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 내방 돌봄서비스 시설 물리적 접근성 연구: 취약주거지를 중심으로

        유비 ( Ryou Bee ),김지민 ( Gim Jimi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2 사회복지연구 Vol.53 No.2

        코로나-19 확산과 지역사회 통합돌봄사업 본격화 속에 근래 취약계층의 돌봄서비스 중요성은 매우 크다. 이에 본 연구는 취약주거지 중심의 아동 돌봄서비스 시설 접근성을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범위 및 대상은 원도심과 신도심을 포함한 수도권 지자체인 인천광역시 아동 돌봄서비스 이용시설과 공시지가를 반영한 경제적 취약주거지 등이며, 이들의 양태를 GIS 공간분석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약아동 수와 돌봄서비스 이용시설의 공간상 분포는 대체로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체적으로 시설 및 잠재적인 시설이용자 수, 시설의 이용정원, 취약주거지와 시설의 거리 등을 고려한 접근성에서는 원도심과 신도심 사이의 격차가 있었으며, 이는 몇 가지의 특징적인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지역사회 돌봄서비스의 확충에 있어 재가 형태 중심 돌봄서비스 및 양적 확장을 넘어선 이용자의 생활반경 중심의 돌봄서비스 체계구축과 질적 측면의 보완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With the spread of COVID-19 and the local community care project, the importance of community care services for the vulnerable is very high in recent year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accessibility of child care service facilities centered on vulnerable residential areas. The main scope and targets of analysis are child care service facilities in Incheon. The GIS spatial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stribution of vulnerable children and the care service facilities generally did not match. Second, there was a gap between the original city center and the new city center in terms of accessibility considering the number of facilities, potential facility users, the number of facilities, and the distance between vulnerable residential areas and facilities, which could be classified into several characteristic types.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in expanding local community care projec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are service system centered on quantitative expansion and supplement the qualitative aspects.

      • KCI우수등재

        한국 다문화 중도입국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한국인 부모가정)의 진로정체감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

        유비(Ryou, Bee),김기현(Kim, Kihyun) 한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학 Vol.67 No.1

        다문화 중도입국 청소년들에게 진로발달은 한국 사회적응과 사회적 배제의 완화를 직·간접적으로 돕는 요인이며 진로정체감은 진로발달을 고취시키는 핵심적인 요소로 평가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이들의 진로정체감발달과 연관된 요인으로써 차별, 우울, 자존감의 관계를 한국인 부모를 둔 비 빈곤 청소년 및 빈곤 청소년과 비교하였다. 주요 연구결과 첫째, 변수들의 평균분석에서 중도입국 청소년들은 비 빈곤 청소년들에 비해 우울이 높고 자존감이 낮은 특성을 보였다. 둘째, 경로분석과 다중집단 분석에서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차별경험은 진로정체감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고 우울과 자존감을 매개하는 영향력 역시 나타냈다. 그러나 비 빈곤 청소년과 빈곤 청소년들의 경우는 차별이 우울과 자존감을 매개하는 효과만을 나타냈다. 이를 토대로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진로발달을 위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논하였다. Career development of Korean Immigrant Adolescents is important element for their Korea social adjustment and reduction of social exclusion. Especially, vocational identity is considered significantly for their career developme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nd levels of discrimination, depression, self-esteem on vocational identity by comparing Korean immigrant adolescents and non-Immigrant adolescents(Korean parents family: non poor family or poor famil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epression level of immigrant adolescents is higher than non poor family adolescents and their self-esteem level is lower than non poor family adolescents by means analysis. second, The path analysis and multi group analysis showed that the degree of discrimination by perceived immigrant adolescents had direct influence on vocational identity and also mediated depression, self-esteem as indirect influence. But non poor family adolescents and poor family adolescents showed that their degree of discrimination had only indirect influence on vocational identity as mediation of depression, self-esteem. The result of analysis were used to discuss theoretical, practical implication for career development of Korea immigrant adolescents.

