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의 악성 혼합성 중배엽종양 13 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김병기,박상윤,김종훈,박기복,이경희,이의돈,김경민,김정인,김석배,이승숙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9

        자궁의 악성 혼합성 중배엽종앙은 부인암의 1%를 차지하는 자궁육중 중 40-50%를 차지하 는 매우 희귀한 질환으로 아직 그발생 기전 및 임상병리학적 성상에 관해서 자세히 알려진 바가 적은 실정이다. 이 종양의 대부분은 폐경기 여성에서 발생하며 예후는 매우 불량하여 발견 2년내 전체 환자의 90%이상이 사망한다. 그러나 조기진단법이 성립되어 있지않고 치 료효과에 대해서도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1985년 1월부터 1993년 12월까 지 9년동안 원자력병원산부인과에서 진단된 악성 혼합성 중배엽종양 13예를 의무기록을 토 대로 문헌고찰과 함께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환자의 중앙연령은 54세였고, 폐경기 이후의 환자가 84.6%였다. 환자들은 주증상으로 질 출혈(69.2%)복부종괴(30.8%), 골반 내 통증(23.1%) 자궁탈출증(7.7%)등이었고, 이학적 소견상 복부종양(69.2%), 자궁경부로부터 돌출된 종괴 (23.1%)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자궁경부 세포 진 검사상 악성종양 소견을 보인 예가 38.5%에서 있었다. 2. 종용표지물질인 CA-125는 5례에서 시행되었는데 이중 3례(60%)에서 증가되어 있었다. 자궁내막조직검사나 자궁경부 조직검사가 시행되었던 경우 7례에서는 모두 악성 혼합성 중배 엽종양이 확인되었고, 나머지 환자중 4명은 수술후 조직검사상 악성혼합성 중배엽종양으로 판명되었고, 2명은 조직검사상 정확한 진단을 얻을 수 없었으나, 전산화 단층촬영 소견과 임상 소견으로 진단하였다. 3. 악성혼합성 중배엽종양 환자중 일부에서 고혈압(7.7%), 비만 (30.8%), 당뇨 (23.1%) 가 동 반되어 있었다. 또한 과거 자궁경부암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았던 기왕력이 잇는 환자가 46.2%으로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기왕력이 있는 환자가 46.2%으로 방사선 치료후 발병까지의 기간은 5년에서 15년 6개월까지였다. 4. 환자들은 FIGO임상병기에 따라 재분류하였는데 제 1기 15.3%, 제 2기 38.5%, 제 3기, 제 4기 및 미분류의 경우가 각각 15.3%였다. 병리조직학적 분류상 heterologous type이 12례, carcinosarcoma가 1례에서 있어 대부분 heterologous type인 양상을 보였다. 5. 치료를 포기한 3례를 제외한 10례의 환자중 2례에서는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였고, 그중 1 례에서는 방사선 치료후 추가로 항암화학요법을 시행받았다. 또한 8례에서 수술을 시행하였는데 수술 방법은 7례에서는 전자궁 적출술 및 양측 난소난관 절재술을 시행하였고, 1례에서는 type II 자궁적출술과 양측 난소난관 절제술 및 임파절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후 보조요법은 5례에서만 시행되었는데, 3례에서는 방사선 치료와 항암화학요법이 시행되었고 2례에서는 항암화학요법만 시행되었다. 6. 추적 조사가 가능하였던 환자중 72.7%는 1차치료후 1개월에서 17개월 사이에 사망하였으며 18.2%는 무병상태로 생존하고 있고 9.1%에서는 유병상태로 생존하고 있다. 사망한 환자의 중앙 생존율은 6개월이었고, 8예에서는 모두 폐경기 상태였으며 비교적 진행된 병기를 보였다. 이전에 자궁경부암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은 기왕력이 있는 환자는 6례에서 모두 사망하였다. 이상의 같은 결과로 보아 자궁에 발생한 악성 혼합성 중배엽종양은 대개 폐경기 이후에 발생하고 방사선 치료의 기왕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매우 빨리 진행하고 아직 어떤 치료 방법도 효과적이지 않아 , 대부분 사망에 이르는 예후가 극히 나쁜 질환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치료방법에 대한 연구 및 예후인자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In the female genital tract, malignant mixed mullerian tumors (MMMT) of the uterus are very aggresive and rare tumors. A retrospective study of 13 patients with MMMT were analyzed clinical and pathological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atients age renged from 21 to 71 years old with an median age of 54 years old. Elven women (84.6%) were postmenopausal. six patients(46.1%)had documented previous pelvic irradiation which had been administred due to the uterine cervical carcinoma. The latent interval between the initial irradiation and the diagnosis of the MMMT is known in all cases and ranged from five to sixteen years (average nine years). 2. Vaginal bleeding(69.2%) was the most frequent presenting symptom. Other symptoms included abdominal mass(30.8%), pelvic pain(23.1%) vaginal discharge(15.4%) uterine prolapse(7.7%). Pelvic mass(69.2%) was the most frequent physical finding followed by a polypoid mass protruding from the cervix(23.1%). Papanicolaou smears suggested malignancy in 5 of the 3 reported cases(38.5%). 3. The patients were staged clinically as follows ; four stage I(30.8%), five stage II(38.5%) one stage III(7.7%), two stage IV(15.4%), one undetermined stage(7.7%). 4. Type I or II hysterectomy with b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and bilateral pelvic lymph node dissection were preformed in eight cases (61.5%). Postoperative adjuvant radiation and chemotherapy was administered in 3 cases (23.1%). Plstoperative chemotherapy a lone was administered in 2 cases (15.4%) One patient recieved radiation therapy alone, chemotherapy alone and radiation and chemotherapy respectively. Two patients refused management after diagnosis of MMMT. 5. The median survival duration of the entire group was 6 months.

