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교과 교육과정이 대학생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정미(Lee Jungmi),이길재(Lee Giljae),강지연(Kang Ji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1

        본 연구의 목적은 비교과과정 참여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경험이 대학생의 핵심역량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대학생 핵심역량을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문제해결역량, 자기주도적 역량으로 구분하였으며, 한국교육개발원의 2015-NASEL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위계적 선형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판적․분석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은 프로젝트․공모전, 학습스터디활동, 자원봉사활동, 현장실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위의 비교과활동들과 함께 동아리 활동, 어학연수․교환학생 참여와도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영향 요인들간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보면, 프로젝트-공모전 참여가 비판적․분석 적사고력, 문제해결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교과활동 중 동아리활동은 대학생의 주요 핵심역량과 무관하거나,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학생들은 남학생들에 비해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성취를 보였다. 다섯째,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생은 공부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아르바이트 시간은 줄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 핵심역량으로 정의한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생과 대학 차원의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the participation of extracurricular programs at universities on students core competencie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categorized core competencies as critical and analytical thinking competencies,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and self-directed competencie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of the study, the 2015-NASEL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 considering the nested structure of the data set.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⑴ The variables of project participation, study group activity, community services activity, and practicum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all three competencies of critical and analytic competencies,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and self-directed competencies, whereas interests group activity and language program/exchange student program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only with self-directed competencies. ⑵ Project activity and competition participation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effects on critical and analytical thinking competencies,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and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ies. ⑶ Interests group activities among various extracurricular programs was irrelevant or negatively correlated with core competencies. ⑷ Female students showed relatively lower levels of critical and analytical thinking competencies,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and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ies compared to male counterpart.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some policy implications to improve college students’ core competencies.

      • Rewrite System의 Polynomial Ordering의 자동생성

        이정미(Jungmi Lee),위규범(Kyubum Wee)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Ⅰ

        우리는 등식으로 표현된 많은 정보들을 다룬다.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하고 근본적인 문제중의 하나는 ‘어떤 주어진 등식이 그 등식체계로부터 연역되어질 수 있나 없나’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논리의 전개는 중요하다. Rewrite system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가지 방법이다. Rewrite system은 Rewrite 규칙의 집합이다. 하나의 Rewrite 규칙은 우변과 좌변으로 이루어진다. 유도는 주어진 항의 rewrite 규칙의 좌변과 일치하는 일부분을 rewrite 규칙의 우변으로 치환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Rewrite system이 무한한 유도를 가지지 않을 때, rewrite system을 종료한다고 한다. 주어진 rewrite system이 종료하는 가의 여부를 결정하는 일은 중요하다. 종료여부를 결정하는 방법들 중 하나가 polynomial ordering이다. 이 방법은 rewrite system의 함수기호에 적절한 다항식을 대응시켜주는 방법이다. 그러나, 아직 자동화된 다항식 생성방법이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다항식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을 찾는다.

      • KCI등재

        국립대학 육성사업의 대학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의 네트워크 분석

        이정미(Lee, Jungmi),박태양(Park, Taeyang),이길재(Lee, Giljae) 한국교육행정학회 2021 敎育行政學硏究 Vol.39 No.5

