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뉴욕 맨해튼 리테일 스토어의 VMD전략 특성 분석

        최원선 ( Won Sun Choi ),이정교 ( Jung Kyo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리테일 비즈니스 VMD의 전략적 실행과 발전을 위하여 선진 글로벌 도시인 뉴욕의 매장사례를 분석하여 VMD의 전략적 특징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뉴욕의 쇼핑지역으로 유명한 맨해튼 미드타운과 소호에 위치한 대형 유명 리테일 스토어로 제한하고, 매장을 방문하여 육안조사와 체험조사를 실시한 후 수집된 시청각 자료를 바탕으로 VMD 전문가 5인에게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사례분석 하였다. 분석을 위해 선행연구의 VMD 전략요소 분류체계를 재정립하여 CSP와 MP요소를 이용하여 구체적인 사례분석의 기준을 만들었으며, 분석기준에 따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뉴욕 맨해튼 리테일 스토어 VMD는 특징적으로 VP의 연출 빈도가 강하며 VP를 매우 중요한 VMD 전략의 툴로서 활용하고 있다. 2)특히 고가의 하이엔드 패션전문점과 완구 및 스포츠 전문점에서 EP가 매우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CSP의 종합분석에서는 각 부문의 전략요소별 강도가 비교적 균형 있게 나타났으나, 매장요인, 상품요인의 강도가 고객요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하게 나타났다. 4)고객요인에서는 감성을 활용한 전략이 강하게 분석되었고,매장요인에서는 고객의 체험과 정체성을 이용한 전략요소가 가장 강하게 분석되었으며, 상품요인에서는 다양성과 조화성의 전략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나타났다. 5)첨단 과학기술을 이용하여 감각적인 그레픽의 디지털 비디오 연출을 매장에 많이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얻은 종합적 결론으로는, 뉴욕 맨하튼 리테일 스토어의 VMD 특성은 매장의 비주얼을 매우 중요한 경영전략으로 삼고 있으며, ‘감성적 디자인의 어필’과 ‘고객 체험’, ‘차별화된 브랜드 정체성’, ‘상품과 비주얼의 조화로운 다양성’을 중요한 전략적 가치로 활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tore cases in the advanced and global city of New York, and to analyze their VM(Visual Merchandising) strategy characteristics for the strategical VM execution and development of retail businesses. The study limited the subjects to large-scale and famous retail stores located in Midtown and Soho areas in Manhattan, which are widely known as shopping areas. While visiting the stores in person, observation was executed, and the photo and video data collected was given to five VM experts to enable them to respond to a questionnaire survey. For the analysis,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VM strategy elements suggested by the previous studies was redefined. Also, Using CSP and MP elements, the detailed criteria for the case analysis were set up, and the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criteria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1) The VM of retail stores in Manhattan, New York City, was characterized by a high frequency of visual presentation, which seemed to be used as a very important VM strategy tool. 2) The high-end and luxury fashion, toy and sports stores showed a fairly strong tendency toward favoring experience presentation. 3)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SP showed that the intensity of each strategy factor was relatively balanced, but store factor and product factor showed a relatively higher intensity than consumer factor. 4) Consumer factor showed the highest prevalence in the type of strategies that use sensitivity. Store factor displayed the strongest intensity in the type of strategies that use consumers`` experience and identity. Product factor showed the highest intensity in the type of strategies that use diversity and harmony. 5) The digital video presentation of appealing graphics using state of the art technology was proposed to many stor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came to the comprehensive conclusion that of the VM characteristics of retail stores in Manhattan, New York, retail visua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business strategies and ``compelling design appeal,`` ``consumer experience,`` ``differentiated brand identity,`` and ``harmonious diversity`` are utilized as important strategic values.

