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뚜렷한 석회화가 없는 급성 경장근 건염

        강철형(Chul-Hyung Kang),손은석(Eun Seok Son),김두환(Du Hwan Kim),장형규(Hyung-Gyu J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0 No.3

        경장근 석회화 건염(calcific tendinitis of the longus colli)은 경추의 전방에 위치하는 경장근에 석회 수산화인회석 결정이 침착하여 이로 인한 염증으로 발생하는 질환이며 후인두 석회화 건염(retropharyngeal calcific tendinitis) 또는 전경추 건염(prevertebral tendinitis)으로도 알려져 있다. 질환의 전형적인 영상 소견으로 주로 경추 제1-2번 전방의 경장근 주위에 석회화 결정 및 후인두 공간의 부종이 관찰된다. 그러나 저자들은 방사선 검사에서 뚜렷한 석회화를 보이지 않은 급성 경장근 건염 1예를 보하고고자 한다. Calcific tendinitis of the longus colli is an inflammatory disease caused by calcium hydroxyapatite crystal deposition in the longus colli tendon of the prevertebral space. It is also known as retropharyngeal calcific tendinitis or prevertebral tendinitis. The typical imaging characteristics of this entity are calcifications on the superior insertion of the longus colli tendons at the C1-2 level and fluid collection in the retropharyngeal space. However, we introduce a case of acute longus colli tendinitis without definite calcification deposition on image findings.

      • 고관절 주위 골절환자에서 술 전 색 도플러 초음파를 이용하여 진단한 심부 정맥 혈전의 빈도

        정재훈,이경재,민병우,손은석,구태원,Jung, Jae-Hoon,Lee, Kyung-Jae,Min, Byung-Woo,Son, Eun-Seok,Koo, Tae-Won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7 No.2

        목적: 고관절 주위 골절 환자에서 술 전 색 도플러 초음파 검사를 이용하여 심부 정맥 혈전증을 진단하고 그 발생 빈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6월부터 2014년 5월까지 본원에 내원한 고관절 주위 골절 환자 중 이전에 심부 정맥 혈전의 과거력이 없으며 술 전 색 도플러 초음파 검사에 동의한 환자 27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자가 8예, 여자가 19예이었다. 평균 연령은 74.3세(41-87)였다. 고관절 주위 골절의 진단명은 대퇴 경부 골절 15예, 대퇴 전자간 골절 11예, 비구 골절이 1예였다. 모든 수술은 본원 내원 후 48시간 이내에 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내원 24시간 이내에 색 도플러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심부 정맥 혈전은 총 6예(22.2%)에서 발견되었다. 이중 2예(7.4%)는 근위 심부 정맥 혈전이었고 4예(14.8%)는 원위 심부 정맥 혈전이었다. 심부 정맥 혈전 발생 군이 평균 79세(75-87), 발생하지 않은 환자 군이 평균 72세(65-86)로 유의하게 많았다(p=0.038). 결론: 고관절 주위 골절 환자에게 수술 이전 실시한 색 도플러 초음파 검사상 22.2%로 비교적 높은 빈도로 심부 정맥 혈전이 발견되었다. 고관절 주위 골절 환자에서 술 전 심부 정맥 혈전증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incidence of deep vein thrombosis (DVT) before hip fracture by duplex color Doppler ultrasonography.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2013 to May 2014, 27 patients who had agreed to perform color Doppler ultrasonography before hip fracture surgery were evaluated for the incidence of DVT. Patients who had history of DVT were excluded. Five patients were men and 19 patients were women. The mean age was 74.3 years old (41-87). There were 15 cases of femoral neck fracture, 11 cases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s and one case of acetabular fracture. Surgical intervention underwent within 48 hours from admission and duplex color Doppler ultrasonography was carried out at the day of admission. Results: DVT occurred in six cases (22.2%). Four cases (14.8%) occurred in proximal deep vein and two cases (7.4%) occurred in distal deep vein. The mean period of immobilization was longer in patients who had DV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mean age was 79 years old (75-87) in patients who had DVT and 72 years old (65-86) in patients who had no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p=0.038). Conclusion: The incidence of DVT which was diagnosed by duplex color Doppler ultrasonography before hip fracture surgery was relatively high (22.2%). So it is necessary to undergo duplex color Doppler ultrasonography more aggressively to rule out DVT before hip fracture surgery.

