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소아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환아에서 치료경과에 따른 평균 혈소판용적과 혈소판용적 분포폭의 변동

        김종태,이경원,김순남,김문규,Kim, Jong Tai,Lee, Kyung Won,Kim, Soon Nam,Kim, Moon Kyu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4

        목 적 : 소아 ITP 환아에서 진단 및 IVIg 치료시의 MPV 및 PDW의 변동을 관찰하여 정상아과 비교하고자 하였고 진단 및 초기 치료시의 MPV와 PDW값 분석을 통하여 급성과 만성 ITP의 구분이 예측 가능한지와 면역글로불린에 대한 초기반응이 예측 가능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5년 12월부터 2001년 5월까지 아주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ITP로 진단 받고 치료 중이거나 치료 후 추적 관찰 중인 환아 7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는 IVIg를 하루에 400 mg/kg 용량으로 5일간 투여하였고 Coulter Counter STKS를 사용하여 매일 말초혈액검사를 시행하여 혈소판, MPV, PDW 를 확인하였고 치료 후 주기적으로 추적검사 하였다. 정상 대조군으로 38명의 정상 환아의 MPV와 PDW를 측정하였다. 급성 ITP는 치료 후 혈소판수가 $100,000/{\mu}L$ 이상으로 증가되어 유지된 경우로, 만성 ITP는 혈소판수가 발병 6개월내에 일시적인 증가가 있을 지라도 발병 후 6개월 이상 경과 중에 $100,000/{\mu}L$ 이상으로 유지되지 않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또한 혈소판 수치가 치료 5일째 $100,000/{\mu}L$ 이상 증가된 환아들을 A군, $100,000/{\mu}L$ 이하인 환아들을 B군으로 정의하여 위와 같은 MPV, PDW를 분석하였다. 동기간 중 ITP로 내원 하였으나 IVIg 투여 없이 호전된 환아의 MPV, PDW 수치를 IVIg 치료군과 비교하였다. 결 과: 급성 ITP는 53례, 만성 ITP는 18례로 총 71례였으며 진단시 혈소판수는 $20,000/{\mu}L$ 이하가 65례(91.5%)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ITP 환아의 진단 당시 MPV와 PDW의 평균값은 6.77 fL, 15.16%로 정상 대조군의 7.29 fL, 15.96% 보다 의의 있게 낮았고(P<0.05), 만성보다는 급성에서, A군보다는 B군에서 MPV와 PDW값이 낮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전체 환아에 대해서 치료 후 1일째 MPV가 의의 있게 증가하고 그 이후 유지되었고 급성과 만성으로 나눠서 봤을 때 두 군간에 의의 있는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IVIg 치료의 반응에 따라 구분하여 보면 A군에서 치료 후 1일째 MPV가 급격히 증가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B군은 치료 후 4일째까지 천천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P<0.05). 전체환아에서 PDW는 치료 후 2일에 걸쳐 의의 있게 증가한 후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정상 대조군에서는 혈소판과 MPV간에 의의 있게 반비례 관계를 보였으나(r=-0.415, P<0.05) ITP 환아의 진단시에는 혈소판과 MPV간에 의의 있게 비례 관계를 나타내었다(r=0.646, P<0.05). 동기간에 자연 회복된 9례의 ITP 환아와 IVIg로 치료한 대상 환아를 비교해 봤을 때 자연 회복된 환아들은 진단시 MPV가 증가되어 있었고 혈소판이 증가되면서 점차로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다. 결 론 : 소아 ITP 환아에서 IVIg 치료 후에 혈소판 증가와 함께 MPV와 PDW는 증가하였다. IVIg 치료후 MPV와 PDW를 관찰하는 것이 치료 초기에 급성과 만성을 예측하는 데는 유용하지 않으나 MPV는 초기 치료 반응의 예측인자로서 유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에서 관찰된 소아 ITP 환아에서 진단시 MPV와 PDW가 정상 대조군에 비해 낮은 것과 IVIg 투여 후의 MPV 및 PDW의 증가에 대해서는 향후 더욱 광범위한 연구를 통해 더 많은 논의를 거쳐야 할 것이다. Purpose : Mean platelet volume(MPV) and platelet distribution width(PDW) are useful parameters in evaluating disorders of platelets. In cases with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ITP), they change as platelet count increases.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values of MPV and PDW in ITP patients at diagnosis with those of normal children. We also studied whether the early changes in MPV may predict the clinical course. Methods : From December 1995 to May 2001, 71 patients with ITP were admitted to Ajou University Hospital. They were treated with IVIg 400 mg/kg for five days and MPV, PDW, platelet count were analysed. Normal control group(n=38) was compared. The study group was divided into acute and chronic forms, and also divided into group A, good early responders whose platelets increased more than $100,000/{\mu}L$ within 5 days and group B who did not. Results : Mean value of MPV at diagnosis in ITP patients was lower than the normal control group(P<0.05). In group A, MPV was abruptly increased on the first day after IVIg and then started to decrease. But in group B, MPV was steadily increased until the fourth day after IVIg. In the normal control group, there were inverse correlations between platelet count and MPV(r=-0.415, P<0.05), but in ITP patients,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platelet count and MPV(r=0.646, P<0.05) at diagnosis. Conclusions : MPV at diagnosis of ITP was lower than the normal control. MPV and PDW could not predict the course of ITP patients, but MPV could distinguish good early responders. More research is needed to find out the reasons of decreased MPV at diagnosis of ITP.