        이 연구는 국립대학 육성사업을 통해 수행되어 온 대학 간, 대학-지역사회 간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의 내용 및 참여자의 네트워크를 분석함으로써 그 특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2차년도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에 참여한 9개 거점 국립대의 사업계획서를 활용하여 사업의 내용 및 참여자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차년도에 비해 2차년도에는 사업내용이 확대된 반면, 사업내용 간 네트워크의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은 감소되어 특정 사업의 중앙집권적인 영향력이 감소되고, 중재자적 역할을 하는 사업들이 분산되어 나타났다. 둘째, 2차년도에 대학 간, 대학-지역사회 간 사업 모두 참여자 수가 증가하여 대학 간, 대학-지역사회 간 참여자들의 교류가 양적으로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대학 간, 대학-지역사회간 네트워크의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근접중심성이 모두 2차년도에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일부 거점 국립대학 외에도 다양한 국립대학 및 지역사회기관들을 중심으로 한 연계가 보다 강해지고, 그러한 다양한 대학 및 기관들의 영향력과 중재자적 역할이 보다 확대된 것임을 시사한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의 개선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을 추진하는 데 있어서 국립대학들은 사업내용의 양적 확대보다는 사업 운영의 내실화 및 질적 고도화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정부 차원에서는 국립대학 육성사업의 성과를 분석 및 평가하는 데 있어서, 사업의 성과로서 사업내용 또는 사업참여자 수의 단순 증가가 아닌 사업내용 간, 사업참여자간 교류와 협력의 강도(밀도), 연결 정도, 영향력 정도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of the National University Development Project by analyzing the contents and participants’ network of the ‘Network Activation Project’ that has been carried out through the National University Development Project.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project contents were expanded in the second year, the centrality of connection, proximity centrality, and mediation centrality of networks decreased, reducing the centralized influence of specific projects and dispersing the projects that act as mediators. Second, in the second year,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both the inter-university cooperation project and the university-community cooperation project increased, and it was found that the exchanges between universities and university-community participants were quantitatively expand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connection centrality, mediation centrality, and proximity centrality of networks between universities and colleges and communities all increased. This means that the links centered on various national universities and community institutions have been strengthened, and the influence and mediator roles of various universities and institutions have expanded.

      • KCI등재

        영아교사의 아동기 부모애착 지각과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연구: 정서노동의 매개효과 분석

        이정미(Lee Jungmi),이경옥(Lee KyungOk)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영아교사의 아동기 부모에 대한 애착 지각과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정서 노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지니는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서울과 경기 지역의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영아반 교사 214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SPSS 18.0과 Amos 21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모델은 부와 모에 대한 영아교사의 아동기 애착지각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에서 각 정서노동 하위요인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적 정서노동은 교사의 아동기 모에 대한 애착 지각 과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역할을 하였으나 부에 대한 애착 지각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표면적 정서노동은 교사-영아 상호작용과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으나, 교사의 아동기 부와 모에 대한 애착 지각과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아, 영아교사의 아동기 부와 모에 대한 애착 지각은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면적 정서노동을 포함한 모델의 경우, 아동기 모에 대한 애착지각은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대해 직 · 간접적인 관계가 나타나, 교사의 아동기 모에 대한 애착 지각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사이에 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s’ emotional labors on childhood attachment perception to the parent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participants were 214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 in Seoul and Gyeonggi area. Each model including analyzation of meditator effect, which is found in sub factors in emotional labor, between teacher’s childhood attachment perception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This research suggests three things. First one is that natural emotional labor is revealed to perform a role of fully-mediating between childhood attachment perception to mother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In contrast, childhood attachment perception to father was found to have no meaningful effect to teacher-infant interaction. Second, childhood attachment perception to parents of infant teachers had a direct impact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superficially emotional labor had meaningful effect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but there is no meaningful effect on childhood attachment perception to parents of teachers. Finally, infant teacher’s childhood attachment perception to mother had its own influence to teacher-infant interaction in direct and indirect ways. This result showed that deep emotional labor was found to have partially-mediating effect on childhood attachment perception to mother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 KCI등재

        한국관광 실태조사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한 관광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

