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oil Carbon Dioxide Evolution in Three Deciduous Tree Plantations

        손요환,이구,홍지영,Son, Yowhan,Lee, Goo,Hong, Ji-Young 한국토양비료학회 1994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27 No.4

        Soil $CO_2$ evolution was measured using the soda-lime method for 20-year-old L. tulipifera, P. albaglandulosa, and Q. rubra plantations planted on a similar soil type in the Kwangneung Experimental Forest during the growing season of 1994. Soil $CO_2$ evolution ranged from $0.21g/m^2/hr$ for Q. rubra to $0.33g/m^2/hr$ for L. tulipifera. an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pecies. We foun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oil $CO_2$ evolution and air(p<0.001, r=0.39) and soil temperatures(p<0.001, r=0.49). Peaks in seasonal soil $CO_2$ evolution occurred in July and August. Seasonal soil $CO_2$evolution did not necessarily follow changes in air and soil temperatures. This study implies that more work is needed to clarify the influence of other factors on soil $CO_2$evolution. 각기 다른 수종이 토양발생 이산화탄소량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광릉시험림내에서 비슷한 입지에 식재된 20년생 백합나무, 은수원사시나무, 루브라참나무 인공조림지를 대상으로 soda-lime 법으로 1994년 5월부터 10월까지의 임목생육기간동안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수종에 따라 $0.21g/m^2/hr{\sim}0.33g/m^2/hr$로 차이가 있었다. 이산화탄소 발생량과 대기 및 토양온도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7, 8월에 가장 높았고, 이산화탄소 발생량의 계절적 변화는 대기 및 토양온도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았다. 이산화탄소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환경 및 삼림인자들에 대한 보다 상세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 비료의 성분 및 종류와 묘목과의 관계 연구 II. 묘목의 부위별 양분 농도에 미치는 영향

        황정옥,손요환,이명종,변재경,정진현,이천용,Hwang Jung Ok,Son yowhan,Yi myong Jong,Byoun Jae Kyung,Jung Jin Hyoun,Lee chun Yong 한국산림바이오에너지학회 2005 산림바이오에너지 Vol.24 No.1

        새로운 산림용 복합비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소나무, 낙엽송, 자작나무, 상수리나무 묘목을 대상으로 성분비가 다른 비료 및 종류가 다른 고형복합비료를 처리하고 묘목의 부위별 양분 농도를 측정하였다. 질소, 인, 칼륨의 비를 각기 달리한 시비수준별 처리실험에서 질소와 인 시비 후 묘목내 이들 양분의 농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소나무와 상수리나무에서 칼륨 시비량 증가에 따라 묘목 내 양분 농도가 증가하는 효과를 보였으나, 나머지 두 수종에서는 처리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산림용 고형복합비료와 UF 고형복합비료를 처리한 비료 종류별 처리실험에서는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묘목 내 질소와 인의 농도가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소나무에서의 칼륨 농도와 낙엽송에서의 나트륨과 칼슘 농도도 유사한 현상을 보였으며, 나머지 수종에서는 처리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비료의 종류를 달리하여 처리한 결과 묘목 내 양분 농도 변화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design new fertilizers for forests, seedlings of Pinus densiflora, Larix leptolepis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and FQuercus acutissima were treated with different fertilizers, and nutrient concentrations in seedling components were analyzed. In general, nitrogen (N) and phosphorus (P) concentrations in seedling components increased after N and P application. Potassium (K) concentration in seedling components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acutissima increased after N, P and K applicatio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calcium (Ca), sodium (Na) and magnesium (Mg) concentrations. Nitrogen and P concentrations in seedling components increased with the amount of solid combination fertilizer and UF combination fertilizer. Potassium concentration for Pinus densiflora and Na and Ca concentrations for Larix leptolepis also increased with the amount of combination fertilizers. However, nutrient concentrations in seedling component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with different combination fertilizers.

