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혼부부의 주택자산과 출산: 2000년 이후 혼인가구를 중심으로

        배호중 ( Bae Ho-joong ),한창근 ( Han Chang-keu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保健社會硏究 Vol.36 No.3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KLIPS) 자료를 이용하여 저출산의 원인을 짚어보기 위한 접근방식의 하나로 `출산시점`에 초점을 맞추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저출산 문제가 심각해진 2000년 이후 혼인한 가구를 대상으로 그들의 혼인당시 상황이 이후 출산에 이르기까지의 기간에 대해 면밀히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자산`, 그 중에서도 대부분의 신혼가구에서 가장 중요한 자산을 이루고 있는 신혼초기의 주택자산을 중심으로 `결혼~첫째아 출생일`까지의 기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혼인 당시 남편과 아내의 연령이 높을수록 빨리 자녀를 출산하였으며, 혼인 당시 남편의 높은 소득수준은 출산을 촉진시키는 요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아내의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출산을 늦게 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자녀 출산에 따른 기회비용에 대해 성별 간(부부 간) 상이한 인식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주된 관심사인 혼인 당시의 주택자산과 관련해서는 자가주택을 보유한 상태로 신혼을 시작하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좀 더 일찍 자녀를 출산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전반적으로 거주하고 있는 신혼주택의 가액이 높을수록 자녀를 빨리 낳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저출산의 원인을 짚어보기 위한 접근의 하나로 `출산시점`에 초점을 맞추어 그간 논의의 중심이 되지 않았던 `자산`에 초점을 두고 대표성 있는 통계자료를 이용해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출산력 제고를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newly married couple`s assets influence the timing of childbirth since delaying childbirth is one of the reasons of low fertility in Korea. In particular, we closely examine the period between marriage and childbirth for the households married since 2000. As a measure of assets, we focus on housing assets at the beginning of marriage because housing assets can be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newly married couples. We used data from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and analyzed the timing of childbirth using the Survival analysis.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newly married couples who a home are likely to have a child earlier than those who do not. Second, in general, the value of housing assets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likelihood of having a child early in marriage. Last, covariates such as age and income a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the likelihood of child birth.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housing and housing assets are influential factors for childbirth and that housing policy for newly married couples should be enhanced to increase childbirth.

      • KCI등재

        맞벌이 가구 남편의 가사노동시간

        배호중(Bae, Ho Joo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社會科學硏究 Vol.31 No.4

        본 연구에서는 통계청에서 실시한 「2009년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남편의 가사노동분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부부 간 사회경제적 또는 물질적 자원의 비교우위 정도에 따라 가사노동시간에 차이를 보일 것이라고 한 ‘상대적 자원(relative resource) 이론’에 바탕을 두고 아내의 경제활동에 따른 남편의 가사노동시간에 대해 다각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아내의 시장노동시장 참여에 따라 부부 간 가사노동에 대한 적절한 분담이 요구될 것이며 이로 인해 남편의 가사노동시간에도 차이를 가져올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맞벌이라는 특성을 연구의 중요한 초점으로 삼아 아내의 시장노동참여 여부, 아내의 시장노동시간, 아내의 소득, 부부간 상대적 소득 수준, 상대적 근로시간 수준에 따른 남편의 가사노동시간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아내의 시장근로에 참여하는 경우 남편의 가사노동시간이 상대적으로 길게 나타났으며, 아내의 절대적 시장노동시간, 근로소득에 따른 차이뿐만 아니라 부부 간 상대적 시장노동시간, 근로소득에 따라서도 남편의 가사노동시간에 대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상대적 자원 이론’은 남편의 가사노동에 대한 분석에 있어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으며, 아내의 시장노동시장, 소득수준에 따른 남편의 가사노동시간 차이를 통해 부부 간 시장노동과 가사노동에 대한 협조적 적응활동의 가능성도 살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남편과 아내의 절대적, 상대적 시장노동시간 및 소득을 동시에 고려하여 남편의 가사노동시간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가구 내 가사노동분담에 대한 설명가능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시도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가사노동의 가치 산정 또는 가계경제의 측면에서 보다 나은 의사결정을 하는 데 있어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examine the status of household division of labor for the married working men focusing on dual earner couples in Korea. This study is based on the data from the 「2009 Korean Time Use Survey」 by the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re are visible changes in household division of labor because women’s economic activities has raised lately. To search for the changes in dual earner couples’ household division of labor for the men, diverse factors were examined such as women"s market work hours, women’s wage, relative income disparity and relative working hours between dual earner couples. The results showed that household labor hours of men has been increased as women’s market work hours has raised not only relatively but also absolutely. Although the household labor hours of men stays still lower level in OECD countries, increasing household labor hours of men is one of the efforts to reduce women’s dual burdens of work and family.