      • KCI등재

        궁궐 공간 표현 용어의 가변성

        김종태(Kim Jong Tai) 국립고궁박물관 2015 古宮文化 Vol.- No.8

        This study attempts to clarify definitions of two classical terms, daenae大內 and janae自內, which in general means palatial spaces. These terms frequently appear in primary sources such as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承政院日記 and individual anthologies, but their specific indication have been unknown today. By collecting and comparing abundant examples and usages, I concluded on tentative definitions and usage of the terms. For daenae, the definitions had three different senses: the king’s office or the residential building in the narrowest sense; wider palatial components that are directly related to the royal couple in the medium sense; and in the widest sense, it meant the royal office and living quarters, plus rear gardens and the court library. However, daenae sometimes implied not only a spatial place itself but also the owner of the place, usually the king himself. Daenae could be abbreviated as “nae內” in various compound terms, including janae自內. Definition of janae overlaps within the scope of the meaning of daenae, as the king himself, the owner of daenae. The concept of daenae shared by Japan and China, unlike Korean cases, strictly meant a space of the sovereign that was clearly separated from other palatial areas by physical walls. Joseon’s flexible scope of daenae seemingly derives from vague division of irregularly arranged palatial areas by natural topography. I hope these classified definitions will contribute to more articulate interpretation at textual studies on history, palace architecture and royal ceremonies. 이 논문은 실록』, 승정원일기』, 문집 등 국고문헌國故文獻에 자주 등장하지만 그 의미를 뚜렷이 알 수 없었던 대내大內와 자내自內에 대하여 의미 규정을 분명히 하고 이를 통하여 궁궐 공간표현 용어에 가변성이 있음을 입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어휘가 화자와 문맥에 따라 다르게 쓰이는 실체를 분명히 인식하는 것은 점점 주목되고 있는 고전 어휘 정리에 하나의 시야를 제공할 것이다. 필자는 대내와 자내가 쓰인 다양하고 풍부한 사례를 검토하여 귀납적 방법으로 결론을 도출하는 한편 방계 자료를 고찰하여 결론을 보완하였다. 이 논문에서 많은 사례를 다 보이지는 못하지만 그러한 방법이 어휘의 의미 파악에는 매우 유용하고 든든한 기초가 된다. 대내의 개념은 문맥에 따라 협의, 중의, 광의의 개념으로 나누어진다. 협의의 개념은 왕의 편전을 지칭하며, 중의의 개념은 왕의 편전, 왕비와 후궁의 처소, 기타 왕과 직접 관련이 있는 연조燕朝 권역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 동궁東宮과 궐내각사闕內各司는 제외되는 것이 특징이고 대비전大妃殿은 포함관계가 유동적이다. 광의의 개념은 중의의 개념에 후원後苑의 왕실 도서관 권역을 포함한다. 이러한 대내의 개념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문맥에 따라 가변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다. 중전中殿과 구분하여 쓰일 때는 대전大殿만을 의미하기도 하며, 경우에 따라 후원과 대비전이 대내에 포함되기도 하고 그렇지 않을 때도 있다. 또 대내는 일정한 장소를 지칭하기도 하고 그 장소를 소유하는 사람(대부분 임금), 즉 주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문헌에 자주 보이는 내입內入, 입내入內, 내재內在, 내장內藏, 내하內下, 내출內出, 환내還內, 자내自內 등에 쓰인 ‘내內’는 바로 대내를 의미한다. 이 중에서 자내自內는 대내에 ‘자自’가 붙은 형태이지만 나중에는 그 자체가 대내와 동일한 의미로 쓰이기도 하였다. 이 자내는 ‘사적인 차원의 왕’을 의미한다. 즉 ‘대내의 주재자’라는 뜻이다. 자내自內가 얼핏 모순되어 보이고 복잡한 듯 보이지만 어떠한 경우에도 ‘자내’가 ‘대내에서’나 ‘대내’라는 기본 뜻을 벗어나지는 않는다. 요컨대 대내와 자내는 왕실의 사적 공간 중에서 왕의 소유와 왕의 직접적인 관장을 나타내는 심리범위를, 말하는 상황에 맞게 탄력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대내는 조선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중국과 일본에도 있었다. 중국의 도성 제도는 당나라 이래로 외성外城, 황궁皇宮, 궁성宮城의 3겹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이러한 기본적 특징은 역대 왕조에 그대로 계승 되었으며 우리나라와 일본도 이와 같았다. 일본은 대내리大內裏가 창덕궁처럼 하나의 궁궐 개념으로 쓰였고 내리內裏는 조선의 대내와 유사하게 쓰였다. 동궁의 경우 중국과 조선은 대내와 분리된 반면 일본은 내리에 포함되었다. 중국과 일본은 각각의 권역이 방형方形의 성벽으로 둘러쳐져 있어 대내의 구분이 명료하였지만, 조선의 경우는 왕실 거주처가 일괄 담으로 둘러쳐져 있지 않고 불규칙한 건축물로 구획되어 있어 대내 개념도 복잡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대내와 자내의 개념을 연구한 이 논문은 궁궐·왕실과 관련한 역사문헌의 번역과 건축, 왕실 의례 등 관련 연구에 정밀성을 제공해주는 자료로서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麟坪大君房全圖』와 御製祭文을 통해 본 朝鮮王室의 友愛 宣揚