      • KCI등재

        원위 요골 골절과 동반된 수근부 손상: 단순 방사선 및 컴퓨터 단층 촬영을 통한 후향적 분석

        조철현 ( Chul Hyun Cho ),손은석 ( Eun Seok Son ) 대한골절학회 2015 대한골절학회지 Vol.28 No.1

        목 적: 원위 요골 골절에 동반된 수근부 골절 및 인대 손상의 빈도 및 양상을 알아보고, 그 위험 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362명 379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상 당시의 단순 방사선 사진과 전산화 단층 촬영을 통해 수근부 골절 및 인대 손상을 평가하였으며, 여러 인자들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 과: 39예(10.3%)에서 1개 이상의 수근골 골절이, 40예(10.6%)에서 수근골간 인대 손상이 동반되어 총 59예(15.6%)에서 수근부 손상이 관찰되었다. 수근골간 인대 손상은 젊은 연령과, 수근골 골절은 AO B형 골절과 연관성이 있었다. 남자, 고에너지 손상, 완관절 주위 이외의 동반 손상이 있었던 경우에 수근부 골절 및 인대 손상이 잘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원위 요골 골절 환자에서 비교적 높은 빈도에서 수근부 손상이 동반되었으며, 젊은 연령, 남자, 고 에너지 손상, AOB형 골절, 동반 손상이 있는 경우에 수근부 손상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ncidence and characteristics of concomitant carpal bone fractures and ligament injuries and to analyze risk factors for carpal injuries in patients with distal radius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362 patients with 379 distal radius fracture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ssociated carpal bone fractures and ligament injuries were evaluated by plain radiographs and computed tomography at the time of initial trauma. Correlation between associated carpal injuries and various parameters was also analyzed. Results: Of 379 distal radius fractures, 39 cases (10.3%) had one or more carpal bone fracture and 40 cases (10.6%) had carpal ligament injuries. Overall, carpal injuries occurred in 59 cases (15.6%) distal radius fractures. Associated carpal ligament injuries showed correlation with young age and associated carpal bone fractures showed correlation with AO type B distal radius fractures. Carpal injuries including fracture and ligament injury showed correlation with male, high energy trauma, or associated injuries beyond wrist. Conclusion: The incidence of concomitant carpal injuries in patients with distal radius fractures is relatively high. Concomitant carpal injuries were more common in young age, male, high energy trauma, AO type B distal radius fractures, or associated injuries beyond wrist.

      • KCI등재

        만성 신부전 환자에게서 발생한 수지의 전이성 석회화

        김교욱(Gyo-Wook Kim),손은석(Eun-Seok Son),김두환(Du Hwan Kim),김동완(Dong-Wa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3

        전이성 석회화(metastatic calcification)는 전신적인 무기질 불균형이 있는 환자에게서 연부조직에 석회침착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이형성 석회화(dystrophic calcification)나 이소성 골화(heterotopic ossification)와는 구별되는 질환이다. 저자들은 만성 신부전 환자에게서 발생한 수지의 전이성 석회화 1예를 경험하였고 경과 관찰 중 자연 소실되는 경과를 보여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Metastatic calcification is defined as ectopic calcification of soft tissues in patients with a systemic mineral imbalance, and dystrophic calcification or heterotopic ossification is distinct from that disease. The authors encountered a metastatic calcification of the finger in a patient with chronic renal failure, the lesion disappeared spontaneously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We report on a case of metastatic calcification of the finger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방 부착부 파열의 관절경적 견인 봉합술 - 최소 5년 추시결과 -

