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NIHSS 활용을 통한 뇌졸중 환자 간호의 질향상 전략

        박경현,송경애,공혜성,나화주,유수경,박소영,김상희,최혜림,배희준,한문구,양미화 한국의료QA학회 2009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ol.15 No.2

        문제: 뇌졸중 환자를 돌보는 간호현장에서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증상악화에 대한 조기사정과 적절한 대처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임상현장에서는 이를 객관화하고 수치화하여 모든 의료진이 의사소통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를 사용하고 있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NIHSS(National Institute of Health Stroke Scale)를 신경과 진료의사를 중심으로활용하고 있지만 아직 간호현장에서는보편적으로사용하지 않고있다. 이에 뇌졸중환자간호에 NIHSS를 활용하여 뇌졸중 증상악화의 조기사정과 빠른 대처로 궁극적으로는 뇌졸중환자 간호의 질을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활동이 시도되었다. 목적: 첫째, 간호사의 NIHSS 측정 신뢰도의 현수준을 점검하고 이를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한다. 둘째, 간호사가급성기 뇌졸중환자에게 NIHSS 측정을 통하여 뇌졸중악화를 얼마나 예측할 수 있는지 분석하고 이를 향상시킬수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셋째, 궁극적으로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증상악화의 조기 발견과치료를위한의료진의 올바른 대처지침을 마련하여 이를 적용한다. 의료기관: 경기도에 소재한 대학병원의 뇌졸중 집중치료실 질 향상 활동: 첫째, 간호사의 NIHSS 측정 신뢰도 향상을 위해 「NIHSS 간호사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였다.

      • 제주도 토양에서 분리한 가시아메바의 riboprinting에 의한 동정

        김현동,전자호,유학선,공현희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6 慶北醫大誌 Vol.37 No.4

        목적 : 가시아메바의 국내 분리주를 확보하고 국내 분포하는 가시아메바의 종류를 파악하며 그 분리주들의 병원성을 간접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제주도의 토양에서 분리한 가시아메바 분리주를 riboprinting을 이용하여 종 동정을 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 제주도의 서로 다른 일곱 장소에서 무균 튜브에 흙을 담아와서 agar plate에서 배양한 후 서로 다른 형태적 특징을 보이는 포낭을 cloning하여 무균배양으로 키웠다. 각각의 핵 DNA를 분리하여 small subunit ribosomal RNA coding DNA 중 일부를 증폭하여 나온 PCR 산물을 8가지 제한효소로 소화시켜 그 RFLP양상을 16비교주와 비교한 후 Nei & Li의 공식에 대입한 후 UPGMA program로 유전적 거리를 구하였다. 결과 : 포낭의 형태는 KA/CS8주를 제외한 7주는 모두 Pussard 및 Pons의 분류에 따른 제 2군에 속하였고 KA/CS8주는 제 3군에 속하였다. 가시아메바 KA/CS1주와 KA/CS2주는 동일한 RELP양상을 나타내었으며 이들은 카스텔라니 가시아메바 Castellani주와 가장 유전적으로 가까왔고, KA/CS3주와 KA/CS6주는 A. triangularis SH621주와, KA/CS4주는 대식가시아메바 Jones주와, KA/CS5주는 대식가시아메바 P23주와. KA/CS7주는 카스텔라니 가시아메바 Neff주와 각각 유전적으로 가장 가까왔고, KA/CS8주는 비교주 중 어느 종과도 유전적으로 가깝지 않았다. 결론 : Acanthamoeba KA/CS1, KA/CS2, KA/CS3, KA/CS4, KA/CS6분리주들은 카스텔라니 가시아메바 complex에 속하였고, KA/CS5, KA/CS7분리주들은 대식가시아메바 complex에 속하였다. In order to collect and identify Acanthamoeba Korean strains. Acanthamoeba strains were isolated from soil of Cheju-do and were identified by comparison of the riboprints with the reference strains. Seven out of eight isolates from soil of Cheju-do belonged to the morphological group Ⅱ (Pussard and Pons, 1977) and the other one belonged to group Ⅲ by cyst morphology. The riboprints of seven isolates belonging to group Ⅱ were compared to those of Acanthamoeba reference strains (11 species 16 strains). KA/CS1, KA/CS2, KA/CS3, KA/CS4 and KA/CS6 strains belonged to A. castellanii complex. KA/CS1 and KA/CS2 strains showed identical riboprints to each other and were the most closely related to A. castellanii Castellani strain. KA/CS3 and KA/CS6 strains were the most closely related to A. triangularis SH621 strain, and KA/CS4 strain to A. polyphaga Jones strain. KA/CS5 and KA/CS7 strains belonged to A. polyphaga complex. KA/CS5 strain was the most closely related to A. polyphaga P23 strain and KA/CS7 strain to A. castellanii Neff strain. KA/CS8 strain belonging to group Ⅲ showed more than 20% estimated sequence divergence from the reference strains (5 species) and made a distinct division in a phenogram reconstructed based on the riboprints.

