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2세 영아의 생태근린공원 숲 산책놀이 경험의 교육적 의미 탐색

        박은실(Park Eunsil),박희숙(Park Hee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7

        목적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상황에서 실시한 만2세 영아의 생태근린공원 숲 산책놀이의 경험과 교육적 의미를 탐구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P어린이집 만2세반 영아들의 숲 산책놀이에서 나타난 영아의 경험 내용과 교육적 의미를 현상학적 질적 연구로 탐구하였다. 결과 생태근린공원 숲 산책놀이에서의 영아의 경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감으로 느끼고 표현해보기, 둘째, 도전과 모험으로 즐거움 경험하기 셋째, 고대하며 기다리는 해방감 체험하기 넷째, 자연물과 자연현상에 관심가지기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근린공원 숲 산책놀이 경험의 교육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의 경험과 연결하고 확장하기 둘째, 사회적 관계 맺기 셋째, 능동적이고 주도적으로 탐색하기로 나타났다. 결론 영아들이 숲 산책놀이를 통해 즐거움과 해방감을 느끼며 자연과 인간애 대한 긍정적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난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첫째, 교사는 영아를 숲 산책놀이의 공동구성자로 인식하고 영아의 역할을 존중하며 배움을 지원할 수 있는 전문성을 키워나가야 한다. 둘째, 숲 산책놀이는 실내놀이와 연계하여 영아의 흥미가 지속되도록 지원해야 한다. 셋째, 영아의 안전을 확보하고 호기심을 지원하는 숲 산책놀이를 위해 부모와 지역사회의 자원을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and educational meaning of a walking play in the forest of an ecological neighborhood park for a 2-years-old children in a social distancing situation due to COVID-19. Methods This study phenomenologically explored the contents and educational meaning of the infants s experiences in the forest walking play of 2-years-old class at the P daycare center. Results The contents of the experiences of infants in the forest walking play in the ecological neighborhood park are as follows. First, feeling and expressing with the five senses, second, connecting and expanding the infant s experiences. third, Wanting forest walking play and liberation, fourth, experiencing interest in natural objects and natural phenomena.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walking play in the forest in the ecological neighborhood park is as follows. First, using prior experiences and knowledge, second, forming social relationships, third, active and proactive exploration.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proposed. First, teachers should recognize infants as co-constructors of forest walking play, respect the role of infants, and develop expertise to support learning. Second, forest walking play should be linked to indoor play to support continued interest. Third,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utilize the resources of parents and communities for forest walking games that support the safety and curiosity of infants.

      • Social Representation of English Test, English Score, English Teacher and English Class among Korean Elementary Students

        Eunsil Park,Youngshin Park,Jihyeon An 인하대학교 다문화융합연구소 2016 다문화와 교육 Vol.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social representation of English test, English score, English teacher and English class among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total of 497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le=251, female=246) completed an open-end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Park (201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social representation of English test, majority listed Easy, followed by Dislike, English study and Difficulty. Whereas majority of students who marked highest and high scores listed Easy, many of the students who scored mid-to-low scores listed Dislike. Second, as for English score, majority listed Good (61.5%), followed by Burdened and Average. Third, as for English teacher, Like listed the highest, followed by Dislike, Teach, Average, and English class. Majority of female students and students with highest scores responded Like, whereas majority of male and students with mid-to-low scores listed Dislike, Fourth, as for the social representation of English class, Interesting listed the highest followed by Diverse teaching method, Like and Boring, Majority of students with the highest scores responded Interesting, whereas majority of students with mid-to-low scores listed Dislike.

