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자기신뢰도를 갖는 스마트 센서

        조준기,이민호,반상우,성정훈,이덕동 경북대학교 센서기술연구소 1998 센서技術學術大會論文集 Vol.9 No.1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smart sensor scheme using neural networks. The proposed smart sensor automatically generates not only an averaged output of a sensor but also the reliability of the outputs that have an ambiguity. We demonstr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using computer generated data and experimental data obtained from gas sensor.

      • 주 5일 근무제에 따른 직장여성들의 여가활용 및 여가제약에 관한 연구 : 은행원을 중심으로 With the Staff of a Bank as the Central Figure

        김기범,이상덕,임영삼 한국스포츠리서치 2004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5 No.3

        This research has purpose to examine closely leisure activities and leisure restriction that they include as working women work 5-days in a week and they do not work 5-days in a weep We could get conclusion like this result after analysis. First, working women, who work 5-days in a week and they who don't work 5-days, have similar difference with the actual condition on leisure application, preferring items of sports, limited surroundings elements, At the same time, non-operation group recognize with negative than operation group, Moreover in their leisure application, related to limited surroundings elements, they have similar difference from 5-day working women to no 5-day working women with as they marry or not. Second, it shows that 5-days working women have similar difference in no 5-days working women with physical activity, social activity and time away with their family, Collectively, it show that working women who they are under 30 age take pert in various leisure activity. Third, it shows that the 5-days working women graduated from university participate in most active outdoor action, besides, single women take pert in various leisure activity in leisure activity type, if I look into each income group, less than 2,000,000 won, the group scored high score with the actual condition on leisure application.

      • KCI등재
      • 低濃度 Al-Si系合金에 있어서의 Si 析出物의 粗大化 現象

        趙顯麒,李基大,崔德淳 慶北大學校 1981 論文集 Vol.31 No.-

        The coarsening behaviours of Si precipitates in dilute Al-Si alloys havs been investigated by means of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also determined the number density of Si precipitates and activation energy for the growth of precipitates. The mean radius of Si precipitates in dilute Al-Si alloys was proportional to (time)^(1/3) and this results agree with Lifshitz-Wagner theory for the diffusion controlled mechanism. The number density of Si precipitates was decreased monotonously with increasing of ageing time. Activation energies for the coarsening of Si precipitates in Al-0.8wt% Si alloy and Al-1.2wt%Si alloy were 33.44 Kcal/mol and 32.9 Kcal/mol respectively, which agreed with that of inter-diffusion.

      • KCI등재

        주정 의존 환자의 충동성 및 스트레스 내인력

        남궁기,이희상,전종호,현명호,천덕희,유계준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3

        충동성과 스트레스는 주정 의존의 원인, 증상 혹은 위험 요인이나 재발 요인으로서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이에 관한 연구가 없다. 따라서 만일 주정 의존의 원인 및 재발 요인으로 생각되는 충동성과 스트레스 내인력이 주정 의존 환자군과 대조군 사이에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난다면 주정 의존의 치료에 있어서도 충동성을 낮추고 스트레스 내인력을 증가시키는데 초점을 두는 새로운 사회 기술 훈련 방법 등을 고안 적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가 계획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주정 의존 환자군을 대상으로 하여 주정 의존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충동성의 경향이 유의하게 높을 것이고, 스트레스 내인력이 유의하게 떨어질 것이라는 가설을 검정하므로써, 주정 의존군과 대조군 사이에서 충동성과 스트레스 내인력에 어떤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9명의 주정 의존 환자군과 29명의 대조군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충동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충동성 척도(impulsivity scale)와 인식력 검사(Cognitrone 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충동성 척도 검사에서 주정 의존군은 전체 충동성 및 무계획 충동성과 운동 충동성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인식력 검사에서는 주정 의존군이 대조군에 비해 틀린 문항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는데(p<0.05) 이는 주정 의존군의 충동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운동 결정력 검사의 소검사-3에서 주정의존군이 대조군에 비해 시간 내에 반응한 옳은 반응의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적었으며(p<0.05), 이는 주정 의존군의 스트레스 내인력이 떨어짐을 시사한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주정 의존 환자가 정상인에 비해 충동성이 높고, 스트레스 내인력이 떨어진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들과 일치한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볼 때 주정 의존 환자의 치료와 예후의 판단 및 치료 효과의 평가에 충동성과 스트레스 내인력을 그 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make a comparison of the impulsivity and the stress tolerance between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alcoholic group) and control subjects(control group). The author examined 29 alcoholics and 29 control subjects by the impulsivity scale, Cognitrone test and Determination Unit test.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scores of IMPM(impulsivity-motor), IMPP(impulsivity-nonplanning) and IMP(impulsivity-total scor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lcoholic group than in control group(10.00±5.43 vs 6.38±4.84, t=2.56, d.f.=51, p<0.05 ; 15.22±6.68 vs 10.77±5.87, t=2.53, d.f.=51 p<0.05 ; 36.67±13.20 vs 27.12±11.73, t=2.78, d.f.=51, p<0.05). The number of incorrect responses(Incorrect) of the Cognitrone tes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lcoholic group than in control group(25.52±13.26 vs 17.83±7.30, t=2.47, d.f.=43.53, p<0.05 in Student t-test). The number of timely right responses of the Determination Unit test, subset-3 was significantly lower in alcoholic group than in control group(62.79±43.13 vs 90.79±52.02, t=-2.23, d.f.=56, p<0.05 in Student t-test). These results mean that the impulsivity is higher and the stress tolerance is lower in alcoholic group than in control group. With these results, the impulsivity and the stress tolerance in alcoholic patients can be used as indicator of their treatment efficacy and prognosis.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착유우 사료에 대한 Aspergillus oryzae 발효물질 첨가가 in vitro 건물, 섬유소 및 단백질 소화율과 발효액의 pH에 미치는 영향