      • KCI등재

        브루나이 열대우림 내 주요 3개 수종 고사목의 초기 질량 감소율과 탄질율 변화

        노유진,장민주,손요환,Roh, Yujin,Jang, Minju,Son, Yowhan 한국환경생물학회 2021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9 No.2

        본 연구에서는 열대우림인 브루나이 MDF와 PSF의 주요 수종(D. aromatic, D. rappa, C. arborescens)을 대상으로 초기 분해 단계의 수종별 질량 감소율과 탄질율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2019년 5월에 총 48개의 고사목 시료(15 cm ×4.8 cm ×5 cm)를 산림 지표면에 배치하고 16개월 후 수거하였다. 분해 전 수종별 고사목의 밀도(g cm<sup>-3</sup>)는 0.64±0.01 (D. aromatic), 0.60±0.00 (D. rappa), 0.44±0.02 (C. arborescens) 등이었으며, 16개월 동안 수종별 연간 질량 감소율(%)은 6.37 (D. aromatic), 8.17 (D. rappa), 18.53 (C. arborescens) 등으로 나타났다. 부후등급은 C. arborescens에서 III등급이 약 25%로 높았으며 흰개미의 분해 흔적이 나타났다. 한편, 16개월 후 탄질율은 D. aromatic과 D. rappa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C. arborescens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이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열대우림 내 고사목의 초기 분해는 밀도와 같은 수종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날 수 있으며, 주요 분해자의 유형에 따라 탄질율의 변화에도 상대적으로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mass-loss rates and the changes in carbon/nitrogen (C/N) ratio of dead woods, which were of following species: Dryobalanops aromatic, D. rappa, and Cratoxylum arborescens. These were dominant tree species in mixed Dipterocarp forests (MDF) and peat swamp forests (PSF) in Brunei Darussalam. In May, 2019, 48 dead wood samples (15 cm×4.8 cm×5 cm) were placed in MDF and PSF sites, and all the samples were collected after 16 months. The effects of species on mass los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however,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mass loss obtained from the two forest types (p>0.05). The initial density (g·cm<sup>-3</sup>) of the dead woods D. aromatic, D. rappa, and C. arborescens, was 0.64±0.02, 0.60±0.00, and 0.44±0.01, respectively. Also the annual mass loss rate (%) was estimated to be 6.37, 8.17, and 18.53 for D. aromatic, D. rappa, and C. arborescens, respectively. The proportion of dead woods in decay class III was only 25% of C. arborescens samples, which were attacked by wood-feeding invertebrates, such as termites. The C/N ratio decreased significantly in D. aromatic and D. rappa, but the decreasing trend of C/N ratio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 arborescens. The results indicate that physical traits of dead woods, such as density, could be one of the main factors causing the decomposition of dead woods initially, as invertebrates such as termites are one of the key decomposers of dead wood in tropical rainforests. In the samples of C. arborescens, which was attacked by invertebrates, nitrogen immobilization occurred to lesser extent as compared to that observed in D. aromatic and D. rappa.

      • 중국 내몽골 사막지역에서 시비와 토양개량재가 신강포플러의 생장 및 양분에 미치는 영향-Ⅰ. 처리 당년의 효과-

        경지현(Ji hyun Kyung),손요환(Yowhan Son),이명종(Myong Jong Yi),이천용(Chun Yong Lee),윤호중(Ho Joong Youn) 한국산림바이오에너지학회 2004 산림바이오에너지 Vol.23 No.2

        중국 내몽골자치구 Dengkou 지역 내 양묘장과 방풍림에 신강포플러(Populus alba var. pyramidalis)를 식재하고, 시비 및 보습제 처리를 한 다음 6개월이 경과한 후 생장을 조사 하고, 토양과 엽 내질소와 인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토양 수분함량 (중량 %)은 양묘장과 방풍림에서 일반 사막화지에 비하여 10% 정도 높았다. 묘포장과 방풍림의 신강포플러는 전반적으로 질소 (N) 처리구 및 질소+인 (N+P)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수고 및 근원직경 생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분 농도에서는 N+P 처리구와 N 처리구에서 전질소 농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 농도는 시비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으나, 묘포장의 경우 오히려 무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Yuho 처리구에서는 다른 처리구보다 전질소와 인의 농도는 높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신강포플러생장은 촉진시켰다. 초기 신강포플러 생장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성분이 질소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은 생장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시비 및 토양 처리 후 당년에 조사한 결과이므로 이러한 처리가 신강포플러의 생장 및 양분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더 장기적으로 지속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Growth and nutrients of Xinjiang poplar (Populus alba var. pyramidalis) seedlings treated with fertilizers and soil amendments were examined in nursery and windbreak at Dengkou after 6 months of treatments in Inner Mongolia, China. Soil water content was 10% higher than that at most soils in desert. Height and diameter growth and foliar nitrogen (N) concentration were higher at N and nitrogen plus phosphorus (N+P) fertilizer treatments than other treatments.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foliar P concentration among treatments in windbreak and foliar P concentration was higher at control than at other treatments in nursery. Yuho treatment increased height and diameter growth. Nitrogen appeared an influenciug factor for early growth of Xinjiang poplar, and P had a minor affect on growth. More long-time studies were needed to elucidate the effects of fertilizers and soil amendments on growth and nutrients of Xinjiang poplar.

