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아침 식사시간의 다른 사람들에서 혈장 그렐린의 변화

        이상엽,김윤진,김형회,손한철,전태용,심문섭 대한비만학회 2002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1 No.2

        연구배경 : 최근 식욕조절인자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그렐린(ghrelin)은 식사 전후로 독한 일중변동을 보인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실험적으로 일정한 열량의 표준 음식을 일정한 식사시간에 공급한 이후 그렐린의 농도 변화를 관찰하였다. 저자 등은 평소 아침 식사시간이 각기 다른 사람들에서 아침 식사 전후의 혈장 그렐린 농도 변화를 관찰하여 향후 외래 환경에서도 그렐린 관련 연구가 가능하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 연구에 대한 설명을 듣고 동의한 23.4 ~ 35.5세 사이의 비교적 건강한 동양인 남자 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체 계측을 한 후 이중 에너지 방사선 측정법 (Lunar prodigy, GE medical systems, Waukesha, Wisconsis, USA, 이하 DEXA)으로 체지방을 측정하였다. 연구 대상자 모두 평소 아침 식사시간이 일정하였지만 연구 시작 2주전부터 아침 식사시간을 엄격히 고정하도록 하였다. 스트레스가 없는 상태에서 아침 식사를 하지 않는 지원자는 오전 6시 30분부터, 나머지는 아침식사 시간 1시간 전부터 1시간 간격으로 점심 식사 전인 오전 11시 30분까지 채혈하였다. 각각의 검체로 부터 혈장 그렐린은 상업적인 방사선면역측정법 (Phoenix Pharmaceuticals, Inc., Belmont, CA)으로 측정되었다. 랩틴은 Ⅰ-125 표지 랩틴을 이용한 이중항체 방사선면역측정법으로, 혈장 인슐린은 항체 부착관을 이용한 방사선면역측정법으로, 혈당은 포도당산화 효소법에 의해 Synchron LX 20 (Beckman Coulter, Inc, Fullerton, USA)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 연구 대상자의 체질량지수는 22.9 ~ 27.1 kg/㎡이었고, 허리둘레는 80.3 ~ 93.3 cm이었다. DEXA로 측정한 결과 전체 체지방과 체부지방 비율은 각각 27.1 ~ 31.8%와 32.7 ~ 32.4%이었다. 아침 식사를 하지 않는 자를 제외한 나머지 연구 대상자의 아침 식사 직전의 식후 2시간의 혈장 그렐린 농도는 각각 113.0 ~ 800.0 pg/mL, 78.3 ~ 553.0 pg/mL이었고 랩틴 농도는 각각 4.9 ~ 5.1 ng/mL, 4.4 ~ 4.7 ng/mL 이었다. 혈장 그렐린 랩틴 농도는 아침 식사 직전에 비해 식사 2시간 후 각각 7.2 ~ 30.9%와 7.8 ~ 10.2%감소되었다.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 대상자의 경우 인슐린과 혈당치가 변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혈장 그렐린 농도는 오전 7시 30분에 가장 낮았다. 그 외 연구 대상자에서는 각기 다른 시간이더라도 아침 식사 2시간 후의 혈장 그렐린 농도가 가장 낮았다. 결론 : 평소 아침 식사시간이 다른 사람들에게서 혈장 그렐린 농도는 각기 다른 아침 식사 2 시간 후에 가장 낮았다. 아침 식사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혈장 그렐린 농도가 오전 7시 30분에 가장 낮았다. Background : Recently, the particular interest is on ghrelin, the dietary control factor among many scientists and it a toxic diurnal variations has been demonstrated before and after meal. However, the experimental approach has been only to see the changes in the concentration of ghrelin after intake of meals standardized with fixed calories at scheduled meal hours. the authors of this particular experiment have tried to observe and record the changes in concentrations of plasma ghrelin of persons with different breakfast hours. This might help in providing a basis for further possible studies in outpatient setting. Method : A group of four relatively healthy males whose ages between 23.4 and 35.5 with prior agreement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fter body measurements, body lipid status was measured based on Lunar prodigy (GE medical systems, Waukesha, Wisconsin, USA) which is also referred to as DEXA. All of the selected persons had somewhat fixed breakfast time; however, they were asked to strictly keep their breakfast time fixed and steady starting two weeks before the beginning of experiment. The bloods of those who skip their breakfast without any particular stress were sampled at 6:30 AM, whereas the rest had different schedule, whose bloods were sampled every hour starting 1 hour before the first meal of the day till just before lunch (11:30 Am). From each blood sample, the level of plasma ghrelin was measured using the commercial radioimmune assay (Phoenix Pharmaceuticals, Inc., Belmont, CA). Leptin was measured with double antibody radioimmune assay using Ⅰ-125 labelled leptin, plasma insulin with radioimmune assay using antibody attachment tube, and blood sugar with Synchron LX20 (Beckman Coulter, Inc, Fullerton, USA) using glucosylation enzyme method. Result : The body mass index of the volunteers was 22.9 ~ 27.1 kg/㎡, with 80.3 ~ 93.3 cm waist circumference. Based on measurements by DEXA, the rates of total body lipid and trunk lipid were each 27.1 ~ 31.8% and 32.7 ~ 32.4%,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plasma ghrelin of those who consume their breakfast before and 2 hour after their breakfast are 113.0 ~ 800.0 pg/mL and 78.3 ~ 553.0 pg/mL. The concentrations of leptin are 4.9 ~ 5.1 ng/mL and 4.4 ~ 4.7 ng/mL. Compared to the concentration of plasma ghrelin and of leptin recorded just before breakfast, it showed 7.2 ~ 30.9% and 7.8 ~ 10.2% decrease, respectively, 2 hours after breakfast. For those who skip their breakfast, the plasma concentration of ghrelin was recorded the lowest at 7:30 AM, even though there was no change in insulin and blood sugar. The rest of the subjects had their lowest plasma ghrelin concentration at 2 hours after breakfast, despite their different meal schedule. Conclusion : The persons with different breakfast hours had their lowest plasma concentration of ghrelin at 2 hours after breakfast. In contrast, the persons who skip their breakfast had their lowest concentration at 7: 30 AM.

