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늘종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고지혈증 흰쥐의 지질개선에 미치는 영향

        황초롱(Cho-Rong Hwang),강재란(Jae-Ran Kang),강민정(Min-Jung Kang),심혜진(Hye-Jun Sim),신정혜(Jung-Hye Shin) 한국생명과학회 2015 생명과학회지 Vol.25 No.3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고지혈증 흰쥐에 마늘종 50% 및 75%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200 및 400 mg/kg B.W./day 농도로 투여하여 혈중 및 간 조직의 지질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혈청 총 지질 및 중성지방 함량은 GSB-2군에서 가장 낮았고,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GSA-2와 GSB-2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실험군 중 GSB-2군이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을 보였고, LDL- 및 VLDL-콜레스테롤 함량은 GSB-1군 및 GSB-2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AI 및 CRF 지수는 GSB-2군에서 각각 0.58 및 1.57로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혈청 AST, ALT 및 ALP 활성은 GSA-2 및 GSB-2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간 조직 중 총 지질 함량은 모든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낮은 함량이었으나 실험군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간 조직 중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함량은 GSB-2군에서 가장 낮았다. 혈청 및 간 조직의 항산화 활성은 GSB-2군에서 각각 40.16% 및 47.41%로 가장 높았다. 혈청 및 간 조직의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실험군 중 GSB-2군에서 가장 낮았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arlic shoot extract administration on serum and liver tissue lipid levels in hyperlipidemic rats. The rats were fed a 45% high-fat diet to induce hyperlipidemia. They were then administered garlic shoot extract (50%) and ethanol extract (75%) at 200 mg/kg B.W./day (GSA-1, GSB-1) and 400 mg/kg B.W./day (GSA-2, GSB-2) for 5 weeks. The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contents in serum were lowest in the GSB-2 group, and the total cholesterol conten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GSA-2 and GSB-2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high density lipoprotein (HDL)-cholesterol content of the GSB-2 group was similar to that of the normal group. The low density lipoprotein (LDL) and very low density lipoprotein (VLDL)-cholesterol cont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GSB-1 and GSB-2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therogenic index (AI) and cardiac risk factor (CRF) were lowest in the GSB-2 group (0.58 and 1.57, respectively).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nd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trol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and the levels of AST, ALT, and ALP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GSA-2 and GSB-2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total lipid content in liver tissue was significantly lower in all the experimental groups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The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tent in liver tissue was lowest in the GSB-2 group. Antioxidant activity in serum and liver tissue was highest in the GSB-2 group (40.16% and 47.41%, respectively).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content in serum and liver tissue was lowest in the GSB-2 group, with the significant difference. Our results suggest that garlic shoot extracts may improve lipid metabolism in serum and liver tissue and potentially reduce hyperlipidemia.

      • KCI등재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청국장 제조시 마늘의 첨가조건 최적화

        황초롱 ( Cho Rong Hwang ),심혜진 ( Hye Jin Sim ),김경민 ( Gyeong Min Kim ),조계만 ( Kye Man Cho ),김정환 ( Jeong Hwan Kim ),신정혜 ( Jung Hye Shin ) 한국식품조리과학회(구 한국조리과학회) 2013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9 No.6