        명윤아,박덕섭,이수기,박종수,김용국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02 농업과학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Aspergillus oryzae 배양물이 in vitro 건물, 섬유소 및 단백질 소화율과 pH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균종 Aspergillus oryzae는 한국 생명공학연구원에서 분양받았으며, 본 연구에 사용된 사료는 시중 유통중인 착유우용 배합사료와 TMR 사료로서, 일반성분 분석은 (주)우성사료 중앙실험실에서 실시하였고, 건물, 섬유소 및 단백질 소화율 실험은 충남대학교 실험실에서 실시하였다. 배합사료와 TMR에 Aspergillus oryzae 배양물 0, 1.0, 2.0 및 3.0%를 첨가한 후, Holstein종 착유우로부터 채취한 반추위액에 시료 2.0g 내외를 넣어 진탕배양기에서 24, 48 및 72시간 소화시켰다. 침전물에 0.2% pepsin이 들어있는 0.1N HCl 30ml를 넣고 39℃ incubator에서 48시간 소화시키고 나서, 마지막으로 침전물을 60℃의 건조기에서 48시간 건조시켰다. 실험은 3회 반복하여 실시하였다. 건물 소화율은 Aspergillus oryzae 발효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24시간 배양시킨 배합사료의 경우 2.1%(63.1%), 9.7%(68.5%) 및 9.0%(68%) 개선되었고, TMR은 4.8%(60.0%), 6.4%(61.1%) 및 2.9%(58.8%)의 개선효과가 있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48시간 및 72시간 배양시킨 시험구의 건물 소화율에 Aspergillus oryzae 배양물이 미치는 영향은 24시간 배양시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섬유소에서 소화율에서 Aspergillus oryzae가 조섬유, ADF 및 NDF 소화율을 유의적으로 개선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배합사료에서 3% 첨가구의 경우 24시간 배양시 13.3%(53.3), 72시간 배양시 2.4%(54.6%)까지 증가되었다. 하지만, 첨가수준에 따라 소화율이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첨가수준별 개선효과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단백질 소화율은 Aspergillus oryzae 배양물 첨가에 의해 배합사료에서 0.4%(79.7)에서 9.4%(71.8%)의 유의적인 개선효과를 나타내었지만, 2.0%와 3.0% 첨가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TMR의 경우에는 4.0%(70.4%)에서 6.3%(65.1%)의 유의적인 소화율 향상을 나타내었지만 2.0%와 3.0% 첨가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pH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Aspergillus oryzae 배양물 첨가에 따라 pH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므로 본 발효물은 pH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건물, 섬유소 및 단백질 소화율 향상에는 다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결론을 내릴 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Aspergillus oryzae fermentation culture on the in vitro digestibilities of dry matter, crude fiber, acid detergent fiber (AD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crude protein and pH in vitro experiment of diets for dairy cows. A fungal species, Aspergillus oryzae was supplied by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Daejeon, Korea (KCTC 1229). The experimental diets were commercial compound feed(concentrate) and total mixed ration (TMR) for lactating cows, of which chemical analyses were determined at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Woosung Feed Co.. Ltd.. while the digestibilities were done at the laboratory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spergillus oryzae culture products were added to compound feed and TMR at the rate 0, 1.0. 2.0, 3.0%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diet with the rumen fluid sampled from Holstein fresian milking cows were used and digested for 24 hrs, 48hrs and 72hrs in the shaking incubator. The residues of the digesta were digested for 48hrs in the incubator in which put 30㎖ of 0.1N HCI with 0.2% pepsin at 39℃. The final precipitates were dried for 48hrs in the drier at 60℃. These experimental procedures were triplicated to determine the in vitro digestibility of dry matter. crude fiber. ADF, NDF, crude protein and pH. Compared to control diet, not added Aspergillus oryzae, the DM digestibility of fungal diets were improved 2.1%(63.1%), 9.7%(68.5%) and 9.0%(68.0%) for 24 hour fermentation in compound feed while 4.8%(60.0%), 6.4%(61.1%) and 2.9%(58.8%) in TMR. On the contrary. for 48 hour and 72 hour digestibilities, the effects of Aspergillus oryzae culture on the digestibility of dry matter were relatively lowered compared to 24 hour digestibility. Referring to the digestibility of dietary fiber, Aspergillus oryzae was believed to significantly improve digestibilities of crude fiber, ADF and NDF. Those were increased up to 13.3%(53.3%) for 24 hour fermentation while 2.4%(54.6%) for 3.0% added for 72 hour fermentation in compound feed.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ant differences among the treatments for the inclusion rate of Aspergillus oryzae, even though the more inclusion rate, the better digestibility. The protein digestibilities were significantly unproved from 0.4%(79.7%) to 9.4%(71.8%) by adding Aspergillus oryzae into compound feed.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experimental diets. 2.0% and 3.0% Aspergillus oryzae included diets. In case of TMR, the protein digestibilities were significantly unproved from 4.0%(70.4%) to 6.3%(65.1%) by adding Aspergillus oryza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experimental diets, 2.0% and 3.0% Aspergillus oryzae included diets. In this stud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reatments in pH. On the contrary, there were slightly decrease in pH by adding Aspergillus oryzae into experimental diets but not significant.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examination, Aspergillus oryzae fermentation culture is believed to improve the digestibilities of dry matter, fiber and crude protein in cattle diets. However, more detailed research for the mechanism of the fungal culture is required to improve ruminal environment.