        이정미(Jungmi Lee),류미나(Meina Liu),임규건(Gyoo Gun Lim)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18 지능정보연구 Vol.24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 조사된 “2013년~2015년 외래 관광객 실태조사”의 약 36,000개 데이터에 대한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해 관광산업 활성화 방안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외래 관광객들의 ‘전반적 만족도’, ‘재방문 의사’, ‘추천의사’ 변수에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해당 요인들의 각각에 대한 영향력에 대해 파악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 IBM Modeler 16.0의 의사결정나무(C5.0, CART, CHAID, QUEST), 인공신경망,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종속변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상위 변수 7개씩을 각각 도출하였고, 추가적으로 각 독립변수들의 영향력을 심도 있게 파악하기 위하여 R프로그래밍을 활용하여 SPSS IBM Modeler 16.0을 통해 도출된 각 독립변수들의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데이터 분석 결과 "전반적 만족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상위 변수 7개는 관광지매력도, 음식만족도, 숙박만족도, 교통수단만족도, 안내서비스만족도, 방문관광지수, 국가로 나타났으며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 변수는 음식만족도와 관광지매력도로 분석되었다. ‘재방문 의사’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상위 변수 7개로는 국가, 여행 동기, 활동, 음식만족도, 제일 좋았던 활동, 관광안내서비스만족도, 관광지매력도로 나타났으며 그중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 변수는 음식만족도와 여행 동기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추천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상위 변수 7개로는 국가, 관광지매력도, 방문관광지수, 음식만족도, 활동, 관광안내서비스만족도, 비용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 변수는 국가, 관광지매력도, 음식만족도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세 변수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음식만족도, 관광지매력도로 분석되었으며 해당 요인들이 공통적으로 한국여행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와 재방문 의사,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외래 관광객들의 한국관광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외래 관광객 실태조사”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해 규명함으로써 한국 관광 데이터 분석의 활용과 관광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기업 및 국가차원에서 한국 관광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orea is currently accumulating a large amount of data in public institutions based on the public data open policy and the "Government 3.0". Especially, a lot of data is accumulated in the tourism field. However, the academic discussions utilizing the tourism data are still limited. Moreover, the openness of the data of restaurants, hotels, and online tourism information, and how to use SNS Big Data in tourism are still limited. Therefore, utilization through tourism big data analysis is still low. In this paper, we tried to analyze influencing factors on foreign tourists" satisfaction in Korea through numerical data using data mining technique and R programming technique.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ways to revitalize the tourism industry by analyzing about 36,000 big data of the "Survey on the actual situation of foreign tourists from 2013 to 2015" surveyed by the Korea Culture & Tourism Research Institute. To do this, we analyzed the factors that have high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variables of foreign tourists. Furthermore, we analyzed the practical influences of the variables that are mentioned above. As a procedure of this study, we first integrated survey data of foreign tourists conducted by Korea Culture & Tourism Research Institute, which is stored in the tourist information system from 2013 to 2015, and eliminate unnecessary variables that are inconsistent with the research purpose among the integrated data. Some variables were modifi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analysis. And we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dependent variables by using data-mining methods: decision tree(C5.0, CART, CHAID, QUEST),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SPSS IBM Modeler 16.0. The seven variables that have the greatest effect on each dependent variable were derived.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it was found that seven major variables influencing ‘overall satisfaction’ were sightseeing spot attraction, food satisfaction, accommodation satisfaction, traffic satisfaction, guide Korea is currently accumulating a large amount of data in public institutions based on the public data open policy and the "Government 3.0". Especially, a lot of data is accumulated in the tourism field. However, the academic discussions utilizing the tourism data are still limited. Moreover, the openness of the data of restaurants, hotels, and online tourism information, and how to use SNS Big Data in tourism are still limited. Therefore, utilization through tourism big data analysis is still low. In addition, in order to grasp the influence of each independent variables more deeply, we used R programming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in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food satisfaction and sightseeing spot attraction were higher than other variables in overall satisfaction and had a greater effect than other influential variables. Revisit intention had a higher β value in the travel motive as the purpose of Korean Wave than other variables. It will be necessary to have a policy that will lead to a substantial revisit of tourists by enhancing tourist attractions for the purpose of Korean Wave. Lastly, the recommendation had the same result of satisfaction as the sightseeing spot attraction and food satisfaction have higher β value than other variables. From this analysis, we found that ‘food satisfaction’ and ‘sightseeing spot attraction’ variables were the common factors to influence three dependent variables that are mentioned above(‘Overall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and that those factors affected the satisfaction of travel in Korea significa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o activate foreign tourists in Korea through big data analysis.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analyzing tourism data and establishing effective tourism policy. It is expected to be used

      • KCI등재

        신규 국가장학금사업에 대한 대학의 자체노력 선호 유형 및 결정요인 분석

        이정미(Lee, Jungmi),이희숙(Lee, Heesook)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3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2 No.1