      • KCI등재

        대학생의 취업 사교육이 노동시장 이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배호중(Bae, Ho-Joong),안준기(Ahn, Jun-ki)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1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0 No.4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1~3차 자료를 이용하여 4년제 대학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대학 재학 중 취업 사교육 경험이 졸업 후 노동시장 이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대학 재학 중 취업 사교육을 경험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의 비교에 있어 선택편의를 최소화 하기 위한 방법으로 준실험적 방법론 가운데 하나인 성향점수매칭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구직 기간 및 첫 직장 임금을 분석하기 위해 비례위험모형(proportional hazard model) 및 분위회귀(quantile regression)방법을 적용하였다. 관찰가능한 개인의 이질성을 통제한 후에도 노동시장 이행 지표 가운데 구직 기간은 취업 사교육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영어 관련 취업 사교육이 다른 사교육에 비해 구직기간을 크게 줄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졸업 후 첫 직장 임금의 경우에서도 마찬가지로 취업 사교육은 첫 직장 임금을 높여주고 있으나, 분위회귀 분석 결과 전 소득 구간에서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라 중위 소득을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부 취업 사교육 종류별로 살펴본 결과 영어 관련 학습은 상위 소득 분위에 있어서도 주요한 효과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effects of the four-year-course college students’ private education for employment while in college on the labor market transitions after graduation. This study uses data from the first to third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This study uses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PSM) which is one of the quasi-experimental methodology in order to control selection bias. Also, applying proportional hazard model and quantile regression methodology, we investigate one’s job search period and the first job wages. After controlling selection bias, job search period among various labor market transition indexes is affected by one’s private education for employment while in college. In particular, English private education reduces one’s job search period compared to other private educations for employment. Similarly, private education for employment raises the first job wages after graduation; however, this effect is strong for around medium income class as a result of estimation of quantile regression. On the other hand, private education related to English affects upper income class.

      • KCI등재

        출산전후 휴가 및 육아휴직 활용가능성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배호중(Ho-Joong, Bae),천재영(Jae-Yeong, Cheon)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8 여성연구 Vol.96 No.1

        본 연구는 저출산 문제의 대응 방안으로 강조되고 있는 여성의 일・가정 양립 지원 정책이 실제 출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에 활용된 주요 정책은 출산전후 휴가 정책과 육아휴직 정책이며, 한국노동패널(KLIPS) 4차~19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혼인 당시 기준으로 임금근로자인 여성이고, 출산전후 휴가와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는 집단과 사용할 수 없는 집단을 나눈 뒤, 두 집단의 출산이행 기간(혼인~첫째아 생일 사이의 간격)과 3년내 자녀출산 가능성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출산전후 휴가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여성 임금근로자들이 이를 사용할 수 없는 이들에 비해 출산의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육아휴직의 활용가능성을 놓고 보았을 때도 이를 사용할 수 있는 여성임금근로자들이 그렇지 못한 여성임금근로자들에 비해 출산의 가능성이 높았다. 이와 함께 혼인 후 3년 내 출산가능성에 있어서도 해당 제도를 사용할 수 있는 이들의 출산가능성이 이를 사용할 수 없는 근로자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근로자의 출산전후 휴가와 육아휴직 활용가능성이 출산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저출산 문제의 대응 방안으로 강조되고 있는 여성의 일・가정 양립을 위한 제도적 지원의 당위성을 다시 재확인할 수 있는 결과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how the institutional support policies for women’s work-family balance, which was emphasized as a method of coping with the issue of the low birthrate, affected the actual childbirth. In particular, it analyses the effect of the usability of such systems as maternity and parental leave and childcare leave-two of the most representative policies for the work-family balance-on the actual childbirth. For this purpose, the data from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of the 4th to 19th years were us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the transition-to-childbirth period (between the date of marriage and the birthday of the first child) and in the likelihood of childbirth within three years between female wage earners able to use maternity, parental leave and childcare leave and those unable to use them at the time of marriage. At the time of marriage, the female wage earners expected to be able to use maternity and parental leave were relatively more likely to have childbirth than those expected to be unable to use it; the female wage earners expected to be able to use childcare leave were also more likely to have childbirth than those expected to be unable to use it. The female wage earners able to use these systems were also more likely to have childbirth within three years after marriage than those expected to be unable to use the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empirically analyses the positive effects of maternity and parental or childcare leave usability on childbirth among female wage earners and reconfirmed that the institutional support for women’s work-family balance, which was emphasized as a method of coping with the issue of the low birthrate, is justifiable.