      • KCI등재

        청소년의 동아리 활동이 인터넷 게임중독 수준에 미치는 영향

        유비 ( Bee Ryou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3 청소년복지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인터넷 게임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대안적 놀이문화로써 동아리 활동을 주목하여, 동아리 활동이 인터넷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들을 검토한 결과, 단순히 동아리 활동의 활동시간과 게임중독 수준과의 관계를 다룬 연구가 대부분이었기에 본 연구는 동아리 활동이 게임중독 예방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동아리 활동의 활동시간과 활동몰입, 또래관계, 교사관계가 게임중독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 자료로는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학교, 지역사회복지관, 수련관에서 동아리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청소년 388명의 사례가 활용되었고 분석은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아리 활동의 활동시간, 활동몰입, 또래관계는 인터넷 게임중독 수준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동아리 활동시간은 활동몰입, 또래관계, 교사관계를 제외한 회귀모델에서 게임중독 수준에 부적인 영향을 나타냈고 활동시간을 통제한 다음단계의 회귀모델에서는 몰입과 또래관계가 게임중독 수준에 부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인터넷 게임중독을 예방할 수 대안적 놀이문화로써 동아리 활동이 기능하기 위해서는 활동시간뿐만 아니라 활동몰입과 원만한 또래관계의 증진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인터넷 게임중독 예방을 위한 동아리 활동의 발전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s purpose is to test about the effect of Youth club activity on Internet game addiction. In contrast to the inadequateness of previous study that dosen`t consider muliti dimension of youth club activity, this study is spotlight to youth club activity`s the participation time and the flow of youth club activities, the peer relationship, the teacher relationship In order to test the participation time and the flow of youth club activities, the peer relationship, the teacher relationship on internet game addiction level, this study conducted a self-recoding survey of youths who conduct club activity, and 38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analysis has perform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hypothesis testing.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articipation time of club activities and the teacher relationship do not affect on the internet game addiction level, But The flow of youth club activities and the peer relationship affect positively on the internet game addiction level. Thus club activity`s development plan for the prevention of internet game addiction, which extend club activities flow and peer relationship.

      • KCI등재

        한국 이주배경 청소년의 이주경험과 정신건강

        유비(Bee Ryou),최정태(Jungtae Choi),손예진(Yejin Sohn),김기현(Kihyun Kim) 한국아동복지학회 2017 한국아동복지학 Vol.- No.58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이주배경 청소년들의 총체적 이주경험은 그간 실천적⋅학문적으로 충분히 논의되지 못해왔다. 국외 실증연구들의 결과와 이론적 논의에 의하면 이주와 연관되어 출생지에서 경험하는 유수기간 및 유수기간 내 동거인의 차이와 이주 이후의 거주기간, 가족과 또래의 지지 등 정주지 사회에서의 경험은 이주경험이라는 큰 틀에서 설명될 수 있는 것이며, 이는 이주배경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이에 본 연구는 탐색적⋅시론적인 연구로서, 이주배경 청소년들의 이주이전 경험과 이주이후 경험 그리고 우울, 불안, 자살생각 등의 부정적 정신건강문제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이주이전의 유수기간과 유수기간 내 주 양육자 이외 친척, 형제, 친구와의 동거여부는 이주이후 또래와 가족의 지지 및 한국문화적응 수준과 마찬가지로 현재의 부정적 정신건강문제들과 연관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실천적 함의 등을 논의하였다. South Korea has long been a culturally homogenous society, yet the increasing number of immigrants has turned the country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Therefore, many empirical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way immigrants adapt to the Korean society and its associated factors. However, examining the overall process of migration (from family separation to reunification and cultural adaptation to the host society) that immigrant youth usually experience has been understudied. Previous empirical research and theoretical work have identified prominent factors that predict immigrant youth’s mental health: experiences of family separation, living with others rather than primary caretakers during the separation, the length of residency in the host society, and family and peer support. In this respect, this exploratory and preliminary study that examined whether the experience of migration process and post-migration are related to Korean immigrant youth’s mental health problems (depression, anxiety, and suicidal ideation). The result indicated that longer duration of family separation; living with relatives, siblings; and friends rather than primary caretakers during the separation; receiving less support from family and peer after migration; and a lower degree of cultural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were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xiety, and suicidal ideation. Drawing up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 SCIESSCISCOPUSKCI등재

