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2020 한국인 에너지필요추정량 설정 및 앞으로의 과제

        김은경(Eun-Kyung Kim),김오연(Oh Yoen Kim),박종훈(Jonghoon Park),김은미(EunMi Kim),김주현(Juhyeon Kim) 한국영양학회 2021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4 No.6

        일반적으로 에너지 필요량은 에너지 평형 상태에서의 에너지소비량으로 정의된다. 이중표식수법 (doubly labeled water, DLW)은 총에너지소비량 (total energy expenditure, TEE)을 측정하는 가장 정확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2002년, 미국 Institute of Medicine (IOM)은 미국인과 캐나다인을 위한 영양소 섭취기준 (dietary reference intakes, DRIs)을 제안하고, 이중표식수법 (DLW)을 이용한 연구결과들을 모아서 에너지필요추정량 (estimated energy requirement, EER) 산출식을 개발하였다. 2005년부터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도 이 산출식을 이용하여 에너지필요추정량을 설정해왔다. 연령대를 기준으로 한 이 산출식에서는 체중과 신장뿐만 아니라 신체활동수준 (physical activity level, PAL)에 따른 (sedentary, low active, active, and very active) 신체활동계수 (physical activity, PA)가 적용되었다. 이중표식수법과 신체활동일기를 이용하여 산출한 한국인의 신체활동수준은 ‘저활동적’ (1.40–1.59)에 해당되었으므로, ‘저활동적’에 해당하는 신체활동단계별 계수 (PA)가 에너지필요추정량 (EER) 산출식에 적용되었다. 최근 한국에서도 규칙적으로 다양한 신체활동을 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어 "활동적 (active)"인 사람들과 "매우 활동적 (very active)"인 사람들을 위한 에너지필요추정량을 별도로 제시하였다. 앞으로 미국과 일본처럼, 한국에서도 이중표식수법 (DLW) 연구를 확대하여 한국인을 위한 에너지필요추정량 산출식이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신체활동 일기와 새로운 (한국인을 위한) 신체활동 분류표를 이용하여 신체활동수준 (PAL)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표준화된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야한다. Energy requirement is defined as energy expenditure in an energy equilibrium state. The doubly labeled water (DLW) method is considered the gold standard for measuring total energy expenditure (TEE). In 2002, the Institute of Medicine (IOM) of the National Academies established dietary reference intakes (DRIs) for Americans and Canadians, and the equations for estimated energy requirement (EER) were developed by using pooled data from studies that had applied the DLW method. Since 2005, these equations have been used for establishing EER in the DRI for Koreans. These equations based on age group include the physical activity (PA) coefficient determined by the PA level (PAL; sedentary, low active, active and very active) as well as body weight and height. The PAL values of Koreans calculated using the DLW method and PA diaries were determined to fall in the low active category (1.40~1.59). Therefore, the PA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low active’ was applied to the EER equations. In recent years, with increasing number of people regularly engaging in various physical activities in Korea, EER is now separately presented for people with ‘active’ and ‘very active’ PALs. In the future, like the United States and Japan, Korea needs to expand the DLW research for developing EER predictive equations for Koreans. In addition, standardized guidelines should be prepared to accurately evaluate the PAL using the physical activity diary and the new PA classification table for Koreans.

      • KCI등재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 대상 식사조사를 위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의 개발 및 평가

        김정현(Jung-Hyun Kim),김오연(Oh Yoen Kim),이민준(Min June Lee),박은주(Eunju Park) 한국영양학회 2021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4 No.1

