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art 1. Zeolite Y 박막 형성, Part 2. Indium Tin Oxide 결정 합성, Part 3. Silica-Polymer 복합 박막 형성 및 특성 연구

        이영주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Part 1. Synthesis of Zeolite Y film It was known that nano-size semiconductor particles show improved third order non-linear optical property when they are in monodisperse form. Some materials such as zeolite which has regularly shape and size pores. So if they include semiconductor nano particles in the pores, they can support nano particles stable because they can exist separately. Zeolite Y film is used as catalyst and separate membrane, also they can be applied as optical switch if they include semiconductor nano particles. Patterned zeolite Y film may include larger amount of semiconductor nano particles than continuous film because patterned film have large surface area which enhance ions approach. So, it can improve device quality higher than current stage. Therefore, I did experiment that is synthesis of patterned zeolite Yfilm. Part 2. Synthesis of Indium Tin Oxide crystal ITO (Indium Tin Oxide) is an important transparent conducting oxide material. It is a solid solution composed by 9 to 1 molar ratio of In2O3 and SnO2. It is widely applied as displays, panel, diode, solar cells because it has an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ransparent nature, also it is easily to make thin film. But nowadays, many people interested in making ITO particles more than ITO thin films. Until now, maximum size of ITO particles is around 100nm. If we make larger size and more regular shape of ITO particles, we can arrange particles exactly what we want to make, and it will be easy to arrange to 2-D and 3-D. As a result we can control many kinds of devices. So I tried to make ITO particles by use seed-mediated synthesis method. Part 3. Synthesis of Silica–Polymer composite film and research of their property SiO2 monolayer was made on positive patterned PDMS (polydimethylsiloxane), used silicon wafer pattern as mold, by using rubbing method. After that polymer such as surlyn, PS (polystyrene), nafion, PMA(poly(methyl acrylate)) was poured on the 2-D arranged SiO2 to form silica-polymer composite film. The thickness of silica-polymer composite film depends on polymer. In this cas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even though particles was not arranged as multilayer, it showed photonic crystal phenomenon which just obtain for multi-layer well arranged particle’s property by optical diffraction. And also they showed the color change by changing of light direction. From such properties, if we improve experimental results, it can be applied as selectivity filters and optical devices by really simple method. Also, it can be applied when we want to make ultra-thin particle film by using thin polymer support. Part 1. Zeolite Y 박막 형성 반도체 나노 입자들은 aggregation 되어 있지 않고 separation 되어 있을 때에 더욱 향상된 3차 비선형 값을 보인다. 특히나 Zeolite 와 같은 규칙적인 모양과 크기의 세공을 가지는 결정을 지지체로 이용하여 결정 속에 반도체 나노 입자를 내포시킬 경우 더욱 안정적으로 separation 되기에 또한 향상된 3차 비선형 값을 얻을 수 있다. 촉매, 분리막 등으로 응용될 수 있는 Zeolite Y의 박막을 형성하여 반도체 나노 입자를 내포시켜 optical switch 로 응용 가능하다. Continuous 박막을 형성해 줄 경우 보다 patterned 박막을 형성해 줄 경우 내포될 입자들이 접근할 수 있는 표면이 넓어지기에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고 생각하며 patterned Zeolite Y 박막을 형성하는 실험을 하였다. Part 2. Indium Tin Oxide 결정 합성 ITO (Indium Tin Oxide)는 전형적으로 90% In2O3 와 10% SnO2 의 solid solution 으로 전기적 전도성과 광학적으로 투명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금속산화물질이다. 이러한 ITO는 투명 전도성 박막 형성이 가능하기에 display, panel, diode, solar cell 등에 응용 가능하다. 이러한 ITO 결정은 현재 최고 ~100nm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균일한 모양과 일정 크기 이상이 되면 2차원 및 3차원으로 정렬가능하기에 더욱 다양한 디바이스에 효과적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되며 다양한 ITO 합성 방법 중에서도 간단한 seed-mediated synthesis method 를 이용해 실험해 보았다. Part 3. Silica–Polymer 복합 박막 형성 및 특성 연구 실리카 볼 (SiO2)을 패턴 된 실리콘 웨이퍼를 주형으로 하여 본 뜬 positive patterned PDMS (polydimethylsiloxane) 를 기질로 하여 rubbing method로 monolayer를 형성하였다. 이렇게 2차원으로 정렬된 결정 위에 Surlyn, PS (polystyrene), Nafion, PMA(poly(methyl acrylate)) 를 이용하여 얇은 Silica-Polymer복합 박막을 형성해 볼 수 있었으며 종류에 따른 두께 차이를 확연히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복합 박막은 비록 결정을 다층으로 정렬시키지 않았음에도 particle들이 아주 정렬이 잘 되었을 경우 나타나는 광학적 diffraction에 의한 photonic crystal 현상과 같이 빛의 각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이것은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나아가서는 선택적인 filter 나 광학 device 등에 응용될 가능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아주 얇은 polymer 지지체를 사용하여 아주 얇은 두께의 particle 막을 형성해 응용할 수도 있을 것이라 보인다.