        마늘을 이용한 청국장의 제조조건을 최적화 하고자 중심합성계획에 따라 마늘의 첨가량(X1), 마늘 열처리시간(X2) 및 청국장 발효시간(X3)을 독립변수로 하고, 점질물 생성량(Y1), 산도(Y2), 아미노태 질소량(Y3), γ-GTP(Y4) 및 ABTS 라디칼 소거능(Y5)을 종속변수로 하여 반응표면분석을 실시하였다. 점질물 생성량의 정상점은 최대점으로 실제변수인 마늘의 첨가량이 6.53%, 열처리 시간 6.81분, 청국장 발효시간 55.18시간에서 13.02%의 최적 값을 보였다. 산도는 청국장의 발효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으며, 최소값인 0.50%를 나타내는 마늘 첨가량의 실제변수는 7.75%, 열처리 시간은 3.42분, 청국장 발효는 58.60시간이었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80.58∼158.82 mg% 범위였는데 정상점은 안장점으로 능선분석을 통해 얻어진 아미노태 질소의 최고값은 156.97 mg%였다. 이 때 마늘 첨가량 및 열처리 시간은 각각 6.21% 및 14.85분, 청국장 발효시간은 58.04시간이었다. γ-GTP 활성은 353.66mU/mL의 최대값을 가질 때, 마늘 첨가량, 마늘 열처리 시간 및 청국장 발효시간이 각각 5.73%, 6.99분, 57.96시간 이었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마늘 첨가량과 청국장 발효시간을 낮추고 마늘의 열처리 시간을 높이는 경우 76.43%의 최고값 얻을 수 있었는데, 이에 따른 실제변수의 마늘의 첨가량과 열처리시간은 각각 3.78% 및 14.28분과 청국장 발효시간은 57.99시간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마늘이 첨가된 청국장 제조를 위해 마늘은 불린 콩 무게 대비 3.78~7.75%로 첨가하되 3.42~14.85분의 범위에서 스팀가열한 후 사용하며, 55~59시간 정도 발효시키는 것이 적합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optimal composition of Cheonggukjang added with garlic. The experiment utilized a central composite design (CCD). The evaluation was carried out by means of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which included 18 experimental points with three independent variables : the content of the garlic (1.3∼9.7%, X1), the steaming time of garlic (0∼15.1 min, X2), and the fermentation time of Cheonggukjang (48.2∼71.8 h, X3). The viscous substance (Y1), acidity (Y2), amino-type nitrogen (Y3), γ-GTP activity (Y4)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Y5). were assessed in four replicates with five dependent variables. The maximum content of the viscous substance was 13.02% at 6.53% (X1), 6.81 min (X2) and 55.18 h (X3). The acidity was increased when the fermentation time was longer, and the minimum acidity point was 0.50% at 7.75% (X1), 3.42 min (X2) and 58.60 h (X3), respectively. The content of the amino-type nitrogen at the experimental range studied was was 80.58∼158.82 mg%, and the stationary point was at saddle point. Using ridge analysis, the maximum point was 156.97 mg% at 6.21% (X1), 14.85 min (X2) and 58.04 h(X3). The optimum conditions of γ-GTP activity was 5.73% (X1), 6.99 min (X2) and 57.96 h(X3), respectively, at the maximum point was 353.66 mU/mL. The maximum point of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76.43% at 3.78% (X1), 14.28 min (X2) and 57.99 h(X3) at the saddle point, when the garlic steaming time was longer.

      • KCI등재

        천연식물로부터 추출한 색소성분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

        황초롱(Cho-Rong Hwang),강민정(Min Jung Kang),심혜진(Hye Jin Shim),서화진(Hwa Jin Suh),권오운(Oh Oun Kwon),신정혜(Jung-Hye Shi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2

        정향, 감, 오배자, 황벽, 치자, 홍화황 및 아나토와 같은 천연 식물로부터 얻어진 색소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오배자 추출물에서 2,441.45 mg/kg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정향 추출물에서 1,346.48 mg/kg으로 높았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및 환원력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은 오배자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α-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은 감 추출물에서(IC50=22.83 μg/mL)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오배자 추출물에서 높았다. α-Amylase 및 lipase에 대한 저해 활성 역시 감 추출물 처리 시 각각 49.45% 및 61.01%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20 μg/mL 농도로 처리 시 3T3-L1 세포 내 지방 축적율은 감, 정향 및 아나토 추출물 처리군에서 각각 81.54%, 83.36% 및 85.70%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3T3-L1 세포 내 triglyceride 함량은 정향 추출물 처리군이 66.11%로 가장 낮았고 다음으로 감 추출물 처리군에서 88.88%로 유의적으로 낮았다. 천연식물류로부터 추출한 색소 원료 중 오배자 추출물이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감 추출물은 소화효소 저해 활성과 3T3-L1 세포 내의 지방 축적 억제 효과를 가짐으로써 항비만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various color resources extracted from natural plants such as, clove, persimmon, gall nut, amur cork, gardenia, safflower, and annatto. Total phenolic content was the highest in gall nut extract (2,441.45 mg/kg) followed by clove extract (1,346.48 mg/kg).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were also higher in gall nut extract.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IC50) was highest in persimmon extract (22.83 μg/mL) followed by gall nut extract. α-Amylase and lipase inhibitory activities were also higher in persimmon extract (49.45% and 61.01%, respectively). Lipid accumulation in 3T3-L1 cells was lower in persimmon, clove, and annatto extracts (81.54%, 83.36%, and 85.70% at 20 μg/mL, respectively). Triglyceride content in 3T3-L1 cells was lowest in clove extract (66.11%) followed by persimmon extract (88.88%).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gall nut extract has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whereas persimmon and clove extract show the antiobesity activities by inhibition of digestive enzymes and fat accumulation in 3T3-L1 cells. These extracts are useful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antioxidant and antiobesity functional foods.