        사공협,신홍관,이영국,배기철,조철현,이경재,손은석,김두한,SaKong, Hyub,Shin, Hong Kwan,Lee, Young-Kook,Bae, Ki Cheor,Cho, Chul Hyun,Lee, Kyung Jae,Son, Eun-Seok,Kim, Doo Han 대한관절경학회 2012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6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슬관절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방 부착부 파열 환자에 대해 관절경적 견인 봉합술을 시행한 후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5년 추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5년 5월까지 본원에서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방 부착부 파열로 진단받고 관절경적 견인 봉합술을 시행한 환자 중 5년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하였던 3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76개월(60-90개월)이었다. 임상적 결과는 Lysholm knee score로 확인하였고 방사선학적 결과는 단순 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Kellgren-Lawrence 분류를 이용하였으며, 전예에서 2차 관절경 수술을 시행하였다. 외상, 비만, 내반 변형 및 수술 시기 등과 임상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임상적 결과는 수술 전 Lysholm knee score 평균 55점에서 5년 추시 시 평균 86점으로 호전을 보였고, 방사선학적 추시 검사 결과 23예에서 관절 간격의 유지 및 호전 소견 보였으며, 7예에서 관절 간격이 감소되는 등의 퇴행성 변화가 있었고, 그 중 1예에서 골 관절염의 진행 소견으로 추후 인공 관절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관절경적 견인 봉합술을 시행하여 최소 5년 추시에서 27예(90%)에서 양호 이상의 좋은 결과를 얻었으며 내반 각도가 클수록 임상적으로 호전되는 정도는 유의하게 낮았다. Purpose: This study aims at evaluating our results with a 5-year follow up of arthroscopic pull-out suture repair of posterior root tear of the medial meniscu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enrolled 30 cases who underwent a arthroscopic pull-out suture repair to treat the posterior root tear of the medial meniscus from January 2001 to May 2005 and followed up at least 5 years.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76 months (range, 60-90 months). Clinical results by use of the Lysholm knee score and radiographic grade by use of the Kellgren-Lawrence classification were evaluated and second-look arthroscopy was done in all cases. The clinical results were compared with trauma history, obesity, varus deformity and time to operation. Results: At the last follow up, the Lysholm knee score improved from 55 points to 86 points. For the radiological results, 23 cases displayed maintenance or improvement of the medial joint space on the follow up X-ray, but 7 cases displayed decrease of the medial joint space, and 1 case was lately performed total knee replacement due to progressive osteoarthritic change. Conclusion: Arthroscopic pull-out suture repair has a good result at 27 cases (90%) in minimum 5 years follow-up. The clinical improvement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more severe varus angle.

      • KCI등재

        고정 방법에 따른 양 지주 비구 골절의 수술적 치료 결과 비교

        이경재 ( Kyung Jae Lee ),민병우 ( Byung Woo Min ),손은석 ( Eun Seok Son ),서혁준 ( Hyuk Jun Seo ),박진현 ( Jin Hyun Park ) 대한고관절학회 2011 Hip and Pelvis Vol.23 No.2

        목적: 양 지주 비구 골절 환자의 수술적 치료 후 고정 방법에 따른 결과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6년부터 2008년까지 양 지주 비구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시행하고 1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55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금속 강선 또는 케이블 고정이 29예 (I군), 금속판 및 나사못 고정이 26예 (II군)였다. 고정 방법에 따른 수술적 접근법, 골절의 정복 상태 및 합병증을 비교하였으며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치료 결과는 Matta의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결과: 양 군의 골절 정복 상태는 해부학적 정복 14예(48.3%)/20예(76.9%), 불완전 정복 12예(41.4%)/6예(23.1%), 불량 정복 1예/0예, surgical secondary incongruence 2예/0예였다. 해부학적 정복을 보였던 34예 중 33예에서 임상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I군에서 전후방 동시 도달법이 사용된 예가 더 많았다. 수술 중 합병증은 II군에서, 수술 후 합병증은 I군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양 지주 비구 골절 환자에서 두군 모두 만족할 만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보였으나 수술적 접근법, 합병증 등에 대해서는 더 많은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We wanted to compar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surgical treatment of acetabular both column fracture according to the fixation method.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1986 and 2008, 55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for acetabular both column fracture were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evaluated after a minimum follow-up of one year. Of 55 patients, 29 cases were operated with a cerclage wire or cable (group I) and 26 cases were operated with a plate and screw (group II). The surgical approach, the intra-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the reduction quality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riteria reported by Matta. Results: There were 14 (48.3%)/20 (76.9%) cases of anatomical reduction, 12 (41.4%)/6 (23.1%) cases of imperfect reduction, 1/0 case of poor reduction and 2/0 cases of surgical secondary incongruence, respectively. Thirty three patients of 34 anatomically reduced patients showed excellent clinical results and the anterior and posterior combined approach was frequent in group I.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for the complications, although intraoperative complication was more frequent in group II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 was more frequent in group I. Conclusion: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surgical treatment in patients with both column fracture were satisfactory in both groups. However, the concerns related to the surgical approach and complications will require a randomized prospective study.