      • KCI등재

        pH순환 모델에서 과포화 용액의 초기 우식 법랑질에 대한 재광화 효과

        홍석진,김소라,이찬영,노병덕,금기연 대한치과보존학회 2001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26 No.4

        Dental caries is the most common oral disease. There are many factors contributing to its development. but complete understanding and prevention are not fully know. However, it is possible to remineralize the early enamel carious lesion by fluoride containing remineralization solution. Recently the pH-cycling model has been used to examine the effect of fluoride solution on remineralization of artificial caries in vitro as it can closely simulate the conditions encountered in vivo within a carefully controlled enviroment.

      • KCI등재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환아에서 주의력 과제와 관련된 대뇌의 기능적 국소화

        신동원,송동호,전덕인,남궁기,이만홍,이홍식,민성길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5

        연구목적 :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는 주의력에 결함이 있는 장애이다. 주의력에 주로 관여하는 부위는 전두엽과 두정엽으로서 이전 연구에서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환자의 전두엽과 두정엽의 이상에 대하여 보고되어 왔으나, 대부분 안정상태에서 정상인과 비교한 연구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환자가 주의를 요하는 과제를 실행하는 동안 활성화되는 뇌의 양상을 정량화 뇌파를 이용하여 파악하고, 활성화 양상에 있어 정상인과의 차이점을 확인해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환자의 주의력 결함과 관계된 뇌의 국소적 병태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환자의 주의력 결함과 관계된 뇌의 국소적 병태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의 치료제인 methylphenidate를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환자에게 투여하여 주의력 과제 중에 활성화되는 뇌 양상의 변화를 알아보고, 치료제가 주의력을 높이는 기전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하였다. 방 법 : 연구 대상자는 환자 20명, 정상인 20명으로 총 40명이었다. 두 군은 성별, 나이, 손잡이, 지능에 있어서 차이가 없도록 선발되었다. 정상인은 안정 상태와 주의력 과제를 실행하는 동안 정량화 뇌파를 측정하였다. 환자군은 methylphenidate를 투여한 상태와 투여하지 않은 상태에서 각각 안정 상태와 주의력 과제를 실행하는 동안 정량화 뇌파를 측정하였다. 결 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집중력 검사상, 정상대조군이 투약 전 환자군에 비해 목표자극에 대한 정반응 시간과 목표 자극에 대한 정반응 시간의 표준편차에 있어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여 집중력이 좋음을 알 수 있었다. 환자군은 누락 오류, 목표 자극에 대한 평균 정반응 시간, 표준편차에 있어 투약 전에 비해 투약 후에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얻어, 투약 후 집중력이 유의하게 호전됨을 확인하였다. 정상 대조군과 투약 후 환자군 사이에 집중력 검사상 차이는 없었다. 2) 안정상태에서 얻은 정량화 뇌파의 모든 파 영역에서 환자군은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뇌파의 전위가 증가해 있었다. 3) 정량화 뇌파의 delta 파 영역에서 뇌파를 분석한 결과, 정상 대조군의 경우, 주의력 과제 중에는 안정상태에 비하여 두정-후두엽 부위의 전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환자군에서는 주의력 과제 중에 유의하게 전위가 증가하는 부위가 없어, 국소화한 뇌 활성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4) Theta 파 영역에서, 정상 대조군의 경우, 주의력 과제 중에는 안정상태에 비해 우측 전두엽, 우측 측두엽, 양측 두정-후두엽 부위에서 전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환자군에서 투약하기 전에는 유의하게 증가하는 부위가 없었다. 환자군에서 투약 후에는 우측 전두엽, 우측 측두엽, 양측 두정-후두엽 부위에서 유의하게 전위가 증가해, 정상 대조군과 유사한 뇌활성도의 변화 양상을 보였다. 5) Alpha 파 영역에서, 정상 대조군의 경우, 주의력 과제 중에는 안정상태와 비교해 두정-후두엽 부위만이 유의하게 뇌파가 증가하는 반면, 투약하지 않은 환자군의 경우 광범위한 부위에서 유의하게 뇌파가 증가하여 뇌 활성 변화 부위가 국소화되지 않았다. 6) Beta 파 영역에서, 정상 대조군의 경우 안정상태에 비해 주의력 과제 중에는 좌측 전두엽과 Cz 부위만이 유의하게 전위가 증가하는 반면, 투약 하지 않은 환자군의 경우 거의 모든 뇌부위에서 전위가 유의하게 증가해 뇌의 활성 변화 부위가 국소화되지 않았다. 투약한 후에는 좌측 전두엽과 양측 측두엽의 뇌파가 유의하게 증가해 국소화한 뇌 활성 변화 양상을 보였다. 결 론 :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환자는 안정상태에서 정상인과 비교해 뇌파상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되어 있다. 정상인의 경우, 공간 자극에 관계된 주의력 과제 실행시 주로 전두엽과 두정-후두엽이 활성화되었으나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환자는 국소적인 뇌활성화에 실패하였다.