      • KCI등재

        중학생의 비만과 학교생활

        배호중(Bae, Hojoong),유비(Ryou, Be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한국청소년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자료를 이용하여 비만이 중학생의 학교적응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단순히 신체적 측면에서의 비만이 갖는 문제점을 넘어 학교적응 및 학업성취와 관련하여 비만이 갖는 문제점을 짚어보고 비만 예방을 위한 적극적 정책의 필요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학교적응에 대해 전체 학교적응도는 물론 ‘수업활동 적응, 학교규칙 적응, 교우관계 적응, 교사관계 적응’이라는 하위 영역별로도 분석을 실시하여 비만이 과연 어떠한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각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학교적응도에 있어서 비만인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학교적응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 그리고 교사관계라는 네 가지의 영역으로 구성된 하위영역별 분석결과에서는 비만 학생의 경우 학교적응도의 네 가지 하위영역 중 수업활동 적응도 및 교우관계 적응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최근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된 왕따문제와 결부시켜서도 비만청소년의 문제를 짚어볼 필요성을 살필 수 있었다.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도 비만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비만이 학업성취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살필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청소년기에 형성된 자아개념이나 교우관계, 이후 학업성취에 있어서의 청소년기 학업성취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청소년기의 비만 문제를 단순히 개인차원의 문제를 넘어 청소년들의 비만도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 및 예방과 비만 청소년들에 대한 개입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뒷받침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se the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besity on school adjustment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revealed that obese students were likely to show lower levels of school adjustment than non-obese ones. As for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obesity by sub-areas of school adjustment such as class activity, school rules, peer relationships, and teacher relationship adjustment, obesity ha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on class activity and peer relationship adjustment. Furthermore, it was empirically found that obesity negatively affected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as well.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obesity in adolescence lowers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and, furthermore, negatively affects the creation of human resources in adultho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blems of obesity in adolescence should no longer be treated or viewed as strictly personal issues and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positive policies aimed at preventing obesity in adolescence.