        Profile Analysis of Sexual Assault Experiences among Adult Women and Their Implications for Mental Health

        Kihyun Kim,Bee Ryou,Jihyeon Choi,Jae-Won Kim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21 PSYCHIATRY INVESTIGATION Vol.18 No.4

        Objective Extant studies indicate that just one characteristic of sexual assault cannot properly represent the whole experience of sexual assault and, especially, the severity of sexual assault.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totality of sexual assault experiences and eluci-date subtypes of sexual assault victims based on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their sexual assault experiences and those relationships with mental health. Methods A total of 255 adult sexual violence victims who used intervention services and a comparison group were included. Informa-tion on their sexual assault experiences was gleaned from case records data. Results The following four distinctive profile groups were identified: “Sexual Touching” (19.6%), “Rape/Social Relation” (30.4%), “In-timate Partner Violence (IPV)” (18.8%), and “Rape/Stranger” (31.3%). The subgroups differed in terms of secondary victimization and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The Rape/Social Relation and IPV subgroups most frequently experienced secondary victimization and childhood adversity. The four profile subgroups demonstrated different relationships with mental health outcomes, with a complicated pattern. The Rap/Social Relation and IPV subgroups scored higher on mental health problem screening measures compared to other groups. However, a considerable proportion of victims in the Sexual Touching subgroup also reported suicidal behaviors and self-injury.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and clin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Psychiatry Investig 2021;18(4):312-323

      • KCI등재

        지역사회 빈곤과 아동 재학대 관계 연구

        김진석(Kim, Jinseok),유비(Ryou, Bee),장희선(Jang, Hee Sun),김경희(Kim, Kyung Hee),김기현(Kim, Ki Hyun) 한국아동복지학회 2018 한국아동복지학 Vol.- No.63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빈곤과 아동학대 발생의 중요한 패턴 중 하나인 재학대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학대피해아동의 재학대 신고 및 판정 여부에 대한 지역사회 빈곤의 영향력을 분석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학대피해아동과 학대행위자의 특성을 고려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자료는 2012년 국가아동학대정보시스템에 등록된 10,572사례 중 아동학대 판정을 받았고 사례정보가 충분하다고 판정되는 5771사례였다. 각 사건발생 시군구 기준 2012년 주민등록인구수와 기초수급자 현황을 대비한 지역사회 빈곤율이 투입된 위계적 선형모형의 분석결과, 지역사회의 빈곤율은 아동 재학대의 신고여부에 영향력을 나타낸 반면, 아동 재학대 판정여부에는 영향력을 드러내지 않았다. 아울러, 아동의 성별과 연령, 위험사정수준, 학대행위자의 학대경험과 문제해결능력 등은 재학대 신고와 판정여부 모두에 영향력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실천적 함의 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hood poverty and recidivism of child abuse, an important pattern in the occurrence of child abuse.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neighborhood poverty on the recidivism of child abuse and decisions on the reported cases after characteristics of victims and perpetrators adjusted.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5,771 cases that were identified as child abuse cases among the 10,572 reported for alleged child abuse in the national child abuse incidence database of 2012. Results from a series of hierarchical linear models showed that the neighborhood poverty rate was associated with the child abuse reoccurrence report, but not with the recidivism of child abuse substantiation. Further, children’s gender and age, the level of risk assessment of victims, previous experience of child abuse, and the problem-solving skills of perpetrators were related to both child abuse reoccurrence report and substantiation. Various policy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학생의 비만과 학교생활