      • KCI등재후보

        증강현실이 적용된 체험적 VM의 유형 및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최원선 ( Won Sun Choi ),이정교 ( Jung Kyo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9 No.2

        (연구배경 및 목적)최근 리테일 기업들은 증강현실을 활용한 공간연출로써 고객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따라서 최근 리테일 공간에서 증강현실이 적용된 체험적 VM사례의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여 적용 경향과 가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이에 본 연구에서는 증강현실과 체험마케팅 및 VM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증강현실을 적용한 VM 사례들을 증강현실의 정의적 특징과 VM의 존 구분 및 Pine & Gilmore의 체험 분류를 적용하여 공간과 체험의 유형 및 특징을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결과)분석결과, 증강현실이 적용된 체험적 VM은 ‘현실과 가상의 합성’과 ‘실시간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주로 VP존과 독립적EP존에서 연출되고 있으며, 홀로그램을 이용한 감각적인 연출과 모바일앱을 통해 상품구매로까지 연결시킨 AR VM 이 고객에게 강한 인상으로 어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엔터테인먼트 체험 〉교육체험 〉미적 체험 〉현실도피의 체험 유형의 순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VM사례에서 능동적인 참여와 체험을 흡수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EP존과 증강현실을 적용한 다양한 체험적 VM에 대하여 더욱 확장되고 깊이 있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하겠다. (Background and Purpose) Retail companies have recently started catching the eyes of customers by using Augmented Reality (AR).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application tendency and value by analyzing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xperiential Visual Merchandising (VM) with AR cases in recent retail spaces. (Method) This study theoretically studied AR, experiential marketing, and VM. It analyzed and evaluat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pace and experience by applying the definitional characteristics of AR. AR was applied to VM cases based on the zone divisions of VM and experiential categories developed by Pine and Gilmore. (Result) Experiential VM that applies AR is usually presented at the VP zone and the independent EP zone by using a ‘synthesis of reality and imagination’ and ‘real-time interaction’ AR VM that led to product purchase through sensual presentation using a hologram and mobile application was strongly appealing to customers. Moreover, it was applied in the order of entertainment experience > educational experience > authentic experience > escapism experience type. Future studies should expand and continue in-depth research on the EP zone and various experiential VM that applies AR.

      • KCI등재

        달구벌 북춤 춤사위의 특성에 대한 고찰

        최원선 ( Choi Won-sun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21 공연문화연구 Vol.0 No.42