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환자의 주의력 결함은 전두엽과 두정-후두엽 부위의 병태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 The attentional deficit is a core symptom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he major brain areas related to attention are frontal and parietal lobes. Abnormalities of frontal and parietal lobes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have been reported in previous researches. But, most of the researches are based on comparing patients and controls while they are in resting condition. Further research on functional changes related to performance of attentional task is needed to understand the attentional dysfunction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this study, the localized functional changes of the brains related to attentional task in pati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the differences of them between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were examined. Also the effect of the methylphenidate on functional changes related to attentional task in pati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was examined. Method :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QEEG) was applied to examine the fuctional changes related to attentional task.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0 pati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20 controls who were matched age, sex, handedness, intelligence. QEEG was recorded on eye open resting condition, and on performing computerized attentional task. In cases of patients, after taking of methylphenidate, QEEG was recorded on both conditions. Results : 1) In attention test, normal controls had better scores in response time and variabilities of response time than those of pati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without taking methylphenidate. After taking medication, scores of omission, response time and variabilities of response tim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ing to scores without taking medication. No differences were recognized between the controls and patients with taking medication in scores of attention test. 2) In resting condition, spectral EEG revealed baseline activity levels of patien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ing to those of controls. 3) Analysis of delta wave revealed that amplitudes of control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parieto-occipital area during performance of attentional task. But in patients, localized activated area related to attentional task was not remarkable. 4) Theta activity of control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right frontal, right temporal, and both parieto-occipital areas during performance of attentional task. But in patients without taking medication, localized activated area related to attentional work was not remarkable. After taking medication, right frontal, right temporal, and both parieto-occipital areas were significantly activated. 5) Alpha activities of contro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parieto-occipital area during performance of attentional task, but those of patient without taking medication were increased in broad area. 6) Beta activities of contro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frontal area during attentional performance, but those of patients without taking medicatio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most of the brain areas. After taking medic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activities related to attentional task were recognized in left frontal, and both temporal areas. Localized activated patterns similar to those of controls were recognized.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is suggested that pati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have increased baseline brain activity. In controls, brains showed localized response to a attentional stimuli, and functional changes related to attentional stimuli were recognized in frontal, and parieto-occipital areas. But, patients failed in showing appropriate localized activated response to attentional stimuli. It is concluded that frontal and parieto-occipital areas have some deficit responsible for the attentional dysfunction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