        본 연구는 결혼으로 한국에 이주한 다문화여성의 영양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SQ-FFQ를 개발하고 이 조사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SQ-FFQ는 결혼이주여성 대상 선행 연구, 국민건강영양조사의 SQ-FFQ 및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고려하여 다소비, 다빈도 식품목록과 영양소별 섭취량에 대한 기여도가 높은 급원식품들을 고려하여 41개의 식품항목으로 선정하였다. 1회 섭취 분량은 0.5인분, 1인분, 1.5인분의 3개의 구간으로 나누었고 섭취빈도는 지난 1년 동안 평균적으로 얼마나 자주 먹었는지를 10개의 구간으로 분류한 SQ-FFQ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조사지의 재현성 및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서울과 대전 일부 지역의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방문한 35명의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SQ-FFQ (2회) 및 3일 식사 기록지를 조사한 후 1, 2차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간의 영양소 섭취량 차이 및 SQ-FFQ와 3일 식사기록 간의 영양소 섭취량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1–2주간격으로 조사한 식품섭취빈도조사지의 재현성을 검토한 결과 에너지와 다량영양소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의 섭취량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비타민 A, 리보플라빈, 칼슘, 칼륨의 경우 1차 조사의 평균 섭취량보다 2차 조사의 평균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약간 높았다. 1차 및 2차 조사에서 도출된 동일 영양소 섭취량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동일 영양소 섭취량 간의 상관관계는 전반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r = 0.453–0.885). 식품섭취빈도 조사와 3일 식사기록의 결과 비교를 통한 타당도 검증 결과, 식사기록법보다 식품섭취빈도 조사법에서 에너지, 탄수화물, 탄수화물, 비타민 C, 티아민, 엽산, 비타민B12, 칼슘, 나트륨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아 식품섭취빈도법이 식사기록법보다 다소 과대 추정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차 식품섭취빈도조사와 식사기록법의 상관관계는 대부분의 영양소에서 유의적으로 나타났는데, 식물성 지방이 0.602로 가장 높았고, 총 섭취 에너지, 탄수화물, 지방, 티아민의 상관계수도 0.512–0.599로 다른 영양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반면 비타민 A와 C, 칼슘, 철, 나트륨 등의 영양소에 대해서는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결혼이주 다문화여성의 식생활 및 영양소 섭취실태를 파악하고자 개발된 자기기입식 SQ-FFQ는 신뢰성이 검증된 조사도구이며 에너지와 주요 영양소의 섭취 상태를 추정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는 최종 35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도출된 것으로 향후 대상자 수를 확대하여 적용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일부 영양소의 섭취 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조사식품 항목에 대한 조정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며, 특히, 미량영양소의 경우 계절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정성적인 조사를 병행하는 등의 보완이 필요하다. 또한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 산출을 위한 분석 데이터베이스 구성을 위한 근거자료들이 더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develop and validate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SQ-FFQ) to assess the dietary intake of married 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The SQ-FFQ consisting of 41 food items was selecte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frequently consumed foods from the preliminary studies on dietary intake survey for married migrant women or a Korean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irty-five subjects who visited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Seoul and Daejeon area completed their three-day diet records and SQ-FFQ 2 times. The reproducibility and relative validity of SQ-FFQ were assessed by comparing the 1st and 2nd SQ-FFQ and by comparison with the three-day diet records, respectively. Results: The reliability of SQ-FFQ, which was examined 1–2 weeks apar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nergy and macronutrient intake (carbohydrate, fat, protein), while the average intakes of vitamin A, riboflavin, calcium, and potassium were slightly higher in the 2nd than 1st SQ-FFQ. All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the reliability for nutri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anging from 0.453 to 0.885. The mean intakes of energy, carbohydrate, vitamin C, thiamin, folate, vitamin B12, calcium, and sodium obtained from the SQ-FFQ were greater than those of the 3-day dietary records. The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2 methods was the highest for plant fat (r = 0.602; p < 0.001) and relatively higher for energy, carbohydrate, fat, and thiamin ranging from 0.512 to 0.599; and protein, riboflavin, niacin, folate ranging from 0.335 to 0.499, while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for vitamin A, C, calcium, iron, and sodium. Conclusion: The developed SQ-FFQ for married 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this study appears to be useful for estimating the nutritional status, particularly energy, carbohydrates, fat, and vitamin B group.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 60세 미만 성인 1인가구의 식사 규칙도와 대사증후군 유병률과의 관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2016∼2018) 자료를 중심으로

