군은 영양 상태 양호 59.0%>영양불량 위험 35.5%>영양불량 5.5% 순으로 나타났으며, 영양사가 없는 군도 영양상태 양호 53.9%>영양불량 위험 41.0%>영양불량 5.1% 순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의 결과를 종합한 결과, 시설요양서비스를 받고 있는 노인 중 현재 질환을 앓고 있어도 그에 맞는 식이요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영양사가 없는 시설의 경우 제공되는 식단들이 전문적인 영양지식을 배우지 못한 비전문인에 의해 작성됨에 따라 영양이나 위생문제, 영양전문가로부터의 영양 상담이나 교육, 전문적인 영양서비스 부재로 체계적인 영양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현재와 같은 정도의 영양관리 운영이 계속 될 경우, 앞으로도 많은 노인들의 등급이 나빠지거나 장기요양보험 대상이 아니었던 노인들도 대상이 될 것으로 우려된다. 이러한 노인들의 질병을 예방하고 현재 상태를 관리하여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빠른 시일 내 영양전문가에 의한 식단제공이나 영양교육 및 영양상담 프로그램 등과 같은 체계적인 영양 관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nutritional management at elderly nursing homes. A survey was performed of 83 nursing homes from January 5, 2011 to January 21, 2011 via mail. A total of 34 nursing homes responded to the survey and 149 elderly subjec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a dietitian. Among the 34 nursing homes, 70.6% had a dietitian on duty. All of the facilities with a dietitian had the dietitian making the meal plan, whereas 70% of the facilities without dietitian served meals planned by a non-professional person. Overall, however, a low proportion of nursing homes implemented dietetic treatments for residents with diseases. For the nutritional assessment of these residents, a mini nutritional assessment (MNA) was performed. MNA scor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ody mass index (BMI), mid-arm circumference (MAC), calf circumference (CC), ingestion problems, and weight loss during the last 3 months (P<0.001). Among the elderly studied, 5.4% were malnourished, and 36.9% were at risk for malnutrition by MNA score. The results of this survey show that the current management of nutrition at nursing homes is insufficient because the elderly who needed dietetic treatment did not receive proper care. Dietetic management is the most important service in all nursing homes. Therefore, to improve the nutritional status of elderly residents in nursing homes, systematic nutrition management by nutrition experts should be implem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