        달구벌 북춤은 영남지역의 전통 북춤의 전형에 기반하여 지역적 상징성과 전승자 황보영의 춤철학과 사상, 예술적 감각을 가미해 현대적 형태로 계승되고 있는 춤이다. 이 춤은 전통춤의 주요한 요소들과 예술성을 장점으로 대구, 영남지역뿐만 아니라 국내외 여러 무대에 초청받아 활동을 이어오며 전통문화의 변용을 통한 대중적 가능성을 보인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달구벌 북춤의 움직임 특질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여 이 춤이 지닌 독특한 매력과 상징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구체적 분석은 제89회 한국의 명인 명무전의 달구벌 북춤의 영상을 대상으로 라반의 움직임 분석법(Laban Movement Analysis)을 적용해 진행하였다. LMA의 4가지 주요한 카테고리-신체 에포트, 형태, 공간-를 중심으로 살펴본 달구벌 북춤은 군더더기나 지나친 화려함 없이 담백한 움직임과 강렬하지만 단순하고 경쾌하며 큰 산맥으로 둘러싸인 대구지역의 사람들의 호방한 기질이자 문화적 특성을 형상화하고 있다. 강하게 북을 쳐 소리를 만들고, 그 음악적 행위가 다채로운 춤으로 발전되어 형성되는 북소리와 춤사위의 멋드러진 조화는 악(樂)과 무(舞)의 일치를 통한 활달한 한국적 풍류, 멋과 흥, 신명이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특히 프로시니엄 무대를 고려하여 구성된 춤사위 그리고 북놀음의 모습은 3차원 공간의 입체 구조를 활용한 조형미와 인간의 몸짓을 드러내는 문화적 상징성을 드러낸다.또한, 사상적으로 삼수분화(三數分化), 천지인(天地人) 합일사상(合一思想)과 음(陰) 양(陽)의 조화가 깃든 짜임새 있는 구조와 정(靜) 중(中) 동(動)의 조화로운 움직임 표현을 보인다. 인간사의 갈등과 모순 대립에서 벗어나 신명으로 소통하고 공동체의 화합을 희망하는 주제를 담고 있는 이 춤은 한국춤의 독특한 가치와 고유한 특성을 바탕으로 한국의 전통 철학과 동양 사상의 의미성을 현대적 재해석한 작품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Dalgubal drum dance is inherited in a recreated form by incorporating regional symbolism and the dance philosophy and artisticity of Young Hwangbo, the creator, based on the traditional drum dance of the Yeongnam region. This dance having popularity with the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has been invited not only to Yeongnam region including Daegu but also to international various venues. This study explores what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this Dalgubal drum dance are and the unique charm and symbolic meaning of this dance. Specific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analyzing Dalgubal drum dance video film of the 89th Korean Myeongmujeon's by using Laban Movement Analysis as a research method. The special features of this dance resulted from the LMA analysis in terms of the four categories-Body, Effort, Shape, and Space-reveal simple yet cheerful personalities and strong yet patient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in Daegu. The harmony of drum sounds(music) and movements(dance) creates various characteristics of dances and reveals the beauty and excitement of unique Korean dance. In particular, drum play and its related dance movements create curved linear spatial pattern of arm movements, Spiral Shape in body posture, and diverse floor patterns occupying whole stage space. These movements show the three-dimensional spatial beauty and the artistic ideas for recreation of traditional drum dance, which considered with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proscenium stage. In addition, the well-organized structure and harmonious movements of this dance show the traditional Korean philosophy, implying heaven, earth, and human being and the wholeness, and the harmony of yin and yang. The dance aims at communication between the audiences and dancers through sharing excitement and the aesthetic beauty of dance.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meaningful expression of traditional Korean philosophy developed with the unique value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 KCI등재

        음악분석, 그리고 분석을 위한 글쓰기 - 음악분석을 논술중심전공교과(WAC)의 시각에서 바라보기 -

        최원선 ( Won Sun Choi )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18 음악이론포럼 Vol.25 No.2