      • 신생성인기를 위한 기독교 성교육 : 통합적 모델 중심으로

        이영주 장로회신학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본 논문은 신생성인기를 위한 기독교 성교육이다. 현 시대에 성인기는 기존의 전통적 발달의 성인기의 과업을 수행하지 않고, 학업이 오랫동안 이어지거나 결혼이 늦어져 청소년기와 성인기 사이에 있어서 신생성인기라 칭한다. 이들은 대학교를 입학 혹은 졸업 후에도 아직 정체성혼란과 직업을 선택하는 위치에 있다. 이러한 신생성인기는 성에 관한 문제와 혼란을 가지고 있다. 특히 기독교청년들은 세상의 가치관과 기독교의 성문화 가운데서 고민하고 있다. 이를 위해 기독교 가치관인 성교육을 교육하고자 한다. 그들에게 정답을 찾아갈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더 나은 답을 찾을 수 있게 돕는 교육을 하고자 한다. 그래서 기존의 학교에서의 성교육이 아닌 통합적 성교육으로 Sex와 Gender를 아우르는 성교육을 제언하고자 한다. 기존의 성교육과 다른 통합적 성교육으로 제언하고 있다. 이에 다음과 같이 8주간의 교회 내 프로그램으로 신생성인기를 위한 성교육을 통합적 모델로 제시하고자 한다.

      • 중학교 3학년 영어 교과서 쓰기 활동에 대한 인식 조사와 교과서 분석 연구

        이영주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ecessity of writing activity of English, the proportion of writing lesson of English textbooks, and the actual use of writing lesson in the classroom education. Study subjects were junior high school third graders and their English teachers and five English textbook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and teachers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f necessity of writing lesson in English. The spheres studied most in the classroom are reading and listening and it is followed by writing. Second, as for the composition of writing lesson of English textbooks, students and teachers alike regard it as insufficient in quantity. In relation to writing patterns, more than half of teachers regard its diversity and supplementary materials as unsatisfactory. Third, as for the actual use of writing in the classroom education, the connectivity with the aim of lessons seems to be appropriate in general. The task of writing is assigned as homework for the most part and used for the assessment of performance. However, the feedback-oriented use of task seems to be insufficient. Fourth, as for the classified activities of writing in the five English textbooks, the most frequent activity is controlled writing and it is followed by induced writing and free writing in order. The proportion of controlled writing is high in A and D textbooks, thus showing the fact that writing activities are for the confirmation of grammar or the repetitive writing-based pattern practice. The proportion of induced writing is highest in B textbook and lowest in E textbook. Fifth, as for the proportion of classified activities of writing, the highest is 'changing a sentence structure or a vocabulary according to directions.' And half of the writing activities in the textbooks are practiced in the level of controlled writing. The most frequent writing activities for the textbooks are as follows: 'Filling in a blank with an appropriate word' for A textbook; 'changing a sentence structure or a vocabulary according to directions' for B, C, and E textbooks; and 'Filling in a blank after listening' for D textbook. As for the writing levels, half of the writing consists of the level of writing 'a sentence' and