      • KCI등재

        외전근 부전 환자에서 구속형 라이너를 이용한 인공 고관절 재치환술

        이경재(Kyung-Jae Lee),민병우(Byung-Woo Min),배기철(Ki-Cheor Bae),손은석(Eun-Seok Son),이시욱(Si-Wuk Lee),이석중(Seok-Jung Lee),임경환(Kyung-Hwan L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4

        목적: 인공 고관절 재치환술 중 외전근 부전 소견을 보인 환자에서 구속형 라이너 사용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재치환술 중 외전근 부전 소견으로 구속형 라이너를 사용하고 2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3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 14예, 여자 16예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4.6년이었다. 재탈구나 삽입물의 무균성 해리가 발생한 경우를 구속형 라이너의 실패로 정의하였다. 임상적으로 Harris 고관절 점수 및 보행능력을, 방사선적으로 골용해, 무균성 해리 및 기타 합병증의 발생 유무를 조사하였다. 결과: 추시 기간 중 구속형 라이너의 실패는 4예(13.3%)에서 발생하였으며 재탈구 2예, 비구컵 무균성 해리 2예였다. Harris 고관절점수는 술 전 평균 38.3점에서 술 후 평균 73.4점으로 향상되었으며, 최종 추시 시 보행능력의 호전을 보인 경우가 20예(66.7%)였다. 합병증으로 감염 1예, 삽입물 주위 골절 1예가 발생하였다. 결론: 인공 고관절 재치환술 시 외전근 부전 소견을 보이는 환자에서 구속형 라이너는 만족할 만한 재탈구 예방 효과를 보였으나 삽입물의 해리 등에 대한 좀 더 장기간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of revision total hip arthroplasty with constrained liner in patients with abductor insufficiency.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study, 30 patients treated with constrained liner during revision total hip arthroplasty due to abductor insufficiency were evaluated after minimum 2-year follow-up. There were 14 men and 16 women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4.6 years. Re-dislocation and aseptic loosening of the implant were defined as a failure of the constrained liner. Harris hip score and ambulatory function were evaluated as a clinical parameter and osteolysis, aseptic loosening of the implant and other complications were evaluated as a radiologic parameter. Results: During the follow-up period, there were 4 cases (13.3%) of constrained liner failure including two cases of re-dislocation and two cases of acetabular cup aseptic loosening. The average Harris hip score was improved from 38.3 points preoperatively to 73.4 points at last follow up. At the final follow-up, there were 20 cases (66.7%) of improvement in ambulatory function. There was 1 case of infection and 1 case of periprosthetic fracture. Conclusion: Use of a constrained liner during revision total hip arthroplasty showed satisfactory results for prevention of re-dislocation in patients with abductor insufficiency. However longer term studies on loosening of implants are needed.

      • KCI등재

        동결 견 환자에서의 수면 상태 및 삶의 질 평가

        조철현(Chul-Hyun Cho),정성원(Sung-Won Jung),손은석(Eun-Seok Son),황일선(Il-Seon Hw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7 No.3

