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NT(Carbon nanotube)의 분산도에 따른 마찰재의 마찰 특성

        정소라(So La Jung),장호(Ho Jang) 한국트라이볼로지학회 2008 한국트라이볼로지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11

        Friction materials for automotive brakes were fabricated by three different dispersion methods with carbon nanotubes. The friction materials were based on a simple formulation containing binder resin, CNTs, and barite. Nanotubes were dispersed using mixer and Pulverizer in matrix with binder resin and barite. The dispersion degrees were measured using an optical microscop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nd image analyzer. The tribological properties of these materials, such as the average friction coefficients and wear resistance were assessed using 1/5 scaled brake dynamometer. Results showed that wear resistance were affected considered by the dispersion degrees of CNTs. Wet pulverizing method showed best result in dispersion, but wear resistance poor.

      • KCI등재

        카르스텐 횔러의 설치미술에서의 현상학적 경험 -M. 메를로-퐁티의 철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정소라 ( Jung So La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1

        본 논문은 카스텐 횔러(Carsten Holler)의 설치작품이 관람자의 능동적 참여를 유도하는 방식들을 살펴보고, 이것들이 양산해내는 현상학적 경험의 성격을 밝혀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현상학자 모리스 메를로-퐁티(M. Merleau-Ponty)의 신체와 지각에 대한 주장들을 소환하고자 한다. 인간이 세계를 가장 원초적으로 만나는 행위인 지각, 그리고 이 지각 행위의 주체인 신체를 재탐색한 메를로-퐁티의 주장들은 횔러의 작품 경향을 이해하는데 하나의 유용한 관점을 제시해줄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종합하여 횔러의 작품들이 갖는 궁극적 의미가 무엇인지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횔러가 관람자를 작품의 핵심 요소로 초대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인데, 바로 실험과 놀이이다. 횔러는 과학 실험과도 같은 어떤 일종의 현상을 관람자가 경험하도록 유도하여 이들에게 혼란과 환각을 일으킨다. 또는 슬라이드, 회전목마, 360도 날아 오르는 기계처럼 놀이공원의 기구와 유사한 형태를 통해 관람자를 즐거움과 두려움이라는 극단의 경험으로 몰아넣는다. 이와 같은 실험 또는 놀이와 유사한 그의 작품은 관람자의 신체를 바탕으로 한 지각 경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횔러의 작품들이 지향하는 것은 개별적인 관람자의 적극적인 신체 참여이며, 작품의 일차적 의미 역시 여기에 있다. 그는 작품을 통해 대상에 대한 종합된 의미를 구하는 것이 아닌 개별적 관람자의 경험 그 자체에 주목하고 있는 것이다. 어떤 대상이나 사물에 대한 인식은 이성 이전의 신체의 지각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횔러의 작품을 경험하는 것은 정해진 답을 찾는 과정이 아니라 매 순간 세계와 만나는 과정인 것이다. 이것은 메를로-퐁티가 강조했던 신체 기반의 지각 경험에 대한 관점을 환기시킨다. 횔러의 작품들은 작가가 의도했든 그렇지 않든, 대상이 체화된 의식에 일으키는 현상과 중요한 인식 행위인 지각에 대한 일깨움을 던져준다. 그리고 더 나아가 세계를 새롭게 지각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 이것이 횔러 작품이 지닌 궁극적 의미일 것이다. This study has a purpose to examine how installation arts of Carsten Holler attract active involvements from viewers and reveal these phenomenological characteristics. It cites a phenomenologist M. Merleau-Ponty`s theory on body and perception. His theory which re-searches the perception, the most instinctive behavior for human to face the world, and the body, the performer of perception behavior may give one of useful perspectives to understand tendency of Holler`s works. It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ultimate meaning of his works after synthesizing these analyses. There are two way to invite viewers to core elements of his works; experiment and play. He designed a kind of phenomena like a scientific experiment which is attracting viewers to experience, so that they will get confused and hallucinated. He pushes viewers to extreme experiences of joy and fear in similar shape of amusement park like a slide, merry-go-round, 360° jumping machine and etc. His works, similar to experiment or play as above, focus on perception experience based on viewer`s body. His works aims at active physical involvements of individual viewers, which indicates primary meaning of his works. He only focuses on individual viewer`s experience itself, not comprehensive meanings of the subject through his works. Perception on certain subject or thing is based on physical perception before rationality. Experiencing his works is a process to face the world each time, not to find a fixed answer. This reminds the view of perception experience based on the body which Merleau-Ponty emphasizes. Whether Holler intended or not, his works open eyes to phenomena, which the subject causes to embodied consciousness, and perception which is an important behavior to recognize. Furthermore it gives opportunity to perceive new world. It`s the ultimate meaning of Holler`s works.