      • KCI등재

        황마늘 추출물의 생리활성

        강재란(Jae Ran Kang),황초롱(Cho Rong Hwang),심혜진(Hye Jin Sim),강민정(Min Jung Kang),강상태(Sang Tae Kang),신정혜(Jung Hye Shi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7

        본 연구에서는 새로이 개발한 마늘 가공품인 황마늘의 품질특성과 물, 30, 50, 70 및 10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미백, 항당뇨 및 항염증 활성을 검증하였다. 황마늘은 생마늘에 비해 alliin 함량은 차이가 없었으나, S-allyl cysteine (SAC)의 함량이 월등히 높아 2.6 mg/g이었다. 용매별 추출물을 제조하였을 때 alliin과 SAC 함량은 추출용매 중의 에탄올 비율이 높아질수록 더 증가하였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도 동일한 경향으로 10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많이 함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10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는데, 10 mg/mL로 농도를 동일하게 하여 추출물 간의 활성을 비교할 때 0~7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시료 간의 유의차가 없었으나 100%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각각 93.45%와 91.46%로 가장 높았다. 미백 및 항당뇨 효과를 확인하고자 tyrosinase 저해 활성과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을 비교한 결과 추출용매에 따른 일정한 경향은 없었으며, 100%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각각 36.52%와 48.55%로 유의적으로 높았다. RAW 264.7 대식세포를 대상으로 항염증 효과를 확인한 결과 황마늘 추출물은 100 μg/mL 처리시 LPS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 인자인 NO 및 cytokine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였다. 황마늘 추출물은 항산화, 미백, 항당뇨 및 항염증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물 추출물보다는 에탄올 추출물에서 더 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흑마늘 못지않은 건강기능성 소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oxidant, whitening, anti-diabetes,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yellow garlic, by simplify processing time and manufacturing process compared with black garlic. Extracts were prepared various ratios of water and ethanol solvent [water : ethanol (v/v)= 100:0, 70:30, 50:50, 30:70, 0:100] from yellow garlic. Alliin content of yellow garlic showed no difference compared with fresh garlic, whereas S-allyl cysteine content of yellow garlic was higher than that of fresh garlic. Alliin content of yellow garlic extracts increased in an ethanol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highest in 100% ethanol extract.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ie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0∼70% ethanol extracts, whereas 100% ethanol extract showed the highest contents of 93.45% and 91.46%, respectively. Tyrosinase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were also highest in 100% ethanol extract, bu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extract solvents.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yellow garlic showed anti-inflammatory effects by modulating production of NO and cytokines at a concentration of 100 μg/mL. We suggest that yellow garlic has antioxidant, whitening, anti-diabetes,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nd can be used as a functional material similar to black garlic.