        이 연구는 음악분석을 논술중심전공교과(Writing Across the Curriculum: WAC)의 시각에서 바라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본 연구는 첫째 논술중심전공교과의 시행 목표가 ‘학습을 위한 쓰기’와 ‘쓰기를 위한 학습’을 지향한다는 점, 둘째 글쓰기를 매개로 교과의 커리큘럼 자체를 변형시키는 프로그램이라는 점, 셋째 능동적인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추구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교육방식을 음악분석의 교과과정으로 적용해보기 위해, 음악분석의 ‘글쓰기 집중 교과목’으로서의 운용 가능성을 타진하고 논술중심전공교과 교수·학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음악분석은 분석의 과정이 ‘글’로서 전개되는 글쓰기의 한 측면이며 논리적이며 창의적인 서술의 한 과정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글쓰기를 통한 음악분석의 방법론적 접근은 논리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음악을 설득력 있게 서술하기 위한 전공 심화 차원의 학습 효과들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방식으로서 첫째 글쓰기에 관한 선행연구들의 고찰을 통해 본 연구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였고, 둘째 음악이론 영역의 학문적 입장을 통해 글쓰기와 음악분석에 관한 상관성을 조명하였다. 셋째 글쓰기 및 음악분석 관련 교과에 대한 우리나라 대학의 운용 현황 검토를 통해 논술중심전공교과로의 현실화 방안을 구상하였고, 넷째 이를 중심으로 음악분석의 논술중심전공교과로의 수준별·단계별 적용에 대해 구체화하였다. 끝으로, 이 같은 시도는 학문적 전문성과 의사소통 능력을 동시에 꾀하기 위한 융·복합 시대의 음악이론 교육을 바라보는 또 하나의 교수적 관점에서 해석되어야 하겠으며, 음악분석의 논술중심전공교과 강의 개설을 위한 첫걸음이란 시점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음악분석의 교과 운용은 현실적으로 대학별, 전공별로 편차가 클 뿐만 아니라 교과의 내용은 실제 강의를 담당하는 교수자에 의해 상이하게 진행되기 때문이며, 더욱이 음악분석을 논술중심전공교과로 지정하기 위한 제도적 노력이란 학술적인 연구결과들의 축적 없이는 무의미하기 때문이다. This paper presents an attempt at looking at music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WAC(Writing Across the Curriculum). The study first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implementation goals of WAC were "writing to learn" and "learning to write." It also focused on the fact that WAC was a program to change the curriculum of a subject itself via writing and sought after active learner-centric education. The present study thus set out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running music analysis as a "writing intensive course"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WAC in order to apply this educational approach as a subject curriculum in music analysis,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Music analysis is an aspect of writing in which an analysis process develops as a 'piece of writing' and include a logical and creative process of description. The methodological approach of music analysis via writing is thus accompanied by expectations for learning effects at the intensive major level to describe music in a persuasive manner based on logical thinking. The study first set its basic direction by examining previous studies on writing as part of its literature study approach. Second, it shed light on correlations between writing and music analysis through the academic position of the music theory area. Third, it reviewed the current management of subjects related to writing and music analysis at universities and devised a plan to realize them as WAC programs. Fourth, it suggested specific ideas for the application of music analysis as a WAC program by the level and stage. Finally, this attempt should be interpreted from another teaching perspective to look at music theory education in the era of convergence and integration to promote academic professionalism and communicative skills at the same time and understood as the first step in the introduction of music analysis as a WAC program. It is partly because the management of a music analysis subject widely varies among different universities and majors in reality with different professors teaching different content in their lectures on it. It is also partly because institutional efforts to designate music analysis as a WAC program will be meaningless without the accumulation of academic research findings.