      • KCI등재
      • KCI등재

        또래비계 리코더 수업이 초등학생의 수업만족도와 음악지능,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박은실(Park Eunsil)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1 음악교육공학 Vol.- No.48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또래비계를 활용하여 리코더 수업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음악수업만족도, 음악지능, 자아존중감 검사를 통하여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질집단으로 또래비계 모둠을 편성하였고 비계 제공자 역할을 번갈아 하며 비계촉진카드를 활용하여 연습을 이끌었다. 8주 동안 16차시 수업을 진행하였고, 검사 결과를 좀 더 심층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음악수업만족도, 음악지능, 자아존중감 모두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앞으로 또래비계와 같은 학습공동체와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a recorder class was conducted using peer scaffolding method with 3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during 8 weeks, 16 claases. The effects of peer scaffolding were verified by the satisfaction of music learning, musical intelligence, and self-esteem tests at pre-post test design. This study organized a group of peers as a heterogeneous group. Students took turns serving as scaffold providers, and led the practice using scaffold promotion card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peer scaffolding in more 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s results of this study, the satisfaction of music learning, musical intelligence, and self-esteem tes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than pre test. These results were also confirmed through the interviews. As follow-up studies, in-depth qualitative research on peer scaffolding, peer activities in non-face-to-face learning situations, and learning community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 KCI등재

        안전 픽토그램의 친숙도 분석을 통한 재활현장에서의 함의

        박은실 ( Eunsil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안전 픽토그램의 친숙도 분석을 통해 일상생활 전반에서 접할 수 있는 픽토그램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재활현장에서 우선적으로 사용되어야 할 픽토그램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안전 픽토그램의 친숙도를 살펴보기 위해 한국산업규격으로 제정되어 있는 픽토그램을 사용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강제행동, 경고, 금지, 비상상황ㆍ대피로, 소방장비 픽토그램의 친숙도를 살펴보았다. 첫째, 강제행동, 경고, 금지, 비상상황ㆍ대피로, 소방장비 등 안전 픽토그램 범주 내에서 개별 픽토그램의 친숙도 결과를 제시하였다. 둘째, 응답자의 69.7%가 안전 픽토그램 범주 중에서 금지 픽토그램이 가장 친숙하다고 응답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픽토그램 연구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 시 친숙도가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마지막으로 친숙도와 함께 픽토그램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정확히 이해하는 정도를 살펴봄으로써 독립적이고 안전한 일상생활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픽토그램 연구와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This study analyzed a familiarity of safety pictograms in college students. Through this, we aim to raise awareness of safety pictograms available throughout daily life,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pictogram that should be used preferentially in rehabilitation sites. In order to examine the familiarity of safety pictograms (e.g., forced actions, warnings, prohibitions, emergency situations/evacuation routes, and firefighing equipment pictograms), a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using pictograms established by Korean Industrial Standards. First, We presented the familiarity results of individual pictograms within the safety pictograms categories such as forced actions, warnings, prohibitions, emergency situationsㆍevacuation routes, and firefighing equipment pictograms. Second, 69.7% of respondents said that prohibitions pictograms are the most familiar among safety pictogram categories. Based on the results, it suggests that familiarity should be considered pictogram research and intervention program development in the future. Finally, we hope that research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pictograms that can practically help independent and safe daily life will continue to be developed by looking at the degree to which they understand exactly what the pictograms mean in addition to familiarit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시설관련 픽토그램의 친숙도에 관한 연구

        박은실 ( Eunsil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시설과 관련된 픽토그램의 친숙도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픽토그램을 이해하고, 의사소통 장애인들의 언어재활 시 우선적으로 사용되어야 할 픽토그램이 무엇인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산업규격으로 제정되어 있는 픽토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시설과 관련된 픽토그램 범주의 친숙도와 픽토그램 범주 내에서 각각 픽토그램의 친숙도를 살펴보았다. 시설과 관련된 픽토그램 범주 중에서 공공시설 픽토그램의 친숙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공공시설, 공공행위, 관광·문화유산, 교통시설, 상업시설, 스포츠 활동 등 6개 범주 내에서 각각 픽토그램의 친숙도를 연구결과에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추후 픽토그램을 활용한 언어재활 시에 다른 범주보다도 공공시설 픽토그램을 먼저 지도하거나 보다 더 많이 포함되어야 하며 픽토그램의 친숙도를 고려하여 지도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마지막으로 언어재활 시 픽토그램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의사소통 장애인들의 독립적인 사회생활 및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픽토그램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miliarity of pictograms related to facilitie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ictograms and to suggest the pictograms that should be used firstly in the language rehabilitation of persons with communication disabilities. We used the pictograms that were established as Korea Industrial Standards (KS). We also examined the familiarity of pictogram categories related to facilities and the familiarity of pictograms within pictogram categories. Public facility pictograms showed the highest familiarity. The familiarity of pictograms in six categories (public facilities, public works, tourism and cultural heritage, transportation facilities, commercial facilities, and sports activities) were presented in the study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lead the public facility pictograms ahead of other categories in language rehabilitation using pictograms.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be guided by the familiarity of pictograms. Finally, we hope to continue to study the pictogram program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pictograms in language rehabilitation and to improve the independent social life and communication ability of communication disabled people.

