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유아교사를 위한 기본동작 수업장학 사례연구

        문혜련(Moon, Hae-Lyu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3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기본동작 수업기술 향상을 위한 수업장학을 실시하여 각 단계가 어떻게 진행되는지와 교사의 변화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기본동작에 관한 수업장학을 계획하고 실행해 보고자 하는 유아교육기관에 구체적인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수원시에 있는 어린이집 만 5세반(사랑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기본동작에 관한 수업장학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학의 구체적인 운영과정은 피장학 요원과의 라포 형성을 위한 '관계형성 단계', 검사지를 통해 피장학 요원을 파악하는 '지식습득 단계', 결정된 기본동작에 관한 이론학습과 기본동작 표현방법 기술을 익히는 '계획수립 및 실행 단계', 수업계획안 검토를 하는 '사전 협의회 단계', 수업관찰 및 녹화를 하는 '수업참관 단계', 수업에 대한 평가를 하는 '교수학습과정분석 단계', 다음 수업 중점목표를 설정하는 '사후협의회 단계'로 이루어 졌다. 둘째, 수업장학을 통해 담임교사는 기본동작 내용지식에 대한 이해력이 증가되었고 융통성과 통찰력 있는 수업을 진행하게 되었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analyze the progress of each supervision step and changes of teacher by utilizing instructional supervision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 methodology of fundamental movements. By using the obtained results we are planning to help child care and education institutions trying to planning and applying better instructional supervision on the fundamental movements. For this study, instructional supervision was applied to teachers who were in charge with five-year-old children at child-care center in Suwon City.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First, the specific operation process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consists of diverse stages: relationship building stage for the formation of rapport with instructees, knowledge acquisition stage to figure out instructees through test papers, pla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stage for theoretical learning about determined fundamental movements and for how to express fundamental movements, preliminary discussion stage to review class plans, class visiting stage for class observation and recording, teaching-learning process analysis stage for class evaluation, and post discussion stage to establish central goals of next class. 2) The quality of teacher Park's lessons was improved through her better understanding on the contents of fundamental movements and accepting the flexible and insightful method of teaching.

      • KCI등재

        영아교사의 정서지능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문혜련(MOON HAE LYUN),강재희(Kang Jai Hee) 한국육아지원학회 2015 육아지원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영아교사를 대상으로 정서지능 수준이 어떠한지 알아보고, 정서지능과 역할수행 간의 관계를 알아보며, 정서지능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D광역시에 근무하고 있는 영아교사 1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정서지능 측정도구’와 ‘역할수행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교사의 정서지능 수준은 보통 이상이었으며, 하위범주별로는 자기정서인식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타인정서인식, 자기정서조절, 대인관계기술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역할수행은 모든 하위범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교사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지능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역할수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정서지능 중 자기정서인식이었으며, 다음은 대인관계기술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영아교사가 역할수행을 잘하기 위해 정서지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motional intelligence levels of infant teachers, their correlation with role performance, and how the emotional intelligence affected the role performance of infant teachers. The study was based on surveys of 170 infant teachers working in Seoul and ‘D’ metropolitan city, utilizing measurement tools(Emotional Intelligence Scale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Role Rating Scal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frequenc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regression in order to quantify both emotional intelligence levels and role performance outcome. The stud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infant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levels were higher than the average. Particularly, their emotional self-awareness came highest in the measurement scale, followed by others’ emotional awareness, self-management, and interpersonal skill in a descending order. Second, the infant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role performance proved to be the only factors that statistically had the significant and positive correlation in all sub-categories. Third, emotional self-awareness, followed by interpersonal skill, were two of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sub-categories on infant teachers’ role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practical plans need to be developed to improve the infant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that in turn helps improve their role performance.