        김종태(Kim, Jong-tai) 한국고전번역원 2015 民族文化 Vol.45 No.-

        조선시대에 서울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화려한 第宅은 麟坪大君(1622~1658)의 집이었다. 인평대군은 인조의 3째 아들이자 훗날 효종이 되는 봉림대군의 동생이다. 인평대군과 봉림대군은 駱山과 宗廟를 각각 등 뒤에 두고 서로 마주 보는 두 누각 朝陽樓, 夕陽樓를 짓고 살았다. 조양루는 봉림대군이 15살이던 1633년에, 석양루는 인평대군이 20세이던 1641년에 건립되었는데 3살 터울이 나는 두 형제는 鈴索으로 불리는 방울을 단 동아줄을 연결하여 서신을 왕래하고 안부를 묻는 등 우애가 각별하였다. 효종이 왕으로 있는 동안 인평대군은 여러 가지 보호를 받아 제택의 규모를 늘리고 화려한 생활을 누렸다. 현종 대에도 이런 기조는 이어졌다. 그러나 숙종 대의 경신환국(1680)으로 인평대군의 아들 삼형제가 역모로 몰려 죽고 영조대에는 다시 그 증손자가 당쟁에 휘말려 죽자 화려하던 제택은 퇴락하고 급기야는 동물이나 거지들이 들락거리며 이웃 사람들이 꽃나무를 땔감으로 베어가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집안의 여종 得玉의 저주라는 귀신 이야기가 장안에 회자되기도 하였다. 몰락을 거듭하던 인평대군 집안은 1731년 귀머거리 李?을 봉사손으로 삼아 겨우 사당에 제사를 올리는 정도였는데 1751년(영조27) 영조가 本宮에 들렀다가 이숙을 만나보는 것을 기점으로 다시 중흥하게 된다. 이숙의 아들 李鎭翼은 1751년 昌慶宮 崇文堂에서 영조를 알현하여 선대의 御札과 우애를 주제로 이야기를 나누었고, 1773년에는 慶熙宮 集慶堂에서 인평대군의 遺稿를 가지고 입시하여 영조의 명으로 校書館에서 간행하였다. 한편 인평대군의 사후 효종을 비롯하여 숙종 · 영조는 치제문을 친히 짓고 썼는데 중심 내용은 인평대군의 우애이다. 특히 이 제문에는 숙종과 영조 자신이 인평대군의 후손을 죽인 것을 후회하는 내용이 들어 있어 주목된다. 이러한 전통을 계승하여 1792년(정조16)에 정조는 이진익에게 인평대군의 묘소에 제사를 올리고 치제문비를 세우게 하였으며, 閣臣 徐榮輔에게 인평대군 사당을 봉심하고 인평대군 제택을 그림으로 그려 올리라 명하였다. 이는 비정한 정치 현실로 무너진 왕실의 우애를 선양하고 나아가 왕실과 왕권을 강화하려는 큰 구도 속에서 나온 조치이다. 그동안 규장각에 소장된 「麟坪大君房全圖」는 제작 연대가 불명하였으나 이번 연구로 1792년에 제작된 것이 밝혀졌다. 또한 인평대군 묘소 앞에 세워진 2기의 비문내용을 인평대군 후손의 당쟁 연루와 비교 분석하여 조선 왕실에서 그 우애를 선양한 맥락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인평대군방전도」와 인평대군 致祭文碑의 이해를 심화시켜 문화유산의 가치를 제고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아울러 인평대군의 6대손이자 이진익의 손자 寀重은 球로 이름을 바꾸어 영조의 동생 延齡君의 嗣子인 恩信君의 후사를 이었는데, 그가 바로 南延君이고 그의 아들 흥선은 대원군이 되고 손자 고종은 황제가 된 역사적 사실은, 그 진진한 왕실 가계의 곡절로 인하여 인평대군의 우애가 반영된 그림과 비문에 문화적 흥미를 더해 준다. The mansion of the Prince Inpyeong, the third son of Injo and younger brother of Hyojong, was the most splendid residence in Seoul at that time. On the opposite side of Inpyeong’s mansion, there was the mansion of the Prince Bonglim, the future Hyojong. In the back of Inpyeong’s mansion there was Mt. Nak, while in the back of Bonglim’s house, there was Jongmyeo, the National Shrine. The main building of Inpyeong’s residence was the Joyang Pavilion built in 1633, while the main structure of Bonglim’s was the Sekyang Pavilion built in 1641. During the reign of Hyojong, the Prince Inpyeong enjoyed his brilliant house. After the death of Inpyeong and the tragic end of his sons during the political strife of 1680, the mansion became a deserted house and people came there to cut down the trees for the firewood. Only Yi Suk, a deaf man who was left as one relative of the Inpyeong family, kept the memorial service for ancestors. However, Yi Jinik, the son of Yi Suk, changed the fortunes of the mansion. In 1752, he met Yeongjo and let the king know about the brotherhood of Inpyeong and Hyojong. In 1773, he showed the posthumous works of Prince Inpyeong to Yeongjo and made Inpyeong’s anthology under Yeongjo’s orders. Yeongjo composed the funeral oration for Inpyeong and praised the brotherhood. The next king, Jeongjo, was touched by the story of Inpyeong and Hyojong, and asked Se Yeongbo to paint the mansion of Prince Inpyeong. Presumably with political motivations, Jeongjo aimed to show the virtuous brotherhood of the royal family to the world. It can be assumed that the anonymous painting “Mansion of Prince Inpyeong” currently preserved in the Kyujanggak must have been produced in 1792 under the orders of King Jeongjo.