        2012학년도 1학기부터 신규로 시행된 국가장학금사업은 무상장학금사업(Ⅰ유형)과 학비지원사업(Ⅱ유형)으로 구분된다. Ⅰ유형은 저소득층 학생에 대해 국가가 직접 학자금을 지원하는 사업이나, 신규 Ⅱ유형은 대학을 경유하여 학생에게 지원하는 유형으로 명목등록금 인하효과와 함께 대학의 자구노력을 유도하기 위한 사업으로 구성되었다. 신규 Ⅱ유형 국가장학금사업에 대한 대학의 자체노력은 등록금 인하와 장학금 확충으로 구분된다. 이 연구에서는 첫째, 대학특성에 따라 Ⅱ유형 장학금 확보규모 및 대학내 배분방식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 둘째, 대학특성에 따라 대학의 자체노력에 있어서 등록금 인하와 장학금 확보 중 중점을 두는 부분에 차이가 있는지, 끝으로 선호유형을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어떤 것이 있는지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서는 2012년 한국장학재단의 국가장학금 배분자료와 학생 개인별 지원자료 및 대학알리미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전체적인 지원 인원과 지원액은 국공립대학이나, 대규모대학, 재정지원대학이 사립대학이나 중소규모대학, 재정제한대학에 비해 더 큰 규모의 지원을 받았고 학생들에게도 더 많은 지원을 하고 있다. 그러나 재학생 대비 수혜율이나 저소득층 중심의 수혜구성 등의 측면을 고려하여 실질적인 지원 결과를 분석했을 때에는 오히려 사립대학이나 중소규모대학, 재정제한대학의 지원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의 자체노력 선호유형 및 결정요인 분석결과로는 국공립대학이 사립대학보다, 지방소재대학이 수도권소재대학에 비해 대학의 자체노력 방식에 있어 장학금 확충 보다 등록금 인하를 선호하는 정도가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임교원비율, 신입생 충원율이 높을수록 자체노력 유형으로 장학금 확충보다는 등록금 인하를 더욱 선호했고, 학생 1인당 교육비의 경우에는 수치가 높을수록 등록금 인하보다는 장학금 확충을 선호하는 경향이 높았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개선 및 향후 과제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면, 구조조정 효과의 실효성, 대학 간 및 학생 간 장학금 배분의 형평성 및 우수 인재 양성의 효과성 측면에서 다각적인 검토와 개선이 요구되며, 대학 자구노력에 대한 다양한 대체방안의 탐색, 등록금 부담 경감이 대학교육 서비스의 질을 저하시키지 않는지에 대한 지속적 모니터링, 장학금을 수혜한 학생들의 성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등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Initiated in the first semester of 2012, the Governmental Financial Aids Program consists of Grant (Type I) and Grant (Type II): The former is to directly support tuition charged to students from low income family whereas the latter is to facilitate the efforts of self-reforming by colleges as well as to repress tuition increase. Newly initiated, Type II was designed to entail colleges' endeavors to lower tuition and securing financial resources for scholarship. Drawing on the data collected from the Korea Student Aid Foundation, 2012 governmental financial aids awarded, individual student, and Academy Info System, the current study analyzed 1)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size of and distributing manner of the Type II scholarship by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2) Are colleges/universities differentiated by their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focus of self-efforts; lowering tuition or securing scholarship money, and 3) What factors are affecting on determining the preferred type?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at the overall financial aids size and the number of students awarded were larger for public, bigger in size, and financial aids eligible institutions than their private, mid to small size, and financial aids ineligible counterparts. Considering the practical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such as the percentage of beneficiary and the portion of students from lower income family, however, higher performance score was given to private, mid to small, and financial aids ineligible institutions. Second, pertaining to the preferred type and determining factor of self-efforts by colleges, tuition restraint was found to be more frequently used by public and local institutions than their private and metropolitan area residing peers. The same was applied to the institutions with high proportion of tenure-track faculty and high enrollment ratio whereas securing financial aids was preferred to the universities with higher per student education cost.