      • 慶北 一部 貯水池의 淡水魚에서 肝吸蟲 被囊幼蟲의 消失

        朴緯泰,孔賢嬉,鄭東一,崔東翊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1 慶北醫大誌 Vol.32 No.4

        1990年 4月부터 同年 9月까지 大邱市 丹山池, 慶北 永川郡 紫陽湖 및 安康 霞谷池에서 採集되는 各鍾 淡水魚에서 吸蟲類 被囊幼蟲의 寄生狀을 調査하여 1960年에 調査된 丹山池 및 霞谷池에서의 成績과 比較하였다. 3개처의 못과 湖에, 採集 魚鍾은 붕어(Carassius carassius), 몰개(Gnathopogon atromaculatus), 납지리(Paracheilognathus rhombea) 및 참붕어(Pseudorasbora parva)의 4鍾으로 이중 몰개와 참붕어가 優占鍾이었다. 1960年에는 몰개 및 참붕어에서 肝吸蟲 被囊幼蟲의 寄生率 58.8%에서 83.6%, 寄生程度 4.5에서 8.3個로 檢出되었으나 이번 調査에서는 전혀 檢出되지 않았다. 이상의 成績으로 미루어보아 이들 3個處의 貯水池는 더 이상 肝吸蟲의 浸潤地가 아님을 알았다. In order to compare the infestation status with larval trematodes with that in 1960, fresh-water fish were collected in the Dansan and Hagok ponds and Jayang lake from May to October 1990, and examined for the presence of Clonorchis sinensis metacercaria. Four species of fresh-water fish, the crusian carp, Carassius carassius, the korean shiner, Gnathopogon atromaculatus, the flat bitterling, Paracheilognathus rhombea, and the southern top-mouthed minnow, Pseudorasbora parva were collected in the pond. G. atromaculatus and P. parva were collected frequently in the Dansan pond and Jayang lake. In 1960, C. sinensis metacercaria was demonstrated at the rate between 58.8 and 83.6% and the intensity between 4.5 and 8.3. However, no metacercaria was detected in 1990. In the light of these results, the ponds Dansan and Hagok and lake Jayang are no longer endemic foci C. sinensis.

      • 콘택트렌즈 보존 용기 유래 Acanthamoeba lugdunensis KA/L5주의 내공생세균

        정동일,공현희,김태호,황미열,유학선,윤호철,설성용 경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9 경북대학교병원의학연구소논문집 Vol.3 No.1

        콘택트렌즈 보존 용기 유래 가시아메바 KA/L5주의 세포질 내에 존재하는 bacterial endosymbiont(내공생세균)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확인하였다. 숙주인 가시아메바 KA/L5주는 형태학적으로 제2군에 속하였고, rDNA PCR-RFLP 결과 A. lugdunensis로 동정되었다. 미토콘드리아 DNA RFLP와 동위효소 분석상 이 충주는 국내 콘택트렌즈 보존용기에서 가장흔히 분리되는 type인 KA/Ll주, 국내 임상 분리주 중 하나인 KA/E2주, 내공생세균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된 병원 냉각수 유래 KA/W4주 및 L3a주와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한 성적을 보였다. 내공생세균은 약 1.38× 0.507㎛의 크기였고, 아메바 세포질 내에 불규칙하게 분포하고 있었으며. 그 표면에 아메바의 ribosome이 부착되어 있었다. 내공생세균을 둘러싼 lacunae나 막과 같은 구조는 관찰되지 않았다. Legionella 특이 primer를 이용한 효소중합반응(PCR)에서 내공생세균의 염색체 DNA는 증폭되지 않았다. A. lugdunensis의 우리말 이름을 담수가시아메바로 제안한다.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of an Acanthamieba isolate (KA/L5) from a contact lens case revealed bacterial endosymbionts within cytoplasm of the amoebae, The Acanthamoeba isolate belonged to the morphological group II. Based on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of 18S ribosomal RNA coding DNA (rDNA), the Isolate was identified as A. lugdunensis. Strain typing by isoenzyme analysis using isoelectric focusing (IEF) and mitochondrial (Mt) DNA RFLP revealed that the isolate was closely related with KA/Ll , the most predominant type of isolates from contact lens storage cases, KA/E2, a clinical isolate, KA/W4, preciously reported to host endosymbionts, and L3a strains of A. lugdunensis. The endosymbionts were similar to those of KA/W4 In aspects that they were randomly distributed in both trophozoites and cysts, and were rod-shaped bacteria measuring approximately 1.38x 0.50㎛. But the number of endosymbionts per amoeba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KA/W4. They were neither limited by phagosomal membranes nor included In lacunae- like structure.

