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허목이 찬술한 조식 선생 ‘신도비’논란에 대한 고찰

        조주희 ( Cho Joo-hee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21 漢文古典硏究 Vol.42 No.1

        한자의 도입과 함께 전래된 유학은 혈연공동체의 생활규범과 사회공동체의 행동규범을 보편화하여 도덕·윤리의 근간을 이룸으로써 우리 전통문화의 정수를 제공하였다. 문화란 자연 상태에 있는 정신적·물질적 실체를 인간이 가공하여 그것을 변화시키거나 새롭게 창조해 내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문화생산의 촉매제로는 문자에 의해 정리된 학문이 가장 으뜸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한 사회에 특정 학문이 정착되면 그 학문이 통치의 이념을 제공하여 사회변동이 일어나고 사회변동은 문화 변화를 일으킨다는 학문과 사회와 문화 간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여 이 패러다임의 틀에서 미수 허목이 찬술한 ‘남명 조식의 신도비’인 『덕산비』에 대한 논란을 사회·문화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성리학의 경우 고려 말에 도입되어 왕조교체의 명분을 제공하여 사회 변동을 불러 왔을 뿐만 아니라, 혈연공동체의 생활 규범과 사회공동체의 행동규범을 제시하여 불교와 도교를 멀리하는 문화변동을 일으켰다. 실학은 17세기에서 18세기 사이에 공리공담에 치우친 성리학을 개혁하여 實事求是의 논증을 중시함으로써 영·정조의 문예부흥기를 태동시켰을 뿐만 아니라, 허목이 찬술한 『덕산비』가 신도비의 원래 취지인 揚善隱惡 보다는 자신의 의도인 陽尊陰擠를 각인하여 놓았다는 논란을 정파의 이해관계가 아니라 후손의 효심에 의존하여 판단하는 문화변동을 가져왔다. ‘신도비’는 2품 이상의 품계를 얻은 망자에게 주어지는 은전으로, 망자가 학문 연구를 통해 고고한 인품과 깊은 학문을 지녔었다는 증거였다. 따라서 이것은 가족과 가문 그리고 망자가 속한 학파에게 긍지를 안겨주는 영광스러운 특전이었다. 이러한 영광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남명 조식 (1501~1572)의 신도비문 찬술 역시 당대에 정치적으로나 학문적으로 최고의 명성을 얻고 있는 학자에게 청문하였다. 1617년에 세워진 정인홍의 『남명선생신도비』는 1623년 인조반정으로 훼철되고, 그 이후에 남인의 영수였던 허목에게 청문하여 그것을 돌에 새겨 비를 세웠다. 이후 서양학문의 전래와 함께 1685년에 세워진 허목의 『덕산비』가 남명에 대하여 양선 은악 보다는 양존음제의 경향이 짙다고 하여 조씨 문중과 노론이 한편이 되어 1926년에 훼철하였다. 그 후에 진주향교의 남인계 유림이 소송을 제기하여 5년간에 걸친 소송 끝에 조식 후손이 승소함으로써 250년 동안 계속된 허목의 『덕산비』에 대한 논란이 종지부를 찍게되었다. 이 논문은 조식의 신도비 청문 과정과 立碑 과정에서 후손의 孝보다는 정파적 이해관계가 개입되었다는 사실을 학문의 정착, 사회의 변동, 문화의 변화라는 패러다임에 입각하여 탐구하였다. In this study, the dispute stemming from the cenotaph erected in memory of Nammyeong (Cho Sik's nickname), and its subsequent destruction leading to a lawsuit between the Namin (southern people) faction and the descendents of Cho Sik was examined through a sociological lens. The writing on the cenotaph was also a cause for dispute between Namin and the descendents of Cho Sik, as well as between Namin and Noron (another faction). Cho Sik was active in the 16th century during the early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m. Neo-Confucianism in Joseon was centered around familial blood ties which determined norms for the whole community and the ruling ideology for the nation state. These neo-Confucian norms pervaded in all facets of society, including kinship communities, wider society, and culture. These norms also permeated in mental or intellectual outputs such as artworks and symbolic systems such as linguistic rules. All these in the Joseon era were included under the umbrella of the concept of culture, with culture being defined as the mental and physical aspects of nature as it is created by humans, and that which is transformed or created as new. The academic discipline called Confucianism also contained the term culture as the concept of a human mental output leading to new creations. Neo-Confucianism was a philosophy that added metaphysical reasoning to early Confucianism, and was introduced in late 13 century Goryeo by Ahn Hyang, thus playing a critical role in the creation of a new culture in the dynastic transition period. Neo-Confucianism rejected the doctrines of Buddhism and Taoism as empty, characterizing them as a destructive force of familial and societal ethics and discipline, as Buddhism tended toward eschewing the secular world and Taoism favored seclusion. Buddhist and Taoist doctrines were effectively rendered a taboo paving the way for neo-Confucianism to take root in the culture, and as a result, causing a great societal change. From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until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the Realist School (Shilhak) of Korean Confucian academic tradition was established, and its practitioners reflected upon the exclusionary and intolerant nature of neo-Confucianism. They also stressed the importance of pragmatism and carefully analyzed and debated each and every proposition they faced. Accordingly, the 喪葬祭禮, or Confucian rituals, was elevated to the status of an academic discipline. However, the rituals outlined in the Sangjangjerye became the source of intense struggle among the political factions behind closed doors, thus leading to social change which in turn caused cultural change. The establishment of the Shindobi, which was used as a means of strengthening the class system, became the subject of profound studies, and the focus of a power struggle between factions, including Yesong surrounding funeral rites of a queen's mother, served as the catalyst for great social change. When viewed through this lens, the sociological meaning of Heo Mok's cenotaph erected for Cho Sik entitled “Deoksanbi” is revealed.

