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5주간의 고지방식이 섭취시 흰쥐의 에너지 대사 기질 이용과 식이지방에너지 평가에 관한 연구

        황혜정(Hyejung Hwang),김지수(Jisu Kim),서혜정(Heajung Suh),임기원(Kiwon L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8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 long-term high-fat diet on energy metabolic substrate utilization in resting rats in order to revalue source fat energy efficiency during a high-fat diet and its effect on energy expenditure and body fat accumulation. Sprague-Dawley male rats at 4 weeks of age were bought from Orient Bio Con. The rats were divided into a control (CON) group and a high-fat diet (HF) group. Rats ate a high-fat diet (w/w 40%, kcal/kcal 64.9%) ad libitum for 5 weeks. Food intake and body weight were measured every day at 09:00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Energy expenditure was measured using an animal energy metabolism chamber after 4 weeks. The final body weight did not change between the CON and HF groups, but caloric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F group than in the CON group (p<0.05).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oxygen uptake, however carbon dioxide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F group. Also, the respiratory exchange ratio was higher in the HF group. Carbohydrate oxidation was lower in the HF group than in the CON group, but fat oxidation in the HF group was greater. These results mean that energy substrate oxidation at rest is affected by diet composition, especially dietary fat content. Abdominal fat fad weights were significantly higher by 33% in the HF group than in the CON group even though the calorie intake in the HF group was higher by 6%.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dietary fat calorie value might have a higher Atwater value of 9 kcal/g, which mean that dietary fat calorie values could be reconsidered in body weight control scenarios such as which the obese or weight class athletes.

      • KCI등재

        영아의 기본생활습관에 대한 영아 변인과 부모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 연구

        황혜정(Hwang, Hyej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6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98

        본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의 2차년도 한국아동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영아의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영아 변인과 부모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12~18개월 영아 2,150명이었다. 영아 변인(성, 기질, 발달 특성)과 부모 변인(어머니의 취업 여부,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 월 소득)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영아의 월령을 통제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이들 변인 중 영아변인에서는 발달 특성(개인-사회성, 의사소통, 문제해결, 대근육운동), 성 및 활동성 기질, 부모 변인에서는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과 자아존중감,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가 영아의 기본생활습관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들의 설명변량은 21.1%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using the 2nd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infants’ and parental variables affecting infants’ basic daily life habi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50 one year-olds. The data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variables which had significant effects on infants’ basic daily life habits were infants’ developments in personal-social,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and gross motor movement domains, temperaments and gender, mothers’ affective child-rearing behaviors and self-esteem, and fathers’ helps in child-rearing. And these variables explained 21.1% of infants’ basic daily life habits.

      • KCI등재

        유·초등 연계교육에 대한 우리나라와 미국의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 비교

        황혜정(Hyejung Hwa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09 열린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유초등 연계교육에 대한 우리나라와 미국 교사의 인식차이를 알아보고, 우리나라와 미국 각각에서 학교급에 따른 교사의 인시에도 차이가 있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우리나라와 미국의 유치원과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833명의 교사들이었다. 유초등 연계교육에 대해 작성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이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차이검증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우리나라 유치원 교사에 비해 미국 유치원 교사가 유초등 연계교육에 대해 더 잘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초등 연계교육에 관한 대부분의 문항에서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사와 미국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사가 유치원 교사보다 유초등 연계교육에 대해서 더 잘 알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병설유치원 교사는 사립유치원 교사보다 초등학교 교사와 그 인식이 더 유사하였다. 넷째, 미국의 경우 유치원교사와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거의 없었다. 본 연구는 공교육화가 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연계교육을 위한 실질적인 실천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ompare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the continuity of early childhood and primary education in Korea and USA. The subjects were 833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questionnaire developed concerning the perceptions on educational continuity,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 and F t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US kindergarten teachers showed higher degrees of perception in knowing the definition, aims, necessity, and practice of the educational continuity and the curriculum of the counterpart than Korean kindergarten teacher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s of the Korean and the US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most areas. Third, in Korea,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higher degrees of perception in knowing the definition, aims, and practice of the educational continuity and the curriculum of the counterpart than kindergarten teachers.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s of the kindergarten an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USA. These results imply that teachers' perceptions on the educational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can be enhanced by formaliz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지적장애 특수학교의 원격수업에 대한 학부모의 지원요구 탐색