      • 콘택트렌즈 소독제 및 PHMB의 3종 가시아메바 포낭에 대한 살충능력 평가

        신종원,유학선,공현희,정동일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6 慶北醫大誌 Vol.37 No.3

        목적 : 국내에 시판되고 있는 콘택트렌즈 보존 및 소독액, 그리고 아메바성 각막염의 치료제로서 인정받고 있는 polyhexamethylene biguanide (PHMB)의 가시아메바 포낭에 대한 살충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카스텔라니가시아메바 Ma주, 대식가시아메바 Nagington주 및 담수가시아메바 KA/LI주에 대한 소독액의 살충효과의 평가는 한천 plate위에서 수행하였고, 최저살충농도(minimal cysticidal concentration : MCC)의 결정은 microplate를 이용하였다. 7일간 관찰 후, 탈낭하지 않는 가시아메바 포낭은 사멸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Chlorhexidine 및 PHMB의 MCC를 결정하기 위해 8시간 및 48시간 처리 실험을 분리하여 시행하였다. 결과 : 시판 소독액 중 chlorhexidine과 thimerosal를 함유하는 용액 C만이 가시아메바 포낭에 대한 살충효과가 있었고, 나머지 3종의 소독액은 살충효과가 없었다. 0.02% PHMB로 4시간 이상 처리한 가시아메바 포낭은 충주에 관계없이 사멸되었다. Chlorhexidine 과 PHMB, 두 약제 모두 8시간 처리 MCC가 48시간 처리 MCC보다 다소 높았다. PHMB에 대한 감수성은 가시아메바 충주에 따라 차이가 격심하였다. 결론 : 3종 가시아메바 포낭에 대한 PHMB의 MCC (0.29∼9.38㎍/㎖)가 chlorhexidine의 그것(2.73∼18.75㎍/㎖)보다 낮아 PHMB는 아메바성 각막염의 치료제 및 콘택트렌즈 소독제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화학소독액에 PHMB를 10㎍/㎖ 첨가하는 것이 요망된다. In order to evaluate the cysticidal effects of contact lens disinfectants and polyhexamethylene biguanide(PHMB) against 3 clinical isolates of Acanthamoeba. in vitro cysticidal assay was performed on agar plates covered with heat-inactivated Escherichia coli. Three clinical isolates of Acanthamoeba were A. castellanii Ma strain. A. polyphaga Nagington strain, and A. lugdunensis KA/LI strain. After treatment of Acanthamoeba cysts with the disinfectants or PHMB, the cysts were cultivated for 7 or more days. Cysts which were not excysted in 7 days after treatment were recognized killed. Among commercial disinfectants, the solution C. which contains chlorhexidine and thimerosal. was the only one with cysticidal effects on Acanthamoeba cysts. PHMB of 0.02% concentration was also cysticidal. Sensitivity to PHMB varied profoundly from isolate to isolate. Minimal cysticidal concentration (MCC) of chorhexidine and PHMB were determined by cultivation of cysts treated for 8 or 48 hours with serially diluted chlorhexidine and PHMB in wells of a 96-well microplate containing axenic culture media for amoebae. MCC of 48-hour treatment with both chemicals was lower than that of 8-hour treatment. MCC of PHMB against amoebic cysts was lower than that of chlorhexidine. In the light of these results. PHMB could be a contact lens disinfectant as well as a chemotherapeutic agent of amoebic keratitis.

      • 토양환경지도 자료를 이용한 콩밭 토양의 화학성 비교

        박지숙,이민진,정재원,김미혜,이서연,지윤미,한준호,김유학,공명석,한광현,노희명 忠北大學校 農業科學硏究所 2015 農業科學硏究 Vol.31 No.2

        It is important to interpret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in order to effectively manage the farmla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of upland soybean field according to the soil series at 32 upland fields located in the parts of Gangwon-do. Soil sampling sites were selected by using the National Statistics DB and KSIS DB that is a soil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provid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0~15 cm of top soil before seeding or transplanting, air-dried, passed through a 2 mm sieve, and analyzed for soil pH, EC, organic matter, available phosphorus (P2O5), exchangeable potassium, exchangeable calcium and exchangeable magnesium. The average chemical properties have exceeded the each nutrient optimum range level of RDA, except the organic matter in experimental soil 2015. And despite application of conventional fertilization, each soil series nutrient contents were change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nventional fertilization should be applied based on the analysis about the amount of accumulated nutrient contents in the soil.

      • SCIEKCI등재

        Changes in the Composition and Microbial Community of the Pepper Rhizosphere in Field with Bacterial Wilt Disease

        Hyun Gi Kong(Hyun Gi Kong),Mee Kyung Sang(Mee Kyung Sang),Ju Hee An(Ju Hee An),Songhwa Kim(Songhwa Kim),Yong Ju Jin(Yong Ju Jin),Jaekyeong Song(Jaekyeong Song) 한국식물병리학회 2022 Plant Pathology Journal Vol.38 No.6

        Bacterial wilt caused by Ralstonia solanacearum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harmful diseases of pepper plants. Recently, research on plant disease control through the rhizosphere microbiome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with disease occurrence between the neighboring plant confirmed by analyzing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rhizosphere soil and changes in the microbial community.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microbial community changes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organic matters, P2O5, and clay in the soil. Despit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icrobial communities according to soil composition, Actinobacteriota at the phylum level was higher in healthy plant rhizosphere (mean of relative abundance, D: 8.05 ± 1.13; H: 10.06 ± 1.59).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tinobacteriota may be associated with bacterial wilt disease. In this study, we present basic information for constructing of healthy soil in the future by presenting the major microbial groups that can suppress bacterial wil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