        목적: 동결 견 환자에서의 수면 상태 및 삶의 질을 평가하고, 동통과 기능 제한이 수면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특발성 동결 견으로 진단된 30명의 환자군과, 60명의 건강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동통과 기능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visual analogue scale (VAS),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Score (ASES) 및 Korean Shoulder Score (KSS) 점수를 측정하였고, 수면 상태 및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Pittsburg Sleep Quality Index (PSQI) 및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WHOQOL-BREF) 점수를 측정하였다. 결과: 평균 PSQI 점수는 환자군에서 8.6점으로 대조군의 4.1점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86.7%의 높은 수면 장애의 발생률을 보였다. WHOQOL-BLEF 점수는 환자군에서 77.6점으로 대조군의 93.6점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낮은 점수를 보였다. 증상 기간, VAS, ASES, KSS 점수는 PSQI 및 WHOQOL-BLEF 점수와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ASES 점수는 WHOQOL-BLEF의 하부 척도인 신체적 건강과 KSS 점수는 전반적인 삶의 질 및 신체적 건강과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결론: 동결 견 환자들은 심한 통증과 일상 생활에서의 기능 제한을 가지며, 높은 수면 장애의 발생률과 함께 낮은 삶의 질 수준을 보였다.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sleep status and quality of life (QOL) in patients with frozen shoulder and to evaluate correlations between pain, disability, sleep disturbance and QOL.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patients with idiopathic frozen shoulder and 60 healthy controls were enrolled into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evaluated using the following: visual analogue scale (VAS),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Score (ASES), Korean Shoulder Score (KSS), Pittsburg Sleep Quality Index (PSQI), 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WHOQOL-BREF). Results: The mean VAS, ASES, and KSS scores in patient groups were 6.5, 40.3, and 45.1, respectively. The mean PSQI score was 8.6 in the patient group and 4.1 in the control group. Patient groups had signifi 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for the PSQI score (p<0.05). The incidence of sleep disturbance was 86.7%. The mean WHOQOL-BLEF score was 77.6 in the patient group and 93.6 in the control group. The patient group was signifi 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WHOQOL-BLEF score (p<0.05).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 cant correlations with PSQI and WHOQOL-BLEF scores regarding duration of symptoms, VAS, ASES, and KSS scores (p>0.05). The ASES scor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hysical health domain and KSS scor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verall QOL and physical health domain of the WHOQOL-BLEF (p<0.05). Conclusion: Patients with frozen shoulder had noticeable pain and functional disability. Furthermore, they had signifi cant incidence of sleep disturbance and had a signifi cantly lower QOL.

      • KCI등재

        골결손을 동반한 경골골절에서 금속정 고정 및 자가골 이식을 이용한 치료

        사공협 ( Hyub Sakong ),배기철 ( Ki Cheor Bae ),조철현 ( Chul Hyun Cho ),이경재 ( Kyung Jae Lee ),손은석 ( Eun Seok Son ),김두한 ( Du Han Kim ) 대한골절학회 2012 대한골절학회지 Vol.25 No.4

        목 적: 경골골절에 발생한 골결손에 대해 금속정 고정술 및 자가장골 이식술을 시행하고 결과를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5월부터 2008년 9월까지 경골 골결손에 대해 금속정 고정술 및 자가장골 이식술을 시행 받았던 환자 중 1년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8예, 여자가 2예였으며 평균연령은 50.2세(29∼76세)였다. 사고 원인은 교통사고 9예, 추락사고 1예였으며 평균 추시기간은 21.9개월(12∼42개월)이었다. 방사선학적 결과는 결손 부위의 유합 유무로 판단하였고 임상적 결과는 Mekhali의 평가법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전 예에서 골유합을 보였으며 평균 골유합 기간은 8.4개월(5∼18개월)이었다. Mekhali의 평가법상 9예에서 우수(excellent)의 결과를 보였고 1예에서 족관절에 운동장애가 있어 보통(fair)의 결과를 보였다. 수술적 처치로 인한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경골골절에 발생한 골결손 치료에 있어 금속정 고정 및 자가장골 이식술은 외고정장치를 일찍 제거할 수 있어 합병증을 줄일 수 있으며 골전도 및 골유도, 골형성 능력이 뛰어난 자가골을 이식함으로써 우수한 골유합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유용한 술기로 생각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sults of intramedullary nail fixation with autogenous iliac bone graft for defects of bone after tibial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Ten patients with bone defects in tibial fractures who had been treated with intramedullary nail fixation with autogenous iliac bone graft between May 2005 and September 2008 with more than 12 month follow-up were subject to study. Of the 10 patients, 8 were male and 2 were female, and the mean age was 50.2 years (29∼76 years). By cause of accident, motor vehicle accidents caused 9 cases, a crush caused 1 case, and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21.9 months (12∼42 months). Radiologically, we analyzed the union of the bone defect on simple x-ray and clinical evalu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estimate method of Mekhali. Results: This study reveals that there was radiological union in all 10 cases and the mean time to union was 8.4 months (5∼18 months). By clinical evaluation according to Mekhali`s estimate method, 9 patients had excellent outcomes and 1 patient had limitation of motion in the ankle joint rated as a fair clinical result. None of patients developed complications post-operatively. Conclusion: Our study demonstrated that the intramedullary nail fixation with autogenous iliac bone graft can be a useful operative method because it can remove external fixators early and reduce complications, and autogenous bones have exceptional osteoconduction, osteoinduction, and bone-forming ability resulting in excellent union of bones.