      • KCI등재

        친정과의 거리와 자녀출산: 2000년 이후 혼인가구를 대상으로

        배호중 ( Bae Ho Joong ),한창근 ( Han Chang-keun ),양은모 ( Yang Eun Mo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保健社會硏究 Vol.37 No.2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KLIPS) 자료를 이용해 2000년 이후 혼인(초혼)한 가구를 대상으로 혼인 이후 첫째아 출산까지의 기간을 살펴보았다. 특히 `친정과의 거리`가 첫째 아 출산 속도와 어떠한 관련을 갖는지를 살펴보고자, 혼인가구와 친정 간의 근접도를 ① 직선거리(km), ② 동일 광역자치단체 소재 여부, ③ 범주화된 거리로 구분하여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여타 조건들이 동일하다면 친정과 동일한 지역에 거주하거나, 직선거리가 가까운 신혼부부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자녀를 빨리 출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친정과의 거리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될 경우 거리에 따른 출산속도의 차이가 비례적으로 나타나지는 않았다. 본 연구는 대표성 있는 통계자료를 이용해 저출산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가 된 2000년대 들어 혼인한 가구를 대상으로 친정과의 거리와 첫째아 출산 속도 간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한국사회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외)조부모 돌봄이 갖는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저출산 문제해결을 위한 방안의 하나로 (외)조부모의 돌봄에 대한 정책발굴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to examine how newly married couple`s residential distance to the wife`s parents affects the timing of childbirth.. In particular, we closely examined the period between marriage and first childbirths for the households married since 2000. We measured the newly married couple`s residence distance to wife`s parents house in 3 ways: proxy distance measured by km (logged for analysis), categorized distance to 5 groups, and residence in the same macro district. The key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general, the newly married couples who live in a same macro district with their wife`s parents are likely to have a child earlier than those who do not. Second, the residential distance (measured by logged km) between a newly married couple and the wife`s parents is positively related to having a first baby earlier. However, the analysis with the categorical measure of residence distance reports that the effect of residence distance is not linear in that the two longest distance group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in terms of childbirth probability compared to the reference group which has the shortest distance. Despite several limitations in the study sample, the measurement, and the possibility of residence movement, this study may help build knowledge regarding newly married couple`s behaviors of childbirth. This study concludes with several policy implications for boosting childbirth among newly married couples.

      • KCI등재

        복수전공의 경제적 분석 : 4년제 대학 졸업자를 중심으로

        배호중(Bae Ho Joong),박태수(Park Tae Soo) 韓國敎育財政經濟學會 2014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3 No.3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2009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자료의 4년제 대학 졸업생을 대상으로 복수전공 실태 및 복수전공이 노동시장 이행과정에서 있어서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복수전공자와 단일전공자를 비교함에 있어 관찰되지 않은 개인의 이질성(unobserved individual heterogeneity)과 선택편의(selection bias) 문제를 최소화시키고자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복수전공 이수 여부에 따른 대학졸업 소요기간, 졸업 후 첫 직장 구직 걸린 기간, 임금수준, 괜찮은 일자리 취업가능성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4년제 대학졸업자의 13.2% 가량이 복수전공을 이수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자연과학계열에 비해 인문사회계열 분야 전공자들이 복수전공을 많이 이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경영 · 경제 분야를 복수전공으로 선택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단일전공에 비해 까다로운 복수전공의 졸업요건 충족을 위한 대학재학 기간의 연장가능성과 관련해서는 복수전공자들의 대학재학기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긴 것으로 나타나 복수전공에 따른 대학 재학기간 연장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으며 복수전공 이수의 긍정적인 효과는 이수한 복수전공의 모든 계열에서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전공별로 차이를 보이고 있었는데 가장 활발히 이수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제 · 경영 분야의 복수전공 이수가 초기 노동시장 이행과정에서 특히 도움이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복수전공 이수 결정이 대개 대학입학 초기(1~2학년)에 이루어짐에 따라 ‘미래 취업과정에서 도움이 될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감’이 복수전공 선택사유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그 효과에 대한 막연한 기대보다는 적성 및 복수전공에 따른 손익을 충분히 고려한 선택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examine the status of double majoring and its effects on the process of shifting to the labor market in university graduates on the basis of the data from the 2009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Propensity score matching was used to minimize such problems as unobserved individual heterogeneity and selection bias in comparing single and double majors, and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effects of double majoring on the length of time taken to graduate from university, the length of time taken to get the first job after graduation, the wage level, and the possibility of getting a decent job. About 13.2% of university graduates were double majors; majors in humanities and sociology subjects were more likely to be double majors than those in natural science subjects; and a business administration or economics subject was generally most likely to be selected as a double major. The positive effects of double majoring were not identical in all the relevant subjects but differed by majors; double majoring in an economics or business administration subject, which is most frequently selected as a double major, was especially useful in the initial process of shifting to the labor market. While the decision on double majoring is largely made at the initial period of university days-by freshmen or sophomores-mostly due to the 'ambiguous expectation that it would help to get a job later, ' it is necessary to select a double major, taking into consideration both aptitude and possible loss and gain from it rather than ambiguous expectation of its effectiveness.