      • 在庫管理를 위한 資材所要計劃技法 (MRP) 活用에 관한 硏究

        李漢燮 大田大學校 1983 論文集 Vol.2 No.1

        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 MRP ) is probably the most rapidly growing system area in operations today. The term “Inventory” indicates a static state at a certain point in the systemetic areas of production and marketing. In the light of that type of plan,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s of average inventory, present existing techniques of inventory management must prepare a way to minimize the inventory costs by diminishing the trends for surplus inventory and for inventory defici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signed simply to provide a necessary input into emerging businesses and entrepreneur to enhance the value of marketing and inventory practices. The models in this study can decide the planned lead time through the simulation.

      • 조, 기장, 수수의 지방질과 지방산 조성

        소한섭,이삼빈,하영득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2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12 No.2

        Fatty acid compositions of Setaria italica, Panicum miliaceum and Sorghum bicolor were determined with total lipids extracted. Total lipid content of Setaria italica, Panicum miliaceum and Sorghum bicolor were 3.9%(w/w). 2.7%(w/w) and 2.3%(w/w), respectively. Total lipids were fractionated into neutral lipids, glycolipids and phospholipids by the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 Neutral lipids were the most abundant component. Among fatty acids separated by GC, linoleic acid was determined as a major fraction in Setaria italica, Panicum miliaceum and Sorghum bicolor. Palmitic acid and oleic acid were also separated as second major components. In Setaria italica, behenic acid was separated from the phospholipid fraction and myristic acid from the neutral lipid fraction. Linolenic acid was not detected in all the samples.

      • 온도, 광, 이산화탄소에 따른 참외 광합성 변화

        김진현(Jin Hyun Kim),이중섭(Jung Sup Lee),서태철(Tae Cheol Seo),이재한(Jae Han Lee),방지웅(Ji Woong Bang) 한국원예학회 2021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Vol.2021 No.10