        배호중(Bae, Hojoong),유비(Ryou, Be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한국청소년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자료를 이용하여 비만이 중학생의 학교적응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단순히 신체적 측면에서의 비만이 갖는 문제점을 넘어 학교적응 및 학업성취와 관련하여 비만이 갖는 문제점을 짚어보고 비만 예방을 위한 적극적 정책의 필요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학교적응에 대해 전체 학교적응도는 물론 ‘수업활동 적응, 학교규칙 적응, 교우관계 적응, 교사관계 적응’이라는 하위 영역별로도 분석을 실시하여 비만이 과연 어떠한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각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학교적응도에 있어서 비만인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학교적응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 그리고 교사관계라는 네 가지의 영역으로 구성된 하위영역별 분석결과에서는 비만 학생의 경우 학교적응도의 네 가지 하위영역 중 수업활동 적응도 및 교우관계 적응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최근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된 왕따문제와 결부시켜서도 비만청소년의 문제를 짚어볼 필요성을 살필 수 있었다.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도 비만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비만이 학업성취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살필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청소년기에 형성된 자아개념이나 교우관계, 이후 학업성취에 있어서의 청소년기 학업성취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청소년기의 비만 문제를 단순히 개인차원의 문제를 넘어 청소년들의 비만도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 및 예방과 비만 청소년들에 대한 개입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뒷받침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se the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besity on school adjustment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revealed that obese students were likely to show lower levels of school adjustment than non-obese ones. As for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obesity by sub-areas of school adjustment such as class activity, school rules, peer relationships, and teacher relationship adjustment, obesity ha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on class activity and peer relationship adjustment. Furthermore, it was empirically found that obesity negatively affected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as well.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obesity in adolescence lowers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and, furthermore, negatively affects the creation of human resources in adultho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blems of obesity in adolescence should no longer be treated or viewed as strictly personal issues and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positive policies aimed at preventing obesity in adolescence.

      • KCI등재

        아동학대행위자의 심리사회적 특성 및 유형화 연구

        김기현(Kim, Ki-Hyun),유비(Ryou, Bee),손예진(Sohn, Ye-Jin),김경희(Kim, Kyung-Hee) 한국아동복지학회 2018 한국아동복지학 Vol.- No.62

        아동학대사건의 개입과정과 피해자 지원과정 전반에서 학대행위자들에 대한 개입은 중요하다. 실제로 한국아동학대 연구들은 그간 재학대 발생과 관련된 요인들로 대부분 학대행위자 관련 요인들을 지목해왔다. 그러나 우리사회에서 학대행위자들에 대한 개입의 기초정보가 되는 그들의 심리사회적 특성 및 유형화에 대한 논의는 절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다. 특히, 여러 학대행위자들 중 아동보호전문기관에 연루되어 아동보호서비스의 직접적 대상이 되는 학대행위자들에 대한 연구는 더욱 제한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학대판정을 받아 아동보호전문기관에서 사례가 진행 중이거나 사법기관에 연루되어 있는 아동학대행위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임상진단영역에서 범용성과 타당성을 인정받은 척도를 활용하여, 학대행위자들의 특성을 다양한 집단들과 비교하고, 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학대행위자 하위유형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아동학대행위자들은 남녀 학대행위자 간에 심리사회적 특성에서 중요한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표준화된 척도를 통해 일반인 집단과 비교했을 때, 소득수준이나 정신건강, 문제음주, 가정폭력 경험 수준등에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학대행위자들에게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정신 · 행동건강 수준을 바탕으로 한 세 집단의 프로파일집단이 존재했으며, 이들 집단 중 전반적 심각도와 문제음주 비율 및 신체학대의 피 · 가해 경험비율이 높은 남성 학대행위자 집단이 특징적인 면모를 보였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 실천적 함의 등을 논의하였다. Research has been lacking on the subgroups of perpetrators and their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in Korea. In particular, little is known about perpetrators involved in child protective services. This area is an essential part of, and has much potential to provide insights for, developing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s for perpetrator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perpetrators using standardized measures and to explore subgroups of perpetrators based on profile analysis. To meet these objectives, standardized measures were administered, and latent class analysis (LCA) was conducted. The participants were 158 child abuse perpetrators, who were involved with child protective services and/or probation off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the perpetrators had higher levels of mental health symptoms and alcohol problems than the norm group. However, these statistic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patient groups. Second, LCA yielded three different profile groups: high-risk male perpetrator group, low-risk perpetrator group, and female perpetrator group. These three subgroups of perpetrators showed different psychosocial profiles in terms of their childhood maltreatment experiences, current parenting stress, and the use of parental discipline behaviors. While the perpetrators showed higher rates of problems than the general public, the symptom levels were not as serious as those of the patients. Based on the results, translational principles for developing effectiv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child abuse perpetrators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형 성폭력 사례정보 추출도구(K-SACRAI)의 개발과 적용