      • KCI등재

        노동시장 이행과정에서의 신장(height) 프리미엄 : 4년제 대학 졸업 여학생을 중심으로

        배호중(Ho-Joong, Bae),김정욱(Jung-Wook, K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7 여성연구 Vol.95 No.4

        기계화 · 자동화의 진전으로 육체에 의존하는 일이 줄어들면서 ‘키=생산성’ 간의 관계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직업은 상당히 줄어들었다고 할 수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키는 여전히 노동시장에서의 성과를 결정하는중요한 요인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청년층을 둘러싼 일자리 여건이 녹록치 않은 상황에서 취업을 앞둔 청년들에게 외모나 키와 같은 요인들도타인과의 차별화가 가능한 요인으로 인식되기도 하며 때로는 구직자들의마음을 졸이게 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처럼 키가 일종의 ‘경쟁력’으로 여겨지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노동시장에서의 신장 프리미엄(height premium)에 대해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 를 이용하여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여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의노동시장 이행(transition from school to work) 과정에서의 신장 프리미엄에 초점을 두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취업가능성이나 괜찮은 일자리를 갖게 될 가능성 그리고 첫 일자리에서의 소득수준에 대한 분석결과에서 신장 프리미엄이 존재할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이는 주로 작은 키에 대한 불이익보다는 큰 키에 대한 프리미엄의형태로 노동시장 이행과정에서 신장 프리미엄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직까지 실증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노동시장에서의 신장(height)의 영향력을 대표성 있는 통계자료를 이용하여다각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It can be said that the number of jobs that directly associate height with productivity has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progress of mechanization and automation reduced the dependence on the human body. Nevertheless, height is still regarded as one of the important determinants of performance in a labor market. The young are put under poor employment conditions and appearance and height are considered factors that enable young job-hunting people to be differentiated from others and that can sometimes make job seekers held in suspense. As height is now considered a kind of competitiv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analyze height premium in a labor market. For this purpose, the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in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was used to analyze height premium for female university graduates in the transition from school to work. The analysis confirmed that height premium worked in the possibility of being employed, in the wage level, and in the possibility of getting a decent job and mainly had the form of premium for being tall rather than disadvantages to being small in the transition from school to work.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used representative statistical data to make a multilateral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height in a labor market, which had rarely been addressed empirically.

      • KCI등재

        신혼가구의 재무상태와 이혼 : 부채를 중심으로

        양은모 ( Yang Eun Mo ),배호중 ( Bae Ho Joo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7 사회복지연구 Vol.48 No.1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KLIPS) 자료를 이용하여 최근(2000년 이후) 혼인을 경험한 가구를 대상으로 그들의 혼인기간 경과에 따른 이혼이행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혼인당시 부부의 상황이 이후 이혼에 이르기까지의 기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면밀히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가계의 재무상황 중, 상당한 심리적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는 `부채`에 초점을 두고 신혼부부의 이혼이행기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혼인당시 남편과 아내의 연령 및 연령차이 그리고 교육수준 등이 향후 이혼으로의 이행 가능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의 주된 관심사인 가구의 재무특성(주로 부채)와 관련해서는 많은 양의 부채가 향후 이혼의 가능성을 높이고 있음을 살필 수 있었다. 아울러 절대적 액수에서의 부채뿐만 아니라 가구의 소득에 대비한 부채의 높은 수준 또한 이혼의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있음이 통계분석결과를 통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이혼의 증가라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혼인기간 경과에 따른 그들의 이혼이행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무엇보다 대규모 통계자료를 이용해 분석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이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노력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신혼부부의 생애 주기 특성을 고려한 부채의 원인을 진단하고 맞춤형 지원정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newly married couple`s financial position influence the decision of divorce by using data from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In particular, we closely examine the period between marriage and divorce for the households married since 2000. As a measure of household financial position, we focus on hosing debts because it can be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newly married couples.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ge for marriage, age gaps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education level have a vital influence on the decision of divorce. In addition, in general, the household debts have decisive and negative effects on the future divorce decision. Especially, not only high absolute amount of debt but also high relative debt to household total income bring about a decision of divor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ystematic debt relief policies for newly married couples would be needed to build healthy famil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