      • KCI등재

        천연색소 소재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

        황초롱(Cho-Rong Hwang),탁현민(Hyun-Min Tak),강민정(Min-Jung Kang),서화진(Hwa-Jin Suh),권오운(Oh-Oun Kwon),신정혜(Jung-Hye Shin) 한국생명과학회 2014 생명과학회지 Vol.24 No.6

        천연색소로 사용되는 식물류 11종(쪽, 아카시아, 코치닐, 아선약, 포도과피, 태수, 헤나, 국화, 붉은백단향, 대황, 서양꼭두서니)의 생리활성 규명을 위해 열수 추출 분말을 제조하여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아선약 추출물이 348.23 mg/g으로 가장 높았다.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FRAP법에 의한 환원력도 아선약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β-carotene linoleic acid system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은 아카시아 추출물이 가장 높았다. 소화효소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은 아카시아 추출물이 93.93%로 가장 높았고, α-amylase 저해 활성은 아선약 추출물이 64.53%로 가장 높았다. Trypsin 저해 활성은 아카시아 추출물이 60% 이상으로 가장 높았고, α-chymotrypsin 저해 활성은 아선약 추출물이 40% 이상으로 가장 높았다. Lipase 저해 활성은 아카시아 추출물이 52.73%로 가장 높았다. 3T3-L1 세포에 대한 지방 축적률은 아선약 추출물이 55.8%로 가장 낮아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식물류 색소원료의 중 아선약 추출물과 아카시아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 분해효소 저해에도 상당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페놀 함량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아선약 추출물의 경우 지방세포 분화 억제를 통해 항비만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이 되며 그와 관련된 메커니즘 연구는 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y of extract powders from the following natural color resources: Polygonum indigo, Black locust, Cochineal, Catechu, Grape, Tesu flower, Henna, Chrysanthemum, Sandalwood Red, Himalayan Rhubarb, and Madder. Total phenol content was the highest in Catechu extract, at 348.25 mg/g.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were also higher in Catechu extract. Bleaching inhibition activity in the β-carotene linoleic acid system was the highest in Black locust extract, as was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α-Amylase inhibition activity was the highest in Catechu extract. Trypsin inhibition activity of Black locust extract was greater than 60%, and α- chymotrypsin inhibition activity of Catechu extract was greater than 40%. Lipase inhibition activity was the highest Black locust extract, at 52.73%. Viability of 3T3-L1 cells was not affected by treatment with extracts at concentrations of 1.25~25 μg/ml. Lipid accumulation in the 3T3-L1 cells was the lowest following treatment with Catechu extract, at 55.8%, and this extract also inhibited adipocyte differenti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atechu and Black locust extracts have high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ies and can be useful ingredients in functional foods.

      • KCI등재

        열처리 온도에 따른 수경재배인삼의 화학성분과 효소활성

        황초롱(Cho Rong Hwang),정은미(Eun Mi Joung),이상훈(Sang Hoon Lee),인국(In Guk Hwang),김용범(Yong Bum Kim),정재현(Jae Hyun Jeong),이준수(Junsoo Lee),정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6

        열처리에 따른 수경재배인삼과 잎줄기의 화학성분과 효소활성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90, 110, 130 및 150℃에서 2시간 열처리한 후 갈변도, 5-HMF, 유리당, 유기산 함량, 효소활성을 살펴보았다. Tyrosinase와 ACE 저해활성 등 효소활성은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그 활성이 증가하였다. Maillard 반응의 중간 및 최종 단계의 생성물인 5-HMF, 유리당, 유기산의 함량은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5-HMF 함량은 수경재배인삼과 잎줄기 모두 대조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지만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유리당은 수경재배인삼에서는 fructose, glucose 및 sucrose 3종류의 당이 검출되었다. Sucrose는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fructose 및 glucose 함량은 증가하였다.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당류가 단당류로 분해되고 지속적인 열분해로 인하여 HMF, furfural 및 5-methyl furfural 등과 유기산으로 분해되기 때문에 유기산 함량 또한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능성 식품소재로의 이용을 위하여 다양한 열처리 조건을 검토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nents and enzyme activities from hydroponic-cultured ginseng roots (HGR) and leaves (HGL) with various heating temperatures (90, 110, 130, and 150℃) for 2 hours. The UV-absorbance and browning intensity of heated ginseng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heating temperature. 5-HMF content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heating temperature. The free sugars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were detected and sucrose content decreased, but fructose and glucose content increased with increasing heating temperature. Malic, citric, lactic, and oxalic acid contents were 817.52, 722.25, 122.06, and 18.43 mg%, respectively, in HGR and 682.84, 338.21, 90.37, and 0 mg%, respectively, in HGL at 150℃. Tyrosinase and ACE inhibitory activitie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heating temperature. These results show that various components and activities of HGT and HGL significantly increase with heating temperature.

