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댄 그레이엄의 작품에서 나타난 상호주관성에 대한 고찰 -M. 메를로-퐁티의 지각이론을 중심으로

        정소라 ( So La Jung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6 美學·藝術學硏究 Vol.46 No.-

        본 논문은 댄 그레이엄의 1960년대 말 퍼포먼스에서부터 1970년대 비디오설치 작업과 파빌리온 작업을 메를로-퐁티의 신체 지각 이론을 통해 살펴보고자한다. 그레이엄은 자신의 작품에서 지각 자체를 실험함으로써 주체와 대상, 보는것과 보이는 것 간의 관계 그리고 주체와 타인 간의 관계에서 만들어지는 상호주관성에 대한 탐구를 해나간다. 이러한 탐구 과정에서 그는 관람자를 작품의 관찰자로서가 아니라 능동적인 행위자로서 설정한다. 그레이엄의 작품 분석의 한 축으로 가져올 모리스 메를로-퐁티의 지각이론은 모든 지식의 근원을 지각에서 얻을 수 있고 그 지각의 주체는 신체라는 것이 주장의 핵심이다. 메를로-퐁티는 우리 자신에 대한 인식 역시 지각을 기반으로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즉, 세계를 지각하는 것은 결국은 다시 지각하는 스스로를 향하게 함으로써 반성에 이르게 한다는 주장을 펼친다. 이런 관점에서 그는 타인역시 일종의 대상으로 보지 않고 세계라는 기반을 나와 공유하는 또 하나의 자아로 보았다. 나와 타인은 신체를 통해 내적 연결성을 지니고 있고, 다르게 표현하자면 살이라는 같은 조직으로 구성된 하나이지도 둘이지도 않은 관계에 놓여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메를로-퐁티는, 우리가 개별적 주관성을 먼저 확립하는 것이아니라 타인과 연결된 세계라는 기반 위에서, 즉 상호주관적 세계 위에서 자신의주관성을 갖게 된다는 입장을 취한다. 이와 같은 메를로-퐁티의 지각에 대한 탐구를 통해 얻어진 주체와 타인에 대한 고찰들은 고정된 개념으로서의 독립된 주체를 부정하려는 그레이엄의 입장과 맞닿아 있다. 지각을 통해 주체와 대상이 가역적으로 위치를 교환하며 자기인식이라는 과정에 이르는 것을 그레이엄의 작품에서도 읽어낼 수 있다. 또한 그레이엄은 지각의 과정에서 순수한 현존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타인, 상호주관성, 시간과 기억, 사회적으로 코드화된 의미들을 보여줌으로써 주장한다. 그레이엄이자신의 작품을 통해 드러내고 있는 것을 정리해보면, 첫째, 고정된 개념의 주체와대상을 부정한다. 그레이엄의 작품에서 관람자는 작품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관람자의 현존을 통해 작품의 의미는 비로소 생겨난다. 그러나 이때 관람자는 작품을 바라보고 있는 주체일 뿐만 아니라 보이는 대상이기도 하다. 둘째, 미니멀리즘과는 다르게 순수한 현존을 부정하고 주체가 지각할 때 얽혀 있는 여러 시간적, 공간적 맥락들을 보여주려 한다. 우리의 지각은 이러한 것들을 배제시킬 수가 없다는 것이다. 셋째, 하나의 개인이 아니라 타인과 만들어내는 사회 속의 주체를 드러내고자 한다. 이것은 결국 작품을 통해 상호주관성의 형성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그레이엄이 거울을 사용하든 비디오의 피드백 기능을 사용하든 그가 보여주려는 것은 자기 또는 타인을 바라봄으로써, 즉 지각함으로써 스스로에 대한 인식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다는 것은 지각에 이은 반성의 단계로 끌고 가며 주체, 즉 관람자는 보고 있는 자신을 보게 된다. 더 나아가 보고 있는 자신이 속한 맥락을 함께 지각함으로써 사회 속의 주체,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자신의 주체성을 깨닫게 된다. This study examines from performances in late 1960s to video installation art and pavilion works in 1970s through Merleau-Ponty``s theory of perception. Graham has explored the subject and the object, seeing and being seen, inter-subjectivity which mak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others by experiments of perception itself in his works. In this investigation process, he set up the viewer not as the observer of works but as an active performer. Maurice Merleau-Ponty``s theory of perception, which will be one of analysis of Graham``s works, mainly asserts that it can obtain every source of knowledge from perception and the subject of perception is the body. Merleau-Ponty asserted that the cognition of ourselves is also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is asserted that perceiving the world leads self-reflection to orient the perceiving subject. In this respect, he though other people as the other ego to share the world together, not as a kind of the objects. He thought that I have an internal connectivity through the body with other people, in other words, they are in neither one nor two relationship composed of the same organization, which is a flesh. Therefore, Merleau-Ponty took a position that we do not establish the individual subjectivity first, we have the subjectivity on the connected world with others, in other words, on the world of inter-subjectivity. This consideration about the subject and others from Merleau-Ponty``s study on perception meets Graham’s position to deny the independent subject as the fixed concept. The process which subject and object reversibly switch their positions through the perception and reach the self-awareness can be also read in Graham``s works. In addition, Graham asserted that pure presence was impossible in the process of perception, showing others, inter-subjectivity, time and memory and coded meanings in society. Summing up disclosures in Graham``s works, first, he denied the subject and object as fixed concept. In his works, viewer plays an important role to form the works. The presence of viewer completes the meaning of works. However, at this time the viewer is not only the subject to watch the works but also the object to be seen. Second, unlike minimalism, he denies pure presence and tried to show various entangled timely and spatial contexts when the subject perceived. Our perception cannot exclude these. Third, he tried to disclose the subject not as individual but as the subject in the society with others. Ultimately it shows the formation of inter-subjectivity through his works. In conclusion, whether Graham used a mirror or video feedback, he tried to show that the perceiving subject can reach his own perception, seeing oneself or others, that is, perceiving oneself. Seeing leads the step of self-reflection after the perception and the subject, viewer can see oneself who is seeing. Furthermore, the seeing one realizes the subject in the society and his subjectivity formed in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perceiving the context where he is