        송지영 ( Ji Young Song ),최미옥 ( Miok Choi ),김오연 ( Oh Yoen Kim ) 대한영양사협회 2021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Vol.27 No.1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al regularity (i.e. breakfast intake and meal-times), and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MetS) among generally healthy Korean single-person household adults (≤60 years, n=594) based on the Seventh Korean National Health Examination and Nutrition Survey (KNHANES) (2016∼2018). Among men (n=325), the breakfast intake frequency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ervalence of MetS. However, men consuming a regular meal at least once a day showed a lower prevalence of MetS compared to those whose meals were irregular. These patterns remained after adjusting for age, smoking and drinking habits, individual income, education level, exercise, and total calorie intake. An association between meal regularity and MetS risk was observed in post-menopausal women (n=84), but not in pre-menopausal women (n=185). More specifically post-menopausal women with irregular breakfast eating habits or eating no breakfast at all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risk of MetS than those eating breakfast regularly after the adjustment. The analysis revealed an odds ratio (OR) of 8.46, confidence intervals (CIs): 1.149∼62.199, P<0.05 in irregular breakfast eaters, and an OR of 13.377, CIs: 1.665∼ 107.511, P<0.05, in those who ate no breakfast. Furthermore, post-menopausal women who had irregular meals daily showed a higher risk of MetS than those consuming one or more regular meals/day after the adjustment (OR: 16.888, CIs: 1.258∼226.655, P<0.05). In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may be used for formulating optimal dietary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and the management of MetS in adults in single-person households.

      • KCI등재후보

        서울 지역 고등학생들의 성격유형 및 창의성과의 상관관계 연구

        임효희(Hyo Hee Lim),정승현(Seung Hyun Jung),김오연(Oh Yoen Kim),정지범(Ji-Bum Chung),백윤수(Yoon Su Baek)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0 창의력교육연구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내에 위치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의성 검사와 성격유형 검사를 실시하여, 전반적인 창의성 수준을 알아보고,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고자 함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은 남학생 269명, 여학생 199명으로 총 468명이었다. MBTI 성격유형 중 내향(I)-외향(E) 유형, 판단(J)-인식(P) 유형, 사고(T)-감정(F)형과 창의성과는 유의적인 관련성을 보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감각(S)-직관(N) 유형의 차이에 따라 비교해 보았을 때 직관형에서 추상성, 정교성, 종결에 대한 저항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이를 종합하여 평가한 창의지수도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 type and the creativity of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It was performed in 468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Five factors of creativity were tested and compared according to the each pair of MBTI character types[Introversion(I) - Extraversion(E), Judgement(J) - Perception(P), Thinking(T) - Feeling(F), Sensing(S) - Intuition(N)]. Creativity facto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I type and E type as well as J type and P type. On the other hand, a fluency index among the all 5 creativity factors was higher in F type than in T type. In addition, the abstract, the elaboration and the resistance for the en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N type in S type.

      • SCOPUSKCI등재

        Homeostasis Model Assessment법을 이용한 인슐린저항성 평가의 한계

        이종호,허갑범,이현철,김경래,송영득,남재현,안철우,차봉수,박석원,윤용석,박효경,김오연,남수현,임승길 대한당뇨병학회 2000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4 No.5

        Background: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_(IR)) had been proposed as a simple and inexpensive alternative to other complex procedures measuring insulin resistance. We evaluated the validity of HOMA_(IR), comparing to total glucose disposal rate measured by euglycemic clamp test in 63 subjects with normal glucose tolerance, 21 with impaired glucose tolerance and 47 with type 2 DM. Methods: HOMA_(IR) and HOMA_(βcell function)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βcell function) were calculated with formula described by Matthews (HOMA_(IR): fasting insulin (μU/mL) X fasting glucose (mmol/L) / 22.5, HOMA_(βcell function): 20 X fasting insulin (μpU/mL) / (fasting glucose (mmol/L) - 3.5)). 2-hour euglycemic (5 mmol/L) hyperinsulinemic (717 pmol/L) clamp test were carried out. Results: The strong inverse correlation (r=-0.658, $lt;0.001) was shown between log transformed HOMA_(IR) and total glucose disposal rates. The agreement of two methodes in the categorization according to insulin resistance was moderate (weighed κ=0.45). The magnitude of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smaller in subjects with lower BMI (BMI $lt; 23.7 kg/㎡, r = -0.441 vs BMI ≥ 23.7 kg/㎡, r = -0.693, p = 0.0183), lower HOMA_(βcell function) (HOMA_(βcell function) $lt; 57.2, r = -0.514 vS HOMA_(βcell function) ≥ 57.2, r = -0.773, p = 0.0091) and higher fasting glucose levels (fasting glucose $lt; 102 mg/dL, r = -0.697 vs fasting glucose ≥ 102 mg/dL, r = -0.59, p = 0.0735).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was not significant in diabetics with lower BMI. Conclusion: Limitation of validity of HOMAIR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in subjects with lower BMI and lower fasting insulin to glucose levels, such as lean type 2 diabetes with insulin secretory def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