      • KCI등재

        열처리 온도에 따른 더덕과 도라지의 화학성분과 항산화활성

        황초롱(Cho-Rong Hwang),오승희(Seung-Hee Oh),김현영(Hyun-Young Kim),이상훈(Sang-Hoon Lee),인국(In-Guk Hwang),신유수(Yu-Su Shin),이준수(Jun-Soo Lee),정헌상(Heon-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6

        열처리에 따른 더덕과 도라지의 성분과 항산화활성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110~150℃에서 2시간 열처리한 후 항산화활성 및 유리당, 유기산, 5-HMF 함량을 살펴보았다. 총폴리페놀 함량은 대조구에서 각각 0.60 및 0.59 ㎎ GA eq/g이었으며, 150℃에서는 각각 6.31 및 7.34 ㎎ GA eq/g으로 증가하였다. 항산화활성은 열처리 온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환원력도 대조구의 0.1 및 0.06에서 열처리 후 0.54 및 0.50으로 증가하였다. 더덕의 fructose 함량은 120℃까지는 증가하다가 130℃ 이상에서는 감소하였으며 sucrose의 함량은 130℃ 이상의 온도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도라지 fructose 함량은 130℃까지는 계속 증가하였으나 140℃ 이상의 온도에서는 감소하였으며 sucrose 함량은 더덕과 마찬가지로 130℃ 이상의 온도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유기산은 더덕과 도라지에서 모두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5-HMF 함량은 대조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110 및 120℃에서는 변화가 작았지만 130℃ 이상의 온도에서는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eoduk (Codonopsis lanceolata) and Doragi (Platycodon grandiflorum) with heating. Deoduk and Doragi were heated to 110~150℃ for 2 hour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Deoduk and Doragi reached high values of 6.31 and 7.34 ㎎/g, respectively, at 150℃.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raw Deoduk and Doragi were 0.60 and 0.59 ㎎/g, respectivel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 of Deoduk and Doragi decreased from 13.94 and 6.83 ㎎/㎖, respectively, in raw samples to 0.81 and 0.94 ㎎/㎖, respectively, in samples heated to 150℃.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Deoduk and Doragi increased from 0.43 and 0.21 ㎎ AA eq/g, respectively, in raw samples to 3.55 and 4.83 ㎎ AA eq/g, respectively, in samples heated to 150℃. The reducing power of raw Deoduk and Doragi was 0.1 and 0.06, respectively, which was increased to 0.54 and 0.50, respectively, in samples heated to 150℃. Fructose content decreased after heating to 130℃. The sucrose content of the samples increased slowly with heating up to 120℃, but was not detected at warmer temperatures. The organic acid and 5-HMF of the samples increased gradually with increasing temperature.