it is followed by a phrase, a word, and a paragraph in order. Sixth, as for the criteria of achievement, the 9a level is highest with 'It is possible to write an account of ordinary subjects from dictation' whereas the 9b level with 'It is possible to write a simple account of ordinary subjects with his or her own thinking and feeling.' However, the five textbooks of 9a level do not present an appropriate use of punctuation marks. As studying findings show, there are unsatisfactory portions in such English writing spheres as the necessity, proportion and use. And the most frequent writing pattern is sentence-oriented controlled writing. Since there are a lot of result-centered approache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rocess-centered approaches, such as a paragraph -centered writing activity. Regarding the aspect of shifting to a high school, it seems to be unsatisfactory for the process-centered approaches, that is, the halfway level toward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Therefore, the activity of writing must be improved by using the process-centered approach of significant composition which can contribute to the completion of a sentence. 중학교 3학년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한 영어 쓰기교육의 필요성과 영어교과서 쓰기활동 구성 및 실제수업에서의 활용 등에 대한 조사결과와 5종 교과서 분석에 대한 결과를 종합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실제 교과서를 사용하고 있는 학생과 교사 모두 쓰기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수업시간에 가장 많이 공부하는 주요영역은 읽기와 듣기가 가장 높았고, 쓰기 영역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어 교과서 쓰기 활동의 구성부에 대해서는 양적 부분에서 교사, 학생 모두 쓰기 활동 분량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쓰기 활동의 실제 수업에서의 활용에 대해서는 각 수업의 학습목표의 연관성은 대부분 적합한 편이라고 응답하였다. 글쓰기 과제의 소재로는 실생활 관련 소재가 가장 많았고, 수행시간은 대부분 방과 후 과제로 부여했으며, 쓰기 활동의 활용은 대부분 수행평가용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5종 교과서에 나타난 쓰기 활동 분석결과 통제작문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유도작문, 자유작문의 순으로 나타났다. 통제작문 활동 중에서는 '지시사항에 따라 문장 구조나 어휘 바꿔 표현하기'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듣고 빈칸 채워쓰기', '빈칸에 알맞은 말을 채워넣기'와 '글 읽고 빈칸 채워넣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유도작문의 경우는 '자신의 단어를 추가하여 문법적인 문장 만들기'항목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다섯째, 쓰기 수준에 따른 활동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문장 단위의 쓰기 활동이 절반 정도의 비율을 보였으며, 구, 단어, 문단의 순으로 나타나, 문단 수준의 글쓰기 활동 학습이 가장 저조함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성취기준에 따른 분석 결과에서 9a 단계의 '구두점(콜론, 세미콜론, 하이픈)을 바르게 사용할 수 있다'의 항목은 5종 교과서 모두 제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고등학교로의 이행과정에 대해서는 고등학교 1학년 단계(의사소통)로의 중간단계인 과정 중심의 방법에 대해 부족함을 보여 이에 대한 설명이나 자유작문으로 유도할 과정론적 접근이 필요함을 보였다. 본 조사결과에서는 특히 자유작문이 전체 쓰기 활동의 4.8%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대부분 결과중심 접근방식의 활동으로 제시하고 있어 단락 중심의 쓰기 활동 형태인 과정 중심의 접근방식 활동 제시가 요구된다 하겠다. 또한, 글쓰기 훈련이 문맥의 고려 없이도 답을 작성할 수 있는 반복 연습 활동 수준으로써 문법 구문이나 어휘 강화를 위한 훈련 정도의 활동 수준에 그쳐 문장 쓰기의 과정 단계로의 기준이 약한 면을 보였다. 따라서 좀 더 문장의 완성도에 기여를 할 수 있는 유의미한 구성의 과정 접근방법의 쓰기 활동으로의 개선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 고양시 일산신도시 마두공원의 10년간 식재구조 변화연구

