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ipoxygenase와 Kunitz Trypsin Inhibitor 단백질 결핍콩으로 제조한 간장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황초롱,이수정,강재란,권민혜,권효진,정종일,성낙주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6 No.5

        In order to evaluate suitability by processing for non-GM soybean cultivars such as Gaechuck#2, Jinyangkong and CJ#1 lacking lipoxygenase (LOX) and kunitz trypsin inhibitor (KTI) prote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anjang made from above soybean were compared to Kanjang made from a conventional cultivar (Taekwangkong). Proximate compositions of soybeans were similar for the 4 kinds cultivars.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ultivars lacking LOX and KTI protein than the Taekwangkong. In Kanjang, contents of total and reducing sugar were higher in Taekwangkong Kanjang than Kanjang from made cultivars lacking LOX and KTI protein. Contents of total and amino type nitrogen were the highest in the Jinyangkong Kanjang. Mineral contents were higher in the Jinyangkong and CJ#1 Kanjangs, amino acid contents were higher in the Kanjang made from 3 cultivars lacking LOX and KTI protein than the Taekwangkong. Taste of the Jinyangkong Kanjang with higher sweety and savory was also found to be superior to that of others in overall acceptability evaluation.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in Kanjang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Kanjang made from cultivars lacking LOX and KTI protein than the Taekwangkong.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Kanjang was increased in the total phenol contents dependent on. Reducing power by ferric-reducing antioxidant potential (FRAP) was significantly higher the Kanjang made from Gaechuck#2 and CJ#1 than the Taekwangkong. Fe2+ chelating activity was higher in Taekwangkong Kanjang than the other cultivars, but its activity was similar to Jinyangkong Kanjang. Therefore, higher nutritional composition, total phenol and flavonoids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the Kanjang made from soybean cultivars lacking LOX and KTI protein might be provide better benefit for manufacture of another their products. Lipoxygenase(LOX)와 kunitz trypsin inhibitor(KTI) 단백질이 결핍된 non-GM콩(개척#2, 진양콩 및 CJ#1)의 가공적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콩(태광콩)을 대조로 하여 간장을 제조하여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원료콩의 일반성분은 시료간에 비슷한 조성을 보였으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태광콩에 비해 LOX와 KTI 단백질 결핍콩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간장 중 총당 및 환원당 함량은 태광콩 간장이 가장 높았으며, 총 질소 및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진양콩 간장이 가장 높았다. 무기물은 진양콩 및 CJ#1 간장, 아미노산은 3종의 LOX 및 KTI 단백질 결핍콩 간장이 태광콩 간장에 비해 높은 함량이었다. 간장의 갈색도는 진양콩 간장이 가장 높았으며, 황색도는 진양콩 간장이 태광콩 간장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간장의 종합적인 기호도는 단맛과 구수한 맛이 높았던 진양콩 간장의 점수가 가장 높았다. 간장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LOX와 KTI 단백질 결핍콩 간장이 태광콩 간장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총 페놀 함량에 의존적이었으며, FRAP법에 의한 환원력은 개척#2 및 CJ#1 간장이 태광콩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Fe2+ 킬레이트 활성은 태광콩 간장이 여타 간장의 활성에 비해 높았으나, 진양콩 간장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따라서 LOX와 KTI 단백질 결핍콩으로 제조한 간장은 일반콩 간장에 비해 영양적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이 높아 기능성 가공식품 소재로써 활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민다나오 해류 해역에서 PIES 자료를 이용한 해수면 산출

        황초롱,민홍식,전찬형,김동국,박재훈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21 Ocean and Polar Research Vol.43 No.4

        Sea surface height (SSH) anomalies were estimated from data recorded by four pressure-recording inverted echo sounders (PIESs) in the Mindanao Current region over a duration of 2 years from December 2017 to November 2019. The steric components of SSH anomalies were derived from round-trip acoustic travel times from the sea floor to the sea surface, whereas mass-loading components were derived from bottom pressures. Temporal variabilities in the total (steric and mass-loading) SSH anomalies and the steric component are extremely similar;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steric component plays a major role in SSH anomalies in this region. Comparisons of the PIES-derived SSH anomalies with satellite-measured SSH anomalies reveal that the former has less temporal variability.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total SSH anomalies and satellite-measured SSH anomalies are less than 0.85, which is lower tha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steric components and satellite-measured SSH anomalies.