      • KCI등재

        브루나이 열대우림의 산림 유형별 지상부 바이오매스 추정

        장민주,노유진,김형섭,이정민,손요환,Jang, Minju,Roh, Yujin,Kim, Hyung-sub,Lee, Jeongmin,Son, Yowhan 한국환경생물학회 2021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동남아시아 열대우림의 대표 산림 유형인 MDF, PSF 그리고 HF에서 지상부 바이오매스를 추정하는 것이다. 브루나이에서 MDF, PSF 그리고 HF를 대상으로 각각 3개 지역을 선정하여 20 m×20 m 조사구를 지역마다 9개씩 설치하고 흉고직경 10 cm 이상인 임목의 흉고직경을 측정하였다. 지상부 바이오매스는 측정된 흉고직경과 바이오매스 상대생장식을 활용하여 추정되었다. 지상부 바이오매스는 MDF, PSF 그리고 HF에서 각각 603.3±159.9, 305.9±23.4 그리고 284.3±19.3 Mg ha<sup>-1</sup> 순으로 나타났다. 산림 유형에 따라 지상부 바이오매스는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으며, MDF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흉고직경이 70 cm 이상인 거대목이 MDF에서 집중되어 출현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산림 유형에 따라 거대목의 출현빈도가 다르며, 나아가 거대목의 출현이 지상부 바이오매스 추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하나라는 의미를 가진다. The aboveground biomass (AGB) was estimated in mixed dipterocarp forests (MDF), peat swamp forests (PSF), and heath forests (HF) in Brunei Darussalam. A total of 81 (20 m×20 m) plots were established for MDF, PSF, and HF in three regions. The diameter at breast height(DBH) of all live trees (DBH≥10 cm) was measured within the plots. The AGB was calculated using an allometric equation with the measured DBH. The AGB(Mg ha<sup>-1</sup>) for MDF, PSF, and HF was 603.3±159.9, 305.9±23.4, and 284.3±19.3, respectively, an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forest types (p<0.05). The greater AGB in MDF than those in PSF and HF was due to the presence of emergent trees in MDF.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emergent trees varied by forest type. Consequently, the appearance of the emergent trees could be one of the main factors affecting AGB in Southeast Asia's tropical rain forests.

      • 비료의 성분 및 종류와 묘목과의 관계 연구 Ⅱ. 묘목의 부위별 양분 농도에 미치는 영향

        황정옥(Jung Ok Hwang),손요환(Yowhan Son),이명종(Myong Jong Yi),변재경(Jae Kyung Byoun),정진현(Jin Hyoun Jung),이천용(Chun Yong Lee) 한국산림바이오에너지학회 2005 산림바이오에너지 Vol.24 No.1

        새로운 산림용 복합비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소나무, 낙엽송, 자작나무, 상수리나무 묘목을 대상으로 성분비가 다른 비료 및 종류가 다른 고형복합비료를 처리하고 묘목의 부위별 양분 농도를 측정하였다. 질소, 인, 칼륨의 비를 각기 달리한 시비수준별 처리실험에서 질소와 인 시비 후 묘목내 이들 양분의 농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소나무와 상수리나무에서 칼륨 시비량 증가에 따라 묘목내 양분 농도가 증가하는 효과를 보였으나, 나머지 두 수종에서는 처리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산림용 고형복합비료와 UF 고형복합비료를 처리한 비료 종류별 처리실험에서는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묘목 내 질소와 인의 농도가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소나무에서의 칼륨 농도와 낙엽송에서의 나트륨과 칼슘 농도도 유사한 현상을 보였으며, 나머지 수종에서는 처리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비료의 종류를 달리하여 처리한 결과 묘목 내 양분 농도 변화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design new fertilizers for forests, seedlings of Pinus densiflora, Larix leptolepis,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and Quercus acutissima were treated with different fertilizers, and nutrient concentrations in seedling components were analyzed. In general, nitrogen (N) and phosphorus (P) concentrations in seedling components increased after N and P application. Potassium (K) concentration in seedling components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acutissima increased after N, P and K applicatio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calcium (Ca), sodium (Na) and magnesium (Mg) concentrations. Nitrogen and P concentrations in seedling components increased with the amount of solid combination fertilizer and UF combination fertilizer. Potassium concentration for Pinus densiflora and Na and Ca concentrations for Larix leptolepis also increased with the amount of combination fertilizers. However, nutrient concentrations in seedling component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with different combination fertilizers.