        이영주 서울시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고양시 일산신도시 도시공원에서 중요한 녹지축의 중심인 마두공원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통해 수목생장변화 및 녹지지역의 공간기능을 세분화하며 공간별 식재기능을 검토하고 식재구조 변화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여 공간기능과 식재개념 불일치지역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10년간의 식재구조 변화에 따른 공간기능과 식재개념을 파악하여 신도시 공원조성에 적합한 조경수목 선정 및 적정 식재밀도 제시와 식재개념에 적합한 식재구조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공간기능에 따른 식재기능 검토를 위한 공간기능 분석을 위하여 공원시설물, 공원 주변현황과 공원이용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마두공원 시설물과 주변현황, 이용현황을 고려하여 녹지공간의 기능 구분을 하였는데 경관공간은 시설물 현황을 기준으로 30개 공간을 설정하였고 완충공간은 공원인접 현황과 주변현황을 파악하여 14개 공간, 녹음공간은 공원 이용자 현황을 통하여 5개 공간을 설정하였다. 경관기능공간(48.9%)은 대상지 중앙 광장지역을 중심으로 마운딩된 식재지역에 위치하였고 녹음기능공간(35.9%)은 공원내 광장을 중심으로 동․서로 연결된 휴게소 설치지역과 산책로 상에 위치한 휴게공간을 중심으로 설정하였으며 완충기능공간(14.9%)은 대상지 경계부에 주로 위치하였다. 공원내 녹지공간 식재개념 분석을 위해 식재 종 분포와 정밀 식재구조를 조사하였다. 식재 종 분포 조사 분석결과 식재 종은 총 17개 유형으로 느티나무(16.4%), 스트로브잣나무(15.7%), 상수리나무(10.9%), 벚나무(7.5%), 메타세콰이어(6.7%) 순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그 외 수종은 낮은 비율로 분포하였다. 식재개념 현황을 분석한 결과 경관식재지(33.2%), 완충식재지(24.3%), 녹음식재지(17.2%), 기타(25.3%)지역으로 대부분 경관식재지 및 완충식재지로 분석되었다. 공간기능과 식재개념을 비교․분석한 결과 대상지 전체 면적의 50.8%가 공간기능과 식재개념이 일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23.9%가 공간기능과 식재개념이 불일치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공간기능에 따른 적정 식재개념 설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재개념별 식재구조 변화 분석을 위해 1998년도에 조사한 방형구 조사구에 2008년도 조사한 방형구 조사구를 중첩 시켰을 때 일치되는 조사구 경관식재지 13개소(3,790㎡), 녹음식재지 4개소(840㎡), 완충식재지 17개소(3,320㎡) 총 34개소(7,950㎡)를 선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식재구조변화를 종합한 결과 경관식재지 수종 및 주수변화는 꽃사과, 때죽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단풍나무, 산딸나무는 감소하였으며 대부분 적응 불량으로 인한 고사로 추정되었고 벚나무, 스트로브잣나무, 떡갈나무, 중국단풍은 경관기능개선을 위해 추가보식 되었으며 뽕나무, 소나무, 야광나무, 살구나무는 경관기능향상 및 관리차원의 신규 식재로 판단된다. 생육밀도는 교목평균 0.05주/㎡, 관목평균 0.13주/㎡로 전체 평균 밀도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관목밀도는 초기 식재시 부족한 밀도를 그대로 유지하여 추가식재에 의한 밀도 변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녹음식재지 수종 및 주수변화는 목련, 단풍나무는 대부분 적응 불량으로 인한 고사로 추정되었고 느티나무, 회화나무를 녹음기능 보완을 위해 추가 식재하였으며 아그배나무, 벚나무는 신규 식재되었으나 녹음기능 보다는 경관기능을 향상시키고자 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추가식재 및 신규 식재시 공간기능을 고려한 적정 식재 수종 선정 및 배식이 이루어져야 된다고 판단되었다. 생육밀도는 교목평균 0.04주/㎡로 변화가 없었으며 관목평균 0.56주/㎡로 증가 하였으나 고양시 조례에 의한 1.0주/㎡보다 부족한 상태로 추가적인 식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완충식재지 수종 및 주수변화는 독일가문비, 서어나무는 대부분 적응불량으로 인해 고사된것으로 추정되었고 스트로브잣나무, 상수리나무, 회화나무가 완충기능을 보완하기위해 추가식재 되었으며 메타세콰이어, 벚나무, 소나무, 단풍나무가 신규로 식재 되었지만 완충기능보다는 경관기능을 향상 시키고자 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추가식재 및 신규 식재시 공간기능을 고려한 적정 식재 수종 선정 및 배식이 이루어져야 된다고 판단되었다. 생육밀도는 일부 수목고사 및 신규 식재에 의한 변화는 있으나 교목 평균 0.07주/㎡, 관목 평균 0.24주/㎡로 낮은 상태이었다. 수목생장을 고려한 식재구조 개선방안으로 식재개념별 적정 식재 수종 및 식재밀도를 제안하였다. 