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혐기성 SBR 공정의 반응 특성 평가

        송지현,정태학,장덕 ( Ji Hyeon Song,Tai Hak Chung,Duk Chang ) 한국물환경학회 1996 한국물환경학회지 Vol.12 No.2

        Reaction characteristics of an anaerobic sequencing batch reactor(ASBR) process were studied using bench scale reactors maintained at 35℃.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an equivalent hydraulic retention time of 10 days and the synthetic feed was mainly composed of glucose. The ASBRs were operated with a cycle period of 24 and 0.5, respectively. Volatile suspened solids in all reactors kept increased as the operation continued. However, methane fermentation efficiency was strongly affected by the MF/M ratio. Active methane production was observed for the ASBRs of long MF time, while methane fermentation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the excessive production of the volatile acids for the ASBR of short MF time. The ASBR of high specific organic loading rate(SOLR) was not able to absorb the shock and reached an operational failure. However, when COD of the feed was reduced to 10,000㎎/ℓ, little accumulation of volatile acids were observed and active methane fermentation continued in spite of relatively high SLR. It is believed that both SOLR and the organic level of the feed are major design parameters determining safe and stable operation of the ASBR. The solid-liquid separation efficiency was markedly reduced with an increasing gas production rate due to floating of volatile suspended solids.

      • 중년 남성의 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송지현,성미현,Song, Ji Hyeun,Seong, Mi Hyeon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한국디지털정책학회논문지 Vol.19 No.3

        본 연구는 중년 남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5.0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PSS Process Macro(Model 4), 부트스트래핑 접근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생활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매개변수인 자아존중감의 효과를 고려할 경우 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49이었다. 매개변수인 사회적 지지의 효과를 고려할 경우 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50이었다. 즉, 매개변수를 고려하지 않았을 때 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쳤던 전체효과 .62에 비해 감소되었다. 이를 통해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는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중년 남성의 우울 감소 및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 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depression in middle-aged men.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WIN 25.0 program,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PSS Process Macro (Model 4), and bootstrapping approach. As a result of this study, when considering the effect of self-esteem, a parame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depression, the direct effect of life stress on depression was .49. Considering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s a parameter, the direct effect of life stress on depression was .50. That is, when the parameters were not considered, life stress decreased compared to the overall effect of .62 on depression.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depress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필름 큐레이팅의 실천 방법에 대한 고찰 -90년대 이후 필름 전시와 상영 프로그램 분석을 중심으로-

        송지현 ( Ji Hyeon Song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4 예술과 미디어 Vol.13 No.3

        본 논문은 필름 큐레이팅의 실천 방법에 대해 고찰한다. 필름은 본래 16mm,35mm 등 셀룰로이드로 된 필름 자체를 지칭하는 용어이나, 현대에서는 일반적으로 영화적 문법을 차용하는 움직이는 이미지를 폭넓게 지칭한다. 필름 큐레이팅은 영화, 미술과 미디어의 접점에서 필름 작품의 고유한 역사적 맥락과 미학적가치를 제시하기 위한 제도적 실천이다. 본 논문은 우선 현대예술에서 필름의 영역을 확장한 예술가들의 실천 과정을 검토한다. 그리고 1990년대 이후의 필름 전시와 상영 프로그램들의 분석을 통해 필름 큐레이팅의 실천적인 방법론을 모색한다. 아방가르드 영화와 비디오 아트는 영화가 현대미술의 맥락에서 수용되는 계기가 되었다. 1960년대 이후 필름을 중심으로 한 예술적 실천들은 스크린이라는 평면을 넘어서, 관람객에게 건축적 경험을 제공하였다. 고전영화라는 틀을 깨고자끊임없이 탐험한 예술가들의 실천과 같이, 필름 큐레이터는 미술제도 안에서 수용할 수 없었던 필름 작품들의 역사적 맥락을 제시하기 위해서 제도를 새롭게 규정하고 확장할 수 있어야 한다. 그 실천은 공간을 새롭게 재구성하고, 전통적인상영 프로그래밍의 확장을 통해서 전개될 수 있다. 필름 큐레이터는 공간적 실천을 통해 관람객들이 공감각적으로 작품을 재구성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주어야한다. 또한 전시 공간을 미술관이라는 제도적 공간 밖으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야 한다. 동시에 상영 프로그램을 통해서 관객층을 형성하고 관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개별 필름 작품들과 전시, 상영 공간의 역사적, 장소적 맥락들을 유기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film curatorial practices. Film is originally a term to designate the celluloid film stock such as 16mm and 35mm, but generally refers to moving images to appropriate cinematic grammar in nowadays. Film curating is an institutional practice to present the historical context and aesthetical value of film works in the interplay among cinema, art and media. At first, the paper examines the brief history of artistic practices to expand the field of cinema. In addition, the paper explores the practical methods of film curating through the analysis of film exhibitions and programs since 1990s. The avant-garde film and video art provided an opportunity to accept the cinema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art. The artistic practices based on film medium since 1960s provided audiences with architectural experiences beyond the flatness of the screen. Similarly with artistic practices to explore the ways to break down the stereotype of classical Hollywood cinema, film curators have to define and expand the art institutions for presenting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film works which have been excluded within the art institutions. The curatorial practices can be unfolded through the spatial reconfiguration and the expansion of traditional film programming. Film curators have to offer the audience an opportunity to reorganize the film works synaesthetically through the spatial practices. Also, they have to explore the possibility to expand the space of exhibition beyond the institutionalized spaces such as the museum and gallery. Furthermore, they have to develop audiences and sustain their concern through film programs, and explore a new direction to contextualize each film work within the historical and local background of presenting spaces.