      • KCI등재

        다원주의와 의사소통

        정소라(Jeong So ra) 대한철학회 2015 哲學硏究 Vol.135 No.-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듀이의 실용주의적 시각에서 하버마스의 보편화용론의 구조를 검토함으로써 그것이 다원주의와 충돌을 드러낸다는 것을 밝히고, 그 한계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생긴다는 것을 보이려는 데 있다. 첫째, 하버마스의 '의사소통적 합리성'의 구상은 전통적인 이성 개념을 축소함으로써 화용론적 요소들과 절충하려는 시도이다. 둘째, 다원주의의 성공 여부는 유사성 중심의 '합의'에 있다기보다는 무제약적 차이가 허무주의로 전락하는 것을 막아 주는 '제약'의 설정에 있는데, 하버마스가 제안하는 방식은 다원성을 존중하는 형태가 아니라 다원성을 또다시 최소화된 합리성 개념으로 수렴하려는 것이다. 셋째, 하버마스의 보편화용론은 경험세계에 대한 해명이 아니라 이상적인 담화 상황을 가정하여 소통의 모델을 제시하는 이론적 요청에 머무른다. 따라서 보편화용론은 실제적 의사소통에 대한 해명이라는 측면에서 현실성을 담보하지 못한다. 이에 비하면 듀이의 의사소통 개념은 크게 유기체인 인간의 삶의 한 국면이며, 합의에 이르기 위한 활동이라기보다는 문제 해결의 실제적 과정에서 협력을 위한 상호작용이라는 점에 초점을 맞춘다. 이러한 실용주의적 의사소통 개념은 어떤 통합이나 합의를 미리 가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의사소통의 시행착오 상황까지도 포괄적으로 해명할 수 있다. 또한 듀이는 다원성이 무제약적 허무주의로 전락하는 것을 막아 주는 '제약'이 '유기체적 공통성'에 근거하고 있다고 제안하고 있는데, 이것은 이론적으로 요청되는 제약이 아니라 경험적으로 해명 가능한 제약이라는 점에서 현실적인 설득력을 가진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re-explicate Habermas's universal-pragmatics from Dewey's pragmatic perspective, and show that it does not concur with Habermas's idea of pluralism. The primary reasons for this incoherence comes from the following: First, Habermas's 'communicative rationality' is an attempt to compromises the traditional notion of 'reason' as transcendental and normative. Second, the ultimate goal of pluralism is not a 'consensus' grounded on similarity, but the play of differences constrained eleswhere. But Habermas's conception of rationality, if deflated, serves as the converging point, which annuls plurality. Third, Habermas's universal- pragmatics premises an ideal communicative situation, and this turns out to be a more refined version of the consensus model of communication. That is, it explicates a set of necessary conditions for an ideal communication, rather than clarifying the actual structure of communication. Dewey's conception of communication as an integral part of human life, offers a more realistic account of the nature of communication in naturalistic terms. In such a view, communication is more about cooperation in action by means of instrumental intelligence, rather than rationality. However, such a view does not succumb to nihilistic relativism, since it is grounded in 'the organic commonality' shared by all organisms. Dewey's conception of communication, if not complete, offers a better way out for a more viable and appropriate account for the nature and structure of communication.