        본 연구는 참외의 생리활성 및 생산량 예측을 위한 환경 요인에 따른 참외의 광합성 동화량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측정 잎은 생장점으로부터 5마디 아래의 완전 전개되고 건전한 잎을 선정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 환경은 온도 20°C에서 40°C까지 5°C 간격으로 5지점, 이산화탄소는 0 ~ 1,600ppm 범위에서 200ppm간격으로 9지점, 챔버 내 광량은 400, 1,200μmol·m<SUP>-2</SUP>·s<SUP>-1</SUP> 2지점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청명일 오전 10:00 ~ 12:00, 13:00~15:00시 사이에 실시하였으며 각 3회 반복한 측정값이 평균을 사용하였다. 광의 세기가 1,200μmol·m<SUP>-2</SUP>·s<SUP>-1</SUP> 일 때, 광합성동화량은 20°C에서 최젓값(21.37μmol·m<SUP>-2</SUP>·s<SUP>-1</SUP>), 35°C에서 최댓값(45.31μmol·m<SUP>-2</SUP>·s<SUP>-1</SUP>)을 보였다. 최대 광합성동화량은 20, 25, 30, 35°C 순으로 증가하다가 40°C에서 감소하였으며, 이 때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이는 △23.93μmol·m<SUP>-2</SUP>·s<SUP>-1</SUP>였다. 이산화탄소 포화점은 20, 25°C에서는 900~1,000ppm사이, 30°C 이상 일 때는 700 ~ 800ppm사이로 나타났다. 이에 반하여 챔버 내부의 광이 400μmol·m-2·s-1 일 때는 40°C에서 최젓값(16.32μmol·m<SUP>-2</SUP>·s<SUP>-1</SUP>), 30°C에서 최댓값(21.49μmol·m<SUP>-2</SUP>·s<SUP>-1</SUP>)을 보였으며, 이 때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이는 △5.16μmol·m<SUP>-2</SUP>·s<SUP>-1</SUP>였다. 최대 광합성동화량은 500 ~ 600ppm 사이로 관측되었으며, 이후 CO₂농도 증가에 따른 감소는 보이지 않았다. 참외는 30 ~ 35°C 사이에서 광합성 최댓값을 보이며, 광이 약하고 온도가 높을 경우 식물의 광합성 동화가 저해되나 충분한 광 조건이 형성되면 광합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폐쇄형 식물생산시스템에서 광도, 수확 전 양액조성 및 양액결제시기가 잎상추의 체내 질산염 함량에 미치는 영향

        여경환(Kyung-Hwan Yeo),최경이(Gyeong-Lee Choi),이중섭(Jung-Sup Lee),이재한(Jae-Han Lee),박경섭(Kyoung-Sub Park),김진현(Jin-Hyun Kim)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7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6 No.4