      • KCI등재

        식품 3D-프린팅 기술과 식품 산업적 활용

        김종태 ( Chong-tai Kim ),맹진수 ( Jin-soo Maeng ),신원선 ( Weon-son Shin ),심인철 ( In-cheol Shim ),오승일 ( Seung-il Oh ),조영희 ( Young-hee Jo ),김종훈 ( Jong-hoon Kim ),김철진 ( Chul-jin Kim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7 산업 식품공학 Vol.21 No.1

        Foods are becoming more customized and consumers demand food that provides great taste and appearance and that improves health. Food three-dimensional (3D)-printing technology has a great potential to manufacture food products with customized shape, texture, color, flavor, and even nutrition. Food materials for 3D-printing do not rely on the concentra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es of a product in a single step, but it is associated with the design of food with textures and potentially enhanced nutritional value. The potential uses of food 3D-printing can be forecasted through the three following levels of industry: consumer-produced foods, small-scale food production, and industrial scale food production. Consumer-produced foods would be made in the kitchen, a traditional setting using a nontraditional tool. Small-scale food production would include shops, restaurants, bakeries, and other institutions which produce food for tens to thousands of individuals. Industrial scale production would be for the mass consumer market of hundreds of thousands of consumers. For this reason, food 3D-printing could make an impact on food for personalized nutrition, on-demand food fabrication, food processing technologies, and process design in food industry in the future. This article review on food materials for 3D-printing, rheology control of food, 3D-printing system for food fabrication, 3D-printing based on molecular cuisine, 3D-printing mobile platform for customized food, and future trends in the food market.