      • KCI등재

        난소에서 Mullerian Inhibiting Substance의 발현

        김미란,김장흡,김수평,김진홍,나종구,권동진,강창석,김경미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3

        Mullerian inhibiting substance(MIS) has been known as a non-steroidal testicular Sertolicell product responsible for the regression of Mullerian duct in male embryos. More recently MIS was also found to be present in an bioactive form in the bovine and rat ovaries but the function of MIS in the ovary has not been fully delineated. In this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its function in the ovary the ontogeny of the production profile of MIS and the pattern of its localization in ovaries from adult normal cycling women were studi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using the rabbit polyclonal antibody against human recombinant MIS that almost completely blocks its biological activity. MIS was detected specifically and exclusively in the cytoplasm of granulosa cells. The flattened granulosa cells in primordial follicles failed to stain for MIS, but the cuboidal cells of growing follicles stained intensely. The granulosa cells of both single and multiple layered growing follicles showed strong specific staining for MIS. Within the multiple layers of granulosa cells, closer to the oocyte, stained more intensely than those near the basement membrane. Similarly, in antral follicles, cumulus cells and periantral granulosa cells stained more intensely than those in the periphery. MIS staining waned in the mature follicles just before ovulation and could not be found in atretic follicles, corpus albicans. In conclusion, this specific localization suggest that MIS may act as an intraovarian regulator of follicular development and oocyte maturation during the adult reproductive cycle.

      • KCI등재

        상피성 난소암 환자에서 이차 추시개복술 후 생존율분석을 통한 예후인자의 평가

        김병기,박상윤,김종훈,박기복,이경희,이의돈,김경민,김정인,김석배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8