        쌈채소 수경재배 시 문제가 되는 체내 질산염 함량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해 폐쇄형 생산시스템에서 1) 저광도(100μmol·m<SUP>-2</SUP>·s<SUP>-1</SUP>내외) 조건에서의 수확 7일 전 양액조성 방법과 2) 질산염 저감을 위한 적정 광도 및 수확 전 적정 양액결제시기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청치마상추에서 수확 7일 전 양액조성 방법 중 양액결제(양액공급 중단) 처리와 양액내 질소 공급원으로 탄산암모늄[(NH₄)₂CO₃]을 사용한 처리는 처리기간 동안 체내 질산염 함량을 감소시켰으나, 생체중, 엽면적 등의 생육량도 감소되었다. 하지만 100μmol·m<SUP>-2</SUP>·s<SUP>-1</SUP>조건에서 수확 7일전 양액내 NO₃-N 비료를 결제하여 조성하거나 배양액 농도를 1/2배액으로 낮추어 공급함으로써 외적품질 및 생육량의 저하없이 질산염 함량은 감소되었다. 또한 수확 전 양액결제시기 및 적정 광도를 구명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한 결과, 100, 200, 및 300μmol·m<SUP>-2</SUP>·s<SUP>-1</SUP>의 3수준의 광조건 모두 수확 7일 전 양액결제시에 체내 질산염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300μmol·m<SUP>-2</SUP>·s<SUP>-1</SUP>의 광도와 수확 7일 전 양액결제 처리시 식물체내 질산염의 빠른 저감효과를 볼 수 있었으나 생육량의 감소를 가져왔다. 수확 3일 전 양액결제 처리에 의해 300μmol·m<SUP>-2</SUP>·s<SUP>-1</SUP> 광도에서 체내 질산염 함량은 2,021ppm에서 480ppm로, 200μmol·m<SUP>-2</SUP>·s<SUP>-1</SUP> 광도에서 3,018ppm에서 1,035ppm로 감소되었으며, 외적 품질의 저하 없이 생육량이 높으면서 동시에 짧은 시간 동안 식물체내 질산염의 저감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수확 7일 전 양액결제 처리는 체내 질산염의 저감효과가 컸던 반면 엽중, 엽면적등의 생육 감소를 가져왔는데, 200과 300μmol·m<SUP>-2</SUP>·s<SUP>-1</SUP>의 광조건에서 수확7일 전 양액결제시 수확 3일 전 양액결제보다 엽중은 20~35%, 엽면적은 16~31%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광도 및 양액결제시기에 따른 비타민 C 함량을 분석한 결과 100, 200보다 300μmol·m<SUP>-2</SUP>·s<SUP>-1</SUP> 에서 수확 3일과 5일전 양액결제 처리시 비타민 C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e nitrate (NO₃-) accumulation of hydroponically grown leafy vegetables may increase in the condition of a closed-type plant production system with low light intensity due to low activity of enzymes involved in nitrogen assimilation and the use of NO₃-N as major nitrogen sour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ght intensities, nutrient solution compositions and the time of nutrient solution removal before harvest on nitrate contents of hydroponically-grown lettuces in a closed plant production system. The reduction of nitrate contents in leafy lettuces ‘Cheongchima’ was higher in the treatments of ‘TW’ (nutrient solution removal) and ‘(NH₄)₂CO₃’ (use of ammonium carbonate as nitrogen source) than those in other treatments, which significantly lowered fresh weight and leaf area of the plants. In the light intensity of 100 μmol·m<SUP>-2</SUP>·s<SUP>-1</SUP>, the nitrate content was effectively reduced without causing any growth retardation, by substitution of the nutrient solution composition that NO₃-N was removed (‘NO₃-N removal’ treatment) or the half strength of standard nutrient solution was applied (‘1/2 S’ treatment), for 7days before harvest. The effects of light intensity and the time of nutrient solution removal before harvest on growth and nitrate contents in leafy lettuces were investigated. The nitrate contents in leaves under the light condition of 300 μmol·m<SUP>-2</SUP>·s<SUP>-1</SUP> before nutrient solution removal were lower than those of 100 or 200 μmol·m<SUP>-2</SUP>·s<SUP>-1</SUP>. The removal of nutrient solution for 7 days before harvest quickly reduced the amount of nitrates in leaves in all the light intensities with a greater degree under the 300 μmol·m<SUP>-2</SUP>·s<SUP>-1</SUP> of light condition, while the 7 days-removal with both 200 and 300 μmol·m<SUP>-2</SUP>·s<SUP>-1</SUP> of light conditions caused decrease in 16~31% of leaf area and 20~35% of fresh weight, compared to the 3 days-removal treatment. The nitrate contents were greatly reduced from 3,018 to 1,035 in 200 μmol·m<SUP>-2</SUP>·s<SUP>-1</SUP>, and 2,021 to 480 ppm in the light condition of 300 μmol·m<SUP>-2</SUP>·s<SUP>-1</SUP>, with the nutrient solution removal for 3 days before harvest, without causing any deterioration in growth and product quality. The vitamin C contents in leaves were higher in the treatment of nutrient solution removal for both 3 and 5 days before harvest with the light condition of 300 μmol·m<SUP>-2</SUP>·s<SUP>-1</SUP> than those in the light condition of 100 or 200 μmol·m<SUP>-2</SUP>·s<SUP>-1</SUP>.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방사성 요오드 저항성 갑상선암에서 수술적 치료의 역할

        서수한<SUP>1<.SUP>,이정훈<SUP>2<.SUP>,소의영<SUP>2<.SUP>,Su Han Seo<SUP>1<.SUP>,Jung Hun Lee<SUP>2<.SUP> and Euy Young Soh<SUP>2<.SUP> 대한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 2013 The Koreran journal of Endocrine Surgery Vol.13 No.1

        Most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of follicular cell origin) are successfully managed with a combination of surgery, radioactive iodine (<SUP>131</SUP>I-RAI), and suppression of thyroid-stimulating hormone with thyroid hormone replacement, obtaining survival rates approaching 90% at 20 years. Although the prognosis of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DTC) is favorable, recurrence occurs in up to 30% patients. In addition, many patients with recurrent or metastatic disease, as well as those with less differentiated tumors, will have a much poorer prognosis and lose their ability to concentrate functional iodine and are therefore not targeted by <SUP>131</SUP>I-RAI therapy. There are many treatment options but no definitive treatment for radioiodine refractory thyroid cancer. This paper will discuss the roles of surgical treatment for patients with radioiodine refractory thyroid canc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