      • KCI등재

        천연식물로부터 추출한 색소성분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

        황초롱(Cho-Rong Hwang),강민정(Min Jung Kang),심혜진(Hye Jin Shim),서화진(Hwa Jin Suh),권오운(Oh Oun Kwon),신정혜(Jung-Hye Shi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2

        정향, 감, 오배자, 황벽, 치자, 홍화황 및 아나토와 같은 천연 식물로부터 얻어진 색소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오배자 추출물에서 2,441.45 mg/kg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정향 추출물에서 1,346.48 mg/kg으로 높았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및 환원력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은 오배자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α-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은 감 추출물에서(IC50=22.83 μg/mL)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오배자 추출물에서 높았다. α-Amylase 및 lipase에 대한 저해 활성 역시 감 추출물 처리 시 각각 49.45% 및 61.01%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20 μg/mL 농도로 처리 시 3T3-L1 세포 내 지방 축적율은 감, 정향 및 아나토 추출물 처리군에서 각각 81.54%, 83.36% 및 85.70%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3T3-L1 세포 내 triglyceride 함량은 정향 추출물 처리군이 66.11%로 가장 낮았고 다음으로 감 추출물 처리군에서 88.88%로 유의적으로 낮았다. 천연식물류로부터 추출한 색소 원료 중 오배자 추출물이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감 추출물은 소화효소 저해 활성과 3T3-L1 세포 내의 지방 축적 억제 효과를 가짐으로써 항비만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various color resources extracted from natural plants such as, clove, persimmon, gall nut, amur cork, gardenia, safflower, and annatto. Total phenolic content was the highest in gall nut extract (2,441.45 mg/kg) followed by clove extract (1,346.48 mg/kg).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were also higher in gall nut extract.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IC50) was highest in persimmon extract (22.83 μg/mL) followed by gall nut extract. α-Amylase and lipase inhibitory activities were also higher in persimmon extract (49.45% and 61.01%, respectively). Lipid accumulation in 3T3-L1 cells was lower in persimmon, clove, and annatto extracts (81.54%, 83.36%, and 85.70% at 20 μg/mL, respectively). Triglyceride content in 3T3-L1 cells was lowest in clove extract (66.11%) followed by persimmon extract (88.88%).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gall nut extract has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whereas persimmon and clove extract show the antiobesity activities by inhibition of digestive enzymes and fat accumulation in 3T3-L1 cells. These extracts are useful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antioxidant and antiobesity functional foods.

      • KCI등재

        열처리 온도에 따른 수경재배인삼의 화학성분과 효소활성

        황초롱(Cho Rong Hwang),정은미(Eun Mi Joung),이상훈(Sang Hoon Lee),인국(In Guk Hwang),김용범(Yong Bum Kim),정재현(Jae Hyun Jeong),이준수(Junsoo Lee),정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6

        열처리에 따른 수경재배인삼과 잎줄기의 화학성분과 효소활성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90, 110, 130 및 150℃에서 2시간 열처리한 후 갈변도, 5-HMF, 유리당, 유기산 함량, 효소활성을 살펴보았다. Tyrosinase와 ACE 저해활성 등 효소활성은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그 활성이 증가하였다. Maillard 반응의 중간 및 최종 단계의 생성물인 5-HMF, 유리당, 유기산의 함량은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5-HMF 함량은 수경재배인삼과 잎줄기 모두 대조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지만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유리당은 수경재배인삼에서는 fructose, glucose 및 sucrose 3종류의 당이 검출되었다. Sucrose는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fructose 및 glucose 함량은 증가하였다.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당류가 단당류로 분해되고 지속적인 열분해로 인하여 HMF, furfural 및 5-methyl furfural 등과 유기산으로 분해되기 때문에 유기산 함량 또한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능성 식품소재로의 이용을 위하여 다양한 열처리 조건을 검토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nents and enzyme activities from hydroponic-cultured ginseng roots (HGR) and leaves (HGL) with various heating temperatures (90, 110, 130, and 150℃) for 2 hours. The UV-absorbance and browning intensity of heated ginseng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heating temperature. 5-HMF content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heating temperature. The free sugars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were detected and sucrose content decreased, but fructose and glucose content increased with increasing heating temperature. Malic, citric, lactic, and oxalic acid contents were 817.52, 722.25, 122.06, and 18.43 mg%, respectively, in HGR and 682.84, 338.21, 90.37, and 0 mg%, respectively, in HGL at 150℃. Tyrosinase and ACE inhibitory activitie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heating temperature. These results show that various components and activities of HGT and HGL significantly increase with heating temperature.