      • KCI등재

        대학원 교육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정미(Lee, Jungmi),이길재(Lee, Giljae) 한국교육행정학회 2018 敎育行政學硏究 Vol.3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원 교육 만족도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대학원 교육 관련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대학원 교육 만족도를 교육여건 만족도, 교육과정 만족도, 수업 및 논문지도 만족도로 세분화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개념구인을 검증하였다. 각 만족도를 예측하는 모형의 집단 간 분산의 크기를 고려하여 회귀모형과 위계적 선형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교육여건 만족도에 관한 위계적 선형모형의 분석결과, 여학생과 학자가 대학원에 진학한 동기라고 응답한 학생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장학금 비율, 동료학생의 수준과 경쟁력, 졸업생 취업률, 교육과정의 질 등이 각각 높을수록, 공학계열 학생이 보다 높은 교육여건 만족도를 보고하였다. 교육과정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여학생과 인문계열 소속 학생들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난 반면, 타 대학 학부 졸업생, 동료학생 수준 및 대학원의 경쟁력이 높다고 인식할수록, 졸업생의 취업률, 교육과정의 질, 수업준비도가 각각 높을수록 교육과정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수업 및 논문지도 만족도에 영향을 가장 크게 미치는 요인은 교육과정의 질과 동료 학생 및 대학의 경쟁력 변인으로 나타났고, 거점 국립대학 학생들이 연구중심 대학 학생들보다 더 높은 만족도를 보고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대학원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tial factors associated with satisfaction with graduate education. Based on the relevant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subdivided satisfaction with graduate education into three; educational condition, curriculum, and teaching and advising services. Using each satisfaction variable as a dependent variable, this study utilized either regression or Hierachical Linear Model(HLM). The results of HLM disclosed that female students and students with the goal of becoming a scholar after graduate education reported a lower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condition. The portion of scholarship, colleague students’ academic level and competency, job placement rate of graduates, the quality of curriculum, and student from the college of technology showed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condition. The regression model revealed that female and students from college of liberal arts showed a lower level of satisfaction, while students obtained undergraduate degree from other universities reported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curriculum. The same was true for graduate students thinking that their colleagues are well-qualified, higher job placement rate, better quality of curriculum, and higher level of class preparation. Factor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graduat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eaching and advising services were the quality of curriculum and other colleague students’ academic competency. Students at research focused universities reported a lower level of satisfaction level than those from major national universities. Policy implications were provid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 KCI등재후보

        아버지, 어머니, 교사, 또래 관계가 유아 행복에 미치는 영향

        이정미 ( Lee Jungmi ),이지영 ( Lee Jiyoung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22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 어머니, 교사, 또래 관계가 유아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지역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유아와 부모 208명과 담임교사 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 T검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아버지, 어머니, 교사, 또래 관계는 유아 행복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 어머니, 교사, 또래 관계는 유아 행복이 높은 상위 집단에서 행복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 행복이 높은 상위 집단은 긍정적 또래상호작용, 또래 관계 중부정적 또래상호작용, 교사 관계, 어머니 관계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행복이 낮은 하위 집단은 또래 관계 중 긍정적 또래상호작용, 부정적 또래상호작용, 교사 관계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 행복에 있어 긍정적 또래 관계가 가장 많은 영향력이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으며 또래관계에 대해 새롭게 인식되어야 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influence of the father-child relationship, mother-child relationship,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peer relationship on young children’s feelings of happiness.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rough simple random sampling from kindergartens in Gyeonggi-do. Two hundred eight children aged three, four, and five, their parents, and 34 teachers were chosen as subjects of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s between father-child relationship, mother-child relationship,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peer relationship and young children’s feelings of happiness were significantly positive. Second, happiness scores of the father-child relationship, mother-child relationship,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peer relationship were higher in the groups of young children whose happiness levels were higher. Third, in the group with higher happiness levels, happiness was primarily influenced by positive peer interaction in a peer relationship, followed by negative peer interaction,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In the group with lower happiness levels, positive peer interaction in peer relationships mainly affected their feelings of happiness, followed by negative peer interaction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We therefore conclude that peer relationship is the most influential in young children’s feeling of happiness, and peer relationship should be newly recognized.