      • KCI등재
      • KCI등재

        댄 그레이엄의 작품에서 나타난 상호주관성에 대한 고찰 -M. 메를로-퐁티의 지각이론을 중심으로

        정소라 ( So La Jung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6 美學·藝術學硏究 Vol.46 No.-

        본 논문은 댄 그레이엄의 1960년대 말 퍼포먼스에서부터 1970년대 비디오설치 작업과 파빌리온 작업을 메를로-퐁티의 신체 지각 이론을 통해 살펴보고자한다. 그레이엄은 자신의 작품에서 지각 자체를 실험함으로써 주체와 대상, 보는것과 보이는 것 간의 관계 그리고 주체와 타인 간의 관계에서 만들어지는 상호주관성에 대한 탐구를 해나간다. 이러한 탐구 과정에서 그는 관람자를 작품의 관찰자로서가 아니라 능동적인 행위자로서 설정한다. 그레이엄의 작품 분석의 한 축으로 가져올 모리스 메를로-퐁티의 지각이론은 모든 지식의 근원을 지각에서 얻을 수 있고 그 지각의 주체는 신체라는 것이 주장의 핵심이다. 메를로-퐁티는 우리 자신에 대한 인식 역시 지각을 기반으로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즉, 세계를 지각하는 것은 결국은 다시 지각하는 스스로를 향하게 함으로써 반성에 이르게 한다는 주장을 펼친다. 이런 관점에서 그는 타인역시 일종의 대상으로 보지 않고 세계라는 기반을 나와 공유하는 또 하나의 자아로 보았다. 나와 타인은 신체를 통해 내적 연결성을 지니고 있고, 다르게 표현하자면 살이라는 같은 조직으로 구성된 하나이지도 둘이지도 않은 관계에 놓여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메를로-퐁티는, 우리가 개별적 주관성을 먼저 확립하는 것이아니라 타인과 연결된 세계라는 기반 위에서, 즉 상호주관적 세계 위에서 자신의주관성을 갖게 된다는 입장을 취한다. 이와 같은 메를로-퐁티의 지각에 대한 탐구를 통해 얻어진 주체와 타인에 대한 고찰들은 고정된 개념으로서의 독립된 주체를 부정하려는 그레이엄의 입장과 맞닿아 있다. 지각을 통해 주체와 대상이 가역적으로 위치를 교환하며 자기인식이라는 과정에 이르는 것을 그레이엄의 작품에서도 읽어낼 수 있다. 또한 그레이엄은 지각의 과정에서 순수한 현존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타인, 상호주관성, 시간과 기억, 사회적으로 코드화된 의미들을 보여줌으로써 주장한다. 그레이엄이자신의 작품을 통해 드러내고 있는 것을 정리해보면, 첫째, 고정된 개념의 주체와대상을 부정한다. 그레이엄의 작품에서 관람자는 작품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관람자의 현존을 통해 작품의 의미는 비로소 생겨난다. 그러나 이때 관람자는 작품을 바라보고 있는 주체일 뿐만 아니라 보이는 대상이기도 하다. 둘째, 미니멀리즘과는 다르게 순수한 현존을 부정하고 주체가 지각할 때 얽혀 있는 여러 시간적, 공간적 맥락들을 보여주려 한다. 우리의 지각은 이러한 것들을 배제시킬 수가 없다는 것이다. 셋째, 하나의 개인이 아니라 타인과 만들어내는 사회 속의 주체를 드러내고자 한다. 이것은 결국 작품을 통해 상호주관성의 형성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그레이엄이 거울을 사용하든 비디오의 피드백 기능을 사용하든 그가 보여주려는 것은 자기 또는 타인을 바라봄으로써, 즉 지각함으로써 스스로에 대한 인식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다는 것은 지각에 이은 반성의 단계로 끌고 가며 주체, 즉 관람자는 보고 있는 자신을 보게 된다. 더 나아가 보고 있는 자신이 속한 맥락을 함께 지각함으로써 사회 속의 주체,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자신의 주체성을 깨닫게 된다. This study examines from performances in late 1960s to video installation art and pavilion works in 1970s through Merleau-Ponty``s theory of perception. Graham has explored the subject and the object, seeing and being seen, inter-subjectivity which mak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others by experiments of perception itself in his works. In this investigation process, he set up the viewer not as the observer of works but as an active performer. Maurice Merleau-Ponty``s theory of perception, which will be one of analysis of Graham``s works, mainly asserts that it can obtain every source of knowledge from perception and the subject of perception is the body. Merleau-Ponty asserted that the cognition of ourselves is also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is asserted that perceiving the world leads self-reflection to orient the perceiving subject. In this respect, he though other people as the other ego to share the world together, not as a kind of the objects. He thought that I have an internal connectivity through the body with other people, in other words, they are in neither one nor two relationship composed of the same organization, which is a flesh. Therefore, Merleau-Ponty took a position that we do not establish the individual subjectivity first, we have the subjectivity on the connected world with others, in other words, on the world of inter-subjectivity. This consideration about the subject and others from Merleau-Ponty``s study on perception meets Graham’s position to deny the independent subject as the fixed concept. The process which subject and object reversibly switch their positions through the perception and reach the self-awareness can be also read in Graham``s works. In addition, Graham asserted that pure presence was impossible in the process of perception, showing others, inter-subjectivity, time and memory and coded meanings in society. Summing up disclosures in Graham``s works, first, he denied the subject and object as fixed concept. In his works, viewer plays an important role to form the works. The presence of viewer completes the meaning of works. However, at this time the viewer is not only the subject to watch the works but also the object to be seen. Second, unlike minimalism, he denies pure presence and tried to show various entangled timely and spatial contexts when the subject perceived. Our perception cannot exclude these. Third, he tried to disclose the subject not as individual but as the subject in the society with others. Ultimately it shows the formation of inter-subjectivity through his works. In conclusion, whether Graham used a mirror or video feedback, he tried to show that the perceiving subject can reach his own perception, seeing oneself or others, that is, perceiving oneself. Seeing leads the step of self-reflection after the perception and the subject, viewer can see oneself who is seeing. Furthermore, the seeing one realizes the subject in the society and his subjectivity formed in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perceiving the context where he is