      • KCI등재

        미디어를 활용한 유아음악감상 방법의 제안과 그에 따른 활동의 예

        문혜련(Moon Hae-Lyu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4 No.-

        음악감상 활동이 유아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많은 연구보고가 있으며, 구체적인 지도 방법에 대한 연구도 일부 보고된바 있으나 활용적 측면에서 미흡한 점이 많아 교사들은 구체적인 교수방법에 대한 어려움으로 음악감상 활동이 많이 도외시되거나 획일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에 본 연구자는 유아음악감상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본적인 지도기법 즉 신체로 표현하기, 그림그리기나 색칠하여 표현하기, 악기를 사용하여 표현하기, 소도구를 사용하여 표현하기, 동화나 이야기를 사용하여 표현하기, 언어?얼굴표정?또는 손짓을 통해 표현하기를 적절히 선택하여, 선정한 6가지 곡에 적용하고 적정한 미디어를 활용해 그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현장 지도 방법을 제시하였다. Music appreciation has been found to positively affect the emotional cultivation of the young children. From this reason considerable articles have been reported on the definite teaching methods in the music appreciation of the young children. Most of the methods proposed in the literatures have not yet been recognized as fully developed teaching tools for the practical on-the-spot teaching application, which therefore led to the neglection of music appreciation in the lessons of Kindergarten or to the limitted utilization of the uniform teaching methods. The author therefore proposed 6 different on-the-spot teaching models reflecting the utilization of proper media and essential teaching technics(such as expression as behavior, expression through drawing or painting, expression using music instruments, expression utilizing small tools, expression utilizing fairy-tales and story composition and expression using language, facial expression or hand motions) in the education of music appreciation of the young children.

      • KCI등재
      • KCI등재

        성별에 따른 만 5세 유아들의 우정의 질과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

        문혜련(Moon, Hae Lyun),엄정애(Ohm, Jung Ae)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7 교육과학연구 Vol.48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riendship quality and self-regulation of five-year-old Korean children. Friendship was evaluated by assessing the interactive behaviors of same gender friend dyads of five-year-old children and their perception of friends. Self-regulation was determined by measuring self-assertion and self-control in target children and their frien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same gender friend dyads who were close friends showed more positive dyadic interactions and higher positive perceptions of friends than those who were not close friends. 2) They also exhibited elevated self-regulation with greater self-control than self-assertion. 3) Results for individual genders indicated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se measures: The greater number of positive interactive behaviors girls engaged in, the more self-control and overall self-regulation they exhibited; the greater the number of positive interactive behaviors boys engaged in, the less self-control they exhibited. Girls who perceived their friends more positively exhibited more self-regulation; boys who perceived their friends more positively exhibited less self-control. These findings will provide insights for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that could improve children’s abilities to adjust, socially and emotionally, during early childhood.

      • KCI등재

        만 5세 유아의 소리에 관한 과학개념 변화와 과학적 태도 특성

        문혜련(Moon Hae-Lyun),김자현(Kim Ja-Hyu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9

        본 연구의 목적은 소리에 관한 과학적 탐구활동에서 나타나는 만 5세 유아의 소리에 관한 과학 개념 변화와 과학적 태도특성을 알아봄으로써 유아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소리 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과학적 의미를 찾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 4명을 대상으로 3주 동안 10번의 관찰연구와 면담, 그리고 6번의 추가 관찰을 통해 심층적으로 연구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개념변화를 살펴보면, 각 유아별로 질적인 차이를 보였지만 공통점을 찾아볼 수 있었다. 즉, 각 유아들은 모두 자신의 기존 경험과 지식을 통해 갖고 있던 오개념에서 출발했지만, 직접적 관찰과 감각적 경험을 통한 반복적 실험 과기존속에서 소리와 진동의 인과관계에 대한 이해가 발달하기 시작했다. 또한 유아들은 선개념을 적용하여 매질을 추론하였고 바람과 공기를 같은 의미로 사용하였다. 새로운 시도와 예측을 유도하는 상황에서는 인지적 갈등이 나타났다. 둘째, 과학적 태도특성을 살펴보면, 유아들은 사전경험을 활용해 실험하기, 활발한 상호작용과 함께 공유하기, 즉각적 결과의 검증 즐기기, 관찰하여 모방하기, 호기심과 새로운 도전을 계속적으로 시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nging process of the scientific concept and the attitude of the children in the scientific inquiry activity of the children on the sound and oscillation interrelationship to seek the scientific meaning. Four 5-years old children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subjects. In three weeks time period ten times observation research and interviews, and 6 times additional observation were performed. W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In the changing process of the scientific concept, we found the common features between the children. : The children tended to understand the sound and oscillation interrelationship through the repeated experimental process by utilizing the direct observation and sensory experiences. 2) The characteristic of the scientific attitude character such as instant enjoy of result verification, observation and imitation, curiosity and continuous trial of new challenge were observed in this trial. Based on the results it was indicated that the immediately reponsive and observable tools should be utilized for the effective inquiry activity.