      • KCI등재

        스포츠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의 VMD 현상 및 특성

        최원선 ( Choi Won S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4

        현재 스포츠 브랜드는 플래그십 스토어를 매우 중요한 브랜딩 전략의 도구로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나 스포츠 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 VMD의 포괄적 현상을 알아보는 연구는 매우 부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플래그십 스토어에서 실행되는 VMD의 현상과 특징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 먼저 유명 글로벌 스포츠브랜드들이 최근 연이어 브랜드를 대표하는 플래그십 스토어를 오픈하고 있는 신논현역과 강남역 주변 지역을 연구의 공간적 범위로 제한하였고, 이 지역에 위치한 5개의 유명 글로벌 스포츠브랜드의 플래그십 스토어를 평가대상으로 선정하여 10년에서 25년의 VMD 커리어를 보유한 전문가 3인이 대상 공간을 방문하여 평가를 진행하고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1) 스포츠브랜드는 VMD의 체험적 역할과 정보적 역할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플래그십 스토어를 복합 체험공간으로 만들어 소비자에게 어필하고 있다. 2) 스포츠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의 가장 중심적인 VMD 전략은 커뮤니케이션 전략이며, 상품정보의 시각적 표현이 가장 핵심적인 VMD 활동이 되고 있다. 3) 가장 비 중심적인 VMD 전략은 무드매니지먼트 전략으로, 서스펜스를 동반한 공간연출은 실행되지 않았고 전혀 다른 컨셉을 조화롭게 대비시키는 공간연출은 매우 소극적으로 실행되고 있다. 4) VMD 활동에 과학기술을 접목하고 디지털 연출을 적극적으로 구현하여 상품의 기술적 특징과 스마트한 브랜드 이미지를 어필하고 있다. 5) 감성적 체험연출 보다는 인지적 체험연출과 행동적 체험연출이 주로 실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스포츠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의 총체적인 비주얼적 요소를 VMD 차원에서 분석하여 포괄적인 비주얼 현상과 특징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지금까지 스포츠브랜드의 VMD 연구와 차별화되고 있다. Currently, sports brands are using the flagship store as a very important branding strategy tool, but studies on the comprehensive phenomenon of the sports brand flagship store visual merchandising(VM) have been very sluggish.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henomena and characteristics of VM running on flagship stores. As a method of this study, first, regions around Shinnonhyeon Station and Gangnam Station, where famous global sports brands recently opened their flagship stores representing brands, were limited to the spatial scope of the study. Next, the flagship stores of five famous global sports brands located in this region were selected as evaluation targets and three experts with VM careers of 10 to 25 years visited the target space to conduct evaluation and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 The sports brand focuses on visual merchandising's experiential role and informational role, and makes the flagship store a complex experience space to appeal to consumers. 2) The most central VM strategy of the sports brand flagship store is the communication strategy, and visual expression of product information is the most important VM activity. 3) The most non-centered VM strategy was the mood management strategy, and it was analyzed that spatial mood with suspension was not implemented, and spatial mood that harmonised completely different concepts was executed very passively. 4) By applying science and technology to VM and actively implementing digital production, it appeal to technical features of products and smart brand image. 5) Intellectual experience and behavioral experience are mainly performed rather than emotional experience.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the study of sports brand's VM so far in that it has drawn a comprehensive visual phenomenon and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the entire visual elements of the sports brand flagship store at the VM level.

      • KCI등재

        스크리아빈의 ‘어두운 불꽃’에 나타난 불의 상징: 러시아 상징주의의 음악적 수용에 따른 분석적 접근

        최원선 ( Won Sun Choi ) 한국서양음악이론학회(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21 음악이론포럼 Vol.28 No.1

        스크리아빈(Alexander N. Scriabin, 1872-1915)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로 이어진 러시아 은세기의 독특한 문화적 환경에 노출된 작곡가로 이 시기의 문화, 예술 전반을 주도한 사조가 바로 러시아 상징주의이다. 이 연구는 스크리아빈의 ‘어두운 불꽃’(Op. 73, No. 2)에 관한 분석적 고찰을 중심으로 이 곡에 나타난 불의 상징적 의미와 음악적 의미들을 러시아 상징주의 수용의 관점에서부터 찾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첫째 러시아 상징주의 안에서 스크리아빈 음악에 내재한 불의 의미에 대해 유추해보고 둘째 이를 그의 음악적 배경과의 연결을 통해 작품 속에서 의미하는 불의 상징적 측면에 대해 탐색하고 있다. 끝으로 ‘어두운 불꽃’의 집합류 분석을 통한 음악적 상징과의 연계를 통해 스크리아빈 음악의 불의 상징에 대한 재해석을 이끌어내고 있다. Alexander N. Scriabin (1872-1915) is a composer who was exposed to a unique cultural environment called Russian Silver Age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It is the Russian Symbolism that led the culture and art of this period. This study is an analytical approach to the Flammes sombres (Op. 73, No. 2) of Scriabin. The symbolic meanings and musical meanings of fire in this work are found from the viewpoint of Russian Symbolism. Therefore, this study first infers the meaning of fire inherent in Scriabin’s music in Russian Symbolism. Secondly, this study approaches the symbolism of fire in Scriabin’s music through the connection of Russian Symbolism and Scriabin’s musical background. Finally, through the set class analysis of Flammes sombres the musical symbolism and the connection of the meaning of fire are derived and the symbolism of fire is reinterpreted in Scriabin’s music.