      • KCI등재

        미술관의 환경적 책임과 환경 관련 예술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영국 서펜타인 갤러리와 테이트 사례를 중심으로

        정소라(Jung, So La) 한국미술교육학회 2021 美術敎育論叢 Vol.35 No.3

        환경 파괴와 그로 인한 기후변화는 현재 인간의 가장 긴급한 문제로 부상했다. 훼손된 지구를 복구하고 인류에게 미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과 반성의 움직임이 증가함에 따라 영국의 미술관들 역시 이러한 문제를 다루는 프로그램들과 실천들을 점점 더 많이 기획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국의 미술관들이 환경 문제를 다루는 예술 실천들에 주목하는 근본적인 목적과 현재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적용하고 있는 방법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문헌 연구와 사례 조사를 함께 진행한다. 먼저 문헌 연구의 경우 두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탐색된다. 첫째, 미술관의 본래적 기능과 역할은 무엇이며 그것들이 어떻게 변화했고 확장됐는지를 살펴본다. 둘째, 미술관의 환경적 책임이란 무엇이며 그것은 어떻게 효과적으로 발휘되며 왜 그것이 요구되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사례연구의 경우, 질적 연구 방식을 택하여, 영국의 테이트와 서펜타인 갤러리를 조사한다. Along with this growing concern about problems such as the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British art museums have increased the number of artistic practices dealing with these issues. The main research question of this dissertation is as follows: ‘Why and how do British art museums support artistic practice concerned with environmental issues?’ This paper begins with an overview of existing literature covering two themes: the discussion on how the role of the museum have changed and expanded, and the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of the museum, namely what it is, how it has been effectively achieved, and why it is required. The study is conducted as a qualitative research, which involves case studies of the Serpentine Gallery and Tate.

      • 고속전철용 소결 복합재의 마찰 특성평가

        정소라(So La Jung),홍의석(Ui Seok Hong),박형철(Hyoung Chul Park),유병관(Byung Kwan Ryu),장호(Ho Jang) 한국트라이볼로지학회 2007 한국트라이볼로지학회 학술대회 Vol.2007 No.11

        The friction performance of sintered Friction materials for the high speed train was studied. In this study, newly developed sintered materials based on copper were compared with the commercial products for high speed trains. They were tested on a 1/5 scale dynamometer using low carbon steel disks. Effectiveness, fade, and recovery tests were carried out to examine friction performance and the change of disk thickness variation (DTV) during brake applications and noise propensity were also evaluated. Results showed that the two sintered friction materials exhibit similar friction coefficients and braking performance, whereas the newly developed friction material was superior in terms of DTV generation and noise propensity to the commercial friction material. The improvement of the newly developed friction material was attributed to the high graphite content which reduced the stick-slip phenomena and prevented uneven disk wear by friction films on the counter disk.

      • 페놀수지 기반 복합재료의 마찰 마모 특성

        홍의석(Ui Seok Hong),정소라(So La Jung),장호(Ho Jang),김성진(Seong Jin Kim) 한국트라이볼로지학회 2007 한국트라이볼로지학회 학술대회 Vol.2007 No.11

        Tribological properties of phenolic resins in the friction materials for C-SiC brake systems were investigated. Boron-phosphorus modified resin, silicon modified resin, and straight resin were used as binders of friction materials. A simple formulation containing aramid pulp, potassium titanate, zircon silicate, and phenolic resin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resins at elevated temperatures up to 400℃. Friction stability and wear rate of the three friction materials were compared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and the activation energy for the wear rate of the three phenolic resins were obtained from Arrhenius type plot. It was found that the composite materials clearly exhibit different wear mechanisms below and above the critical temperatures. The friction materials with B-P modified resin showed good wear resistance and friction stability compared with the 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