      • KCI등재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임지혜,문혜련,Lim. Ji-Hae,Moon. Hae-Lyun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4 No.2

        본 연구는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교육 현장이나 부모교육 등 상담현장에서 어머니 지원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용인시에 위치한 민간어린이집 8곳에 재원하고 있는 5세 유아 131명과 유아의 어머니 131명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의 경향성은 중간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의 유무와 가정의 월소득에 따른 결혼만족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녀수가 적은 어머니일수록 결혼생활의 갈등이 높게 나타났다.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경향성은 중간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조절능력의 하위 요인 중 정서조절능력이 인지조절능력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모든 영역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결혼만족도의 하위요인 중 결혼생활에 대한 인식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를 결정하는 요인 중 특히 결혼생활에 대한 인식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부부가 서로의 결혼생활에 대해 바르게 이해하고 결혼생활에 대한 자신감을 갖는 것이 자녀의 자기조절능력 향상에 무엇보다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effect on development of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Also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use of helping mot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or consultation fiel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1 children in 5 years old, who are in 8 daycare center located in Yongin City, Kyeong-gi Province and 131 their moth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the program, SPSS WIN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was rated above average, and differences in their marital satisfaction were not observed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occupation or monthly household income. However, the mothers with a smaller number of children showed a corresponding higher level of marital conflict. The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was also rated above average. Among the lower-level factors of self-regulation ability, the children exhibited a higher level of emotional self-regulation ability than cognitive self-regulation ability. Seco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every field of the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Third, among the lower-level factors of marital satisfaction, the mothers’ perception of marital lif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ir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This study indicated that among the factors that determine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eir perception of marital life can affect improvement in their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This suggests that couples’ correct understanding of mutual marital life and self-confidence in their marital life are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improving their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 KCI등재

        동화를 활용한 질문중심의 하브루타 수업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이윤미(Lee, Yun Mi),문혜련(Moon, Hae L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는 동화를 활용한 질문중심의 하브루타 수업을 실시하여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유아의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실험집단 어린이집 4세 유아 15명, 비교집단 어린이집 4세 유아 15명, 총 30명을 대상으로 유아 종합창의성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유아의 창의성을 실험처치 전과 후에 측정하였다. 결과 동화를 활용한 질문중심의 하브루타 수업을 실시한 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창의성 전체 및 창의성의 하위요인 중 유창성을 제외한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동화를 활용한 하브루타 수업이 유아의 창의성을 향상시켰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 동화를 활용한 질문중심의 하브루타 수업이 유아의 창의성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question-based Havruta class using fairy tale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to provide the obtained results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promot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young children aged 4 years who were in two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cho-gu, Seoul, Korea. The subjects were divided equally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It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using the young children creativity test tool.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whole of creativity and its subfactors such as flexibility, originality and imagination, except fluency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Havruta class using fairy tales improved the the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Conclusions It is considered that the question-based Havruta class using fairy tales could be utilized as an useful tool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s improving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 KCI등재

        손유희에 대한 색동어머니회 동화구연가의 인식과 활용

        장인화 ( Jang In-hwa ),문혜련 ( Moon Hae-lyun )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구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손유희에 대한 색동어머니회 동화구연가들의 인식 및 활용을 알아보고 동화구연가들이 질적으로 향상된 영유아 대상 수업을 하기 위한 손유희의 역할에 대해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색동어머니회동화구연가 17명이다. 총 4그룹으로 나누어 2017년 6월 26일부터 8월 22일까지 8주간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각 그룹별 1회, 총 4회 실시하였고 시간은 1회 90분~120분 정도 소요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손유희에 대해 색동어머니회 동화구연가들은 마중물, 분위기 메이커, 부속품, 깨소금과 같은 역할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색동어머니회 동화구연가들은 인사 손유희, 발음ㆍ발성 손유희, 구연연습 손유희, 주의집중 손유희, 흥미유발 손유희로 활용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색동어머니회 동화구연가들은 손유희가 꼭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유용하게 활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동화구연가들은 손유희의 다양한 지도 방법의 개발 및 연구를 해야 하며 동화내용과 관련된 손유희가 수업에 활용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연수나 교육프로그램이 다양하게 제공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e line data for storytellers to make effective use of finger play in their classes by investigating storytellers’ recognition and practical use of finger play.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17 storytellers. Focus group interview was held for 8 weeks, from 26th, June, 2017 to 22nd, August 2017. Each group had one set of interview for 90∼120 mins per each, therefore 4 sets of focus interview took pla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ory tellers’ recognition regarding finger play was as followings: an priming water, light of the party, adjuncts and sesame. Second, regarding story tellers’ practical use of finger play, story tellers used finger play as greeting finger play, pronunciation and vocalization finger play, narrating finger play, concentrating finger play and interest arousing finger play. Therefore, Not only variety of guiding principles must be created and studied in order to apply finger play in order to apply during story telling-related class, but fine quality and quantity of education programs and seminars for story tellers should be offered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