      • KCI등재

        참비름의 라디칼 소거활성 및 콜레스테롤 급이 흰쥐에 대한 혈액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황초롱(Cho-Rong Hwang),이수정(Soo-Jung Lee),류지현(Ji-Hyeon Ryu),강재란(Jae-Ran Kang),강신권(Shin-Kwon Kang),성낙주(Nak-Ju S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4

        참비름의 in vitro 라디칼 소거활성 및 콜레스테롤 급이 흰쥐에 보충 급이할 경우 혈액 중 지질 성분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참비름 물 및 80% 에탄올 추출물의 ABTS, DPPH 및 nitric oxide 라디칼 소거활성은 물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콜레스테롤을 급이한 대조군에 비해 5%(HCA1) 및 10%(HCA2)의 참비름 분말 급이 시 혈청 총 지질, 총 콜레스테롤 함량, 동맥경화 지수 및 심혈관질환 위험지수는 시료의 첨가량이 증가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중성지방은 HCA2군에서만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HDL-콜레스테롤은 대조군에 비해 참비름 분말 급이 시 증가하였으나, 첨가량에 따른 유의차는 없었다. 혈중 GPT 및 γ-GTP 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참비름 분말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중 지질과산화물 함량도 같은 경향이었다. 따라서 참비름은 식이성 콜레스테롤에 의한 질환의 조절에 유효할 것으로 생각된다. To evaluate of biological activity of Chambirum (Amaranthus lividus) in vitro and in vivo, we investigated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its extracts in vitro and the effect of lyophilized powder on the serum lipid profile of rats fed cholesterol. ABTS, DPPH, and NO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tested from water and 80% ethanol extracts of Chambirum,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ethanol extrac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water extracts. The total lipid and total cholesterol content of serum, atherogenic index (AI), and cardiac risk factor (CRF)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for the groups fed with a 5% and 10% supplement of Chambirum powder (HCA1 and HCA2) in comparison with the group fed cholesterol (HC). Triglyceride content decreased drastically in the HCA2 group, while its content was not decreased in the other group. HDL-cholesterol content was elevated in the HCA1 and HCA2 groups,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o the supplemented amount of Chambirum powder. GPT and γ-GTP activitie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groups fed with Chambirum powder compared to the HC group. And the content of the lipid peroxide level was the same trend. Therefore, these results give evidence that Chambirum might be useful in the control of induced disorders by dietary cholesterol and/or lipids.

      • KCI등재

        천연색소 소재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

        황초롱(Cho-Rong Hwang),탁현민(Hyun-Min Tak),강민정(Min-Jung Kang),서화진(Hwa-Jin Suh),권오운(Oh-Oun Kwon),신정혜(Jung-Hye Shin) 한국생명과학회 2014 생명과학회지 Vol.24 No.6