      • KCI등재

        무독화한 옻발효초가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에 미치는 항비만 효과

        정소라(So Ra Cheong),김란선(Ranseon Kim),박유경(Yoo Kyoung Park),백성열(SeongYeol Baek),여수환(Soo-Hwan Yeo),이충환(ChoongHwa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12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로 비만 유도된 쥐를 대상으로 10주간 옻식초를 급여하였을 때 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옻식초는 무독화된 옻을 이용하여 알코올 발효후 아세트산 발효를 거쳐 제조하였으며, 흰쥐를 일반식이(normal chow diet)와 고지방식이(fat 60 %kcal) 섭취군으로 나누어 12주 동안 비만 유도를 한 후 총 5군으로 나누었다. 일반식이와 정제수를 음용한 CON군, 고지방식이와 정제수를 음용한 OB-DW군, 고지방식이와 1% 아세트산을 음용한 OB-AA군, 고지방식이와 1% 옻식초를 음용한 OBRV군, 고지방식이와 0.1% 카페인 용액을 음용한 OB-CF군으로 나누어 총 10주 동안 해당 식이와 실험시료를 공급하였으며, 연구 종료 후 체중, 지방 무게, 지방구 크기 및 개수, 혈액과 간 조직의 지질 profile, 지방조직의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와 lipoprotein lipase(LPL) 효소 활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OB-DW군과 비교하여 OBRV군에서 체중 증가량과 식이효율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혈중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함량, 심장동맥경화지수(CRI), LPL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또한 혈중 유리지방산과 분변 중성지방의 함량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P<0.05). 항비만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비만 흰쥐에게 옻식초를 음용시켰을 때 혈청이나 간의 지질 함량을 개선시키고 지질 배설을 증가시켜 부작용 없이 식품소재로서 비만을 일부 개선시키는 효과를 규명하였다.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obesity effects of 1% Rhus verniciflua vinegar (RV) supplementation in high-fat-diet (60% fat)-induced obese rats. A total of 50 4-wk-old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fed normal chow diet or maintained on high-fat diet (HFD) for 12 weeks to induce obesity and were then randomized into five groups as follows: normal diet+ultra-pure water (CON), HFD+ultra-pure water (OB-DW), HFD+1% acetic acid (OBAA), HFD+1% RV (OB-RV), and HFD+0.1% caffeine (OB-CF). AA was used as a control for RV, and caffeine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due to its weight reducing effect. After 2 months, body weight, organ and adipose tissue weights, serum lipids, hepatic lipids, adipocyte size, and cell number per spot level were analyzed. As a result, food efficiency ratio, abdominal adipose tissue weight, serum levels of total cholesterol, triacylglycerol, free fatty acids, coronary artery index, and fecal lipid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RV treatment group. In this study, we found that dietary RV improved obesity by increasing lipid excretion and reducing lipogene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RV has potential as a functional anti-obesity food.

      • 덕트 팬의 공력성능에 관한 파라메트릭 연구

        정소라(S.R. Jeong),강형민,김상곤,김철완(C.W. Kim)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13 한국전산유체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5

        A ducted fan has many advantages comparing to an open rotor. Theoretically, the ducted fan minimizes a formation of the tip vortices to obtain higher thrust. Therefore, many researchers have done the trade off studies for the parameters of ducted fan shapes. In the present study, an interaction between a duct rotor and parametric effects of the tip clearance of ducted fan on the aerodynamic performances are analyzed. To simplify the computational analysis, a horizontally expanded ducted fan shape is utilized. The results show that the overall aerodynamic performances are increased as tip clearance decreased.

      • KCI등재

        가상현실 수용자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메를로-퐁티의 지각이론 및 핸슨의 ‘코드 속의 신체’ 개념을 중심으로