        임갑필(Lim, Gabphil),황혜정(Hwang, Hye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 시기에 지적장애 특수학교 학생의 원격수업에 따른 참여 실태, 학부모의 지원 현황과 만족도를 조사하고, 그에 따른 설립형태 및 학교 소재지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여 향후 실시될 수 있는 원격수업을 위한 학부모의 지원요구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전국 지적장애 특수학교 21개교 초⋅중⋅고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합된 총 224부의 설문지를 SPSS 21.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항에 따라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결과를 산출하였다. 학교 설립주체에 따른 구분과 학교 소재지에 따른 빈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는 원격수업 참여를 위하여 물리적 환경과 자녀의 수업참여를 위한 지원을 하고 있었고, 원격수업의 환경, 원격수업의 방법 및 내용에서 설립형태와 학교 소재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원격수업 지원현황은 학생의 어머니가 가장 많은 부분의 지원을 하고, 지원의 정도는 대부분 전반적 지원을 하였으며, 자녀 돌봄 부분이 가장 힘듦을 호소하였다. 지원 유형에서 설립형태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학교 소재지에는 차이가 없었다. 만족도는 보통이하로 분석되었고 수도권과 기타지역에 따라 만족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학부모들은 원격수업에서 사전안내와 의견수렴, 수업유형의 개선과 다양한 교수방법, 특수교육의 특성을 살린 행⋅재정적 지원을 요구하였다. 또한 수업유형은 설립형태와 학교 소재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코로나 팬데믹 시기에 실시된 특수학교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원격수업 현황과 원격수업의 지원 요구에 따른 분석은 향후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특수학교 원격수업의 내실화를 위한 유용한 정책자료로 제공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tellectual disability student family’s participation in remote learning during the pandemic and was to figure out the support demands by parents for strengthening the remote learning of special education which could conduct later after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orms of school establishment and the location of schools. Methods The subjects were 244 parents in 21 special education schools in South Korea. The surveys were collected through parents’ responses. The outcome of the survey was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 using SPSS 21.1. A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forms of school establishment and the frequency differences depends on class levels.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o participate the remote learning, the family provided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parents assisted their children to join classes. Second, the current situation for remote learning supports is below. Mothers supported the students the most and most of them supported their children. The hardest part of assisting students is taking care of them. In terms of types of support, there was a dissimilarity depends on forms of schools,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depends on locations. The average of parents’ satisfaction for remote learning was below ‘neither satisfied nor dissatisfied’. Depends on the locations,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Third, the parents requested not only that the school needs to listen parent’s voice and give a better explanation but also that the school improves the type of remote learning, various pedagogy, and administrative &financial assistance specialized in characteristic of special education schools. Also,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depends on establishments of school and locations of school in terms of class type. Conclusions These results would be useful as policy data to support parents for strengthening remote learning.

      • KCI등재

        병사의 정서지능이 군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영성지능과 집단응집성의 매개효과