      • 특집 : 산천재(山天齋) 벽화의 문화사적 의미 -《예원합진(藝苑合珍)》과 정조(正祖) 사제문(賜祭文)을 중심으로

        김종태 ( Jong Tai Kim ) 南冥學硏究院 2015 南冥學 Vol.20 No.-

        南冥 曺植(1501-1572)의 대표적인 강학처인 山天齋에는 3점 의 벽화가 그려져 있다. 이 벽화는 1818년(순조18) 산천재의 중 수 때 그려진 것으로 추정된다. 필자는 이전 논문 「山天齋 벽화 에 대한 고찰J (2007)에서 이 벽화 3점, 즉 〈商山四晧圖>, < 巢父許由圓 >, <伊尹藉宰圖〉가 1796년(정조20)에 정조가 내린 「文貞 公曺植致祭文 에서 유래하였다고 밝혔다. 정조의 사제문은 조식 의 출처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한 내용으로 지역민을 격려 하고 널리 인재를 구하는 함의를 담고 있다. 인조반정과 무신란을이 논문에서는 새롭게 발견한 《藝苑合珍》과 정조의 사제문, 산 천재 벽화의 영향 관계와 그 문화적 의미에 대해 서술하였다. 통 일한 내용의 이미지가 제문과 그림으로 번갈아 나타나는 문화적 호환성과 상호 영향에 주목한 것이다. (예원합진》은 영조 때 도화 서 화원이 그리고 尹淳(1680-1741)이 글씨를 쓴 書畵合壁捷으로 조선 왕실에서 제작하여 왕실 인사의 감상과 교육에 활용한 것인 데, 정조의 인장이 찍혀 있다. 한편 19세기 전후에 그려진 高士人物圖와 文字圖, 聲卿圓] 등에는 산천재 벽화에 그려진 것과 동일한 이미지가 부열, 엄자릉, 강 태공 등의 이미지와 함께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산림처사를 우대 하고 존중하는 사회문화적 풍토는 인물과 문화가 상호 영향을 주 고받으며 조성되어 갔다. 산천재 벽화는 인물의 주요 특정을 이미지화해서 公認시키는 역할을 하고 처사 존중 문화의 한 단면을 보인다는 점에서 문화사 적 가치가 높다. Three mural pamtmgs m the sanchenjac(山天齋), the historical site for lecture of Jo Sik(曹稙, 1501-1572) who often called as Nammyeong(南冥), still remains today. It is believed that these murals are painted in 1818 when the sanchenjae was rebuilt. "Research on the three murals in the sanchenjae" published in 2007 pointed out that the themes of the paintings are Four Old men in Mt. Shang (商山四皓), Chaopu and Xuyou (巢父許由), Yi in plowing(伊尹耕華) and that these themes were from the funeral oration for Jo sik composed by the king Jeongjo in 1796. The funeral oration by the king Jeongjo, Munjeonggong-]oslk-chizemun(文貞公曺植致祭文) praised Udo, Josik``s hometown, and comforted the people of Udo. Because the people of Udo had political stigma after the renovation of king Inzo, they were encouraged by the funeral oration and painted three themes which King Jeongjo referred to. Yewonhapjin 藝苑合珍, a book painted by court painters and written by a famous scholar Yunsun 尹淳 (1680~1741) during the King Yongjo, must be influential on the funeral oration by the king Jeongjo. There also is a stamp of Jeongjo on a page of Yewonhapjin, a book made for education and appreciation of the royal family. The themes of three mural paintings in the sanchenjae were popular in the paintings of historical figures and folk paintings during the nineteenth century. The themes were painted usually with other famous Chinese hermits who were expressed by the images of a fisherman and a worker at a remote village. It would be said that the mural paintings in the sanchenjae has a cultural value in that they show the political and cultural function of paintings of hermits at that time.