경관식재지에서 생육상태가 양호한 수종은 자작나무, 느티나무, 단풍나무, 벚나무이고 생육이 불량한 수종은 때죽나무, 꽃사과, 중국단풍, 떡갈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이었다. 적정식재 밀도는 현재의 식재밀도가 고양시 조례에 의한 기준보다도 현저히 낮은 상태로 최소한 고양시 조례기준에 의한 교목 0.2주/㎡, 관목 1.0주/㎡를 제안하였다. 녹음식재지에서 생육상태가 양호한 수종은 느티나무, 회화나무이었다. 식재 밀도는 고양시 조례기준에 의한 교목 0.2주/㎡, 관목 1.0주/㎡를 제안하였다. 완충식재지는 스트로브잣나무, 상수리나무가 생육이 양호하며 스트로브잣나무 식재지의 일부는 수관이 중복되어 관리가 필요하였다. 공원 경계부는 완충의 강․약을 고려하여 식재밀도 및 지형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적정식재 밀도는 교목 0.25주/㎡, 관목 1.0주/㎡를 제안하였다. 주요어: 식재구조, 식재밀도, 경관식재, 녹음식재, 완충식재

      • 리듬자극과 리듬멜로디자극이 중년 여성의 유산소운동시 운동지속시간과 체지방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영주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여성의 트레드밀 운동수행 시 리듬자극과 리듬멜로디자극이 운동지속시간과 체지방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P 아파트에 거주하는 40-50대의 중년 여성 16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26일 동안 주 1회씩 3회에 걸쳐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아무런 청각적 자극이 없는 조건, 목표심박수와 일치하는 일정한 박(beat)이 제공된 리듬조건, 목표심박수와 일치하는 박과 멜로디가 제공된 리듬멜로디조건의 세 조건에 모두 배치되어 트레드밀 운동을 수행하였으며, 트레드밀 운동시 운동지속시간과 사전/사후 체지방률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세 조건 간 트레드밀 운동지속시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 .05), 사후 검증 결과 그 중에서도 청각자극이 없는 조건과 리듬멜로디자극 조건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 .017). 세 조건 간 사전?사후 체지방률의 변화는 리듬과 리듬멜로디조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p< .05), 청각자극이 없는 조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05). 그리고 세 조건 간 사전?사후 체지방률의 변화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p>. 05).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rhythm with rhythm with melody on duration of exercise on treadmill and body fat levels of middle-aged women. Subject of the study were 16 women in their 40’s and 50’s residing in P apartment complex in Seoul.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once a week for three weeks covering a total of 26 days. When the subjects exercised on a treadmill, all of them were provided with three conditions of no auditory stimulation, rhythm with beats that matched the target heart rates, and rhythm with beats that matched target heart rates accompanied by melody. Duration of the exercise was recorded and body fat levels before and after each exercise were measured.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ere as follow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uration of the exercise was found among the three conditions(p< .05). The post hoc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n-auditory stimulation and rhythm with melody (p< .017). The change of body fat levels from pre to post-test within the three condition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ditions of rhythm and rhythm with melody (p< .05), however not in non-auditory stimulation (p>.05). In addition, between all the three conditions, body fat level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p>. 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