        김문선(Moon Sun Kim),황혜정(Hyejung Hwang)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23 한국군사회복지학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validate the protective factors that enable soldiers to overcome problematic situations when soldiers encounter difficulties due to military organizational environment and personal psychological and mental problems while adjusting to military life. For the empirical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on 309 soldiers of an army unit located in Gyeonggi-d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such as emotional intelligence, spiritual intelligence, group cohesion, and adaptation to military life. Second,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a significant level of direct effect on spiritual intelligence and group cohesion. Third, spiritual intelligence had a direct effect at a significant level on group cohesion and adaptation to military life. Fourth, there was an indirect effect when spiritual intelligence and group cohesion were used as a double medium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military life adaptation. 본 연구는 병사의 정서지능, 영성지능, 집단응집성과 군생활 적응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정서지능이 군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영성지능과 집단응집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00부대의 병사 309명이며, 육군본부에서 본 연구의 설문지를 검열 후 설문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정서지능, 영성지능, 집단응집성과 군생활 적응 변인 간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정서지능이 영성지능과 집단응집성에 유의미한 수준의 직접영향을 미쳤다. 셋째, 영성지능이 집단응집성과 군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수준에서 직접영향을 미쳤다. 넷째, 정서지능과 군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영성지능과 집단응집성을 이중 매개로 하였을 때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정서지능 수준이 성숙하게 발달한 병사는 영성지능에 영향을 주어 군 생활에 의미와 목표를 설정하고 전우들을 배려하고 자비로운 행동을 하게 되고, 다시 높아진 영성지능이 집단응집성에 영향을 미쳐 구성원 간에 상호작용과 친밀한 감정에 영향을 주어 더 많은 애착심을 상승하게 한다는 것을 말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결과의 의의와 제언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을 논하였다.

      • KCI등재

        드림스타트에 관한 분야별 연구동향 분석: 2008~2020년

        최은혜(Eunhye Choi),황혜정(Hyejung Hwang) 한국보육지원학회 2021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7 No.4

        Objective: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analyze former research papers regarding Dream Start according to academic field in an attempt to better understand their services and to present additional directions. Methods: The 66 research papers regarding Dream Start from 2008 to 2020 were analyzed by three categories: welfare, child care(education) and health. In each category, this research analyzed the research papers by year, research type, research subject and the research topic. Results: First, the research papers regarding Dream Start were most actively published between 2010 and 2017 and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decreased after 2018. Second, the results regarding the type of study showed that quantitative studies were mostly performed in all, but the detailed methods used mainly differed. Third, the subjects of the study commonly included guardians. Fourth, the research topics were focused on business content, operations, and direction.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welfare, child care(education) and health sectors need to make more efforts for balanced development, and integrated research and longitudinal studies are necessary. Seco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nd nurses working in the Dream Start. Third, more research is needed for the integration and coordination of resource management.

      • KCI등재

        특수학교의 부모상담 현황 및 특수교사의 요구 분석

        임갑필(Lim, Gabphil),황혜정(Hwang, Hye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8

        목적 본 연구는 전국 특수학교의 부모상담 현황과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부모상담 및 요구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부모상담의 실제적인 운영자인 특수교사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서 특수학교 부모상담의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방법 전국 특수학교 22개교에 근무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수합된 최종 209부의 설문지를 SPSS 21.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하였다. 각 영역에 따른 문항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결과를 산출하였으며 학교 설립 형태와 학교급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 부모상담 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부모상담 내용 및 방법, 전문상담교사 제도의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다. 특수학교 설립 형태에 따라 부모상담 방법과 활용자료, 부모상담 장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학교급별로는 대면상담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분석되었다. 둘째, 특수학교 부모상담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 부모상담 운영과 부모상담 시 특수교사가 만족하는 영역에 대해 분석하였다. 특히 부모상담 기법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지정도에서는 학교급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특수학교 부모상담의 활성화를 위하여 교사지원 및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요구와 부모, 학교, 정부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였다. 특수교사가 희망하는 상담관련 연수의 영역은 교사가 담당하는 학생의 학교급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특수학교의 효과적인 부모상담을 위하여 상담 전문성과 특수교육의 이해도를 갖춘 전문상담교사의 배치가 필요하다. 또한 부모상담은 특수학교만의 역할이 아니라 시⋅도교육청과의 협력을 통해 학교 설립 및 학교급에 따라 체계적인 시스템과 행⋅재정적 지원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특수학교에서의 상담은 부모 뿐 아니라 장애학생 및 교사를 위한 상담지원이 활성화되고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the teachers needs of parents counseling in special schools and to examine activation plans based on the results. Methods The subjects were 209 teachers in 22 special education schools nationwide. The surveys were collected through teacher s responses. They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using SPSS 21.1. The outcome of the survey was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 to examine the questionnaire per category. A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forms of school establishment and the frequency differences depends on class level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nvestigate current status of parents counseling in special schools, contents and methods of parents counseling and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system were analyz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thods, materials, place for the parents counseling according to school establishment classification.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ce-to-face counselling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Second, In order to investigate teachers needs of parents counseling in special schools, management and teacher s satisfaction area of parents counseling were analyz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 s perception degree of parents counseling technique depending on school level. Third, teachers needs of parents counseling in part of teacher reinforcement,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and demands for parents, school, and government were analyzed. At the area of counseling training course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school level of the students in charge. Conclusions For effective parental counseling in special schools, it is necessary to arrange a professional counselor with expertise in counseling and an understanding of special education. In addition, parental counseling should not only play a role for special schools but also cooperate with metropolitan/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so that a systematic system an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can be provided according to school establishment and. school level. Lastly, it is considered that counseling support in special schools should be activated and continued for not only parents but also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eachers.