      • KCI등재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분과 항산화활성

        황초롱(Cho Rong Hwang),인국(In Guk Hwang),김현영(Hyun Young Kim),강태수(Tae Soo Kang),김윤배(Yun Bae Kim),주성수(Sung Soo Joo),이준수(Junsoo Lee),정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2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과 용매분획물에 대한 항산화물질과 항산화활성을 분석한 결과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의 총폴리페놀 함량은 37.50 ㎎ GA eq/g이었으며, 에틸아세테이트 층에서 240.61 ㎎ GA eq/g로 높게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26.50 ㎎ catechin eq/g 이었지만 에틸아세테이트 층에서는 105.57 ㎎ catechin eq/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법에 의한 항산화활성의 IC?? 값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1.07 ㎎/㎖이었으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는 0.08 ㎎/㎖로 높았다. 총 항산화력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34.48 ㎎ AA eq/g이었으며, 에틸아세테이트 층에서는 382.00 ㎎ AA eq/g으로 높았다. 환원력은 1 ㎎/㎖의 농도에서 에탄올 추출물은 0.45이었지만, 에틸아세테이트 층에서는 0.75로 높았다. Ferrous ion chelating 효과는 에탄올 추출물에서 32.01%로 높았고 용매 분획물에서는 오히려 감소하거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hydroxyl 라디칼 소거능의 IC??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26.71μg/㎖로 가장 높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n the dropwort (Oenanthe javanica) and its solvent fraction. The dropwort was extracted with 70% (v/v) ethanol, and then partitioned using the solvents of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and aqueous. The ethyl acetate fraction contained the highest phenolic and flavonoid of 240.61 ㎎ GA eq/g and 105.57 ㎎ catechin eq/g, followed by ethanol extract of 37.50 ㎎ GA eq/g and 26.50 ㎎ catechin eq/g, respectivel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 on the solvent fractions increased in the order of ethyl acetate, butanol, ethanol extract, chloroform, aqueous, and hexane with 0.08, 0.58, 1.07, 2.43, 2.47, and 3.31 ㎎/㎖, respectively.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the highest value of 382 ㎎ AA eq/g in ethyl acetate fraction. Reducing power and chelating effect on the ethanol extracts and its solvent fraction were in range of 0.23~0.75 and 0~32.01%, respectively.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 was the lowest value of 26.71 μg/㎖ in ethyl acetate fraction.

      • KCI등재

        건조 및 침출 조건에 따른 섬애약쑥 침출물의 항산화활성

        황초롱 ( Cho Rong Hwang ),서원택 ( Weon Taek Seo ),강민정 ( Min Jung Jung ),신정혜 ( Jung Hye Shin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2013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20 No.4

        경남 남해군에서 자생하며 황해쑥의 변종으로 확인되어 품종 출원 추진 중인 섬액약쑥(A.argyi)을 차로 음용하기 위하여 숙성기간과 침출온도에 따른 침출물의 생리활성을 비교 하였다. 천일 건조한 쑥을 대조군(RC)으로 하고 60℃의 향온기에서 3.5(HA), 7(HB) 및 14(HC) 일간 숙성하여 제조한 쑥을 차로 음용 할 때의 최저 (60℃) 및 최고(95℃)온도에서 각각 침출하였다.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은 60℃와 95℃에서 침출한 HA 시료에서 각각 0.52±0.18%와 0.92±0.18%로 침출온도가 높을수록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도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환원당 함량은 침출온도가 높을 수록 더 높아 RC 시료의 경우 95℃ 침출시 9.55±0.18 mg/g으로 60℃ 침출시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이었다. 반명, 숙성기간에 따른 함량 차는 적어 60%에서 침출한 HA~HC 시료의 환원당은 10.08±0.03-10.64±0.03 mg/g의 범위였다.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60℃에서 침출하였을 때 2.30±0.21~7.02±0.22 mg/g이었고, 95℃에서 침출하였을 때는 3.36±0.13±~9.88±0.23 mg/g으로 높은 온도에서 침출할 때 더 높았다. 전처리 기간이 동일한 RC와 HA 시료를 각각 60℃에서 침출하였을 때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침출온도가 높을수록, 숙성 처리된 시료일수록 활성이 더 증가하였다. FRAP는 침출 온도가 높을 때 활성이 높아, RC 시료의 경우 60℃(83.88±0.43 μM) 보다 95℃에서 침출 하였을 때 181.28±2.90 μM로 활성은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섬애약쑥은 숙성 처리 후 높은 온도에서 침출하여 음용할 때 유용성분의 섭취가 더 용이하며, 항산화활설도 더 우수하였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Sunaeyaksuk (Artemisia argyi) tea extracts from different pre-treatment and extraction methods. Sumaeyaksuk was sun-dried for 3.5 days (control, RC) and aged at a temperature of 60℃ for 3.5 days (HA), 7 days (HB), and 14 days (HC), respectively. Each sample was extracted in 60℃ (: and 95℃ hot water for 2 minutes. The soluble scuds content of HA from the 60℃ and 95℃ hot water extraction were 0.52±0.18% and O.92±0.18% respectively. The soluble solids content was increased by the higher extraction temperature. The reducing sugar content of RC was 9.55±0.18 mg/g in the 95℃ extraction.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60℃ extracted sample. However, the reducing sugar content did not show a remarkable difference based on aging periods, The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 of the 95℃ extracted samples was 3.36±O.13-9.88±Q.23 mg/g,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60℃ extracted sample. The ABTS radical seavenging activity of the 60℃ extracted RA and HA samples were 35.63% and 95.10%, respectively. Moreover,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to 63.35%) and 96.78% respectively, in U1C 95℃ extracted samples. As a result of the high temperature, the. extracted sample showed an increase in the FRAP. III the RC sample, the FUAP was two limes higher in the 95℃ extracted sample (181.28±2.90 μM) than ill the 60℃ extracted sample (83.88±0,43, μM).