        김기현(Kim, Ki-Hyun),유비(Ryou, Bee),김재원(Kim, Jae-won) 한국피해자학회 2019 被害者學硏究 Vol.27 No.3

        성폭행 피해자에 대한 지원 서비스 모델 개발을 위해서는 정확한 사례 정보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최근 성폭력 및 아동학대 등에 관한 논의에서는 성폭력 피해자를 지원하는 기관의 사례기록 정보를 활용해 성폭력 경험과 특성을 분석해야한다는 논의가 존재한다. 사례기록 정보는 성폭력 사건에 대한 공식 정보와 개입 과정을 포함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동시에 사례 기록 정보는 관리 데이터로서 즉각적인 사용이 제한된다. 따라서 사례 관리 정보를 체계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성폭력 피해자를 위한 대표적인 지원단체인 해바라기센터 표준행정시스템에서 사례정보를 추출하는 도구인 K-SACRAI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K-SACRAI는 전문가, 정신과 의사, 변호사, 사회복지 교수들로 구성된 다 학제적인 위원회를 통해 해외 사례 정보 추출 도구의 검토와 수정과정을 거치며 개발되었다. K-SACRAI의 추출 항목 중 일부를 피해자지원기관의 아동, 청소년, 성인사례에 적용한 결과, 이전 논의에서 찾을 수 없었던 다양한 피해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가령, 연령대에 따라 동반되는 피해특성의 차이와 서비스 이용에서는 차이가 존재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하였다. Accurate case information is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a support service model for victims of sexual assault. Therefore, recent discussions on sexual assault and child maltreatment say that it is necessary to analyze sexual assault experiences and characteristics by utilizing the case record information of the institution supporting victims of sexual assault. The case record information includes official information on sexual violence cases and the process of intervention. At the same time, however, case record information is limited to immediate use as administrative dat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y to develop and apply tools that can systematically extract case management information. This study developed and applied K-SACRAI, a tool for extracting case information from the standard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Sunflower Center, a representative support organization for victims of sexual violence. The K-SACRAI was developed through the review and modification of overseas case information extraction tools by organizing a multidisciplinary panel of experts, psychiatrists, lawyers and social welfare professors. The results of the application of some of K-SACRAI s extractive items to child, adolescent and adult cases of victim support agencies indicated various characteristics that previous discussions had not found. For example,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blood damage and the use of services in cases that were accompanied by age group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

        Development of Brie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Rating Scale for Sexual Violence Victims

        Halin Chung,Jae-Won Kim,Jihye Kwon,Kihyun Kim,Bee Ryou,Hee Jeong Ryu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9 PSYCHIATRY INVESTIGATION Vol.16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brief rating scal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symptoms among sexual violence victims. We analyzed the data from 195 victims and 220 non-victims to select meaningful items from the original PTSD rating scales. We also examined the validity of the brief scale by assessing internal consistency and ROC curves. The optimal cutoff scores for each brief scales were obtained. The results showed that a different approach may be required for early intervention in different age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