      • KCI등재

        코다이 교수법을 적용한 체계적 음악학습이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음악적성, 음악 문해력, 음높이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박은실 ( Park Eunsil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0 예술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코다이 교수법을 적용한 것이다. 준비-제시-연습의 코다이 교수 과정에 기초한 프로그램을 29명의 1학년 학생들에게 세 달 동안 6개 주제, 24차시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전후에 동일한 조건으로 음악적성검사(고든의 PMMA), 음악 문해력 검사(악보 그리기, 악보 읽기), 음높이 정확도 검사(SVDM)를 실시하였고, SPSS v.20에서 대응표본 t 검증과 피어슨 상관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코다이 교수법이 각각의 능력에 어떤 영향을 주었고, 각 검사들 간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학생들의 학습지와 음악 문해력 검사결과(악보 그리기)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음악 문해력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음악적성(음감)과 음악 문해력(악보 그리기)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각 검사들 간의 상관분석에서는 음악적성(음감)과 음악 문해력(악보 읽기), 음악적성(음감)과 음높이 정확도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체계적인 학교 음악교육이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pplied the Kodaly teaching method to first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e program based on the Kodaly teaching course of preparation-presentation-practice was conducted to 29 first-year students in six topics, 24 hours a week for three month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music aptitude test (Gordon's PMMA), music literacy test (drawing music, reading music), and Singing Voice Development Measure (SVDM) were conducted under the same conditio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After this search, we investigated how the Kodaly teaching method influenced each ability and how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each test. In addition, we analyzed how the students 'musical literacy changed by analyzing the students' handouts and the results of the musical literacy test (drawing music). As a result, students' musical aptitude (tonal) and music literacy (drawing music)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nd i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ach test, musical aptitude (tonal) and music literacy (reading music), music aptitude (tonal) and SVDM was significant correlations. These results show that systematic school music education is effective for first grade students.

      • KCI우수등재

        음악교육 국제학술지를 중심으로 살펴본 발달연구 동향

        박은실(Eunsil Park) 한국음악교육학회 2021 음악교육연구 Vol.50 No.3

        본 연구는 2011~2020년 동안 음악교육 관련 국제 학술지에 실린 발달 연구 논문을 분석한 것이다. 학술지는 JRME, CRME, IJME, POM을 그 대상으로 하였고, 분석 범주는 학술지별논문 수,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로 정하였다. 연구 결과, 학술지별 발달 논문의 비율은JRME가 가장 높았다. 초등학생과 대학전공자,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논문이 많았고, 유아부터중고등학생까지와 대학생부터 성인까지의 비중이 비숫하여 골고루 발달연구의 대상이 됨을 알수 있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실험연구, 조사연구가 가장 많았고, 질적연구와 사례연구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연구주제별로는 문화적, 환경적 영향에 대한 연구, 연주기술에 대한 연구가활발하게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developmental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international music education journals from 2011 to 2020. The journal were JRME, CRME, IJME, and POM, and the analysis categories were the number of papers by journal, research participants,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them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JRME had the highest ratio of developmental papers by journal. There were many papers targe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college music major students, and infants. Experimental studies and survey studies were the most common research methods, and qualitative studies and case studies were also many conducted. In the research theme, it was found that research about cultural, environmental effects and performance skill were actively cond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