      • KCI등재
      • KCI등재

        아동급식카드가 아동의 신체건강에 미치는 영향

        송지현(Song, Ji Hyeon),김창현(Kim, Chang Hyun),박진호(Park, Jin Hoo),남재현(Nam, Jaehyun) 한국아동복지학회 2021 한국아동복지학 Vol.70 No.4

        아동급식지원사업의 급식지원 유형 중 하나인 식품권 발급은 이용상의 불편함과 아동에 대한 낙인감 부여 문제로 지속적인 비판을 받아왔다. 이에 2009년부터 기존 식품권 형태의 바우처에서 전자카드 형식으로 전환이 이루어졌고, 아동은 발급받은 전자카드를 사용하여 연계된 가맹점 내 음식을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아동급식카드는 타 급식지원 방식과 비교해 이용편의성, 관리의 효율성 및 투명성, 낙인감 해소 등 여러 장점이 인정되어서 현재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2009년 최초 도입 이후 전국적으로 확대 및 운영되고 있는 아동급식카드의 정책효과를 명확히 규명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급식카드가 아동의 신체건강(주관적 건강, BMI)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아동종합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성향점수매칭을 활용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아동급식지원사업의 전반적인 정책효과를 분석한 결과, 아동급식지원사업에 참여하는 아동은 미참여 아동에 비해 주관적 건강에 긍정적으로 응답할 가능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아동급식카드의 경우 서비스를 이용한 아동은 비이용 아동에 비해 비만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아동급식지원사업 및 아동급식카드 제도의 개선을 위한 지원금액 조정, 가맹점 확장, 영양교육 도입과 같은 몇 가지 정책적 논의를 제시하였다. Vouchers for children’s meal services in the form of food stamps have received criticism for being inconvenient to use and attaching stigma to children. To address this limitation, in 2009, the vouchers were replaced with electronic cards, allowing children to purchase food at affiliated stores. Most local governments have implemented this system due to the advantages of the electronic cards being easy to use, efficient, and transparent, and reducing stigma compared to other meal support means. Despite the nationwide expansion and operation of electronic cards for children’s meal services, no studies have identified their policy effects since their introduction. Therefore, we analyzed the effects of electronic cards for children’s meal services on children’s physical health (i.e., subjective health and body mass index). We employed b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propensity score matching using data from the 2018 Comprehensive Child Survey. The findings revealed that children who used the electronic cards at affiliated stores were less likely to respond positively regarding subjective health than those who did not. We also found that children who used the electronic cards had a higher risk of obesity than children who did not. On the basis of the results, we provide a policy discussion and implications of electronic cards for children’s meal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