      • KCI등재
      • KCI등재

        사회.문화 교과서 연계 도서 속의 장애에 내재된 상징적 의미 탐구

        조주희(Cho, Joo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7

        아동⋅청소년기에 접한 텍스트를 통해 전달된 지식은 사회화 과정을 통해 성인이 된 이후 개인의 특정한 가치와 태도를 형성하는 데 주요한 영향을 준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15년에 개정된 통합교육 교과과정에서 사용되는 도서자료 속에 내재된 장애의 상징적인 의미가 무엇인지 탐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문화 교과서 연계 도서 33권을 선정하고 추출된 장애와 관련한 텍스트를 대상으로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사회⋅문화 교과서 연계 도서의 분석 결과는 장애의 개인적 구성의 관점의 장애 이미지와 장애의 사회적 구성의 관점의 장애 이미지로 나누어진다. 첫째, 장애의 개인적 모델의 관점의 장애 이미지는 5개의 하위 범주인 장애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을 내포한 표현, 비극적인 장애, 호기심의 대상, 영원히 행복한 존재, 교훈적인 존재로 구성된다. 둘째, 장애의 사회적 모델의 관점의 장애 이미지는 ‘차이’로서의 장애와 사회적으로 구성된 장애인 2개의 하위 범주로 나누어진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사회⋅문화 교과서 연계 도서가 통합교육 교과과정에 적절한 장애 관련 지식을 전달하고 있다는 증거를 보여주지만, 여전히 장애에 관한 왜곡된 이미지를 전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통합교육 환경에서도 여전히 장애에 관한 올바른 지식을 전달하는 교과용 도서가 충분하지 않다는 사실을 지적한다. Knowledge acquired through texts during childhood or adolescence has a major impact on the formation of individuals’ specific values and attitudes after they become adults through the socialization process. This study aimed to characterize the disabilities reproduced in books used in the integrated education curriculum revised in 2015. This study selected 33 educational books linked to social study textbooks used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nd a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extracted texts related to disabilities. The outcomes of the analysis on the educational books linked to social study textbooks were divided into images of negatively and positively reproduced disabilities. First, the images of negatively reproduced disabilities were composed of five subcategories: terms and tones that contained prejudices and stereotypes about disabilities, tragic disability, subject of curiosity, eternally happy beings, and didactic presence. Second, the images of positively reproduced disabilities were divided into two subcategories: disability as a “dissimilarity” rather than “difference” and socially composed disability. While this study shows the evidence of educational books being linked to social study textbook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delivering appropriate disability-related knowledge for the integrated education curriculum, it also confirms that distorted images of disability are still being conveye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still not enough books that convey appropriate knowledge on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al environments.