      • KCI등재

        스크리아빈의 음악적 이데아: 《시-녹턴》의 함의와 그 분석

        최원선 ( Won Sun Choi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3 이화음악논집 Vol.27 No.4

        본 논문은 스크리아빈(Alexander N. Scriabin, 1872-1915)의 후기 피아노 음악 중 하나인 《시-녹턴》(Poème-Nocturne, Op. 61, 1911)의 실재와 형이상학에 관한 제 문제들을 다루며 그의 음악적 이데아(idea)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목표로 하였다. 그러므로 《시-녹턴》 속 함의들을 스크리아빈에게 영향을 미친 역사적, 문화사적 관점에서 재조명해보고자 한 것이다. 스크리아빈의 후기 음악은 프로메테우스주의(prometheanism)와 신지학(theosophy)의 배경이 내재하고 있다. 특히 스크리아빈의 마지막 10년은 철학적 신비주의의 하나인 신지학이 가장 강력한 힘으로 작용했던 시기로, 그의 후기 음악의 궁극적 목표는 대규모 종합예술작품인 자신의 《신비극》(Mysterium)을 향해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시-녹턴》의 분석에 앞서 스크리아빈에게 놓인 환경이 그의 음악적 소재를 자극하고 급진적 변화를 일으킨 유발점임을 감안하게 된다. 즉 그의 이 같은 배경이 후기 음악의 변화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기능했다면, 《시-녹턴》에 대한 분석의 방향 역시 이같은 배경을 흡수하고 그 의미적 잠재력에 대한 이론적 도출을 고려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이 연구는 러시아 문화사의 관점을 통해 스크리아빈의 위치를 재점검하고, 그의 음악에 대한 분석적 전제들로부터 《시-녹턴》에 내포된 음악적 함의들을 검토한다. 그 결과, 소나타 형식을 구성하는 《시-녹턴》의 음악적 내부는 신비화음과 옥타토닉 음계의 활용이 우세한 한편, 프랑스어로 제시된 언어적 지시들은 각각의 프래그먼트들(fragment)의 구분을 암시하는 매개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이때, 신비화음, 《신비극》, 그리고 신지학적 테우르기(theurgy)에 관한 합일의 관점에서의 분석적 재고는 그의 음악적 이데아에 대해 접근하는 방법론이 된다. 이같이 본 연구는 스크리아빈의 음악적 실재와 형이상학을 통합적으로 헤아려 《시-녹턴》에 대한 분석적 가치를 확립하고, 그의 음악적 이데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의 방향성을 제안하여 스크리아빈의 후기 음악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는 바이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problems of reality and metaphysics of Alexander N. Scriabin(1872-1915)’s late piano music, Poème-Nocturne (Op. 61, 1911), and aims to take a theoretical approach to his musical idea. The musical notions of Poème-Nocturne will be investiga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historical and cultural implications that influenced Scriabin. Scriabin’s later music can be said to have a background of prometheanism and theosophy. In particular, Scriabin’s last decade was a time when theosophy, a type of philosophical mysticism, served as the most powerful force, and his ultimate goal of late music was toward his Mysterium, a large-scale comprehensive art. To begin, this study considers this environment as a trigger point that stimulated and changed his musical material. If the influence of this musical background on Scriabin acted as a factor causing radical change in his later music, the direction of Poème-Nocturne’s analysis should also absorb this background and reflect the theoretical derivation of its meaningful potential.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Scriabin’s pos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Russian cultural history and considers the musical potentials implied in the Poème-Nocturne from the analytical premises of his music. The results of Poème-Nocturne’s internal analysis appear to be the use of mystic chord and octatonic scales. Additionally, French linguistic instructions become a medium that implies formal distinction in sonata form. Subsequently, this study approaches his musical ideas by reconsidering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nity on mystic chord, Mysterium, and theological theurgy. As such, this study integrates Scriabin’s musical reality and metaphysics, establishing an analytical value for Poème-Nocturne. In addition, since it provides insight into his later music, the research is meaningful in suggesting the direction of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his musical id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