      • 공기업의 임금피크제 도입에 관한 연구 : 서울메트로를 중심으로

        이태식(Lee Tai-Sik),전영준(Jun Young-Joon),김영현(Kim Young-Hyun),김종태(Kim Jong-Tae) 한국철도학회 2007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 No.-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dures and legal issues for introduction and current Salary-structures and methods for system introductions centered around Seoul Metro which is railway related public company along with the background on introducing Salary-peak system and national/international situation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paradigms. Base on these, the study deduced?presented plans for improving corporate competitiveness by the introduction of Salary-peak system such as target for applications and ages for Salary-peak and the rate of fall, plans for adjusting duties to present optimum plans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Seoul Metro Salary-peak System.

      • KCI등재

        한국산 담수어에 기생하는 섬모충 Tripartiella sp에 관한 연구 -잉어, 금붕어 및 메기를 중심으로-

        서형석 ( Heyng Seok Seo ),김영진 ( Young Jin Kim ),한규삼 ( Kyu Sam Han ),김영길 ( Young Gill Kim ),이근광 ( Keun Kwang Lee ),김종태 ( Jong Tai Kim ),도홍기 ( Hong Ki Do ) 한국가축위생학회 1997 韓國家畜衛生學會誌 Vol.20 No.3

        To investigate the species and infection rate of Tripartiella sp in three species of freshwater fish, carp(Cyprinus carpio), goldfish (Crassius auratus) and Korean catfish(Parasilurus asotus), fish cultured in the fish farms next to Yosu and in the western area of Chunbuk province in Korea was examined from April to June, 1996. The infection rate was evaluated after observing the gill and mucous from 130 fish under the microscope. The species of Tripartiella was identified on the basis of the shape and number of denticle according to methods of Bychowsky(1985) after staining the parasites with 2% methy-ene blue solution. All the detected-parasite was classified as Tripartiella differed from Trichodina reported previously in our country. T carassii, T californica, T rhombi from Goldfish, T rhombi from common carp. T californica from Israeli carp and T bychowsky from Korean catfish were observed. In the fish from the fish farms in the western area of Chunbuk province, the infection rate of Tripartiella sp was ranged from 6.7% to 100%, but in neither carp nor goldfish from the farms next to Yosu the parasite dete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