      • KCI등재

        2015 개정 사회과 교과서 삽화에 나타난 장애인관 연구 : 사회문화적 이해

        조주희(Cho, Jooh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2

        이 논문은 사회과 교과서의 삽화 분석을 통해 사회적으로 구조화되고 문화적으로 재생산되는 장애에 관한 지배적인 이데올로기가 무엇인지 밝히고, 사회문화 교사들의 교수내용지식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에 요구되는 소수자 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교과서가 전달하는 장애에 관한 지식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장애인관을 분석한다. 2015 개정 초·중·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 23권을 대상으로 4가지 차원의 장애인관 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7년에 시행된 특수교육법의 철학적 근간이 되는 장애가 사회문화적으로 구성된다는 관점이 교육과정에서도 발견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우리 사회의 구성원인 다양한 장애의 가치와 문화를 가진 사람들의 모습이 현실적으로 제시되지 않고 있다. 셋째, 장애의 문제를 개인이 아닌 사회에서 찾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있다고 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2015 개정 사회과 교과서 삽화 분석은 장애에 관한 긍정적인 인식을 전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장애는 불쌍하고(Ⅰ차원), 의존적이고(Ⅱ차원), 극복해야 하는 것(Ⅲ차원)으로 보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따라서, 소외된 집단인 장애인의 문화나 지식을 교육과정에 반영시키고 궁극적인 사회통합을 달성하기 위해서 사회과 교과서가 선택한 지식과 선택되지 못한 지식에 관해 탐구가 요구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et the direction for education on understanding disabilities through the school curriculum by analyzing disability-related illustrations provided in social studies textbooks. This study analyzed 4 dimensions of the views on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23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irst, a physical disability was the most common type of disability, whereas there were no autism spectrum disorder or learning disabilities. Second, many of the disability-related topics were on respect for human rights. Social studies textbooks acknowledge individual differences and cover contents on respect for human rights. Third, the 4th dimension of views on persons with disabilities was found most in the textbooks. However, there were many cases in which the textbooks showed the 1st dimension, viewing disabilities as an individual problem and describing the disabled as dependent people receiving medical treatment and help from others. Therefore, the curriculum must be revised so th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provide all kinds of knowledge about disabilities, with improved contents that present actual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prevent stereotypes and prejudices against disabilities. Furthermore, the writers and researchers of social studies textbooks must receive training about disabilities to help them select and improve disability-related contents, while also inviting participation of actual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students as well. In addition, research must be conducted to promote desirable understanding and improve the perception on disabilities using social studies textbooks in school settings.