      • 질소와 인 시비가 경기도 양평지역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 조림지의 지상부 생체량과 양분농도에 미치는 영향

        이임균(Im Kyun Lee),손요환(Yowhan Son),오정수(Jeong Soo Oh) 한국산림바이오에너지학회 2004 산림바이오에너지 Vol.23 No.1

        본 연구는 질소 및 인 시비가 지상부 생체량과 양분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경기도 양평지역의 유사한 토양 위에 조성되어 있는 41년생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 조림지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시비는 대조구(control), 저농도 시비구 [200N kg/ha+25P kg/ha(LNP)], 고농도 시비구 [400N kg/ha+50P kg/ha(HNP)] 등 세 수준으로 처리하였으며, 본 연구로부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br/>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 임분의 총 지상부 생체량은 대조구가 149, 145ton/ha, LNP 처리구가 166, 149ton/ha, HNP 처리구가 152, 170ton/ha이었으며, 수종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 임분 모두 지상부 각 부위별 생체량은 수간목부>가지>수피>엽의 순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하층식생의 생체량은 리기다소나무림이 1,111kg/ha, 그리고 낙엽송림이 907kg/ha이었으며, 이는 전체 지상부 생체량의 0.6~0.7%에 해당되는 것이었다. 일반적으로 수체내 모든 양분들의(N, P, K, Ca, Mg) 농도는 리기다소나무에 비해 낙엽송이 높았는데, 그 이유는 낙엽성 침엽수가 상록성 침엽수에 비해 높은 양분 흡수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 임분의 각 부위별 양분농도는 처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수종간 각 부위간에는 고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수종 모두 각 부위별 양분농도는 엽>가지>수피>수간목부의 순으로 감소되었다. 두 수종 모두 양분함량은 시비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많았으며, 리기다소나무는 LNP 처리구에서 그리고 낙엽송은 HNP 처리구에서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부 식생에 대한 총 양분함량은(N+P+K+Ca+Mg) 리기다소나무가 703kg/ha 그리고 낙엽송이 869kg/ha였다. Effects of nitrogen and phosphorus fertilization on aboveground biomass and distribution of nutrient content in tree components were determined in adjacent 41-year-old plantations of Pinus rigida Miller and Larix kaempferi Gordon on a similar soil in Yangpyeong, Gyeonggi Province. Fertilizer was experimentally applied at the three levels [control(C), 200 N kg/ha+25 P kg/ha(LNP), and 400 N kg/ha+50 P kg/ha(HNP)] in June, 1996.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br/> Total aboveground biomass of P. rigida and L. kaempferi stands was 149, 145ton/ha for control, 166, 149ton/ha for LNP, and 152, 170ton/ha for HNP, respectively, and did not differ between the tree species. Aboveground biomass of P. rigida and L. kaempferi plantations were distributed as follows:stemwood>branch>stembark>foliage. Biomass of understory vegetation was 1,111kg/ha for P. rigida and 907kg/ha for L. kaempferi, and comprised 0.6~0.7% of the total aboveground biomass of the plantations. The concentrations of all nutrients(N, P, K, Ca, Mg) were generally higher in L. kaempferi than in P. rigida because of high nutrient uptake characteristics of Larix spp. Nutrient concentrations in tree components of P. rigida and L. kaempferi planta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whereas the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pecies and among tree components. The nutrient concentration in tree components of both tree species decreased in order of foliage>branch>stembark>stemwood. The contents of all nutrients were higher in the fertilized plots than in the control plots, generally the highest in LNP for P. rigida and in HNP for L. kaempferi. Total nutrient(N+P+K+Ca+Mg) contents of aboveground biomass were 703kg/ha for P. rigida and 869kg/ha for L. kaempferi, respectivel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A/R CDM 사업의 성공적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유승혜(Seung Hye Yoo),조용성(Yongsung Cho),손요환(Yowhan Son),이우균(Woo-Kyun Lee) 한국에너지기후변화학회 2010 에너지기후변화학회지 Vol.5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gistered A/R CDM PDD for successful CDM A/R project activities. The Ministry of Korea is interested in making CERs from the A/R COM project activities in Korea, North Korea and Development countries. The analysis of registered PDD for the successful A/R CDM project activities as shows common issues in almost cases that are key for successful CDM registration. Many of these issues can be improving by project activitie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The aim of this review, we need to sustainable study of the political,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issues that affect each country. We also need develop a policy framework to technology transfer and relationship with the local community will help successful A/R CDM project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