      • KCI등재후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영유아-교사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이정미 ( Jungmi Lee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17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10 No.-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영유아-교사 상호작용이 사회인구학적인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영유아-교사 상호작용 간의 경로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 보육교사 210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WIS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보육교사의 영유아-교사 상호작용은 행동적, 정서적, 언어적 상호작용 순으로 나타났다. 영유아-교사 상호작용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경력, 시설유형, 학력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영유아-교사 상호작용과 부적상관이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은 영유아-교사 상호작용과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영유아-교사 상호작용 간의 경로에서 정서지능의 완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은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영유아-교사 상호작용의 질을 높여 주는 중요한 요인임이 밝혀졌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of young children-teacher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betwee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nd young children-teacher interaction. The data collected from 210 child care teachers in Gyeonggi-do were analyzed using SPSSWIS and AMOS 18.0.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ractions among the child care teachers differed according to age, and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career, type of facility, and educational background. Second,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young children-teacher interac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young children-teacher interaction. Third, The full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was confirmed betwee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nd young children-teacher interaction.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reducing job stress and raising the quality of young children-teacher interaction.

      • KCI등재

        신설학교 개교 지원비 지원의 문제점과 지원기준 및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이길재(Lee, Giljae),김왕준(Kim, Wangjun),이정미(Lee, Jungmi)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9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8 No.4

        본 연구는 각 교육청의 신설학교 개교 지원비 배분 실태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적절한 개교 지원비 지원기준 및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12개 시도·의 신설학교 개교 지원비의 배부기준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개교 지원비 교부 시기, 개교 지원비 항목, 신설학교에 대한 특별 지원비, 개교 지원비의 산정 방식, 개교 지원비의 규모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이어, C 지역에서 신설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초·중 통합학교, 중·고 통합학교, 특수학교 등 총 6개 학교의 신설 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개교 지원비 지원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교 시 학교가 구비해야 할 교구와 설비 중 필수/권장 항목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각 시도교육청의 교구설비기준 자료, 최근 5개년 이내에 개교한 신설학교들의 구입품목 자료 등을 토대로 C 지역의 『각급학교 교구설비 기준』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신설학교 개교 지원비 지원기준을 수립하였다. 지원기준 수립의 절차는 신설학교 개교 지원비 범위 결정→학교현장에서 활용하고 있는 설비 및 교구·교재 관련 품목 교체→학교급별 영역별 품목 및 수량, 단가표 산출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신설학교 개교 지원비 배분실태를 분석한 결과 나타난 문제점은 1) 필수 개교 지원비 품목의 누락 및 예산 부족, 2) 학교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개교 지원비 지원, 3) 개교시 예상치 못한 지출에 대한 예산 미편성 4) 신설학교 교직원의 부적절한 배치 시기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신설학교 개교 지원비 지원기준 산출시 고려 사항은 1) 2015 교육과정에 부합하도록 개정 고시된 교구·설비에 대한 단가 산출 필요, 2) 학교별 교육과정 운영 특성을 고려한 개교 지원비 지원기준 마련 필요, 3) 학교급, 학교 유형 등에 따라 차별화 및 현실화된 단가 마련 필요, 4) 필수개교 지원비 품목에 누락된 품목포함 필요 등이다. 이상의 신설학교 개교 지원비 지원기준 산출의 고려사항을 토대로 C 지역의 학교급별신설학교 개교 지원비 지원기준을 산출하고, 결론적으로 개교 지원비의 효율적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opening expenses of new schools, and to establish distribution criteria for opening expenses of new school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distribution criteria of opening expenses of new schools in 12 school districts was examined. FGI was conducted for those in charge of newly-established schools in the C region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opening expenses. The problems of the 『Criteria for teaching tools and facility』are analyzed based on the data of the teaching tools and facilities and the purchase items of new schools opened within the last five years. And the criteria for supporting the opening of new schools were established. The problems on the distribution of the opening expenses for new schools are as follows. 1) Missing items for essential opening expenses of new schools and expenses, 2) Distributing opening expenses without considering school characteristics, 3) Unscheduled budget for unexpected expenses, and 4) Inadequate placement of new school staff.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considerations for calculating the new school s opening expense criteria are as follows. 1) Need to calculate the unit price for the teaching tools and facility that has been revised to conform with the 2015 curriculum. 2) Need to prepare the distribution criteria of opening expenses considering school curriculum characteristics 3) Differentiated unit prices are needed according to school level and school type, and 4) Need to include missing essential items in opening expenses of new schools. Lastly, based on the above considerations, the support criteria for new school opening in C region were calcul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