      • KCI등재

        마늘 효소분해물과 천연색소 소재의 복합물이 고지방 식이성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황초롱(Cho-Rong Hwang),강재란(Jung-Hye Shin),심혜진(Jae-Ran Kang),강민정(Hye-Jin Shim),신정혜(Min-Jung Kang) 한국생명과학회 2015 생명과학회지 Vol.25 No.6

        마늘 효소분해물과 포도과피, 감 및 아선약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물이 고지방 식이를 급이한 흰쥐의 혈청 및 간 조직 내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마늘 효소분해물과 포도과피, 감 및 아선약 추출물을 9.5:0.5, 9:1, 8:2(w/w)의 비율로 혼합한 복합물을 제조하여 in vitro에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8:2(w/w)로 혼합한 아선약 복합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8:2(w/w)의 비율로 조정된 마늘 효소분해 복합물을 2.5 g/kg/day의 농도로 5주간 흰쥐에게 경구 투여한 결과, 총 지질 및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아선약 복합물을 투여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중성지방 함량은 감 복합물 투여군에서 54.29 mg/dl로 가장 낮았다.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감 및 아선약 복합물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천연색소 복합물 투여군에 비해 마늘 효소분해물을 투여한 군에서 더 낮았으며, VLDL-콜레스테롤 함량은 감 복합물 투여군에서 가장 낮았다. GOT, GPT 및 ALP 활성은 천연색소 복할물 중 감 복합물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간 조직 중 총 지질,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감 및 아선약 복합물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항산화 활성은 혈청에서는 아선약 복합물 투여군에서 50.86%로 가장 높았고, 간 조직에서는 감 복합물 투여군에서 가장 높았다. 혈청 및 간 조직의 TBARS 함량은 감 복합물 투여군에서 각각 18.24 mmol/dl 및 60.72 mmol/dl로 가장 낮았다. 따라서 고지방 식이성 흰쥐에서 마늘 효소분해물에 감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물의 급이는 체내 지질 함량을 낮추고 항산화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고지혈증 및 항비만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zyme treated garlic (EG) and its natural resources composites on lipid levels in serum and liver of rats fed a high fat diet. Four different types of EG-composite extracts prepared: EG and EG + grape peel (EGG), EG + Persimmon (EGP) and EG + Catechu (EGC) by mixed 9.5:0.5, 9:1 and 8:2 (w/w) ratios, respectively.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vitro, show the highest in EG + Catechu (EGC) composite by mixed 8:2 (w/w). EG and EG-composites extracts (8:2, w/w) were administered orally to SD-male rats at a concentration of 2.5 g/kg/day for 5 weeks. Total lipid and cholesterol contents in serum were significantly lower in EGC group than control group, and triglyceride content was the lowest in EGP group by 54.29 mg/dL. HDL-cholesterol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EGP and EGC groups. LDL-cholesterol content was lower in EG group than EG-composite groups, and VLDL cholesterol content was the lowest in EGP group. GOT, GPT and ALP activity was significantly lower in EGP group. Total lipid,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tents in liver were significantly lower in EGP and EGC group than control group. Antioxidant activity in serum was the highest in EGC groups by 50.86%, in liver was the highest in EGP groups. TBARS content in serum and liver was the lowest in EGP group. I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EGP composites could have hypolipidemic and anti-obesity effects in rats fed a high fat di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