        정소라 현대미술사학회 2019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46

        Virtual reality works, which we see in contemporary art, typically use digital images to lead and immerse viewers into spaces that are similar to reality. However, some cyberculture theorists have a tendency to exclude the biological body of the viewer in the discussion of virtual reality. Do we really become disembodied whilst absorbing virtual images, as they claim? Through the concept of ‘body in code,’ this paper analyzes the view of media theorist Mark B. N. Hansen, who has been advocating the expansion of the body based on embodiment in the technological environment. Among the many works given by Hanson as examples, I will particularly be looking into the works of Myron Krueger, Simon Penny, and Agnes Hegedu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dy that combines technology with virtual reality. I will also try to understand Maurice Merleau-Ponty’s perception theory, which serves as a foundation and basis for his argument, by focusing on the concept of ‘body schema’ and the ‘reversibility’ of flesh, which reveals the motility and spatiality of the body-subject. Through this research, I seek to explain that our bodies are actively involved in the union with the world by means of technological mediums such as coded programs, and recognize that they dynamically transform by exchanging their structures with each other and expanding. 동시대 미술에서 접하게 되는 가상현실 작품들은 디지털 이미지들을 활용하여 관람자를 현실과 유사한 공간으로 이끌고 몰입하도록 하는 특징을 갖는다. 그런데 일부 사이버 문화 이론가들은 가상현실에 대한 논의에서 수용자의 생물학적 신체를 배제하는 경향을 지닌다. 과연 이들의 주장처럼 가상 이미지를 받아들이는 순간의 우리 신체는 탈체화되는 것일까? 본 논문은‘ 코드 속의 신체’ 개념을 통해, 기술적 환경 속에서의 체화를 바탕으로 한 신체의 확장을 주장해 온 미디어 이론가 마크 B. N. 핸슨의 관점을 분석한다. 특히 핸슨이 사례로 들고 있는 여러 작품들 중에서, 마이론 크루거와 사이먼 페니, 그리고 아그네스 헤게뒤스의 가상현실 작품들을 가지고 기술과 결합하는 신체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에 앞서 그의 주장에 하나의 바탕이자 근거로 작용하는 모리스 메를로-퐁티의 지각이론을 신체-주체의 운동성과 공간성을 드러내는‘ 신체도식’과 살의‘ 가역성’ 개념에 주목하여 이해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우리의 신체가 코드화된 프로그램과 같은 기술적 요소들을 매개로 세계와의 결합에 능동적으로 임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더 나아가 서로의 구조를 교환하며 확장하며 역동적으로 변화한다는 것을 이해하고자 한다.

      • CNT(Carbon nanotube)의 분산도에 따른 마찰재의 마찰 특성

        정소라(So La Jung),장호(Ho Jang) 한국트라이볼로지학회 2008 한국트라이볼로지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11

        Friction materials for automotive brakes were fabricated by three different dispersion methods with carbon nanotubes. The friction materials were based on a simple formulation containing binder resin, CNTs, and barite. Nanotubes were dispersed using mixer and Pulverizer in matrix with binder resin and barite. The dispersion degrees were measured using an optical microscop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nd image analyzer. The tribological properties of these materials, such as the average friction coefficients and wear resistance were assessed using 1/5 scaled brake dynamometer. Results showed that wear resistance were affected considered by the dispersion degrees of CNTs. Wet pulverizing method showed best result in dispersion, but wear resistance poor.

      • KCI등재후보

        한국 입양법 변화의 사회적 의미 -1967년 입양법과 2012년 입양법을 중심으로-

        정소라 ( So Ra Jeong ) 한국민족연구원 2016 민족연구 Vol.0 No.65

        오늘날 한국에서는 입양 이슈를 둘러싼 관심과 논쟁이 뜨겁다. 누군가에게 입양은 혈연을 넘어선 대안적 가족을 만드는 일이지만, 누군가에게 입양은 어머니와 아동의 결별에 기초하여 친생 가족 중심의 입양 체계를 지연시키는 수단 중 하나다. 따라서 입양은 입장에 따라 상충하는 대립의 지점에 서 있고, 이에 따라 입양을 제도화하고 정책화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다. 본 글은 입양을 사적으로 볼 것인지공적으로 볼 것인지 논하고, 두 접근이 어떻게 현재 한국 사회의 입양 제도 변화에 반영되었는지 살펴본다. 1966년 개정된 입양법은 입양기관이 입양을 전담하게 함으로써 국가가 사회복지에드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하였다. 반면 전면 개정된 2012년 입양법은 입양 절차에 가정 법원이 개입함으로써 입양 제도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강화하였다. 본 글은이러한 변화를 국가의 공공성이 강화된 결과라기보다, 국가가 입양을 통해 얻고자하는 이득이 달라진 결과로 본다. 국가가 1967년 입양법으로 직접적인 경제적 이득을 얻기 원하였다면, 2012년에는 저출산 위기 극복을 통한 정당성 획득에 집중하는 것이다. Adoption has been controversial issue depending on people’ position and values. In the general, there are two views of adoption. Some people think adoption is what we ought to promote because it is a way to rescue the poor babies and make families regardless of blood bonds. Other people think adoption is what we ought to stop because it is a way to take babies from birth families. Across this two views,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meaning of the adoption in Korea through exploring the adoption law changes. ‘Special Adoption Law for Orphans’ made in 1966(including enforcement 1967) was designed for private adoption agency to be able to run adoption exclusively. At that time, Korean state had to deal with demanding for welfare service from domestic society. However, a new ‘Special Adoption Law’ made in 2012 by several NGO for unwed mother families and adoptees revised the law completely for the government authorities to have responsibility about adoption. This paper argues that the factor of this law revision is that the state’s interest changed from getting direct economic benefits to getting legitimacy about the low fertility iss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