      • The Effects of Family Structures on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ural Problems

        황혜정 경기대학교 2000 論文集 Vol.44 No.1

        본 연구에서는 핵가족과 확대가족의 구조가 한국 초등학교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연구 1에서는 650명 아동의 문제행동이 Children's Behaviour Questionnaire (Rutter, 1967)로 교사에 의해서 평가되었다. 그 결과, 확대가족의 아동은 핵가족의 아동보다 문제행동을 덜 보였다. 연구 1의 결과에 기초하여 연구 2에서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가정에서의 학습준비가 아동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 변인으로 고려되었다. 연구 2의 대상은 417명의 새로운 아동과 연구 1에서 추적된 175명의 아동이었다. 부모의 양육태도는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Questionnaire (Rohner, 1984)에 의해서 평가되었으며, 가정에서의 학습준비는 Child's Activities Diary (연구자 제작)에 의해서 측정되었다. 연구 2의 결과에 의하면, 핵가족과 확대가족 아동의 문제행동의 차이는 부모의 양육태도의 차이와 가정에서의 학습준비의 차이에 의해서 야기되었다. 확대가족의 부모는 핵가족의 부모에 비해서 덜 거부적인 양육태도를 보여주었으며, 확대가족의 어른들은 학습준비 (예, 숙제, 읽기, 쓰기, 예습, 복습 등)를 위해서 아동과 보내는 시간이 더 많았다. 가족구조는 아동의 문제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부모의 양육태도와 가정에서의 학습준비에 영향을 주어 아동의 문제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한편, 확대가족에서의 조부모의 역할은 위의 결과를 뒷받침한다. 즉, 조부모는 손자녀를 돌보아주고 학습활동을 도와주며 손자녀의 정서적인 안정을 뒷받침하고 또한 부모의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며 가족의 화목한 분위기를 증진시키는 등의 역할을 통해서 손자녀에게 직접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조부모의 역할은 아동의 문제행동에 근간이 되는 가족의 역동성에 영향을 미친다.

      • KCI등재

        The Comparisons of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the Roles of Grandparents in Nuclear and Extended Families

        Hwang, Hyejung 대한가정학회 2003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41 No.12

        본 연구에서는 핵가족과 확대가족의 구조가 한국 초등학교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서울과 인천에 거주하는 417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문제행동을 Chidren's Behaviour Questionnair(CBQ: Rutter, 1967)에 의해서 교사가 평가하였으며, 아동은 그들 조부모의 역할을 Grandmother's Role Questionnair(GRQ: Suh, 1991)에 의해서 평가하였다. 그 결과, 확대가족의 아동은 핵가족의 아동보다 문제행동을 덜 보였으며, 확대가족의 조부모가 손자녀를 정서적으로 지지하고 돌보아주며 생활에 간섭하는 역할을 하는 반면에 핵가족의 조부모는 손자녀를 훈계하는 역할을 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확대가족에서의 조부모는 손자녀의 정서적인 안정을 뒷받침하고 또한 부모의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며 가족의 화목한 분위기를 증진시키는 등의 역할을 통해서 손자녀에게 직접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조부모의 역할은 아동의 문제행동에 근간이 되는 가족의 역동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