        본 연구의 대상환자는 1986년 5월부터 1992년 12월까지 원자력병원 산부인과에서 난소암으로 치료를 받고, 이차 추시개복술을 시행한 환자 42명중 의무기록이 검토된 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최종경과 관찰일과 서신, 전화를 이용한 생존유무 확인 을 근거로하여 생존율을 구하고 이를 이차 추시개복술 시행전 각 임상병리학적 예후인자 및 이차 추시개복술 소견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차 추시개복술 시행 결과 병리학적 양성군이 21.1% 음성군이 78.9%이었다. 병리학적 양성군과 음성군의 평균 연령, 병리조직학적 유형, 일차 수술후 잔류종양, 일차 수술후 이차 추시개복술까지의 기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종양세포의 분화도와 이차 추 시개복술 시행전 혈청 CA-125 상승여부만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01). 2. 대상환자의 중앙 경과관찰 기간은 39개월이었고 3년 생존율은 86.7%이었다. 상기 각 임상병리학적 예후인자들은 변수로 생존곡선을 비교한 결과 FIGO 수술적 병기(p=01.0253)와 일차 개복술후 잔류종양(p=0.001), 이차 추시개복술전 혈청 CA-125 상승(p=0.0083). 이차 추시개복술 후 잔류종양(p=0.0404)가 중요한 인자로 평가되었다. 3. 이들 인자들의 다변량 분석에 따른 상대 위험도는 일차 개복술후 잔류종양이 9.3배로 가장 높았으며, 이차 추시개복술전 혈청 CA-125 상승이 7.4배, FIGO 수술적병기가 6.3배, 이차 추시개복술후 잔류종양이 4.7배의 순이었다. 그러나 이들 인자들에 대한 다변량 분석을 시행한 결과 일차 개복술후 잔류종양이 7.6배, FIGo 수술적 병기가 6.6배, 이차 추시개복술전 혈청 CA 125 상승이 3.7베로 나타났고 이차 추시개복술후 잔류종양은 독립적인 예후인자로 평가할 수 없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에서 이차 추시개복술후 잔류종양은 다변량 분석에서 독립적인 예후인자로 작용하지 않았으며, 일차 개복술후 잔류종양, FIGO 수술적 병기, 이차 추시개복술전 혈청 CA-125 역가만이 독립적인 예후인자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향후 보다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임의적이고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Although second-look laparotomy(SLL) remains the hallmark method for determinig desease status and reduction of tumor volume after adjuvant chemotherapy, the inclusion of reassessment surgery and repeated cytoreductive surgery in the treatment schedule of ovarian carcinoma has been challenged. Especially the role of SLL for the benefits of survival is controversal. So we analyzed variable prognostic factors including FIGO stage, cell type, tumor grade and residual tumor after SLL, between May 1986 and December 1992, 28 patients with epithelial ovarian carcinoma identified as clinical remission after initial surgery and postoperative chemotherapy underwent second-look laparotomy at the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in Korea. Thirty patients(78.9%) had no evidence of residual tumor and 8 patients (21.1%) had residual tumor. With a mean follow-up 39 months, the 3 year survival rate of these patients was 86.7%. Univariate revealed four covariates that were satistically significant in predicting continued disease free status. There factors were FIGO stage (p=0.00253), residual mass after primary laparotomy(p=0.0010), preoperative serum CA-125 elevation before SLL(p=00093) and residual mass after SLL(p=0.0404). But in multivariate analysis, residual tumor after SLL was not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The relative risks of other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were 7.6 in residual tumor after primary surgery, 6.6 in FIGO stage, 3.7 in preoperative elevated serum CA-125 before SLL. We concluded that residual mass after SLL is not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And SLL cannot be considered a valuable routine procedure. But SLL may have a role in evaluating the efficacy of a postoperative second line treatment .

      • KCI등재

        부임암진단에 있어서 초음파 및 전산화단층촬영 유도에 의한 세침흡인세포검사의 임상적 효용성

        김병기,박상윤,김종훈,박기복,이경희,이의돈,김경민,김정인,김석배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8