      • KCI등재

        정형외과 수술 후 발생한 섬망의 발생 빈도와 관련 인자

        이시욱(Si-Wook Lee),조철현(Chul-Hyun Cho),배기철(Ki-Cheor Bae),이경재(Kyung-Jae Lee),손은석(Eun-Seok Son),엄상현(Sang-Hyun U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4 No.2

        목적: 정형외과 수술 후 환자의 섬망 발생 빈도 및 섬망에 미치는 영향 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년간 단일 상급 종합병원에서 정형외과 수술을 시행 받은 성인 환자 2,12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중 정신건강의학과 협의 진료하에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V 진단 기준에 부합하며 섬망 관련 투약력이 확인된 환자 132예를 선별하였고 수술 원인 및 수술 부위에 따른 섬망 발생률의 차이와 입원 후 섬망 발생까지의 시간 및 지속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수술 환자 중 6.2% (132/2,122예)에서 섬망이 발생하였다. 섬망 환자군의 평균 나이는 77.4세(범위, 54-92세)로 비섬망 환자군의 평균 나이(58.1세)보다 많았고, 섬망 환자군의 여성 비율이 63.6% (84/132예)로 비섬망 환자군의 여성 비율(49.0%)보다 높았다. 외상에 의한 수술 후 9.3% (85/916예), 질환에 의한 수술 후 3.9% (47/1,206예)의 섬망 발생률을 보였다. 수술 부위별 섬망 증상의 발생률은 두 부위 이상 수술을 시행한 경우 29.2% (7/24예), 고관절 13.7% (72/526예), 척추 9.6% (14/146예), 슬관절 및 하퇴 3.5% (20/577예), 족부 및 족관절 2.5% (5/199예), 견주관절 2.4% (11/457예), 전완 및 수부 1.6% (3/189예)였다. 여성인 경우와 질환으로 수술하는 경우 입원 후 섬망이 빨리 발생하였고, 치매와 주요 우울 장애가 있는 경우 섬망 지속기간이 길게 나타났다. 결론: 외상으로 인해 수술한 경우, 두 부위 이상 수술을 받은 경우 섬망 발생 빈도가 높았고, 단일 부위에서 고관절, 척추, 슬관절 순서로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술 후 섬망 발생의 위험도를 예측하고 교정 가능한 인자에 대한 적극적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delirium after orthopedic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2,122 cases, who were older than 20 years and underwent orthopedic surgery at a single medical center during a one year period were included. Among them, 132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delirium after surgery under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V criteria and medicated under the consultation of a psychiatrist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differences in the incidence of delirium and several affecting factors were analyzed. Results: The overall incidence of delirium after surgery was 6.2% (132 in 2,122 cases). The mean age of the delirium group was 77.4 years (range, 54–92 years),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n-delirium group (58.1 years). The percentage of women in the delirium group was 63.6% (84 in 132 cases),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women in the non-delirium group (49.0%). The incidence of delirium after surgery was 9.3% (85 in 916 cases) due to trauma and 3.9% (47 in 1206 cases) due to disease.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delirium according to the surgical region was 29.2% (7 in 24 cases) in two or more regions, 13.7% (72 in 526 cases) in the hip, and 9.6% (14 in 146 cases) in the spine, 3.5% (20 in 577 cases) in the knee-lower leg, 2.5% (5 in 199 cases) in the foot-ankle, 2.4% (11 in 457 cases) in the shoulder-elbow, and 1.6% (3 in 189 cases) in the forearm-wrist-hand. Delirium occurred more rapidly in women and surgery due to disease, and the duration of delirium was longer in patients with dementia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s. Conclusion: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delirium was high in cases of surgery due to trauma and in cases of surgery in two or more sites.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delirium according to a single surgical region was higher in the order of the hip, spine, and knee. Active intervention is needed regarding the correctable risk fa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