        천연색소로 사용되는 식물류 11종(쪽, 아카시아, 코치닐, 아선약, 포도과피, 태수, 헤나, 국화, 붉은백단향, 대황, 서양꼭두서니)의 생리활성 규명을 위해 열수 추출 분말을 제조하여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아선약 추출물이 348.23 mg/g으로 가장 높았다.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FRAP법에 의한 환원력도 아선약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β-carotene linoleic acid system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은 아카시아 추출물이 가장 높았다. 소화효소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은 아카시아 추출물이 93.93%로 가장 높았고, α-amylase 저해 활성은 아선약 추출물이 64.53%로 가장 높았다. Trypsin 저해 활성은 아카시아 추출물이 60% 이상으로 가장 높았고, α-chymotrypsin 저해 활성은 아선약 추출물이 40% 이상으로 가장 높았다. Lipase 저해 활성은 아카시아 추출물이 52.73%로 가장 높았다. 3T3-L1 세포에 대한 지방 축적률은 아선약 추출물이 55.8%로 가장 낮아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식물류 색소원료의 중 아선약 추출물과 아카시아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 분해효소 저해에도 상당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페놀 함량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아선약 추출물의 경우 지방세포 분화 억제를 통해 항비만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이 되며 그와 관련된 메커니즘 연구는 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y of extract powders from the following natural color resources: Polygonum indigo, Black locust, Cochineal, Catechu, Grape, Tesu flower, Henna, Chrysanthemum, Sandalwood Red, Himalayan Rhubarb, and Madder. Total phenol content was the highest in Catechu extract, at 348.25 mg/g.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were also higher in Catechu extract. Bleaching inhibition activity in the β-carotene linoleic acid system was the highest in Black locust extract, as was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α-Amylase inhibition activity was the highest in Catechu extract. Trypsin inhibition activity of Black locust extract was greater than 60%, and α- chymotrypsin inhibition activity of Catechu extract was greater than 40%. Lipase inhibition activity was the highest Black locust extract, at 52.73%. Viability of 3T3-L1 cells was not affected by treatment with extracts at concentrations of 1.25~25 μg/ml. Lipid accumulation in the 3T3-L1 cells was the lowest following treatment with Catechu extract, at 55.8%, and this extract also inhibited adipocyte differenti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atechu and Black locust extracts have high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ies and can be useful ingredients in functional foods.

      • KCI등재

        열처리 온도에 따른 더덕과 도라지의 화학성분과 항산화활성

        황초롱(Cho-Rong Hwang),오승희(Seung-Hee Oh),김현영(Hyun-Young Kim),이상훈(Sang-Hoon Lee),인국(In-Guk Hwang),신유수(Yu-Su Shin),이준수(Jun-Soo Lee),정헌상(Heon-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6

        열처리에 따른 더덕과 도라지의 성분과 항산화활성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110~150℃에서 2시간 열처리한 후 항산화활성 및 유리당, 유기산, 5-HMF 함량을 살펴보았다. 총폴리페놀 함량은 대조구에서 각각 0.60 및 0.59 ㎎ GA eq/g이었으며, 150℃에서는 각각 6.31 및 7.34 ㎎ GA eq/g으로 증가하였다. 항산화활성은 열처리 온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환원력도 대조구의 0.1 및 0.06에서 열처리 후 0.54 및 0.50으로 증가하였다. 더덕의 fructose 함량은 120℃까지는 증가하다가 130℃ 이상에서는 감소하였으며 sucrose의 함량은 130℃ 이상의 온도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도라지 fructose 함량은 130℃까지는 계속 증가하였으나 140℃ 이상의 온도에서는 감소하였으며 sucrose 함량은 더덕과 마찬가지로 130℃ 이상의 온도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유기산은 더덕과 도라지에서 모두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5-HMF 함량은 대조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110 및 120℃에서는 변화가 작았지만 130℃ 이상의 온도에서는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eoduk (Codonopsis lanceolata) and Doragi (Platycodon grandiflorum) with heating. Deoduk and Doragi were heated to 110~150℃ for 2 hour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Deoduk and Doragi reached high values of 6.31 and 7.34 ㎎/g, respectively, at 150℃.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raw Deoduk and Doragi were 0.60 and 0.59 ㎎/g, respectivel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 of Deoduk and Doragi decreased from 13.94 and 6.83 ㎎/㎖, respectively, in raw samples to 0.81 and 0.94 ㎎/㎖, respectively, in samples heated to 150℃.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Deoduk and Doragi increased from 0.43 and 0.21 ㎎ AA eq/g, respectively, in raw samples to 3.55 and 4.83 ㎎ AA eq/g, respectively, in samples heated to 150℃. The reducing power of raw Deoduk and Doragi was 0.1 and 0.06, respectively, which was increased to 0.54 and 0.50, respectively, in samples heated to 150℃. Fructose content decreased after heating to 130℃. The sucrose content of the samples increased slowly with heating up to 120℃, but was not detected at warmer temperatures. The organic acid and 5-HMF of the samples increased gradually with increasing temp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