        1991년 1월부터 1992년 12월까지 원자력병원에서 부인암으로 초음파 및 전산화단층촬영 유 도하여 세침흡인세포검사를 시행받았던 42명 환자의 47회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상환자의 질환별 분포는 자궁경부암 33명(76.8%), 난소암 7명(16.6%) 자궁체부암 및 대 음순암이 각각 1명의 빈도를 보였다. 2. 세침흡인세포검사의 부위별 분포는 골반 내장기가 37회 (78.8%)로 고형종 16회(34.0%) 낭 종 12회(25.6%) 림프절 9회(19.2%) 였으며 골반외 장기가 10회(21.2%)로 림프절 6회(12.7%) 간 3회(6.4%) 비문 1회의 분포를 보였다. 3. 세포학적 검사결과는 양성 17회(36.2%) 음성 23회(48.9%) 위양성 5회(10.6%) 부적합 2회 (4.3%) 의 빈도를 보였다 4. 조직학적 또는 임상결과에 따른 세포학적 검사결과는 위음성 예가 6회(26.1%)였으나 위양 성예는 보이지 않았으며 이에 따른 민감도가 73.9% 특이도는 100%, 양성 예측도는 100%, 음성 예측도는 73.9%였고 세침흡인 세포검사의 전체적인 정확도는 85.0%를 보였다. 5. 세침흡인 세포검사의 정확도와 영향을 미치는 임상병리학적 인자로 흡인부위(p=0.005) 및 유병상태(p=0.036)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목표병소의 크기, 원발성 질환, 치료 유형, 영상유도 기법, 임상병기, 조직학적 유형, 진단시부터 세침흡인 세포검사까지의 기간등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세침흡인 세포검사를 이용한 부인암의 진단은 매우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이라 사료되나, 위음성의 빈도가 비교적 높으므로 판독 결과가 음성일 경우에는 재검사를 시행하거나 개복술에 의한 검사를 신중히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From January 1991 to December 1992, 47 ultrasonography(USG) or computed tomography(CT) guided fine needle aspirations (FNAs) were performed on 4 patients with gynecologic malignancies at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The primary aspiration sites were pelvic solid mass(16), pelvic cystic mass(12), pelvic lymph node(9), paraaortic lymph node (6), lever(3), splenic hilum(1). There were 17 positive (36.2%) 23 negateive (48.9%), 5 suspicious (10.6%) and 2 inadequate (4.3%) specimens for interpretation. Excluding suspicious and inadequate specimens, the results of the evaluable aspirations were confirmed by surgical biopsy or subsequent clinical findings. As as results, USG or CT guided FNA cytology has a specificity of 100%, a sensitivity of 73.9% and a diagnostic accuracy of 85.0%. The predictive value of positive test was 100% and that of negateive test was 73.9%. The significance of clinicopathologic factors studied included the size of target lesion, the aspiration site, the primary diagnosis, the disease status, the treatment modalities, the type of radiologic guidance the initial clinical stage, the interval between diagnosis and FNAs and the histologic type. The aspiration site and the disease statu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These data supported that FNA is a reliable procedure in the management of gynecologic malignancies byt in negateive results , repeated FNA amy be neccessary because those results are influenced by aspiration site and disease status.

      • KCI등재

        다운증후군 산전 선별검사

        김병점,김경미,조지영,박민혜,김상향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10

        1995년 7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일신기독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한 산모 14279명 중 임신 16∼18주에 Triple 선별검사를 받은 35세 이하의 저위험군 산모 6614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Triple 선별검사의 양성률은 3.4%이었다. 2) Triple 선별검사의 다운증후군에 대한 양성 예측도 는 1.8%이었다. 3) Triple 선별검사 양성 군에서 산모의 나이는 음성군 에 비해 의의 있게 증가되어 있으나 산모의 과거력, 가족 력 등에서는 의의가 없었다. 4) Triple 선별검사 음성군에서 단독인자의 위험도에 의해 실시한 양수천자검사의 결과는 의의가 없었다. 5) Triple 선별검사 결과가 음성이라도 각 표지물질들 의 수치가 모두 낮게 나타날 때는 Trisomy 18을 진단하기 위해 양수천자검사가 필요했다. 선천성 기형의 출산을 예방하는 방안으로 좀더 정확한 선별검사의 정보와 보다 빠른 시기에 가능한 검사 방법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비용- 효과적인 면에서의 개발과 더불어 선별검사에 대한 산모의 교육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of 6614 women less than 35 years of age who underwent the triple test between 16 and 20 weeks gestation from July, 1995 to Desember, 1996 at Il Sin Christian Hospital.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The positive rate of the triple test was 3.4%. 2.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the triple test was 1.8%. 3. Maternal age of the screening positiv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screening negative group but, the past history and the family history were not significant. 4. The result of amniocentesis that were performed due to the level of the MSαFP, β-hCG and uE3 was not significant. 5. The amniocentesis should be advised to evaluate the trisomy 18 when it were reduced the level of MS FP, β-hCG and uE3 in the screening negative group.

      • KCI등재

        Treacher Collins 증후군 1 례

        김복린,김명주,박경미,김종국,신원춘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5

        본 저자 등은 Treacher Collins 증후군 1례를 경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reacher Collins syndrome is rare, genetically transmitted congenital malfomation syndrome which has an incidence of 1/50,000 live births and involving primarily the facial bones. It is inherited as an autosomal dominant trait with variable expressivity. The chief features of this syndrome including the following: hypoplasia of the facial bones especially the malar bones and mandible, antimongoloid slant of the palpebral fissures, coloboma of outer third of lower eyelid, malformation of the auricles with external ear canal defects and frequent conductive deafness, cleft palate. We experienced a case of Treacher Collins syndrome in a male infant with the chief complaints of hypoplastic mandible, antimongoloid palpebral fissure and ear malformation. We report the case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