      • KCI등재

        무라카미 하루키 문학에 나타난 마이너리티 표상

        조주희 ( Cho Joo-hee ) 한국일어일문학회 2021 日語日文學硏究 Vol.117 No.-

        무라카미 하루키의 작품에는 정신적·신체적인 장애가 있는 주인공들이 많이 등장한다. 그런데 장애에 대한 근대적 질서가 빈곤과 무능력, 불행한 개인으로 폄하해 왔다고 한다면 하루키의 작품은 철저하게 이런 시선을 차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장애를 다룬 문학에 있어서 늘 지적되는 사항이 작가의 불공평함, 즉 장애를 정상이라는 잣대로 분리시키고 그로 인해 사회적인 위계질서가 형성되면서 장애인을 비장 애인의 하위에 위치시킨다는 점인데, 하루키의 작품은 그러한 점에 있어서는 매우 공평해 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다만 한 가지 한계로 지적하고 싶은 것은 그들의 삶이 지나치게 이상화되어 있고 현실적인 문제나 내면의 갈등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마이너리티가 기호로 기능하고 있을 뿐 신체적 마이너리티들의 존재 가치에 대한 작가의 관심은 얕아 보인다. 이러한 경향은 성적 마이너리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하루키 작품 속의 성적 마이너리티들은 자신의 성 정체성에 대해 혼란을 느끼고 있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현대 사회에서 만연하고 있는 [성소수자=혐오의 대상]으로 그려져 있지 않다는 점에서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적 시선은 느껴지지 않는다. 하지만 같은 성적 마이너리티라도 남성과 여성의 대우가 다름을 알 수 있는데, 레즈비언의 경우는 일탈자, 악의 표상으로 그려지면서 텍스트 바깥으로 소거되고 있는데 반해, 게이의 경우는 고급스런 삶을 구사하는 인텔리전트로 그리고 있다는 점에서 남녀간 차별이 극명하게 드러나 있고, 나아가 그들의 이상적 삶은 성적 마이너리티들이 겪고 있는 사회적 차별과 불인정의 문제를 전혀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현실성이 결여되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Murakami Haruki's works often features physical minorities. Most literature dealing with disabilities is criticized for the writer's unfairness, that is, separating disability by the standard of normalcy and placing the disabled below the non-disabled, but Haruki's work seems very fair in that respect. Minorities only function as symbols in his work and interest in their existence itself seems shallow in that problems or internal conflicts they experience in real life don’t appear. In other words, a disability is separated from the standard so-called “normal”, and since the order of rank has been established accordingly within the society, the disabled people have been positioned lower than the none-disabled people. It is true that the work of Haruki seemed to be fairly even in this perspective. The same is true of sexual minorities. Haruki's work does not show a discriminatory view of sexual minorities in that they are not depicted in a way of [sexual minority = object of hatred], which is prevalent in modern society.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treatments for males and female.s In the case of lesbians, the lifestyle has been described as deviant or a symbol of wickedness and has been eradicated to the outside of text, but in contrast, a gay male has been described as an intellectual person, who manages a luxurious life. This clearly shows the discrimination between males and females, and it lacks realism as their ideal lives don’t reflect social discrimination and disapproval experienced by sexual minorities at all.

      • KCI등재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장애 관련 내용 분석

        조주희(Cho, Joo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07년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과 2017년 「장애인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에 관한 법률」이 시행된 이후, 통합교육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는 사회과 교과서의 장애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장애가 재현되는 방식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이 반영된 중학교와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 17권에서 장애 관련 자료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교과서에서 추출된 96개의 분석단위에 대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과정은 분석 도서 선정, 분석요소 도출, 삼각검증을 통한 범주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사회과 교과서에서 재현된 장애 관련 내용 분석 결과는 장애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와 부정적인 이미지로 나누어진다. 장애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는 1) 장애 차별적인 용어와 어조 2) 장애에 대한 개인적이고 비극적인 관점 3) 강한 장애인에 대한 고정관념으로 나타난다. 장애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는 1) 다양성의 한 부분으로서의 장애 2) 반장애차별적인 내용으로 제시된다. 본 연구는 사회과 교과서에서 재현된 장애의 이미지가 통합교육에 좋은 사례를 포함하고 있지만, 여전히 장애 차별적인 내용이 전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과 교과서가 장애에 대한 고정관념을 재생산하고 있으며, 장애인의 현실을 반영하는 지식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isability-related content and discuss how disabilities are represented in social studies textbooks used in inclusive education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Special Education Act and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This study selected disability-related materials from 17 middle and high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that reflect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research process consists of selecting books for analysis, deriving the components of analysis, and formng categories through triangulation. Th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96 analysis units taken from textbooks. This study presents the methods of how disabilities are depicted in textbooks by dividing them into the categories of positive and negative representations. Negative representations of disabilities are discriminatory terms and tones against disabilities, personal and tragic perspectives towards disabilities, and strong stereotypes against people with disabilities. On the other hand, positive representations of disabilities are disabilities as a part of diversity and non-discriminatory materials on disabilities. Through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although representations of disabilities in social studies textbooks include cases helpful for inclusive education, discriminatory contents against disabilities are still deliver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social studies textbooks do not only regenerate stereotypes on disabilities; they are also unable to properly convey knowledge that reflects the realities of disabled peopl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